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IT&서브컬처 김라브📚 avatar
IT&서브컬처 김라브📚
IT&서브컬처 김라브📚 avatar
IT&서브컬처 김라브📚
Repost qilingan:
Fundeasy_최이지 avatar
Fundeasy_최이지
23.04.202500:17
Tesla(TSLA) 25.1Q 실적발표, Earnings Calls

https://blog.naver.com/opushk/223843467073
21.04.202509:58
이 분은 하루 종일 읽기만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다른 일 하는 사람은 하루 100페이지, 50페이지만 읽어도 잘 한거임...
20.04.202502:59
다른 날에 일해서 기력이 없어서 그래요
모든 기력을 읽기에만 쏟을 수 있어야...
20.04.202502:46
매일 500페이지를 읽어라. 그것이 복리처럼 지식을 쌓는 방법이다. 나는 더 많이 읽고 생각함으로써 비즈니스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충동적인 결정을 줄이려고 한다.

나는 여러분 모두가 할 수는 있지만 그렇게 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워런버핏
17.04.202523:23
https://m.cafe.naver.com/vilab/266142
20년 넘게 투자해도 배당이 주가에 연동되는 줄 알고 20일선에 공휴일이 낄 까봐 걱정하는 사람과 그런 사람 글을 읽고 좋다며 박수치는 사람들을 보니 왜 개미투자자 대다수가 돈을 잃는지 너무 잘 알 것 같습니다. 나름 공부한다는 사람들이 모였던 가투소 수준도 정말 처참해졌네요.
17.04.202502:51
[신한투자증권 인터넷/게임 강석오, 고준혁]

서브컬처 - 우리는 오늘도 지갑을 연다

Investment Summary

Key Charts

I. 서브컬처 산업 톺아보기
II. 고도화되는 서브컬처 게임
III. 서브컬처의 새로운 트렌드, '버튜버(Vtuber)'

<국내>
- 넷마블: 매수, TP 7.5만원
- 시프트업: 매수, TP 6.6만원
- 네오위즈: 매수, TP 2.8만원

<해외>
- Cover(5253.JP)
- Anycolor(5032.JP)


신한 인터넷/게임 텔레 채널:
https://t.me/seokokang

※ 원문 확인: http://bbs2.shinhansec.com/board/message/file.pdf.do?attachmentId=334618

위 내용은 2025년 4월 17일 08시 12분 현재 조사분석자료 공표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제공해 드린 조사분석자료는 당사 고객에 한하여 배포되는 자료로 어떠한 경우에도 당사의 허락 없이, 복사, 대여, 재배포 될 수 없습니다.
20.04.202514:46
결국엔 대장주입니다. 근데 저만 하는 말이 아니라 테리 스미스도 했고, 이채원 의장님 글에도 최근 아래 문구가 언급되었습니다.
“승자 종목은 계속 달리게 두라. ‘차익 실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투자자가 많다. 평가이익을 기록 중이라는 건 계속 보유할 만한 가치가 있는 기업 주식을 갖고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하지만 투자자는 정반대로, 즉 자신이 매수했던 가격 수준으로 회복하기를 기대하면서 패자 종목을 계속 달리게 두는 경향이 있다. 정원사는 꽃을 가꾸고 잡초를 뽑지, 그 반대로 하지 않는다.”
왜 대장주일까요? 이미 잘해왔고 잘한 기업의 터전을 넘어서기는 어렵습니다. 밸류에이션의 차이에는 합당한 이유가 있기 마련입니다. 이가 완전히 극복되기 위해서는 잔존해있는 “물음표(?)”에 대한 답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물음표를 채울 느낌표를 알고 있다면 매수는 합리적인 판단입니다. 하지만 그가 아니라면 대장주를 꼽는 것이 정배입니다. 이는 stock 관점이 아닌 sector 관점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섹터 관점에서 반성하는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저는 지역분쟁을 주요 아이디어로 전력을 투자 대상으로 삼았는데 AI에서도 반도체나 SW가 메인이었고, 지역분쟁에서는 조선과 방산이 대장으로 잡아가고 있습니다. 사실 제가 좀 더 현명했다면 각 아이디어의 대장 섹터도 같이 붙잡았을텐데, 그러지 못했던 점은 많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온다면 태풍의 눈처럼 휘몰아쳐도 치열하게 공부해서 대장 섹터, 대장주로 몸을 던져야겠습니다ㅎㅎ
20.04.202502:58
이해하고 내용 정리해서 내재화하는 수준으로 읽으려면 하루에 20 페이지 읽기도 쉽지 않은게 현실이더군요 ㅠㅠ. 일단 하루 종일 읽을 수 있는 날이면, 3페이지 읽고나서 눕게 되는듯 합니다 ㅠㅠ
19.04.202504:02
https://m.blog.naver.com/whwogns9/223839559120
#스푸트니크 #워런버핏 #삼양식품 #코카콜라 #소비재 #중독성
17.04.202513:32
내가 누리는 서비스와 재화를 공급하기 위해서 누군가는 그만큼 일을 해야 하고 공장을 돌려서 물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만 확실히 기억하면 경제에 관한 헛소리의 상당수는 걸러낼 수 있습니다.
Repost qilingan:
BZCF | 비즈까페 avatar
BZCF | 비즈까페
17.04.202501:00
나이키 창업자 필 나이트는 한 인터뷰에서 “우리는 신발을 파는 회사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스티브 잡스도 자신들이 단지 컴퓨터를 파는 게 아니라고 했죠. 그는 애플이란, 세상에서 가장 뛰어나고 미친 사람들이 스스로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도구를 만드는 회사라고 설명했습니다.

아래 글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인 슬랙(Slack)의 창업자가 직접 팀원들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제품이 성공한 뒤에 돌아보며 쓴 글이 아닙니다. 여러 번의 실패를 겪고 난 뒤, Slack이라는 “대성공” 제품을 세상에 내놓기 직전, 그 누구보다 진심으로 팀원들에게 보낸 글입니다. (훗날 이 글은 Slack이 성공한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전설’처럼 회자되는 대표적인 글이 되었습니다.)

이 글은 실리콘밸리에 있는 창업자 친구가 직접 추천해 준 글이기도 한데요. 그곳의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이 글을 거의 의식처럼 읽는다고 하더군요. 왜 그런지 이제는 저도 조금 알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다시 읽어도, 여전히 좋습니다. 깊고, 뜨겁고, 살아 있는 글입니다. 많은 창업가, 예비창업가, 투자자들에게 도움 되시는 글이길 바랍니다.

번역 : https://blog.naver.com/bizucafe/223836349274
21.04.202509:58
부럽당...
20.04.202503:59
여기 투자한 사람들은 다 알면서 폭탄돌리기 게임에 뛰어든 거 아닌지... 피해자인 척 떠들지말고 곱게 죽으십시오 ^^
20.04.202502:53
저도 하루 종일 읽기만 하는 사람 되고싶네요
Repost qilingan:
루팡 avatar
루팡
테슬라 공식계정

자율주행이 대규모로 확산되면 도시는 더 살기 좋아지고,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인 시간을 되찾게 됩니다.


오늘날 그 미래를 살짝 엿볼 수 있습니다.
현재 FSD Supervised(감독형 완전자율주행)는 여전히 사용자의 감독이 필요하지만,
출퇴근이나 장거리 운전이 갑자기 훨씬 덜 피곤해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러시아워 교통에서 끊임없이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짜증날 일도 없습니다.
차가 모든 걸 대신해줍니다.
이제 아예 감독할 필요 없이,
편안하고 스타일 있게 A에서 B까지 이동하면서도
비용은 매우 저렴하다면 어떤 기분일지 상상해보세요.

그게 바로 로보택시(Robotaxi)입니다.
그리고, 곧 옵니다.
17.04.202513:29
<투자의 거장들이나 구루들이나 잘하시는 분들이 하는 얘기들은 항상 공통점이 있습니다>

- 우선 자기가 누군지를 알아야하고 ➔ 제일 중요

- 자기도 모르는 것에 대해서 ‘운좋게’ 투자해서 자산을 늘리는것보다는, 근거 기간으로 성공하는 경험이 중요하고.

- 근거 기반 수익이 결과론적으론 수익을 줬더라도, 그게 정말 도박/투기가 아니고 투자가 맞는지 고민을 해야하고, 정말 논리대로 돈을 번건지 아니면 운으로 번건지 구분을 해야 합니다.

- 특히 도박/투기를 하면서 투자로 착각하고 있거나

- 실력이 아닌 운으로 번 사람들 중에 본인의 실력인줄 알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그러한 착각은, 향후 재산상의 큰 파멸을 불러일으킵니다.

- 차라리 그렇게 얻은 수익은 잃은것만도 못합니다.

- 잃으면 최소한 돌이켜보며 자기반성이라도 하게됩니다.
Repost qilingan:
루팡 avatar
루팡
17.04.202500:49
미국, 관세 협상을 통해 중국 고립 추진 – WSJ 보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는 현재 진행 중인 관세 협상을 활용해, 무역 파트너들에게 중국과의 교류를 제한하도록 압박할 계획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내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화요일 보도했습니다.

WSJ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70개국 이상의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다음 두 가지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중국이 제3국을 통해 우회 수출하는 것을 차단할 것

-중국 기업이 해당 국가에 생산기지를 두고 미국 관세를 회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

이는 미국이 새로운 관세 체제를 강화하고,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고립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됩니다.

https://www.reuters.com/world/us-plans-use-tariff-negotiations-isolate-china-wsj-reports-2025-04-15/
21.04.202509:58
ㄴ 하루종일 읽고 텔레그램 하고 카페 투어 다니는데요. 지루하고 재밌습니다. 언능 합류하세요.
20.04.202503:58
상지건설, 3000원→4만원 1200% 폭등하더니…"월요일 두렵다"
-전환사채(CB) 전환청구권이 행사될 예정이라고 지난 18일 장 마감 후 공시했다
https://search.app/EcxiD
20.04.202502:47
이 분은 하루 종일 읽기만 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다른 일 하는 사람은 하루 100페이지, 50페이지만 읽어도 잘 한거임...
Repost qilingan:
Fundeasy_최이지 avatar
Fundeasy_최이지
17.04.202523:34
#NFLX
현재 소비자 심리와 거시 경제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나, 사업 운영 측면에서 유의미한 변화는 감지되지 않고 있습니다. 가입자 유지율(Retention)은 안정적이고 견조하며, 요금제 구성이나 선택률에도 큰 변화는 없습니다. 최근 가격 인상 효과도 예상 범위 내입니다. 역사적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경기 침체기에 비교적 탄력적인 모습을 보여왔으며, 넷플릭스 역시 과거 어려운 시기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 특히, 저렴한 광고 요금제가 도입된 지금은 경기 변동에 대한 회복력이 더욱 강화되었다고 판단합니다. 경영진은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는 계속 강할 것으로 예상하며, 넷플릭스가 제공하는 가치(특히 홈 엔터테인먼트)가 소비자들에게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유튜브를 포함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들과 소비자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넷플릭스나 유튜브가 아닌 다른 서비스/활동이 TV 시청 시간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가장 큰 기회라고 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특히 프리미엄 스토리텔링 분야에서 최고의 수익화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유형의 크리에이터와 콘텐츠에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또한, 영화 학교나 헐리우드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차세대 크리에이터를 발굴하고 협력하는 데에도 적극적입니다


Netflix(NFLX) 25.1Q 실적발표, Earnings Calls

https://blog.naver.com/opushk/223838307993
한편 최고 인기 버튜버 중 하나인 가우르 구라 졸업 소식
17.04.202500:49
[반.전] 엔비디아, H20 수출 규제

안녕하세요. 삼성증권 문준호의 ‘반도체를 전하다’입니다.

시장 기대와 달리, 그리고 미국 내 생산 발표에도 불구, 결국 H20도 규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4월 9일, 미 정부는 H20 수출에 대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고 통보했고, 이는 4월 14일부터 무기한 시행 예정이라고 합니다.

엔비디아 측은 1분기 실적에 55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공시했습니다. 1분기 매출 가이던스 430억 달러의 12.8%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해당 소식에 시간 외 6% 급락 중인데요,

물론 이전부터 overhang으로 작용해 왔지만 컨센서스가 하향조정 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매출 단에서는 rush order 수혜가 있었을 지언정, 손실은 재고에 대해 별도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난무하는 악재 속, 이익 가시성만큼은 가장 우수하다는 믿음이 훼손될 수 있는 것이죠.

결국 5월 말 실적 발표에야 알 수 있겠지만, 단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가지입니다.

1) 내일 있을 TSMC 실적에서 CoWoS 관련 톤 - CoWoS는 AI칩 생산의 proxy이기에, CoWoS 수급과 증설에 대한 '톤'이 중요

2) 빅테크 업체들의 CAPEX 기조 - 관세와 이로 인한 매크로 불확실성과 AI 투자 축소 우려 부각


계속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4/16 공표자료)
Ko'rsatilgan 1 - 24 dan 475
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