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윤선생 ETF 교실: ETF를 통해 글로벌 자산 시장을 바라봅니다. avatar

윤선생 ETF 교실: ETF를 통해 글로벌 자산 시장을 바라봅니다.

ETF를 통해 글로벌 자산 시장을 바라봅니다.
[ETF의 모든 것]
#글로벌 ETF, #미국 ETF, #한국ETF, #중국 ETF, #일본 ETF, #미국주식, #미국배당
TGlist reytingi
0
0
TuriOmmaviy
Tekshirish
Tekshirilmagan
Ishonchnoma
Shubhali
Joylashuv
TilBoshqa
Kanal yaratilgan sanaГруд 14, 2021
TGlist-ga qo'shildi
Лют 28, 2025

Rekordlar

17.04.202523:59
4.2KObunachilar
04.11.202423:59
0Iqtiboslar indeksi
12.04.202523:59
1.4KBitta post qamrovi
12.04.202523:59
4.3KReklama posti qamrovi
04.04.202523:59
3.95%ER
12.04.202523:59
33.06%ERR

Rivojlanish

Obunachilar
Iqtibos indeksi
1 ta post qamrovi
Reklama posti qamrovi
ER
ERR
ГРУД '24СІЧ '25ЛЮТ '25БЕР '25КВІТ '25

윤선생 ETF 교실: ETF를 통해 글로벌 자산 시장을 바라봅니다. mashhur postlari

<트럼프 상호 관세 발표 연설 요약>
 
-약 60개국이 '최악의 위반국(worst offender)' 목록으로 등록
 
-전세계 대상 보편적 10% 관세 부과(4월 5일부터 발효)
 
-국가별로 (할인된 상호관세)‘Discounted Reciprocal Tariff’ 적용’(4월 9일부터 발효)
 
-상호 관세가 적용된 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은 54%로 상향(2,3월에 발표된 20%p 인상이 34%p로 대체)
 
-멕시코, 캐나다는 이번 상호관세에서 제외. USMCA 제외 품목에 한정해 25% 관세를 부과 예정
 
-25% 자동차 관세 발효(4월 3일)

-800달러 미만 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는 de minimis에 대해서는 언급 부재
 
-트럼프는 무역적자가 국가 및 경제 안보에 위협이 된다며 국가비상사태를 선언. IEEPA를 관세 부과의 법적 근거로 시행 예정
 
-교역 상대국 대미 관세율 계산 근거는 3월 31일에 USTR에서 발표한 '2025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에 근거. VAT, 보조금, 기타 무역 장벽등의 비화폐적인 장벽까지 종합적으로 계산
 
-반도체, 의약품, 일부 핵심 광물에 대해서도 별도의 부문별 관세가 적용될 예정
 
-관세 면제는 없고, 주요국들이 비관세 장벽을 해제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발언. 또한 다른 국가의 보복 조치에 대해서는 비상명령의 실효성을 유지하기 위해 대응할 계획
 
-미국 주식 시장 반응: 미국 주식 시장은 상승 마감했지만 상호 관세 발표 후 나스닥100 선물 2% 이상 하락. 관세 발표가 예상했던 강도보다 높았고 향후 상대국들의 보복 조치에 대한 강경 대응을 시사한 영향
11.04.202504:37
[ETF 기초] 전 세계에 투자하는 1만 3,630가지 방법: 글로벌 ETF(250411)∥미래에셋증권 윤재홍

▼자료 다운로드
https://m.site.naver.com/1FM3P

▼텔레그램 링크
https://t.me/qooowooo/2818

2020년 이후 매년 발간해오고 있는 글로벌 ETF 기초 자료가 나왔습니다.
작년 2월 대비 종목 수는 1,761개가 증가했고, 운용자산은 +3조 8,640억 달러가 증가했네요.
(2025년은 2월말 기준이라 변화는 있을 수 있습니다)

크게 1.ETF 기초 개념, 2.주요 키워드(12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3) 기타 참고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년 자료 대비 구성은 큰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 및 개별 내용 업데이트&보완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요 보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개별 내용에 있어서 최신 동향&데이터 반영,
2) 일부 키워드 변화(전략을 스마트 베타에 통합, 자산 배분 키워드 새롭게 추가)
3) 국내 수요 많은 커버드콜, 레버리지/인버스 관련 유의사항 추가
4) 최근 미국 신규 상장 많은 옵션 결합형 관련 구체화(버퍼형 등)
+이와 함께 편집에서도 신경 써주셔서 좀 더 깔끔하게 자료 보실 수 있습니다 :)


# 목차
I. 글로벌 ETF 개요

II. 12개 키워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키워드1] 대표 지수
[키워드2] 섹터, 산업
[키워드3] 스마트 베타, 전략*
[키워드4] 현금흐름: 배당/인컴
[키워드5] 테마(Thematic)
[키워드6] 채권
[키워드7] 옵션 전략 결합형
[키워드8] 자산 배분**
[키워드9] 암호화폐&블록체인
[키워드10] 레버리지/인버스
[키워드11] 액티브(Active)
[키워드12] 원자재
변경사항(2024년 2월 자료 대비)
* 스마트 베타, 전략: 24년 전략 → 스마트 베타에 병합
** 자산 배분: 신규 작성

III. 참고 사항


자료를 발간할 때마다 ETF 시장이 정말 빠르게 커지고, 다양화 되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ETF도 어디까지나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이죠.
이 자료는 '잘 알고, 잘 활용하기' 측면에서 많이 활용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자료 개요
- 다루는 것: 1) ETF 기초편: ETF 개념, 주요 유형, 2) 참조 사항: 세금, 제도 등
- 포인트: 다양성과 실시간 대응성을 바탕으로 ETF 시장은 빠르게 확대.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
[주요 키워드] *목차 참조
04.04.202513:10
중국 맞대응 개시...
내용이 계속 추가되고 있네요..;;

1) 중국,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34% 추가 관세 부과

2025년 4월 10일 12시 01분부터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기존 관세에 추가로 34% 부과
* 이번에 추가되는 34% 관세는 면제 불가

예외 조건:
2025년 4월 10일 12시 01분 이전에 출발지에서 이미 출발했고,
2025년 4월 10일 12시 01분부터 5월 13일 24시 사이에 중국에 도착한 물품은
이번에 부과되는 추가 관세에서 제외

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对原产于美国的所有进口商品加征34%关税

2) 중국 상무부, 미국 기업 16곳 '수출 제한 명단'에 포함
민군 겸용 물자(两用物项) 수출 금지, 진행 중인 거래도 즉시 중단
High Point Aerotechnologies 외 15곳
商务部:对16家美国实体列入出口管制管控

3) 중국 상무부 및 해관총서, 희토류 물질 7종 수출 통제. 4월 4일부터 즉시 발효
钐(사마륨), 钆(가돌리늄), 铽(터븀), 镝(디스프로슘), 镥(루테튬), 钪(스칸듐), 钇(이트륨)
两部门:对部分中重稀土相关物项实施出口管制

4) 상무부, 미국·인도산 CT용 X-ray 튜브 반덤핑 조사 착수
商务部对原产于美国、印度的进口相关医用CT球管发起反倾销立案调查

5) 상무부, 미국 기업 11곳을 신뢰할수 없는 기업 리스트(Unreliable Entity List)에 포함.
중국의 안보를 해칠 수 있는 활동에 관여했다는 판단.
중국 관련 수출입 전면 금지, 중국 내 신규 투자 금지, 즉시 시행
Skydio 외 10곳은 대부분 기업이무인기, 드론, 통신 관련
商务部将斯凯迪奥公司等11家美国企业列入不可靠实体清单
04.04.202513:12
[4/4, 고용 빔 vs 관세 빔, 키움 한지영]

1.

미국 3월 비농업 고용은 나름 잘 나왔네요.

실업률(4.2% vs 컨센 4.1%)이 소폭 상승하긴 했지만, 신규고용(22.8만 vs 컨센 13.7만)이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고용시장 냉각 우려를 덜어내긴 했습니다.

하지만 별다른 주가 반등의 모멘텀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네요.

지금 나스닥 선물은 2~3%대, 유럽은 4~5%대 급락 중입니다.

조금전 저녁에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34%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영향이 컸네요.

미국 10년물 금리는 4%대가 깨져서 3.8~9%대로 레벨 다운됐고, 유가도 7%대 폭락하고 있는걸 미루어보아,

"미국 VS 중국 + 관세 맞은 다른국가간 전면적인 무역분쟁"의 가능성이 시장으로 하여금 침체를 베팅하게 만들고 있는 듯 합니다.

또 트럼프는 아침 멘션에는 수술이 잘됐다고 자랑한 가운데, 조금 전에는 본인 정책을 변하지 않을 것이고, 지금이 부자가 될 수 있는 기회라는 멘션을 날렸네요.

이게 시장 입장에서는 몸뚱아리 멀쩡한데 마취도 안시키고 수술실에 누워있는 느낌이 아닐까 싶습니다.

2.

여러모로 힘겨운 상황이지만,

중국이 곧바로 부과하겠다는 건 아니고 4월 10일부터 부과하겠다고 했으니, 협상의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봐도 수십프로대의 관세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파멸의 시대로 접어들진 않을 것으로 생각하네요.

지금 미국 공화당 내에서도 반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곳곳에서 비난의 화살이 트럼프 진영에 쏟아지고 있는 만큼, 상황 반전을 기대해봐야겠습니다.

더군다나 최근 주가 하락폭이나 밸류에이션 레벨 다운의 정도가 지나쳤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기술적 반등은 수시로 나올수 있는 자리이기에, 현재로선 매도보다는 보유의 관점으로 향후 상황 변화를 지켜보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이번주는 월요일 공매도 재개부터 시작해 하루하루 얻어터지느라 정신이 없었던 한주였던거 같습니다.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키움 한지영
03.04.202505:19
[ETF 이슈&] US Policy Tracker: 자동차 관세 부과 행정조치(포고령), 트럼프 2기 행정조치 업데이트(~3/27)∥미래에셋증권 윤재홍

▼ [행정명령]
https://m.site.naver.com/1FcCC

▼ [텔레그램]
https://t.me/qooowooo/2776

오늘 새벽부터 시장을 흔들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행정명령(EO)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상호관세 행정명령 및 추가로 발령된 중국/홍콩산 소액 면세 규정 폐지 행정명령 내용,
2) 미국 상장 유니버스 영향 검토,
3) 기존 관세 관련 행정조치,
3) 트럼프 2기 행정조치 업데이트(3/28~4/2)

내용 참고 삼아 봐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링크는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1.상호관세 행정명령
https://www.whitehouse.gov/presidential-actions/2025/04/regulating-imports-with-a-reciprocal-tariff-to-rectify-trade-practices-that-contribute-to-large-and-persistent-annual-united-states-goods-trade-deficits/

ㄴ1) 부록1: 주요국 관세율 리스트
https://www.whitehouse.gov/wp-content/uploads/2025/04/Annex-I.pdf

ㄴ2) 부록2: 예외 품목
https://www.whitehouse.gov/wp-content/uploads/2025/04/Annex-II.pdf

2.중국/홍콩산 소액 면세 규정 폐지 행정명령
https://www.whitehouse.gov/presidential-actions/2025/04/further-amendment-to-duties-addressing-the-synthetic-opioid-supply-chain-in-the-peoples-republic-of-china-as-applied-to-low-value-imports/


항상 시장 대응에 도움되는 자료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 Policy Tracker 지난 자료
(250117) 개봉박두(?) 트럼프 행정명령, 알고 접근하기(Feat. ETF)
https://m.site.naver.com/1APWg

(250214) 트럼프 2기 행정조치(행정명령 등) 정리/분석
https://m.site.naver.com/1C8yU

(250228) 업데이트(~2/26), ETF 투자 아이디어
https://m.site.naver.com/1CRMe

(250321) 유니버스 내 ETF 이슈 코멘트 (*구리 관련)
https://m.site.naver.com/1El5C

(250328) 자동차 관세 부과 행정조치(포고령), 트럼프 2기 행정조치 업데이트(~3/27)
https://m.site.naver.com/1EOLN
16.04.202518:00
FED 풋? > no
11.04.202508:05
84% > 125%
16.04.202523:10
ChatGPT 모델이 또 업데이트 되었네요.
짧게나마 프로 모델 사용해보고 있지만, 변화도 발전도 너무 빠릅니다.
'병목은 오히려 인간한테 있는 것 같다..'는 동기 말이 와닿을 정도로, 결국에는 활용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없을 때는 어떻게 살았나, 나중에 우리 애들은 뭐해먹고 살지..뭐 이런 생각들도 들긴 합니다.

https://openai.com/index/introducing-o3-and-o4-mini/

OpenAI o3는 코딩, 수학, 과학, 시각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계를 넓히는 가장 강력한 추론 모델
OpenAI o4-mini 는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추론에 최적화된 소형 모델로, 특히 수학, 코딩, 시각 작업 에서 크기와 비용 대비 탁월한 성능
[4/7, 가짜뉴스가 만들어낸 미국 증시의 무빙, 키움 한지영]

지금 미국 증시 무빙이 동전주, 잡주마냥 엄청난 상태네요.

아까 전에

"X에서 하셋 백악관 위원장의 말을 빌려, 트럼프가 90일간 중국 제외한 모든 국가들의 관세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고려"

vs

"CNBC는 백악관 내부 정보에 의하면 90일 유예를 들은 바가 없다"

이런 혼재된 뉴스가 대전을 펼치면서 이 같은 잡주 식의 무빙을 보였고,

결국 백악관에서 90일 유예는 가짜 뉴스라고 못을 박았네요.

찌라시성 뉴스에 미국 증시 시총이 이렇게 요동을 치다니 별일 다있네요.

그만큼 시장이 SNS 글 하나에 요동으을 치고 있다는 것은 센티가 무척이나 취약해진거고,

앞으로 그게 뭐가 됐던 트럼프가 직접 등판하기 전까지는 뉴스나 SNS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면 안되겠네요.

이따 새벽에 트럼프 연설이 예정되어 있는데, EU의 협상 제안 등을 포함해 오늘 벌어진 주요국들의 대응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할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키움 한지영
31.03.202501:13
저희 경제를 분석하시는 임혜윤 위원님과 함께 미국의 경제와 제조업에 대한 자료를 작성했습니다^^
현재 조정은 불확실성에 기인했다고 판단합니다
2018년 무역전쟁 시절을 생각해보면 증시 조정기는 기회였고 큰 흐름(인공지능 등 첨단산업, 리쇼어링 등 제조업)에 올라타면 결국은 힘들었던 과정은 좋은 추억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트럼프가 말한 과도기라는 게 미국이 한 번 더 퀀텀 점프를 하는 과정으로 생각합니다
트럼프 정부의 특성상 지원과 함께 기업들에겐 자생력 증명 요구를 할 것입니다
기업들의 효율성을 지원하는 산업에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09.04.202507:51
중국 입장: 대화하자..
-----------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
《중미 경제무역관계에 관한 중국의 입장》 백서 발표 (2025년 4월 9일)


중국 측은 백서를 통해 중미 경제무역관계의 본질은 호혜공영(서로 이익을 주고받는 윈윈 관계)이라고 거듭 강조

최근 몇 년간 미국의 일방주의와 보호주의 심화로 양국 간의 정상적인 무역 협력관계 위기 발생

중국은 이에 대해 국가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강력한 대응 조치를 취했으며, 항상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의 입장을 견지하며, 미국과 여러 차례의 협상을 진행하고 양국 관계의 안정을 위해 노력 중

서로 발전 단계와 경제제도가 다른 양국 간에 무역 협력 과정에서 이견과 마찰이 발생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

서로의 이익과 관심사를 존중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핵심
26.03.202506:05
2025년 4월 주요 경제지표 및 일정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석환 수석연구위원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윤재홍 선임연구위원
미래에셋증권 디지털리서치팀 김은지 연구위원

# 4월 주요 일정

2일 미국 상호관세 등 부과
3~13일 서울 모빌리티 쇼(@킨텍스)
9~11일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11일 미국 1분기 실적 시즌 시작
17일 ECB, 한국 통화정책회의
23~5/2일 상하이 모터 쇼
25~30일 미국 암학회
28일 캐나다 총선
30일 미국 1분기 GDP
(월중) 한국 헌재 대통령 탄핵 선고
(월중) 중국 정치국회의

※ 해당 일정은 발표 기관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현지시각 기준.

https://securities.miraeasset.com/bbs/maildownload/20250326141105760_3431
25.03.202523:13
Thematic Radar Ep. 11
<조금씩 윤곽이 잡히는 상호 관세>
 
보고서 링크: https://han.gl/b5aFk
텔레그램 링크: https://t.me/mirae_dm
 
Ep. 11 주요 내용
-상호관세 관련 우려 완화되며 주식 시장 회복세 이어질 전망. 관세 형태에 대한 불확실성 일정 부분 해소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부과 예정인 상호관세에서 일부 국가들을 면제해 주고, 예고했던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도 4월 2일에 부과하지 않는다고 발언
 
-관세 부과는 무역적자 상위국에 한정될 가능성. 상호관세율은 VAT까지 감안하면 인도, EU에 높은 세율 부과
 
관세 부과 대상국은 ‘Dirty 15’에 해당하는 국가들에 한정될 가능성.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지목한 20개국 중에서 선별해보면 중국, EU, 멕시코, 베트남, 대만, 일본, 한국, 캐나다, 인도, 태국 등이 해당
 
-다만 4월 2일 전후로 변동성 높아질 수 있음. 특정 품목 관세 불확실성 잔존, 캐나다와 멕시코 관세 형태 불분명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 부과시 철강, 알루미늄 관세 부과 근거로 활용됐던 국가 안보 관련 조항(Section 232)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아 최종적으로 부과될 수 있음
Ko'proq funksiyalarni ochish uchun tizimga ki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