■ 4월 통방문 주요 문구 변화
3줄 요약
When 추경?
How much 추경?
How strong 추경?
▶ 통화정책 결정배경
(수정)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 ->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
(수정)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 지켜봐야 함
▶ 세계 경제
(수정) 미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 ->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전망) 미국의 관세정책 추진 상황,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을 것 ->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협상,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전개상황 등에 영향받을 것
※ 관세, 관세, 관세
▶ 국내 경제
(수정)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약화 ->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되면서 성장세가 예상보다 약화
(수정) 경제심리 위축,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 ->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
(전망) 금년 성장률은 지난 11월 전망치(1.9%)를 큰 폭 하회하는 1.5%로 전망 -> 지난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보이나,
(수정) 정부의 경기부양책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 추경의 시기 및 규모 등과 관련한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
※ 추경에 달렸다
▶ 물가
(전망)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1.9%)에 부합하는 1.9%로 전망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9%)를 소폭 하회하는 1.8%로 예상 -> 지난 전망치(1.9%, 1.8%)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
※ No Problem
▶ 금융 안정
(수정) 주택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 주택시장에서는 서울 지역의 가격 오름세 및 거래량이 크게 확대되었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둔화
(수정)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둔화 추세를 이어갔음 -> 가계대출은 낮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최근 늘어난 주택거래 영향으로 증가규모가 일시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 큰 문제 없을 듯
▶ 정책 방향
(수정) 낮은 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 ->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증대되고 전망경로의 불확실성도 크게 확대된 상황
(수정) 대내외 경제정책 및 국내 정치 상황의 변화, 그간의 금리 인하가 물가, 성장 및 금융안정 상황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 ->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및 환율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
※ 추경하는거 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