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Windy의 투자공방
투자에 대한 기록과 생각들을 적어 놓습니다.
https://t.me/windy_zeroroom
https://t.me/windy_zeroroom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May 29, 2023
Added to TGlist
Oct 24, 2024Records
06.05.202523:59
131Subscribers15.09.202423:59
0Citation index15.04.202501:44
2.7KAverage views per post30.09.202423:59
1.3KAverage views per ad post25.02.202523:59
10.00%ER22.03.202501:44
2552.88%ERRReposted from:
습관이 부자를 만든다. 🧘

07.05.202507:05
"어릴때부터 금융 이해력 키워야 부자된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759781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0759781
Reposted from:
퀄리티기업연구소



27.04.202501:08
“데이 트레이더들은 자신들이 주식을 $10에 사고 $11에 팔고, 다음 주에 $24에 다시 사서 $25에 팔고, 또 그 다음 주에 $39에 사서 $40에 팔면 성공했다고 여겼다.
만약 당신이 이 점에서의 문제-즉, 트레이더가 $30 오른 주식에서 $3만 벌었다는 점-를 보지 못한다면, 아마 이 책의 나머지 부분을 읽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가장 중요한 것(The Most Important Thing)」
만약 당신이 이 점에서의 문제-즉, 트레이더가 $30 오른 주식에서 $3만 벌었다는 점-를 보지 못한다면, 아마 이 책의 나머지 부분을 읽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 하워드 막스, 「가장 중요한 것(The Most Important Thing)」
Reposted from:
재간둥이 송선생의 링크수집 창고

07.05.202503:24
행정부 수반은 들어서기만 하면 탄핵 당하고 국무위원들은 줄줄이 탄핵
-> 행정부 무력화
사법부는 입법부에 굴복 당함...
-> 사법부 무력화
삼권분립은 끝난걸로. 그렇게 헌법이 어떻고, 법치가 어떻고, 민주주의가 어떻고 하시던 분들은 이제 뜨거운 맛 좀 보시면서 사시길..
-> 행정부 무력화
사법부는 입법부에 굴복 당함...
-> 사법부 무력화
삼권분립은 끝난걸로. 그렇게 헌법이 어떻고, 법치가 어떻고, 민주주의가 어떻고 하시던 분들은 이제 뜨거운 맛 좀 보시면서 사시길..
Reposted from:
천프로의 콘텐츠 모음방
22.04.202523:31
한국에서 가장 악질적인 사기꾼은 대한민국 정부다. 이번에 새로운 부동산 정책을 냈는데 정말 피가 거꾸로 솟는다. 지금 부동산 가격 거품이 너무 심해 가계 빚으로는 더 이상 펌핑할 수도 없고 지탱할 수도 없으니, 세금을 직접 투입하겠단다.
세금으로 주택 지분을 어마어마하게 매입하는 것도 모자라 그 지분에 따른 월세도 인위적으로 낮춰서 그 월세 차액분도 세금으로 메꾸겠단다. 화룡정점은 개인이 정부와 지분을 공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 가격이 내려가면 그 손실을, 지분만큼도 아니라 전액을, 정부가 세금으로 다 떠안겠단다.
아니 그러니까 청년들은 주택 가격이 너무 높아서 결혼도 못 하고 애도 못 낳고 결국 나라가 이미 멸망 상태로 진입을 한 상황인데도, 그 청년들에게 막대한 세금을 뜯어서 그 청년들은 사지도 못해 발만 동동 구르는 주택 가격 거품을 지탱하는 데 쓰겠다고?
솔직히 한국 청년들이 정말 똑똑했다면 부동산 정책 짜고 있는 공무원들과 카르텔과 수혜자 전부 끌어내서 광화문에 효수해도 모자란 상황이다. 이 사람들이 너무 교묘하고 음흉해서 주거 안정이나 정부 지원이라는 이름으로 청년들에게 좋은 것처럼 예쁘게 포장하므로 실제로는 가격 거품을 지탱하기 위해 청년을 구조적으로 착취하는 아주 악질적인 사기극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이 나라는 콘크리트 가격에 미친 타락한 세대가 이미 팔아먹은 나라다. 고종이 을사늑약 직전에 25억을 받았다는데 딱 그 왕에 그 국민들이다. 내 손에 몇억 쥘 수 있으면 나라가 멸망해도 그 길로 간다. 다 좋은데 제발 국사책에서 본인을 독립투사와 동일시하지는 말아라. 너네는 친일파도 울고 갈 대한민국을 실질적으로 멸망시킨 매국노 사기꾼 세대다.
이 나라 청년들은 피해자가 되지 말고, 저 세대가 콘크리트 부둥켜안고 다 죽을 때까지 해외에 있다가 오는 것이 답이라고 본다.
https://www.facebook.com/share/p/1HuzDkzvHw/?mibextid=wwXIfr
세금으로 주택 지분을 어마어마하게 매입하는 것도 모자라 그 지분에 따른 월세도 인위적으로 낮춰서 그 월세 차액분도 세금으로 메꾸겠단다. 화룡정점은 개인이 정부와 지분을 공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 가격이 내려가면 그 손실을, 지분만큼도 아니라 전액을, 정부가 세금으로 다 떠안겠단다.
아니 그러니까 청년들은 주택 가격이 너무 높아서 결혼도 못 하고 애도 못 낳고 결국 나라가 이미 멸망 상태로 진입을 한 상황인데도, 그 청년들에게 막대한 세금을 뜯어서 그 청년들은 사지도 못해 발만 동동 구르는 주택 가격 거품을 지탱하는 데 쓰겠다고?
솔직히 한국 청년들이 정말 똑똑했다면 부동산 정책 짜고 있는 공무원들과 카르텔과 수혜자 전부 끌어내서 광화문에 효수해도 모자란 상황이다. 이 사람들이 너무 교묘하고 음흉해서 주거 안정이나 정부 지원이라는 이름으로 청년들에게 좋은 것처럼 예쁘게 포장하므로 실제로는 가격 거품을 지탱하기 위해 청년을 구조적으로 착취하는 아주 악질적인 사기극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이 나라는 콘크리트 가격에 미친 타락한 세대가 이미 팔아먹은 나라다. 고종이 을사늑약 직전에 25억을 받았다는데 딱 그 왕에 그 국민들이다. 내 손에 몇억 쥘 수 있으면 나라가 멸망해도 그 길로 간다. 다 좋은데 제발 국사책에서 본인을 독립투사와 동일시하지는 말아라. 너네는 친일파도 울고 갈 대한민국을 실질적으로 멸망시킨 매국노 사기꾼 세대다.
이 나라 청년들은 피해자가 되지 말고, 저 세대가 콘크리트 부둥켜안고 다 죽을 때까지 해외에 있다가 오는 것이 답이라고 본다.
https://www.facebook.com/share/p/1HuzDkzvHw/?mibextid=wwXIfr
Reposted from:
전종현의 인사이트

07.05.202503:42
오래간만의 카바나의 어니 가르시아 인터뷰를 다시 읽었는데, 이 부분이 매우 와닿았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ynameisdj&logNo=22385441148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rss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ynameisdj&logNo=223854411486&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rss
Reposted from:
단독 & 속보 뉴스 콜렉터

07.05.202503:24
[머니투데이] [속보] '대통령 되면 재판정지' 법안, 법사위 소위 통과…민주당 주도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712071358140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50712071358140
Reposted from:
투자자문 와이즈리서치 경제공부방



28.04.202506:58
하이일드 금리 스파이크, 놓치면 내 재산이 위험한 이유 ⚠️
안녕하세요 와이즈리서치 프리덤 연구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일드 금리의 급등이 왜 경기 침체의 경고 신호인지를 쉽고 간결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하이일드 금리는 ‘정크 본드’라 불리는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의 금리를 의미하며,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기업의 디폴트 위험을 가늠합니다.
기업의 디폴트 위험이 높아질수록 하이일드 금리가 급등하고, 과거 데이터에서 이 스프레드 확대는 경기 침체 직전에 반복적으로 관찰되었습니다.
✅ 하이일드 금리란? 🔍
하이일드 금리(High Yield Rate)는 신용등급이 BBB ⁻(S&P) 또는 Baa3(Moody’s) 이하인 투기등급 회사채의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이 채권은 투자등급 채권보다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아, 투자자들은 그만큼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합니다.
쉽게 말해 지인에게 돈을 빌려준다면 평소 약속을 잘 지키고, 소득과 자산규모가 우량한 지인에게는 낮은 이자로 돈을 빌려줄 수 있지만 반대인 지인에게는 더 높은 이자를 받아야만 돈을 빌려줄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 투자 의미: 경기 호황 시 기업 실적 개선에 따른 디폴트 리스크 감소로 하이일드 매수심리 상승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디폴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높은 이자수익 제공
📌 위험 특성: 경기 악화 시 디폴트 확률 상승으로 디폴트 리스크가 우량채권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하이일드 채권의 가격 급락 리스크가 존재함
✅ 하이일드 금리 급등의 의미 ⚠️
📌 디폴트 리스크 반영
하이일드 금리가 상승하면 시장이 이 회사들이 잘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는 뜻입니다.
채권의 가격과 채권의 현재수익률은 반비례 관계입니다.
만약 하이일드 채권이 발행금액이 10000원이고 발행 당시 쿠폰 이자가 500원이었다면 표면금리는 5%입니다.
경기침체 리스크로 인해 기존 하이일드 투자자들이 디폴트 리스크를 우려하여 보유 중인 채권을 매도한다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하이일드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와이즈리서치 프리덤 연구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이일드 금리의 급등이 왜 경기 침체의 경고 신호인지를 쉽고 간결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하이일드 금리는 ‘정크 본드’라 불리는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의 금리를 의미하며, 투자자들은 이를 통해 기업의 디폴트 위험을 가늠합니다.
기업의 디폴트 위험이 높아질수록 하이일드 금리가 급등하고, 과거 데이터에서 이 스프레드 확대는 경기 침체 직전에 반복적으로 관찰되었습니다.
✅ 하이일드 금리란? 🔍
하이일드 금리(High Yield Rate)는 신용등급이 BBB ⁻(S&P) 또는 Baa3(Moody’s) 이하인 투기등급 회사채의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이 채권은 투자등급 채권보다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이 높아, 투자자들은 그만큼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합니다.
쉽게 말해 지인에게 돈을 빌려준다면 평소 약속을 잘 지키고, 소득과 자산규모가 우량한 지인에게는 낮은 이자로 돈을 빌려줄 수 있지만 반대인 지인에게는 더 높은 이자를 받아야만 돈을 빌려줄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 투자 의미: 경기 호황 시 기업 실적 개선에 따른 디폴트 리스크 감소로 하이일드 매수심리 상승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디폴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높은 이자수익 제공
📌 위험 특성: 경기 악화 시 디폴트 확률 상승으로 디폴트 리스크가 우량채권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하이일드 채권의 가격 급락 리스크가 존재함
✅ 하이일드 금리 급등의 의미 ⚠️
📌 디폴트 리스크 반영
하이일드 금리가 상승하면 시장이 이 회사들이 잘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는 뜻입니다.
채권의 가격과 채권의 현재수익률은 반비례 관계입니다.
만약 하이일드 채권이 발행금액이 10000원이고 발행 당시 쿠폰 이자가 500원이었다면 표면금리는 5%입니다.
경기침체 리스크로 인해 기존 하이일드 투자자들이 디폴트 리스크를 우려하여 보유 중인 채권을 매도한다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하이일드 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Reposted from:
실버만삭스의 메모장

21.04.202508:46
#쉐이크쉑 #어느정도오차
가격 측면에서 다른 햄버거 프랜차이즈 대비 워낙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던 쉐이크쉑이었던지라, 세트 하나에 12,000~13,000원 정도면 '상당히 괜찮은데?'하는 느낌이랄까요.
그치만 그렇게 가격할인 정책을 펴지 않던 콧대 높던 쉐이크쉑 코리아마저도 세트 프로모션을 출시할 정도이니,
내수 시장이 어느 정도로 침체되어 있는지 대략 짐작이 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https://m.blog.naver.com/somewhaterror/223841640301
가격 측면에서 다른 햄버거 프랜차이즈 대비 워낙 높은 프리미엄을 받고 있던 쉐이크쉑이었던지라, 세트 하나에 12,000~13,000원 정도면 '상당히 괜찮은데?'하는 느낌이랄까요.
그치만 그렇게 가격할인 정책을 펴지 않던 콧대 높던 쉐이크쉑 코리아마저도 세트 프로모션을 출시할 정도이니,
내수 시장이 어느 정도로 침체되어 있는지 대략 짐작이 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https://m.blog.naver.com/somewhaterror/223841640301
07.05.202503:24
이게 독재가 아니면 무엇이란 말입니까
07.05.202503:57
더불어 터키 정치도..
Reposted from:
Joker / 진리 그리고 투자

23.04.202504:51
피터 틸의 '제로 투 원'에는 시장 점유율에 대한 흥미로운 고찰이 나옵니다.
사업을 잘하고 있다고 어필하고 싶은 회사는 시장을 가능한 잘게 쪼개서 높은 점유율을 강조합니다만, 실상은 니치 플레이어 하나에 불과한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로 돈을 잘 벌고 있는 회사는 독과점 이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오히려 시장을 최대한 넓게 설정해서 점유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어필합니다.
#거인의어깨
사업을 잘하고 있다고 어필하고 싶은 회사는 시장을 가능한 잘게 쪼개서 높은 점유율을 강조합니다만, 실상은 니치 플레이어 하나에 불과한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로 돈을 잘 벌고 있는 회사는 독과점 이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오히려 시장을 최대한 넓게 설정해서 점유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어필합니다.
#거인의어깨
Reposted from: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23.04.202509:21
CATL Tech Day 발표를 봤다.
한숨이 나왔다. 몇 번 눈을 감았다. '하아' 소리가 절로 나왔다. 보면서 몇 번을 세웠다가 다시 돌려봤는지 모른다.
4월 15일 중국 정부는 말도 안되는 수준의 2차 전지 안전 기준을 발표했다. 세부 기준을 보면서, 얘들은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나 했다.
강화된 안전 기준으로는 1) 열 폭주 현상이 사실상 없어야 된다, 2) 어떠한 외부 충격도 견뎌야 된다, 3) 300회 이상의 초급속 충전에도 아무 문제가 없어야 된다.
말도 안되는 얘기다. 전기차에 추가 설비를 엄청 달아야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중국에서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나? 그런 생각도 했다. 이 정도로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이었다.
CATL Tech Day를 보고 알았다. 딱 1주일 후에 알았다. 중국 정부와 기업 간의 섬세한 조율 속에 강화된 안전 기준이 발표된 것이었다.
2025년 12월 CATL은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 LFP 배터리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데, 중국은 Sodium 배터리를 만든다.
Sodium?
에너지 밀도는 LFP보다 더 낮고, 무겁다. 충전 속도도 느리다. CATL이 해결했다. 에너지 밀도를 175 Wh/kg까지 높였다. LFP 배터리와 차이가 없다. 충전 속도도 5C까지 나온다(우리나라 삼원계도 4C다). 나트륨 특성 상 부피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지만,부피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CTP, CTC 등의 기술로 해결했다.
이종 배터리 간 결합/융합 기술로 Chemistry별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Sodium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했다. 2019년 CATL은 LFP Cell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Cell To Pack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제 CATL은 '이종 배터리 결합'이라는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최적의 배터리 Chemistry 간 조합을 찾는 Breakthrough를 이뤄냈다.
근데 어떻게 에너지 밀도를 높인걸까? CATL의 발표를 보면, Nano 기술 얘기가 계속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나노 기술을 이용해 가공해서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제 단점은 해결했다.
장점만 남았다.
Sodium은 일단 리튬보다 훨씬 싸다. 말그대로 소금이다. 진짜 소금이다. CATL의 CTO도 '여러분의 부엌에 있는 소금으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된다'고 언급한다.
아울러 Sodium은 리튬보다 반응성이 낮다. 안정성이 높다는 얘기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특히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꼽히는 낮은 온도에서의 가동 역시 Sodium은 문제가 없다. CATL은 영하 40도에서도 아무 문제 없이 작동된다고 시연 영상을 틀었다.
마지막으로 지난주 중국 정부가 내놓은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을 Sodium 배터리는 다 통과한다. 영상에는 양쪽에서 누르고(압착), 바늘과 드릴로 뚫고(천공), 전기톱으로 자르고(절단)을 해도 '불'도 나지 않고, '폭발'도 하지 않는게 나온다. 딱, 지난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다.
2025년 12월부터 CATL은 'Naxin'이라는 브랜드로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값싼 LFP 배터리를 무기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인 중국은 이제 거의 완벽한 안전성까지 확보한 Sodium 배터리까지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향후 현재 구축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 소재 Value Chain이 무너질 수 있다. 호주를 비롯해 남미 국가들에서 생산되는 리튬,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되는 니켈 등등 아무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자재를 가공해서 생산되는 각종 배터리 소재의 수요 역시 사라질 수 있다.
어지럽다.
P.S CATL의 TECH DAY 발표를 보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꼭 보시라. 꼭꼭 보시라. 꼭꼭꼭 보시라. Tesla의 Battery Day는 장난이었다.
https://www.youtube.com/live/J6gaDQL64AY?feature=shared
#이충재님
https://www.facebook.com/share/p/16RuwjcrwD/
한숨이 나왔다. 몇 번 눈을 감았다. '하아' 소리가 절로 나왔다. 보면서 몇 번을 세웠다가 다시 돌려봤는지 모른다.
4월 15일 중국 정부는 말도 안되는 수준의 2차 전지 안전 기준을 발표했다. 세부 기준을 보면서, 얘들은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나 했다.
강화된 안전 기준으로는 1) 열 폭주 현상이 사실상 없어야 된다, 2) 어떠한 외부 충격도 견뎌야 된다, 3) 300회 이상의 초급속 충전에도 아무 문제가 없어야 된다.
말도 안되는 얘기다. 전기차에 추가 설비를 엄청 달아야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중국에서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나? 그런 생각도 했다. 이 정도로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이었다.
CATL Tech Day를 보고 알았다. 딱 1주일 후에 알았다. 중국 정부와 기업 간의 섬세한 조율 속에 강화된 안전 기준이 발표된 것이었다.
2025년 12월 CATL은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 LFP 배터리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데, 중국은 Sodium 배터리를 만든다.
Sodium?
에너지 밀도는 LFP보다 더 낮고, 무겁다. 충전 속도도 느리다. CATL이 해결했다. 에너지 밀도를 175 Wh/kg까지 높였다. LFP 배터리와 차이가 없다. 충전 속도도 5C까지 나온다(우리나라 삼원계도 4C다). 나트륨 특성 상 부피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지만,부피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CTP, CTC 등의 기술로 해결했다.
이종 배터리 간 결합/융합 기술로 Chemistry별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Sodium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했다. 2019년 CATL은 LFP Cell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Cell To Pack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제 CATL은 '이종 배터리 결합'이라는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최적의 배터리 Chemistry 간 조합을 찾는 Breakthrough를 이뤄냈다.
근데 어떻게 에너지 밀도를 높인걸까? CATL의 발표를 보면, Nano 기술 얘기가 계속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나노 기술을 이용해 가공해서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제 단점은 해결했다.
장점만 남았다.
Sodium은 일단 리튬보다 훨씬 싸다. 말그대로 소금이다. 진짜 소금이다. CATL의 CTO도 '여러분의 부엌에 있는 소금으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된다'고 언급한다.
아울러 Sodium은 리튬보다 반응성이 낮다. 안정성이 높다는 얘기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특히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꼽히는 낮은 온도에서의 가동 역시 Sodium은 문제가 없다. CATL은 영하 40도에서도 아무 문제 없이 작동된다고 시연 영상을 틀었다.
마지막으로 지난주 중국 정부가 내놓은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을 Sodium 배터리는 다 통과한다. 영상에는 양쪽에서 누르고(압착), 바늘과 드릴로 뚫고(천공), 전기톱으로 자르고(절단)을 해도 '불'도 나지 않고, '폭발'도 하지 않는게 나온다. 딱, 지난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다.
2025년 12월부터 CATL은 'Naxin'이라는 브랜드로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값싼 LFP 배터리를 무기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인 중국은 이제 거의 완벽한 안전성까지 확보한 Sodium 배터리까지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향후 현재 구축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 소재 Value Chain이 무너질 수 있다. 호주를 비롯해 남미 국가들에서 생산되는 리튬,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되는 니켈 등등 아무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자재를 가공해서 생산되는 각종 배터리 소재의 수요 역시 사라질 수 있다.
어지럽다.
P.S CATL의 TECH DAY 발표를 보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꼭 보시라. 꼭꼭 보시라. 꼭꼭꼭 보시라. Tesla의 Battery Day는 장난이었다.
https://www.youtube.com/live/J6gaDQL64AY?feature=shared
#이충재님
https://www.facebook.com/share/p/16RuwjcrwD/
Reposted from:
스뉴(Snew) : 스타트업/벤처캐피탈 뉴스

24.04.202523:23
기술적으로 엄청난 것들은 아니더라도 고객들이 뭘 원하는지 치열하게 고민하고, 그렇게 제공해주는 것들 하나둘씩 쌓여가는게 결국 엄청난 경쟁력이다.
토스증권이 지난해 자기자본 3천억으로 약 1500억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거둔것은 이런 경쟁력들이 아닐까 싶다.
https://x.com/neohun/status/1914799966259962028?s=46&t=RwfeNcNO__k2-O263w9aIw
토스증권이 지난해 자기자본 3천억으로 약 1500억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거둔것은 이런 경쟁력들이 아닐까 싶다.
https://x.com/neohun/status/1914799966259962028?s=46&t=RwfeNcNO__k2-O263w9aIw
20.04.202509:10
집갖고 있는 50-60 세대들의 집을
연공서열땜에 연봉이 낮은 mz들이 못사니 나라가 대신 내주겠다는데
혜택은 50-60이 받고 세금은 녹고 젊은세대는 어짜피 내는돈이 비슷해질정도로 집값이 오를텐데
제2의 더내고 더받는 국민연금사태 라고 봐야겠죠?
연공서열땜에 연봉이 낮은 mz들이 못사니 나라가 대신 내주겠다는데
혜택은 50-60이 받고 세금은 녹고 젊은세대는 어짜피 내는돈이 비슷해질정도로 집값이 오를텐데
제2의 더내고 더받는 국민연금사태 라고 봐야겠죠?
History of channel changes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