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ted from:
도PB의 생존투자

05.05.202523:12
🤩Palantir (PLTR)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
📊 주요 실적 지표
• 매출: $8.84억 (예상 $8.63억) 🟢; 전년 대비 +39%
• 조정 EPS: $0.13 (예상 $0.13) 🟡
• 조정 EBITDA: $3.97억
• Rule of 40 점수: 83%
📈 가이던스
• 2분기 매출: $9.34억–$9.38억 (예상 $8.99억) 🟢
• 2분기 조정 영업이익: $4.01억–$4.05억
• 2025년 연간 매출: $38.9억–$39.0억 (예상 $37.5억) 🟢
• 2025년 미국 상업 매출 가이던스: $11.78억+; 전년 대비 +68%
• 2025년 연간 조정 영업이익: $17.11억–$17.23억
• 조정 자유현금흐름 가이던스: $16억–$18억
• GAAP 영업이익 및 순이익: 매 분기 실현 전망
🧭 지역 및 부문별 실적
• 미국 전체 매출: $6.28억; 전년 대비 +55%, 전분기 대비 +13%
• 미국 상업 매출: $2.55억; 전년 대비 +71%, 전분기 대비 +19%
• 미국 정부 매출: $3.73억; 전년 대비 +45%, 전분기 대비 +9%
• 고객 수: 전년 대비 +39%, 전분기 대비 +8%
• $100만 이상 계약: 139건 / $500만 이상: 51건 / $1,000만 이상: 31건
📑 계약 관련 지표
• 미국 상업 부문 총계약가치(TCV): $8.1억; 전년 대비 +183%
• 미국 상업 잔여계약가치(RDV): $23.2억; 전년 대비 +127%, 전분기 대비 +30%
💵 기타 재무 지표
• 조정 영업이익: $3.91억 (마진 44%)
• GAAP 영업이익: $1.76억 (마진 20%)
• 조정 자유현금흐름: $3.70억 (마진 42%)
• 영업현금흐름: $3.10억 (마진 35%)
• 순이익: $2.14억 (마진 24%)
• 현금 및 미국채 보유액: $54억
🧠 CEO Alexander Karp 발언
“우리는 미국에서의 매출이 전년 대비 55% 증가한 가운데, 채택의 지각변동 중심에 서 있습니다.”
“우리는 AI 시대를 위한 현대적 엔터프라이즈 운영체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36%, 미국 상업 성장률을 +68%로 상향합니다.”
📊 주요 실적 지표
• 매출: $8.84억 (예상 $8.63억) 🟢; 전년 대비 +39%
• 조정 EPS: $0.13 (예상 $0.13) 🟡
• 조정 EBITDA: $3.97억
• Rule of 40 점수: 83%
📈 가이던스
• 2분기 매출: $9.34억–$9.38억 (예상 $8.99억) 🟢
• 2분기 조정 영업이익: $4.01억–$4.05억
• 2025년 연간 매출: $38.9억–$39.0억 (예상 $37.5억) 🟢
• 2025년 미국 상업 매출 가이던스: $11.78억+; 전년 대비 +68%
• 2025년 연간 조정 영업이익: $17.11억–$17.23억
• 조정 자유현금흐름 가이던스: $16억–$18억
• GAAP 영업이익 및 순이익: 매 분기 실현 전망
🧭 지역 및 부문별 실적
• 미국 전체 매출: $6.28억; 전년 대비 +55%, 전분기 대비 +13%
• 미국 상업 매출: $2.55억; 전년 대비 +71%, 전분기 대비 +19%
• 미국 정부 매출: $3.73억; 전년 대비 +45%, 전분기 대비 +9%
• 고객 수: 전년 대비 +39%, 전분기 대비 +8%
• $100만 이상 계약: 139건 / $500만 이상: 51건 / $1,000만 이상: 31건
📑 계약 관련 지표
• 미국 상업 부문 총계약가치(TCV): $8.1억; 전년 대비 +183%
• 미국 상업 잔여계약가치(RDV): $23.2억; 전년 대비 +127%, 전분기 대비 +30%
💵 기타 재무 지표
• 조정 영업이익: $3.91억 (마진 44%)
• GAAP 영업이익: $1.76억 (마진 20%)
• 조정 자유현금흐름: $3.70억 (마진 42%)
• 영업현금흐름: $3.10억 (마진 35%)
• 순이익: $2.14억 (마진 24%)
• 현금 및 미국채 보유액: $54억
🧠 CEO Alexander Karp 발언
“우리는 미국에서의 매출이 전년 대비 55% 증가한 가운데, 채택의 지각변동 중심에 서 있습니다.”
“우리는 AI 시대를 위한 현대적 엔터프라이즈 운영체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간 매출 가이던스를 +36%, 미국 상업 성장률을 +68%로 상향합니다.”
Reposted from: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2b18a40-d395-4327-a4e4-7c8284052c0d.jpg%3Fw%3D24%26h%3D24&w=48&q=75)


29.04.202506:51
< 몸소 체험 중 😭 >
현재 스페인 세비야에서 휴가 중인데요. 현지시간으로 어제 오후 1시, 호텔 체크아웃 후 세비야 산타 후스타 역(Santa Justa)에서 차를 렌트해 론다로 이동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체크아웃 전부터 인터넷이 끊기기 시작하더니, 호텔 측에서는 정전으로 인해 택시 호출도 불가능하다고 하더군요. 택시 정류장을 직접 찾아가 겨우 택시를 탔지만, 카드 결제는 안 되고 현금만 가능했습니다. 기차역에 도착해 보니, 내부는 통제 중이라 사람들이 모두 밖에 나와 앉아 있었구요..
기차역 옆 렌터카 업체로 이동했지만, 시스템이 다운돼 차량을 빌릴 수 없었고 내비게이션도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2시간 넘게 대기하다가, 6~10시간 후에 복구될 수 있다는 뉴스를 접하자 사람들은 대거 남는 호텔방을 찾으러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다행히 GPS는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저를 포함해 운 좋게 가까운 곳에 방을 구한 사람들은 마트로 향해 식료품을 사들였습니다.
뉴스를 접한 뒤로부터 약 8시간이 지나서야 전기가 복구되었습니다 (현지시간 자정에 호텔 방에 갑자기 불이 들어와 잠에서 깼습니다).
이상기후가 원인이라는 보도들도 그렇고, 이번 일을 겪으며 유럽의 전력난 문제를 좀 더 심각하게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인상적이었던 건, 현지 사람들은 이런 상황에서도 허허 웃으며 꽤 태연하게 기다리는 모습이었습니다.
현재 스페인 세비야에서 휴가 중인데요. 현지시간으로 어제 오후 1시, 호텔 체크아웃 후 세비야 산타 후스타 역(Santa Justa)에서 차를 렌트해 론다로 이동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체크아웃 전부터 인터넷이 끊기기 시작하더니, 호텔 측에서는 정전으로 인해 택시 호출도 불가능하다고 하더군요. 택시 정류장을 직접 찾아가 겨우 택시를 탔지만, 카드 결제는 안 되고 현금만 가능했습니다. 기차역에 도착해 보니, 내부는 통제 중이라 사람들이 모두 밖에 나와 앉아 있었구요..
기차역 옆 렌터카 업체로 이동했지만, 시스템이 다운돼 차량을 빌릴 수 없었고 내비게이션도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2시간 넘게 대기하다가, 6~10시간 후에 복구될 수 있다는 뉴스를 접하자 사람들은 대거 남는 호텔방을 찾으러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다행히 GPS는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저를 포함해 운 좋게 가까운 곳에 방을 구한 사람들은 마트로 향해 식료품을 사들였습니다.
뉴스를 접한 뒤로부터 약 8시간이 지나서야 전기가 복구되었습니다 (현지시간 자정에 호텔 방에 갑자기 불이 들어와 잠에서 깼습니다).
이상기후가 원인이라는 보도들도 그렇고, 이번 일을 겪으며 유럽의 전력난 문제를 좀 더 심각하게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인상적이었던 건, 현지 사람들은 이런 상황에서도 허허 웃으며 꽤 태연하게 기다리는 모습이었습니다.
Reposted from:
하나증권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29.04.202505:24
**엔비디아 측은 거짓 루머라고 해명 (중국언론)
~~中 사업 분리 추진…독자·합작법인 설립 검토
젠슨 황 CEO "中 시장 서비스 결코 멈추지 않을 것"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6471
~~中 사업 분리 추진…독자·합작법인 설립 검토
젠슨 황 CEO "中 시장 서비스 결코 멈추지 않을 것"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6471
29.04.202505:07
💵 도이치방크 - 달러 강세 사이클, 변곡점 신호 포착
⸻
1️⃣ 그래프
• USD real TWI (주요 통화 대비 달러 실질 무역가중지수) 흐름을 보여주는 차트.
• 과거 달러 강세 사이클과 약세 사이클이 규칙적으로 반복.
• 각각의 사이클 기간을 표시했는데,
• 강세 사이클 : 평균 6~13년
⸻
2️⃣ 현재 상황
• 최근 13년 6개월간 달러 강세가 이어졌음 → 역대 최장 기간.
• 도이치방크는 이 긴 강세가 이제 막 끝나려는 변곡점에 도달했다고 진단.
• “과거 주기상 지금은 약세 사이클로 넘어갈 시점”
⸻
3️⃣ 해석
• 과거와 유사하게 달러 약세 사이클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임.
• 약세 사이클이 시작되면
➔ 신흥국 통화 강세
➔ 원자재(금, 원유 등) 가격 상승
➔ 미국 외 국가(특히 이머징마켓) 자산 수익률 개선
⸻
1️⃣ 그래프
• USD real TWI (주요 통화 대비 달러 실질 무역가중지수) 흐름을 보여주는 차트.
• 과거 달러 강세 사이클과 약세 사이클이 규칙적으로 반복.
• 각각의 사이클 기간을 표시했는데,
• 강세 사이클 : 평균 6~13년
⸻
2️⃣ 현재 상황
• 최근 13년 6개월간 달러 강세가 이어졌음 → 역대 최장 기간.
• 도이치방크는 이 긴 강세가 이제 막 끝나려는 변곡점에 도달했다고 진단.
• “과거 주기상 지금은 약세 사이클로 넘어갈 시점”
⸻
3️⃣ 해석
• 과거와 유사하게 달러 약세 사이클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아 보임.
• 약세 사이클이 시작되면
➔ 신흥국 통화 강세
➔ 원자재(금, 원유 등) 가격 상승
➔ 미국 외 국가(특히 이머징마켓) 자산 수익률 개선
Reposted from:
루팡



28.04.202523:38
OpenAI
우리는 ChatGPT 검색 기능에 여러 가지 개선 사항을 적용했으며, 오늘부터 더 나은 쇼핑 경험 제공을 시작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검색은 지난 한 주 동안 10억 건 이상의 웹 검색을 기록하며, 가장 인기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기능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쇼핑
우리는 ChatGPT에서 제품을 더 쉽고 빠르게 검색, 비교, 구매할 수 있도록 쇼핑 기능을 실험 중입니다.
- 개선된 제품 검색 결과
- 제품 이미지, 가격, 리뷰 등의 시각적 정보 제공
- 직접 구매할 수 있는 링크 제공
제품 결과는 독립적으로 선정되며, 광고가 아닙니다.
이 쇼핑 기능 개선은 오늘부터 ChatGPT가 제공되는 모든 지역의 Plus, Pro, 무료 사용자 및 비로그인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전체 롤아웃 완료까지는 며칠이 걸릴 예정입니다.
우리는 ChatGPT 검색 기능에 여러 가지 개선 사항을 적용했으며, 오늘부터 더 나은 쇼핑 경험 제공을 시작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검색은 지난 한 주 동안 10억 건 이상의 웹 검색을 기록하며, 가장 인기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기능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쇼핑
우리는 ChatGPT에서 제품을 더 쉽고 빠르게 검색, 비교, 구매할 수 있도록 쇼핑 기능을 실험 중입니다.
- 개선된 제품 검색 결과
- 제품 이미지, 가격, 리뷰 등의 시각적 정보 제공
- 직접 구매할 수 있는 링크 제공
제품 결과는 독립적으로 선정되며, 광고가 아닙니다.
이 쇼핑 기능 개선은 오늘부터 ChatGPT가 제공되는 모든 지역의 Plus, Pro, 무료 사용자 및 비로그인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전체 롤아웃 완료까지는 며칠이 걸릴 예정입니다.
29.04.202509:48
29.04.202506:41
# 재생에너지 100% 꿈은 아직 현실성 부족
• 재생전력만으로는 전력망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움
# 기저전원(화석연료+원자력) 백업은 필수
• 관성/주파수 안정화/급격한 수요 변화 대응을 위해 필요
• 재생전력만으로는 전력망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움
# 기저전원(화석연료+원자력) 백업은 필수
• 관성/주파수 안정화/급격한 수요 변화 대응을 위해 필요
29.04.202506:07
Reposted from: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29.04.202505:18
* 중국시장 안버려
=========================
~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 정부의 규제를 벗어나기 위한 차원에서 조용히 플랜 B를 가동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중국 내 IT 전문 매체인 아이지웨이(愛集微)가 29일 전했다. 매체는 별다른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업계의 전언을 인용해 이같은 소식을 보도했다
~ 매체는 젠슨 황은 자체 기술 플랫폼인 쿠다(CUDA) 생태계를 중국 시장에서 유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중국에 합작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장차 중국 사업을 미국 본사로부터 독립시킬 가능성마저 염두에 두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29000660
=========================
~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 정부의 규제를 벗어나기 위한 차원에서 조용히 플랜 B를 가동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중국 내 IT 전문 매체인 아이지웨이(愛集微)가 29일 전했다. 매체는 별다른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업계의 전언을 인용해 이같은 소식을 보도했다
~ 매체는 젠슨 황은 자체 기술 플랫폼인 쿠다(CUDA) 생태계를 중국 시장에서 유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중국에 합작 법인을 설립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장차 중국 사업을 미국 본사로부터 독립시킬 가능성마저 염두에 두고 있다고도 보도했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29000660
Reposted from:
하나증권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28.04.202523:37
**양자컴퓨팅은 내년 시작하는 중국 15차 5개년 계획의 핵심 지원 분야
https://v.daum.net/v/20250429074820854
https://v.daum.net/v/20250429074820854
Reposted from: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29.04.202508:09
* 중국 외교부: 베센트 미 재무장관의 ‘미중 갈등 완화는 중국에 달렸다‘는 발언에 대해 ’중국은 수차례 언급. 관세전쟁/무역전쟁에 승자는 없음. 이번 관세전쟁은 미국이 시작. 미국이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하고 싶다면 위협/압박 멈추고 평등/존중/호혜 기반으로 중국과 대화 시작해야 함‘
>> 중국: 미국이 대화할 준비가 안됐다
外交部发言人郭嘉昆主持4月29日例行记者会。会上有外媒记者提问称:昨天,美国财政部长贝森特表示,他认为应该由中国来缓和关税战,因为中方向美方出售的商品是美方向中方出售商品的5倍,125%的关税是不可持续的。你是否同意中方有责任首先缓和局势的说法? 郭嘉昆对此表示,中方多次阐明,关税战、贸易战没有赢家,这场关税战是美方发起的,如果美方想通过对话谈判解决问题,就应该停止威胁施压,在平等、尊重、互惠的基础上同中方开展对话。(环球时报)
>> 중국: 미국이 대화할 준비가 안됐다
外交部发言人郭嘉昆主持4月29日例行记者会。会上有外媒记者提问称:昨天,美国财政部长贝森特表示,他认为应该由中国来缓和关税战,因为中方向美方出售的商品是美方向中方出售商品的5倍,125%的关税是不可持续的。你是否同意中方有责任首先缓和局势的说法? 郭嘉昆对此表示,中方多次阐明,关税战、贸易战没有赢家,这场关税战是美方发起的,如果美方想通过对话谈判解决问题,就应该停止威胁施压,在平等、尊重、互惠的基础上同中方开展对话。(环球时报)
29.04.202506:40
🔥 스페인·포르투갈 정전 사태로 드러난 ‘신재생 한계’…주목받는 천연가스와 원전 🔥
⸻
1️⃣ 사건 개요 – 스페인·포르투갈 대규모 정전
• 4월 28일 낮 12시 35분경
➔ 스페인·포르투갈·프랑스 일부 지역에서 동시 다발적 정전 발생
• 프랑스는 빠르게 복구했지만,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최대 일주일 소요 전망
• 아이러니하게도, 스페인은 “100% 재생에너지로만 국가 전력망 가동”을 자랑한 지 단 6일 만에 대정전을 겪음
⸻
2️⃣ 원인 분석 – 단순 사고가 아니라 ‘구조적 취약성’
• 초기 해명: 포르투갈 전력사(REN)는 “극한 기후나 희귀 대기현상 탓”이라고 발표
• 실제 문제:
➔ 스페인 전력망 운영사(Red Eléctrica) 발표:
• 전력망 내 극심한 진동(oscillation) 발생
• 이로 인해 유럽 본토 전력망에서 이베리아 반도(스페인+포르투갈) 자동 분리
• 고립된 전력망이 버티지 못하고 대규모 블랙아웃 초래
📌 핵심 구조적 문제
• 과거엔 석탄·가스·원전 같은 무거운 회전 발전기들이
➔ 자체 관성(inertia) 으로 전력망 주파수를 안정시킴
• 현재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기반 발전은
➔ 관성 없음 → 충격에 극도로 민감
• 따라서 작은 외부 충격(기후 변화 등)에도 전력망 붕괴 위험이 급격히 상승
⸻
3️⃣ 유럽 전역에서 벌어지는 비슷한 문제
• 독일: 4월 초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바람·햇빛 모두 없는 현상)’로
➔ 신재생발전량 급감 → 화석연료 발전 비중 70%까지 치솟음
• 영국: 오전·저녁 피크시간 풍력발전이 전력 수요의 **3~4%**밖에 충족 못 함 → 가스 발전 긴급 투입
• 이 때문에 천연가스 가격 폭등 발생
⸻
4️⃣ 각국 대응 – 다시 주목받는 천연가스·원자력
• RWE CEO 경고 (독일 최대 유틸리티)
➔ “기저전원(화석/원자력) 확충 없으면 전기요금 10배 폭등 사태 재발”
• 유럽 각국이 탈원전 정책을 급하게 수정 중
• 스웨덴, 이탈리아, 스위스: 원전 신규 건설 추진
• 프랑스, 영국, 체코, 폴란드, 핀란드 등: 신규 원전 계획 발표
• 천연가스도 글로벌 수요 급증
➔ 미국은 발전 에너지원 1위가 천연가스로 바뀜 (석탄 제치고 43% 비중)
⸻
1️⃣ 사건 개요 – 스페인·포르투갈 대규모 정전
• 4월 28일 낮 12시 35분경
➔ 스페인·포르투갈·프랑스 일부 지역에서 동시 다발적 정전 발생
• 프랑스는 빠르게 복구했지만,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최대 일주일 소요 전망
• 아이러니하게도, 스페인은 “100% 재생에너지로만 국가 전력망 가동”을 자랑한 지 단 6일 만에 대정전을 겪음
⸻
2️⃣ 원인 분석 – 단순 사고가 아니라 ‘구조적 취약성’
• 초기 해명: 포르투갈 전력사(REN)는 “극한 기후나 희귀 대기현상 탓”이라고 발표
• 실제 문제:
➔ 스페인 전력망 운영사(Red Eléctrica) 발표:
• 전력망 내 극심한 진동(oscillation) 발생
• 이로 인해 유럽 본토 전력망에서 이베리아 반도(스페인+포르투갈) 자동 분리
• 고립된 전력망이 버티지 못하고 대규모 블랙아웃 초래
📌 핵심 구조적 문제
• 과거엔 석탄·가스·원전 같은 무거운 회전 발전기들이
➔ 자체 관성(inertia) 으로 전력망 주파수를 안정시킴
• 현재 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기반 발전은
➔ 관성 없음 → 충격에 극도로 민감
• 따라서 작은 외부 충격(기후 변화 등)에도 전력망 붕괴 위험이 급격히 상승
⸻
3️⃣ 유럽 전역에서 벌어지는 비슷한 문제
• 독일: 4월 초 ‘둥켈플라우테(Dunkelflaute, 바람·햇빛 모두 없는 현상)’로
➔ 신재생발전량 급감 → 화석연료 발전 비중 70%까지 치솟음
• 영국: 오전·저녁 피크시간 풍력발전이 전력 수요의 **3~4%**밖에 충족 못 함 → 가스 발전 긴급 투입
• 이 때문에 천연가스 가격 폭등 발생
⸻
4️⃣ 각국 대응 – 다시 주목받는 천연가스·원자력
• RWE CEO 경고 (독일 최대 유틸리티)
➔ “기저전원(화석/원자력) 확충 없으면 전기요금 10배 폭등 사태 재발”
• 유럽 각국이 탈원전 정책을 급하게 수정 중
• 스웨덴, 이탈리아, 스위스: 원전 신규 건설 추진
• 프랑스, 영국, 체코, 폴란드, 핀란드 등: 신규 원전 계획 발표
• 천연가스도 글로벌 수요 급증
➔ 미국은 발전 에너지원 1위가 천연가스로 바뀜 (석탄 제치고 43% 비중)
29.04.202506:03
# 업계 반응 또는 간접적 전문가 시그널
• Hugging Face, ModelScope 등 주요 AI 커뮤니티에서 빠르게 Qwen3 모델 허브 인기 상위권 진입
• 공개 당일 OpenAI-style API 호환 및 로컬 배포 지원 등은 스타트업·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상당히 긍정적 반응
• 중국 내에서조차 “국가급 AGI 진입선 언저리”라는 표현까지 등장함 (Zhihu, WeChat Tech 채널 등)
• Hugging Face, ModelScope 등 주요 AI 커뮤니티에서 빠르게 Qwen3 모델 허브 인기 상위권 진입
• 공개 당일 OpenAI-style API 호환 및 로컬 배포 지원 등은 스타트업·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상당히 긍정적 반응
• 중국 내에서조차 “국가급 AGI 진입선 언저리”라는 표현까지 등장함 (Zhihu, WeChat Tech 채널 등)
29.04.202505:14
Reposted from:
Particle News

29.04.202505:01
(홍현익/前 국립외교원 원장)
오늘은 미국의 대중 관세전쟁에 대해 중국이 버틸 수 있는 이유와 향후 전망, 그리고 우리의 대책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미국이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이에 중국이 굴복하지 않고 125%의 보복관세, 미 농산물에 10-15% 관세 부과, 희토류 수출 금지, 미국 LNG 수입중지로 맞서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밀리는 형국입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1. 그간 중국은 대외 수출입선 다원화에 성공. 중국의 총수출에서 미국 비중이 대폭 줄어 2024년 14.7%가 되었고, GDP 대비 미중무역은 3.6%, 대미 수출(4,389억 달러)은 2.5%에 불과함.
2. 중국의 외화보유고는 세계 1위로 3조2400억 달러임.
3. 중국이 올해 경기부양을 위해 GDP의 4%를 재정적자율로 마련해둠. 이구환신 정책으로 내수진작해 올해 1-2월 소비판매 증가율이 4%로 전년 동기보다 0.5% 상승.
4. 미국 대기업 셋이 중국의 인질 : 시총 1위 애플의 제품 90%와 테슬라의 40%를 중국에서 생산, 월마트 매장 상품 50%가 중국 상품.
5. 미국 희토류 수입 72%를 중국에 의존. 공급중단 대비 못했음. 배터리, 반도체, 방산업에 차질.
6. 중국이 Deep Seek, 엔비디아칩 대체 가능 그래픽 처리장치 개발 등 첨단기술에서 미국 의존 축소.
7. 시진핑은 경제 침체 책임을 미국에 전가 가능.
8. 미 증시 폭락, 국채금리 폭등, 달러가치 하락, Deflation 조짐 등으로 트럼프 지지도 역대 최하 기록.
9. 미국이 무역 적자이니 협상력이 크다고 생각한 것은 트럼프의 오판. 게임이론에서 미중 교역 치킨게임 시 확대지배력(escalation dominance: 흥정력)은 오히려 중국이 더 큼.
10. 결론적으로 중국도 어렵지만 민주국가인 미국의 경제 상황과 여론 악화가 더 심각해 미국이 먼저 타협을 위해 나설 가능성이 큼.
향후 전망
트럼프의 철학이 어떤 경우에도 굽히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자칫 회복하기 어려운 금융 위기에 처할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꼬리를 내리고 있음.
반면, 시진핑은 배수진을 치고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상호 존중하고 배려하는 협상을 열어두고 있음.
빠르면 2-3주내, 아무리 늦어도 미 독립기념일인 7월 4일 이전에는 미중간 타협이 이루어질 듯함.
서로의 체면을 존중하고 상호 이익을 배려해 중국이 무역 흑자보다 작은 2,000억 달러 정도의 미국 물품을 사주고 미국은 적정선으로 관세를 인하해줄 것으로 예상됨.
한국의 대책
1. 대미 관세 협상에서 시간은 우리 편이므로 미국이 우리에게 조선, 반도체, 방산, 알래스카 가스관 투자 등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갖고 서두르지 말며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을 지켜보면서 차분하게 협상하는게 유리. 특히 주요 내용 타결은 6월 4일 출범하는 차기정부가 해야함.
2. 중국의 공급망 교란 공세를 기정 사실로 보고 공급망 다양화에 총력을 기울여야함.
3. 트럼프가 전력적 경쟁자인 러시아의 푸틴 및 중국의 시진핑, 북한의 김정은과의 협상을 희망하듯이 우리도 북한,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발전시키는데 미국 눈치를 볼 필요가 없음.
4. 미국이 우리를 방기할 가능성이 커지는 등 한미동맹의 딜레마를 헤징하기 위해 전작권 전환을 서두르고, 일본, 중국, 러시아를 설득해 동북아 다자협력체제 구축 모색.
5.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카자흐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등 글로벌 사우스국가들과의 협력 증진 -끝-
오늘은 미국의 대중 관세전쟁에 대해 중국이 버틸 수 있는 이유와 향후 전망, 그리고 우리의 대책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미국이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지만, 이에 중국이 굴복하지 않고 125%의 보복관세, 미 농산물에 10-15% 관세 부과, 희토류 수출 금지, 미국 LNG 수입중지로 맞서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밀리는 형국입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1. 그간 중국은 대외 수출입선 다원화에 성공. 중국의 총수출에서 미국 비중이 대폭 줄어 2024년 14.7%가 되었고, GDP 대비 미중무역은 3.6%, 대미 수출(4,389억 달러)은 2.5%에 불과함.
2. 중국의 외화보유고는 세계 1위로 3조2400억 달러임.
3. 중국이 올해 경기부양을 위해 GDP의 4%를 재정적자율로 마련해둠. 이구환신 정책으로 내수진작해 올해 1-2월 소비판매 증가율이 4%로 전년 동기보다 0.5% 상승.
4. 미국 대기업 셋이 중국의 인질 : 시총 1위 애플의 제품 90%와 테슬라의 40%를 중국에서 생산, 월마트 매장 상품 50%가 중국 상품.
5. 미국 희토류 수입 72%를 중국에 의존. 공급중단 대비 못했음. 배터리, 반도체, 방산업에 차질.
6. 중국이 Deep Seek, 엔비디아칩 대체 가능 그래픽 처리장치 개발 등 첨단기술에서 미국 의존 축소.
7. 시진핑은 경제 침체 책임을 미국에 전가 가능.
8. 미 증시 폭락, 국채금리 폭등, 달러가치 하락, Deflation 조짐 등으로 트럼프 지지도 역대 최하 기록.
9. 미국이 무역 적자이니 협상력이 크다고 생각한 것은 트럼프의 오판. 게임이론에서 미중 교역 치킨게임 시 확대지배력(escalation dominance: 흥정력)은 오히려 중국이 더 큼.
10. 결론적으로 중국도 어렵지만 민주국가인 미국의 경제 상황과 여론 악화가 더 심각해 미국이 먼저 타협을 위해 나설 가능성이 큼.
향후 전망
트럼프의 철학이 어떤 경우에도 굽히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자칫 회복하기 어려운 금융 위기에 처할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꼬리를 내리고 있음.
반면, 시진핑은 배수진을 치고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상호 존중하고 배려하는 협상을 열어두고 있음.
빠르면 2-3주내, 아무리 늦어도 미 독립기념일인 7월 4일 이전에는 미중간 타협이 이루어질 듯함.
서로의 체면을 존중하고 상호 이익을 배려해 중국이 무역 흑자보다 작은 2,000억 달러 정도의 미국 물품을 사주고 미국은 적정선으로 관세를 인하해줄 것으로 예상됨.
한국의 대책
1. 대미 관세 협상에서 시간은 우리 편이므로 미국이 우리에게 조선, 반도체, 방산, 알래스카 가스관 투자 등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갖고 서두르지 말며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을 지켜보면서 차분하게 협상하는게 유리. 특히 주요 내용 타결은 6월 4일 출범하는 차기정부가 해야함.
2. 중국의 공급망 교란 공세를 기정 사실로 보고 공급망 다양화에 총력을 기울여야함.
3. 트럼프가 전력적 경쟁자인 러시아의 푸틴 및 중국의 시진핑, 북한의 김정은과의 협상을 희망하듯이 우리도 북한, 중국, 러시아와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발전시키는데 미국 눈치를 볼 필요가 없음.
4. 미국이 우리를 방기할 가능성이 커지는 등 한미동맹의 딜레마를 헤징하기 위해 전작권 전환을 서두르고, 일본, 중국, 러시아를 설득해 동북아 다자협력체제 구축 모색.
5.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카자흐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레이트 등 글로벌 사우스국가들과의 협력 증진 -끝-
Reposted from:
신한투자증권 제약/바이오 엄민용

28.04.202523:33
화이자의 PD-1 억제제 피하주사 제형 사산리맙, 표준치료와 병용시 질병 위험 32% 감소 입증했으나 주요 2차 평가지표에선 실패
알테오젠 할로자임 없이는 화이자도 쉽지않은 피하주사 개발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pfizer-ties-pd-1-drug-32-bladder-cancer-risk-reduction-phase-3-misses-secondaries
알테오젠 할로자임 없이는 화이자도 쉽지않은 피하주사 개발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pfizer-ties-pd-1-drug-32-bladder-cancer-risk-reduction-phase-3-misses-secondaries
Reposted from:
[삼성 글로벌 SW 이영진]
![[삼성 글로벌 SW 이영진]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51fa97c9-3682-4cdf-9f7c-7cdf043bf7a1.jpg%3Fw%3D24%26h%3D24&w=48&q=75)
29.04.202507:16
Qwen, DeepSeek 그리고 Llama - 오픈소스 AI 산업 내 주도권 전쟁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글로벌 SW 담당 이영진입니다.
DeepSeek(딥시크) R2에 대한 루머가 파다한 가운데 알리바바가 Qwen3 모델군 발표를 통해 오픈소스 AI 생태계 경쟁을 심화시켰습니다.
다양한 파라미터(0.6B~235B)로 구성되고 Apache 2.0 라이선스 기반으로 개발자 접근성을 높였는데요
Qwen3는 2개의 MoE 모델과 6개의 Dense(일반) 모델로 구성됩니다. 플래그십 모델인 Qwen3-235B-A22B는 R1, o1, Gemini 2.5 Pro에 경쟁하는 성능을 보였고, 소형 MoE 모델 Qwen3-30B는 추론 모델 QwQ-32B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였습니다.
하이브리드 사고 모드와 광범위한 언어지원(방언 포함 119개)은 물론이고, MCP 지원을 포함해 에이전틱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사전학습은 36조 토큰 규모 데이터셋을 통해 진행했고, PDF 형태 데이터와 합성 데이터도 활용되었습니다. 사후학습에는 장기 CoT 데이터 기반 SFT(Supervised Fine Tunning), 추론 기반 강화학습(RL) 등이 적용되었습니다.
딥시크가 적용한 방법론과 유사하지만, 프론티어 AI 기업의 기술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입니다. 서로 서로 참고하는 전통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공개된 벤치마크 성능 외 서드파티 테스팅과 실 사용자 후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지만, 압도적 성능보다 최적화와 가성비에 조금 더 집중한 결과로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텍스트 모델로 멀티모달 지원이 아쉽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아볼 수 있겠네요
컴퓨팅 자원 제한에 따라 모델 연구 및 발전과 API 서빙 측면에서 딥시크가 다소 불리한 모양새지만, 중국 AI 티어만 놓고 보면 딥시크는 여전히 Qwen을 앞서고 있습니다.
루머로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기에 실제 발표를 기다리고 있지만, 산업이 기대하는 와우 포인트는 역시 딥시크 R2에서 기대하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미국 AI 씬에 다시 경보음으로 작용하게 될까요?
물론 세컨티어로 잊혀진 것 같지만 당장 오늘 밤 진행할 메타 LlamaCon에서의 신규 업데이트(대형 모델? 추론 모델? 혹은 메타 AI 관련 소식?)도 주목해야할 부분입니다.
추가 업데이트해 드리겠습니다.
(2025/4/29 공표자료)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글로벌 SW 담당 이영진입니다.
DeepSeek(딥시크) R2에 대한 루머가 파다한 가운데 알리바바가 Qwen3 모델군 발표를 통해 오픈소스 AI 생태계 경쟁을 심화시켰습니다.
다양한 파라미터(0.6B~235B)로 구성되고 Apache 2.0 라이선스 기반으로 개발자 접근성을 높였는데요
Qwen3는 2개의 MoE 모델과 6개의 Dense(일반) 모델로 구성됩니다. 플래그십 모델인 Qwen3-235B-A22B는 R1, o1, Gemini 2.5 Pro에 경쟁하는 성능을 보였고, 소형 MoE 모델 Qwen3-30B는 추론 모델 QwQ-32B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였습니다.
하이브리드 사고 모드와 광범위한 언어지원(방언 포함 119개)은 물론이고, MCP 지원을 포함해 에이전틱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사전학습은 36조 토큰 규모 데이터셋을 통해 진행했고, PDF 형태 데이터와 합성 데이터도 활용되었습니다. 사후학습에는 장기 CoT 데이터 기반 SFT(Supervised Fine Tunning), 추론 기반 강화학습(RL) 등이 적용되었습니다.
딥시크가 적용한 방법론과 유사하지만, 프론티어 AI 기업의 기술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입니다. 서로 서로 참고하는 전통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공개된 벤치마크 성능 외 서드파티 테스팅과 실 사용자 후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지만, 압도적 성능보다 최적화와 가성비에 조금 더 집중한 결과로 평가해볼 수 있습니다.
텍스트 모델로 멀티모달 지원이 아쉽다는 점도 단점으로 꼽아볼 수 있겠네요
컴퓨팅 자원 제한에 따라 모델 연구 및 발전과 API 서빙 측면에서 딥시크가 다소 불리한 모양새지만, 중국 AI 티어만 놓고 보면 딥시크는 여전히 Qwen을 앞서고 있습니다.
루머로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기에 실제 발표를 기다리고 있지만, 산업이 기대하는 와우 포인트는 역시 딥시크 R2에서 기대하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미국 AI 씬에 다시 경보음으로 작용하게 될까요?
물론 세컨티어로 잊혀진 것 같지만 당장 오늘 밤 진행할 메타 LlamaCon에서의 신규 업데이트(대형 모델? 추론 모델? 혹은 메타 AI 관련 소식?)도 주목해야할 부분입니다.
추가 업데이트해 드리겠습니다.
(2025/4/29 공표자료)
Reposted from:
루팡



29.04.202506:32
일론 머스크
다음 주, Grok 3.5의 얼리 베타 버전이 SuperGrok 구독자 전용으로 출시됩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로켓 엔진이나 전기화학에 관한 기술적인 질문에 정확히 답변할 수 있는 최초의 AI입니다.
Grok은 첫번째 원칙에서부터 사고하며, 인터넷에 존재하지 않는 답변까지 스스로 도출해냅니다.
다음 주, Grok 3.5의 얼리 베타 버전이 SuperGrok 구독자 전용으로 출시됩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로켓 엔진이나 전기화학에 관한 기술적인 질문에 정확히 답변할 수 있는 최초의 AI입니다.
Grok은 첫번째 원칙에서부터 사고하며, 인터넷에 존재하지 않는 답변까지 스스로 도출해냅니다.
29.04.202506:03
# 중국발 오픈소스 모델 중 처음으로 글로벌 AI 최상위권 성능 달성
# 기존 중국 모델(Qwen2.5, Baichuan 등)보다도 압도적 성능과 기능
#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갖춘 MoE 구조 + Thinking Mode는 세계적으로도 실험적이면서 혁신적
#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AI 생태계에 직접적 경쟁 신호
# 기존 중국 모델(Qwen2.5, Baichuan 등)보다도 압도적 성능과 기능
# 효율성과 성능을 동시에 갖춘 MoE 구조 + Thinking Mode는 세계적으로도 실험적이면서 혁신적
#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AI 생태계에 직접적 경쟁 신호
29.04.202505:07
# 지금부터 달러 투자 포지션을 다시 점검할 시기.
# 특히 금, 신흥국 주식, 이머징 통화 같은 달러 약세 수혜 자산에 관심을 가질 필요.
# 특히 금, 신흥국 주식, 이머징 통화 같은 달러 약세 수혜 자산에 관심을 가질 필요.
Reposted from:
켐트로닉스 개인채널
29.04.202504:05
삼성전기 컨콜
1. AI 반도체 기판 매출
- 2분기부터 AI 반도체용 기판에서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할 예정이다
- AI 가속기 수요 증가에 대응해 패키지 기판 부문 매출 기여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2. 전장용 MLCC 성장
- 중국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시장 확대가 전장용 MLCC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 전장용 MLCC는 자동차 전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 확산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산업·전장용 MLCC 판매 확대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3. 유리기판 사업 진행 상황
- 2분기부터 유리기판 파일럿 라인을 가동 중이다
-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유리기판 제품을 적극 판촉하고 있다
- 향후 유리기판 사업을 본격화해 고부가 제품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4. 미국 관세 영향
- 미국 관세 영향은 삼성전기의 직접 수출 규모를 감안할 때 제한적이다
- 다만 소비심리 둔화 등 간접적인 시장 영향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1. AI 반도체 기판 매출
- 2분기부터 AI 반도체용 기판에서 유의미한 매출이 발생할 예정이다
- AI 가속기 수요 증가에 대응해 패키지 기판 부문 매출 기여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2. 전장용 MLCC 성장
- 중국 ADAS(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시장 확대가 전장용 MLCC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 전장용 MLCC는 자동차 전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 확산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산업·전장용 MLCC 판매 확대를 통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3. 유리기판 사업 진행 상황
- 2분기부터 유리기판 파일럿 라인을 가동 중이다
-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유리기판 제품을 적극 판촉하고 있다
- 향후 유리기판 사업을 본격화해 고부가 제품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4. 미국 관세 영향
- 미국 관세 영향은 삼성전기의 직접 수출 규모를 감안할 때 제한적이다
- 다만 소비심리 둔화 등 간접적인 시장 영향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Shown 1 - 24 of 136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