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Particle News avatar

Particle News

바이오 뉴스와 IT/컨텐츠 중심 미세한 의견을 쓰는 공간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
Trust
Not trusted
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Dec 06, 2023
Added to TGlist
Sep 18, 2024

Records

04.04.202523:59
691Subscribers
11.09.202423:59
0Citation index
04.04.202523:59
925Average views per post
23.09.202423:59
730Average views per ad post
23.10.202423:59
3.66%ER
04.04.202523:59
133.86%ERR

Popular posts Particle News

Reposted from:
시장 이야기 2 avatar
시장 이야기 2
08.04.202500:31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은 단지 관세 때문이 아니다

레이 달리오



많은 사람들이 지금의 시장과 경제에 영향을 주고 있는 관세 정책에 주목하고 있지만, 나는 그것이 표면적인 현상일 뿐, 훨씬 더 큰 변화들이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

핵심은 통화 질서, 정치 질서, 지정학적 질서의 구조적인 붕괴이며, 이는 한 세대에 한 번 발생할까 말까 한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다.



1. 통화/경제 질서의 붕괴

현재 세계 경제는 지나치게 많은 부채 위에 서 있으며, 그 부채의 증가 속도도 너무 빠르다.

미국은 과잉 소비와 과도한 차입으로 경제를 유지하고 있고, 중국과 같은 채권국은 수출로 경제를 유지하며 이 부채를 떠안고 있다.

이런 불균형은 탈세계화 흐름 속에서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


예: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의존하면서도 중국을 점점 더 전략적 적대국으로 간주하고 있음 → 구조 개편 필수


2. 국내 정치 질서의 붕괴

교육, 소득, 생산성, 가치관 격차가 극단적인 정치 양극화를 초래하고 있다.

우파/좌파 포퓰리스트 간의 “승자독식” 싸움은 타협 기반 민주주의의 붕괴를 낳고 있으며,

그 결과로 권위주의적 지도자의 등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3. 국제 지정학적 질서의 붕괴

미국 주도의 세계 질서는 끝나가고 있고, 일방주의·힘의 논리가 자리잡고 있다.

무역전쟁, 기술전쟁, 외교·군사적 충돌 등이 이미 그 신호탄이며,

이는 패권이 재편되는 시기의 전형적인 징후다.


4. 자연재해 및 팬데믹 등 자연의 교란 증가

가뭄, 홍수, 감염병 등은 경제 질서와 사회 안정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


5. 기술 발전(AI 등)의 구조적 충격

AI와 같은 신기술은 경제, 정치, 지정학 질서 모두에 파괴적 영향을 미침.

기술 독립성과 공급망 재편이 안보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음.


핵심 제안

단기적인 뉴스(예: 관세 발표)에만 주목하면 근본적 구조 변화의 본질을 놓칠 위험이 크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1) 통화 질서, 2) 국내 정치, 3) 국제 정치, 4) 기후 대응, 5) 기술 발전 등 모든 면에서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지금의 상황은 과거 대공황, 세계대전, 금융위기 전후와 유사한 '큰 사이클(Big Cycle)'의 일부이며, 정책 결정자들은 과거 역사에서 배워야 한다.
04.04.202501:39
크래프톤, '인조이' 얼리 액세스 출시 1주 만에 판매량 100만장 돌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1/0000921900?sid=105
02.04.202522:02
* 상호관세 면제 품목이 있군요. 철강/알루미늄, 구리, 제약, 반도체

=========================

Some goods will not be subject to the Reciprocal Tariff. These include: (1) articles subject to 50 USC 1702(b); (2) steel/aluminum articles and autos/auto parts already subject to Section 232 tariffs; (3) copper, pharmaceuticals, semiconductors, and lumber articles; (4) all articles that may become subject to future Section 232 tariffs; (5) bullion; and (6) energy and other certain minerals that are not available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4/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declares-national-emergency-to-increase-our-competitive-edge-protect-our-sovereignty-and-strengthen-our-national-and-economic-security/
Reposted from:
탐방왕 avatar
탐방왕
28.03.202505:57
크래프톤 CLSA

작성: 탐방왕(https://t.me/tambangwang)

inZOI가 3월 28일 오전 9시 정식 출시됨. 이는 2022년 12월 Callisto Protocol 이후 크래프톤의 가장 큰 신작이며, 신규 IP 성공 여부를 시험하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 판단됨. Steam 위시리스트 수는 280만개로, 통상 위시리스트의 20~30%가 첫 달에 판매되는 점을 고려하면 초기 판매 잠재력은 높다고 평가. 하지만 얼리액세스 특성상 판매량은 정식 출시보다 낮을 수 있으며, 성과 판단까지는 인내가 필요하다는 의견 제시

inZOI 가격은 예상보다 30% 낮게 책정되었으며, 정식 출시 전까지 모든 업데이트를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공지함. 이에 따라 2025년 inZOI 매출 추정치는 기존 대비 하향 조정함. 성공적인 론칭의 초기 기준선은 동시접속자 20만명 이상으로 설정됨. 그래픽과 커스터마이징 측면에서 유저 피드백은 대체로 긍정적이며, EA의 The Sims 시리즈에 대한 대체 수요도 존재함

다만, 2년 개발 기간 후 출시된 게임이 25년 된 The Sims와 경쟁해야 한다는 점에서 최적화 부족, 콘텐츠 양 부족 등의 리스크가 존재함. 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는 유저 잔존율과 업데이트 이행 수준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판단함. 실패할 경우 신작 개발 역량에 대한 신뢰도 추가 하락 가능성 있음

현재 진행 중인 3,26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은 단기 주가 방어 요인이 될 수 있음.
PUBG 프랜차이즈는 여전히 견고하나, 2분기부터 전년 기저 부담이 커질 예정임. 신작 출시 일정 지연 및 가시성 부족을 반영해 2025~2026년 EPS 전망을 하향하고, 목표주가 하향 조정. 투자의견은 Hold 유지함.
04.04.202500:15
https://biz.sbs.co.kr/article/20000226647?division=NAVER

그보다 오늘 관세 이슈에 좀 묻혔지만 엔비디아와 데이터센터 관련주들이 급락한 것은 이 뉴스 영향이 컸습니다
26.03.202501:48
TSMC 미국 반도체 파운드리 단가 상승 "10% 미만" 분석, 인건비 비중 낮아

TSMC가 미국 애리조나 파운드리 공장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비용이 대만 공장과 비교해 10% 미만으로 상승하는 데 그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인건비 부담이 반도체 가격 인상을 이끌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전체 생산 단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에 그치기 때문이다.

TSMC는 미국에 모두 3곳의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을 신설한다는 계획을 내놓은 데 이어 트럼프 정부 출범 뒤 1천억 달러(약 146조 원) 상당의 추가 투자도 발표했다.

이는 TSMC 반도체 생산 원가를 크게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게 나온다. 미국의 인건비 등 비용이 대만 공장과 비교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장중머우 TSMC 창업자는 미국에서 반도체 공장을 건설하고 운영한다면 생산 단가가 대만과 비교해 약 50%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주요 증권사들도 미국 파운드리 공장의 비용 부담을 리스크로 지목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테크인사이츠는 이러한 예측이 단순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비용이 대만과 비교해 10% 미만의 상승폭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을 전했다.


비용 증가에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미국의 높은 인건비인데 현재 파운드리 원가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에도 미치치 못한다는 것이다.

테크인사이츠는 “현재 반도체 파운드리 공정은 대부분 자동화돼 인건비 영향이 크지 않다”며 기존의 예측은 이러한 요소를 올바르게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도체 파운드리 원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관련 장비 확보로 파악된다. 이는 미국과 대만 사이 비용 차이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TSMC가 미국에 대규모 투자 확대를 결정한 배경도 비용 통제에 관련한 자신감을 반영하고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이어졌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최근 대만에서 수입하는 반도체에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하며 TSMC의 미국 내 설비 투자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TSMC가 이러한 압박에 못 이겨 큰 손해를 감수하고 미국에 반도체 공장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분석이 유력하게 나오고 있다.

그러나 테크인사이츠의 예측대로라면 TSMC가 비용 상승으로 보게 될 손해는 크지 않은 반면 미국 내 고객사 수주 확대에는 더 유리한 위치에 놓이게 될 수 있다.

TSMC가 파운드리 원가 인상분을 고객사들에 전가할 수 있는 강한 협상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미국 공장 투자에 따른 손해를 만회할 만한 배경으로 꼽힌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8578
07.04.202500:09
요즘 빅파마들에게 기술도입 관련한 비용우려가 있는데 국내 바이오 업체들은 늘 선급금을 적게 받고 전체 규모를 키워서 받으려는 니즈가 강하기에 빅파마들 입장에서는 적은 선급금을 주는 딜을 여러개 하기 좋은 시점이라는 말씀을 얼마전에 드렸죠.

솔직히 4조 계약이면 선급금이 5~6천억은 되야 정상인데 700억이라니 우리나라 바이오 업체들 기술이전 계약하는 방식이 늘 아쉽긴 하네요.
25.03.202504:31
그간 미국이 약하다가 5주만에 상승 전환하고 또 어제는 약세였던 빅테크와 트럼프 트레이드 관련주들이 급등하니까 유럽 및 항셍 그리고 국내 증시에 대한 매력이 떨어지면서 부진한 상황입니다.

경기가 좋거나 막대한 유동성 장세라면 호재에 다 같이 오르겠지만 서로 힘겨루기를 하면서 관세이슈에 이리저리 휘둘리고 있는 시장인만큼 제한적인 수급하에 이슈에 따라 변동성이 강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환경이네요.

뭐 단기적으로 미 증시가 너무 약했기 때문에 충분히 이럴 수 있는 상황이라 너무 걱정할 단계는 아니고...

다만 연초부터 비미국 증시가 좋았던 가장 큰 이유가 미국이 쉬어갈만한 시점이었기 때문인데 1개 분기가 흐른 지금쯤 자금의 방향성이 바뀔 수 있는 시점이기도 하죠. 4월 2일 상호관세 시행 후 단기 방향성이 정해지겠네요.
02.04.202522:27
[4/3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 관련 코멘트]
하나증권 글로벌투자분석실장 이재만

▶ 트럼프 행정부는 국가별로 상이한 상호관세 도입을 발표

▶ 각국별로 미국에 부과된 관세(+환율 조작과 무역장벽을 포함)에 절반 정도 수준의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

▶ 중국은 미국에 대해 67%의 관세 부과, 미국은 중국에 대해 34%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 (미국은) 유럽에 20%, 대만에 32%, 일본에 24%, 인도에 26%, 한국에 25%의 관세를 부과

▶ 영국, 브라질, 싱가폴은 기본 관세인 10%을 부과

▶ 주식시장은 상호관세를 부정적으로 인식. 장 종료 후 미국 선물시장 하락. S&P500지수 -1.59% 하락(정규장 +0.67% 상승), VIX지수 +5.61% 상승한 22.05p 기록

▶ 발표된 국가별 상호관세는 상한선일 가능성도 있음. 베센트 재무장관은 의회에서 관세는 더 이상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하향 협상은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WSJ)

▶ 코스피 12개월 예상 PBR 3/31일 2,481p 기준으로 0.80배(전일 2,506p 기준 0.81배). 최근 저점은 미국 스테그플레이션 우려와 연준 기준금리 인상 진행됐던 2022년 10월 0.78배. 이를 적용할 경우 코스피 저점은 2,410~20p

▶ 다만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관세가 이미 적용중인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목재에는 상호 관세를 추가로 부과 받지 않음

▶ 한편 미국 경제제재나 긴급 권한이 기본적 인권, 인도적 활동을 침해하지 않도록 설정된 예외 조항이 있어, 상호관세의 적용을 받지 않는 품목에는 반도체와 의약품도 포함되어 있음

▶ 국내 증시가 미국 증시 하락의 영향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자동차와 반도체가 이미 관세 부과 우려를 반영해 주가가 하락해 있고, 발표된 상호관세 적용 대상이 아님을 감안 시 하락 시 매수 기회로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
08.04.202500:41
- 명확한 데이터가 없는 실망스러운 자료이기에 주가 하락으로 보임.
- 하락장에서도 버텨왔고, 에스패스에 대한 기대감이 큰 만큼 실망도 클 수 밖에 없음.
- 우선 NDR 진행 중인만큼, NDR 이후 시장 반응을 지켜볼 예정
- 기관 대상 NDR인만큼 주주로서 잘 설명해주길 바라고, 그것과 별개로 시장에서 의문을 품고 있는 부분에 대해 명확히 해소되는 자료이길 바랐지만
자신감과 달리 빈약한 자료와 혼란스러운 해석을 유도하게 만드는 자료 제작 능력은 욕먹어도 쌈.
25.03.202504:31
씨티 "탄핵심판 선고 장기화 시 국가신용등급 전망 낮아질 수도"

→ 원화 약세 요인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48064
04.04.202506:34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58045?ref=naver

로이터 “한국에 수십년 사이 최악의 정치적 위기를 촉발시킨 계엄령 선포와 관련해 국회의 탄핵을 인용"

뉴욕타임스 “미국의 핵심 동맹국이 민주주의 안전장치의 시험대를 넘어 새로운 지도자를 선출할 길이 열렸다”

가디언 "계엄 선포로 촉발된 공포가 파면으로 해소됐다” “이 역사적인 결정은 한국 민주주의가 걷는 여정에서 중요한 순간으로 기억될 것"
02.04.202522:06
말씀하신대로 반도체, 제약, 구리, 철강, 알루미늄은 관세 면제 대상이라 삼성전자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이 있지만 베트남에 부과된 46% 관세 적용받지 않습니다.
04.04.202500:05
시장이 몰랐던 것은 트럼프가 예상보다 더 막장이라는 것. 과도한 관세는 협상용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트럼프는 진심이었다는 것이고

트럼프가 몰랐던 것은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알아서 미국으로 기어들어올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런다고 다들 미국에 공장을 세우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미국 의존도가 줄어들고 미국의 피해가 더 클 수 있다는 것.

아무리 강대국이라도 몇개의 나라만 패는 것도 아니고 전세계에 동시에 전쟁을 걸어버리면 우위가 지속될리가 없고 특히 미국이 글로벌 시장 전체를 대체할 정도로 큰 것은 GDP규모(25%)보다 증시규모(50%)인데 당장 여기에서부터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는...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