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4.202523:54
마티 마카리(Marty Makary) 신임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이 새로운 변화로, 이번에는 제약업계 영향력을 줄이는 일환으로 자문위원회(advisory committee) 회의에 제약사가 산업계 대표(industry representative) 자격으로 참여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FDA 자문위원회는 중요한 사인이나 까다로운 임상 및 규제 이슈에 대해 의견을 듣기 위해 열리는 자리로, 업계 대표 1명과 보통 12명의 독립적인 전문가가 참여합니다. 여기서 업계 대표는 특정 회사보다 업계 전반의 관점을 공유하기 위해 자문위에 참여하며, FDA가 묻는 질문에 답하는 투표권은 없습니다.
마카리 FDA 국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제약회사에 근무하는 직원이 FDA 자문위 공식멤버로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정책지침을 발표하면서, 자문위에서 ‘환자와 간병자(caregiver)의 역할을 우선시하고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네요.
이미 자문위 패널에는 환자 또는 소비자대표(consumer representative)가 참여하며, 이번 결정이 얼마만큼 자문위 구성에 변화를 줄지 등은 실질적으로 명시된 바가 없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892
FDA 자문위원회는 중요한 사인이나 까다로운 임상 및 규제 이슈에 대해 의견을 듣기 위해 열리는 자리로, 업계 대표 1명과 보통 12명의 독립적인 전문가가 참여합니다. 여기서 업계 대표는 특정 회사보다 업계 전반의 관점을 공유하기 위해 자문위에 참여하며, FDA가 묻는 질문에 답하는 투표권은 없습니다.
마카리 FDA 국장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제약회사에 근무하는 직원이 FDA 자문위 공식멤버로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는 정책지침을 발표하면서, 자문위에서 ‘환자와 간병자(caregiver)의 역할을 우선시하고 역할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네요.
이미 자문위 패널에는 환자 또는 소비자대표(consumer representative)가 참여하며, 이번 결정이 얼마만큼 자문위 구성에 변화를 줄지 등은 실질적으로 명시된 바가 없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892
Переслав з:
핀터 - 국내공시요약

18.04.202505:21
기업명: 펩트론
제목: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자진취하등) (PND3174의 제1a상 임상시험계획 자진취하)
임상시험계획: PND3174 1a상 임상시험 자진취하 결정
임상시험명칭: 건강한 성인 남성 대상 PND3174의 단회 투여 안전성 등 평가
취하사유: 추가 비임상 자료 필요성 인식, IND 신청 자진 취하
향후 계획: 관련 자료 확보 후 다시 IND 신청 예정
임상시험승인기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MFDS)
임상시험형태: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단계적 증량
1차 지표: 안전성 평가, 통계분석 방법 포함
임상시험기간: IRB 승인일로부터 24개월 계획
목표 대상자: 56명, 건강한 성인 남성 자원자 포함
핀터 공시 알림 텔레그램
https://home.finter.kr/finter_briefing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900617
2025.04.18 14:18:05
제목: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자진취하등) (PND3174의 제1a상 임상시험계획 자진취하)
임상시험계획: PND3174 1a상 임상시험 자진취하 결정
임상시험명칭: 건강한 성인 남성 대상 PND3174의 단회 투여 안전성 등 평가
취하사유: 추가 비임상 자료 필요성 인식, IND 신청 자진 취하
향후 계획: 관련 자료 확보 후 다시 IND 신청 예정
임상시험승인기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 (MFDS)
임상시험형태: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단계적 증량
1차 지표: 안전성 평가, 통계분석 방법 포함
임상시험기간: IRB 승인일로부터 24개월 계획
목표 대상자: 56명, 건강한 성인 남성 자원자 포함
핀터 공시 알림 텔레그램
https://home.finter.kr/finter_briefing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900617
2025.04.18 14:18:05
17.04.202523:31
일라이 릴리(Eli Lilly)는 2025년 4월 17일, 자사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 후보물질인 오르포글리프론(Orforglipron)의 임상 3상(ACHIEVE-1) 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로 +14%
2025년 말 비만 치료제로서의 FDA 승인 신청 예정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lilly-pill-leads-79-weight-loss-40-weeks-trial-2025-04-17/
2025년 말 비만 치료제로서의 FDA 승인 신청 예정
https://www.reuters.com/business/healthcare-pharmaceuticals/lilly-pill-leads-79-weight-loss-40-weeks-trial-2025-04-17/
Переслав з:
YM리서치

17.04.202500:01
에이피알 메디큐브 팝업에 LA 방문객 5000명 몰렸다
이번 행사는 메디큐브가 K뷰티 브랜드로서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글로우 랜드'라는 테마로 꾸며진 이번 팝업 스토어는 영화 '라라랜드'와 '디즈니랜드'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됐다. 'Anyone Can Glow'라는 주제 아래, 메디큐브는 핑크빛 인테리어와 보석 모양의 오브제를 통해 화사하고 독특한 경험을 제공했다. 현장에서는 한정판 부스터 프로 요술봉 에디션을 비롯해 다양한 인기 제품이 전시되어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메디큐브의 팝업 스토어는 개장 첫날부터 방문객들로 붐볐다. 다양한 연령층과 인종의 사람들이 긴 대기 줄을 형성하며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방문자들은 제품 구매 뿐만 아니라 샘플 증정 이벤트와 '부스터 프로' 꾸미기 체험에도 적극 참여하며 행사를 즐겼다.
에이피알은 이번 LA 팝업 스토어의 성공에 힘입어 메디큐브를 글로벌 스킨케어 브랜드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해 뉴욕 소호에서의 팝업 성공에 이어 이번 행사까지 흥행을 기록하며 미국 전역에서의 브랜드 존재감을 확인한 에이피알은 앞으로도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메디큐브를 각인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더 많은 시장 진출과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메디큐브의 글로벌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7000087
이번 행사는 메디큐브가 K뷰티 브랜드로서 미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글로우 랜드'라는 테마로 꾸며진 이번 팝업 스토어는 영화 '라라랜드'와 '디즈니랜드'에서 영감을 받아 디자인됐다. 'Anyone Can Glow'라는 주제 아래, 메디큐브는 핑크빛 인테리어와 보석 모양의 오브제를 통해 화사하고 독특한 경험을 제공했다. 현장에서는 한정판 부스터 프로 요술봉 에디션을 비롯해 다양한 인기 제품이 전시되어 방문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메디큐브의 팝업 스토어는 개장 첫날부터 방문객들로 붐볐다. 다양한 연령층과 인종의 사람들이 긴 대기 줄을 형성하며 K뷰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방문자들은 제품 구매 뿐만 아니라 샘플 증정 이벤트와 '부스터 프로' 꾸미기 체험에도 적극 참여하며 행사를 즐겼다.
에이피알은 이번 LA 팝업 스토어의 성공에 힘입어 메디큐브를 글로벌 스킨케어 브랜드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해 뉴욕 소호에서의 팝업 성공에 이어 이번 행사까지 흥행을 기록하며 미국 전역에서의 브랜드 존재감을 확인한 에이피알은 앞으로도 다양한 이벤트와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메디큐브를 각인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더 많은 시장 진출과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메디큐브의 글로벌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417000087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21.04.202502:18
신약 개발기업인 에이프릴바이오는 ‘APB-R3(개발코드명)’가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염(MASH)에 뛰어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한 연구 결과가 세포 및 면역학 의약 분야의 최상위 국제학술지인 ‘셀리포츠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IF 11.7))’에 게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연구는 ‘강원대 G-램프 사업’의 지원 아래 강원대 약학대학 약학과 한용현 교수, 의생명시스템과학과 강승구 교수와의 공동 연구로 이뤄졌습니다. 해당 연구 제목은 ‘Treatment of IL-18 binding protein biologics suppresses fibrotic progression in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D Kim et al’입니다.
APB-R3는 에이프릴바이오의 플랫폼 기술인 ‘SAFA’에 간섬유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터루킨-18(IL-18)’에 대한 결합 단백질인 ‘IL-18BP(IL-18 binding protein)’가 융합된 지속형 재조합단백질 의약품입니다.
MASH는 염증과 섬유화가 특징인 만성 간질환으로, ‘IL-18’이 증가돼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IL-18을 차단하는 ‘IL-18BP’를 강화함으로써 MASH로 인한 섬유화 발달이 크게 억제됐습니다.
한편, 에이프릴바이오는 APB-R3의 임상1상을 마치고, 지난해 6월 미국 자가염증질환 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텍인 에보뮨(Evommune)에 해당 후보물질을 약 650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했습니다. 현재 60여명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군을 대상으로 APB-R3에 대한 글로벌 임상2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66
이번 연구는 ‘강원대 G-램프 사업’의 지원 아래 강원대 약학대학 약학과 한용현 교수, 의생명시스템과학과 강승구 교수와의 공동 연구로 이뤄졌습니다. 해당 연구 제목은 ‘Treatment of IL-18 binding protein biologics suppresses fibrotic progression in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hepatitis, D Kim et al’입니다.
APB-R3는 에이프릴바이오의 플랫폼 기술인 ‘SAFA’에 간섬유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인터루킨-18(IL-18)’에 대한 결합 단백질인 ‘IL-18BP(IL-18 binding protein)’가 융합된 지속형 재조합단백질 의약품입니다.
MASH는 염증과 섬유화가 특징인 만성 간질환으로, ‘IL-18’이 증가돼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IL-18을 차단하는 ‘IL-18BP’를 강화함으로써 MASH로 인한 섬유화 발달이 크게 억제됐습니다.
한편, 에이프릴바이오는 APB-R3의 임상1상을 마치고, 지난해 6월 미국 자가염증질환 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텍인 에보뮨(Evommune)에 해당 후보물질을 약 650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했습니다. 현재 60여명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군을 대상으로 APB-R3에 대한 글로벌 임상2상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66
Переслав з:
호그니엘

21.04.202500:28
받)
올릭스 IR 개최
4/29 오전10시 페어몬트
개허접한거나 내용 없으면 보통 금투교 방 한칸 빌려서 하는데
여의도 가장 좋은 페어몬트에서 대표이사가 직접 IR 개최
직전 릴리 딜에도 IR 잡고 딜 나왔음
올릭스 IR 개최
4/29 오전10시 페어몬트
개허접한거나 내용 없으면 보통 금투교 방 한칸 빌려서 하는데
여의도 가장 좋은 페어몬트에서 대표이사가 직접 IR 개최
직전 릴리 딜에도 IR 잡고 딜 나왔음
18.04.202505:19
(코스닥)펩트론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자진취하등) (PND3174의 제1a상 임상시험계획 자진취하)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18900617
2025-04-18
http://dart.fss.or.kr/api/link.jsp?rcpNo=20250418900617
2025-04-18
18.04.202501:14
Переслав з: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7.04.202502:30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실리콘투 주가 상승 관련 의견 공유
- 2025년: 미국 < 유럽 + 중동
- 미국이 1Q25 성장세 전환된 가운데, 사재기 이슈로 2Q25 매출 점증 기대
- 또한 유럽과 중동 등으로의 기회요인 확대될 것으로 예상
- 2분기 분기 최대 매출 추정
- 최근 NDR 통해서 1Q25 미국 지사 매출 회복 공유
- 전분기 GPM 하락 요소 중 하나는 미국 매출이 300억원으로 감소한 영향
vs 3Q24 누적 미국 평균 매출 571억원
- 전분기비 매출 개선됨에 따라 GPM 하락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
- 반면에 유럽이 미국 매출 수준 만큼 근접
- 유럽은 지난 4Q24 400억원 도달 추정(기타해외 매출과 네덜란드, 폴란드 가감)
- 유럽 매출이 분기 20% 비중 상회하기 시작
- 현재 한국의 유럽향 주요국 1Q25 수출은 YoY+61%, 수출 기여도 확대 중
- 기업마다 유럽의 경우 실리콘투와 거래하는 경우 대부분
- 당사는 1Q25 매출 2천억원(YoY+35%), 영업이익 371억원(YoY+33%, 영업이익률 19%) 추정
- 1분기 한국 화장품 수출에 점유율 6% (과거 최고 수준) 타겟한 것
- 다만 지사(미국/유럽) 재고 부분의 Sell Out은 트래킹이 어려워 여기서 편차가 있을 것
- 미국의 경쟁 우려가 오히려 관세 부과로 경쟁 여력 축소, 아마존에서 한계 이익을 내는 브랜드사의 의존성 확대, 사재기 등으로 상반기 우호적으로 변모되는 가운데
- 유럽의 모멘텀 확대가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견인할 전망
[참고]
재고자산 관련
- 재고자산 QoQ 200억원 가량 증가(재고자산: 3Q24 1.2천억원, 4Q24 1.4천억원)
- 회사는 미국 관세 부과 대비 및 물류 창고 확장 이전 등으로 재고를 선제적으로 확충
관세 부담 관련
- 실리콘투의 미국 사업은 국내에서 화장품을 매입하여 미국 지사로 보내 판매하는 구조, 수입 통관의 주체 지사
- 회사는 재고 선제적 확충하여, 관세 부담 당장은 미미
- 상호관세 90일 지연 된 상황에서, 오히려 사재기 등의 환경이 조성 중. 긍정적 요소
- 관세 부담과 관련해서는 브랜드사, CA등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전문: https://vo.la/eeOHNl
***
실리콘투 주가 상승 관련 의견 공유
- 2025년: 미국 < 유럽 + 중동
- 미국이 1Q25 성장세 전환된 가운데, 사재기 이슈로 2Q25 매출 점증 기대
- 또한 유럽과 중동 등으로의 기회요인 확대될 것으로 예상
- 2분기 분기 최대 매출 추정
- 최근 NDR 통해서 1Q25 미국 지사 매출 회복 공유
- 전분기 GPM 하락 요소 중 하나는 미국 매출이 300억원으로 감소한 영향
vs 3Q24 누적 미국 평균 매출 571억원
- 전분기비 매출 개선됨에 따라 GPM 하락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
- 반면에 유럽이 미국 매출 수준 만큼 근접
- 유럽은 지난 4Q24 400억원 도달 추정(기타해외 매출과 네덜란드, 폴란드 가감)
- 유럽 매출이 분기 20% 비중 상회하기 시작
- 현재 한국의 유럽향 주요국 1Q25 수출은 YoY+61%, 수출 기여도 확대 중
- 기업마다 유럽의 경우 실리콘투와 거래하는 경우 대부분
- 당사는 1Q25 매출 2천억원(YoY+35%), 영업이익 371억원(YoY+33%, 영업이익률 19%) 추정
- 1분기 한국 화장품 수출에 점유율 6% (과거 최고 수준) 타겟한 것
- 다만 지사(미국/유럽) 재고 부분의 Sell Out은 트래킹이 어려워 여기서 편차가 있을 것
- 미국의 경쟁 우려가 오히려 관세 부과로 경쟁 여력 축소, 아마존에서 한계 이익을 내는 브랜드사의 의존성 확대, 사재기 등으로 상반기 우호적으로 변모되는 가운데
- 유럽의 모멘텀 확대가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견인할 전망
[참고]
재고자산 관련
- 재고자산 QoQ 200억원 가량 증가(재고자산: 3Q24 1.2천억원, 4Q24 1.4천억원)
- 회사는 미국 관세 부과 대비 및 물류 창고 확장 이전 등으로 재고를 선제적으로 확충
관세 부담 관련
- 실리콘투의 미국 사업은 국내에서 화장품을 매입하여 미국 지사로 보내 판매하는 구조, 수입 통관의 주체 지사
- 회사는 재고 선제적 확충하여, 관세 부담 당장은 미미
- 상호관세 90일 지연 된 상황에서, 오히려 사재기 등의 환경이 조성 중. 긍정적 요소
- 관세 부담과 관련해서는 브랜드사, CA등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전문: https://vo.la/eeOHNl
***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16.04.202506:39
인체조직 재생의학 전문기업인 엘앤씨바이오는 결손된 연조직 부위에 주입할 수 있는 ‘초미세 무세포진피 제조 방법’ 기술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 특허를 출원한 지 3년 5개월 만입니다. 여기에는 ‘메가필 하이젝트’, ‘에스텐 인젝션’의 제조 방법이 포함됐습니다.
이번 등록 특허는 초저온의 분쇄 과정을 거쳐 무세포진피 내 콜라겐의 손상과 구조의 변화 없이 미세 직경의 바늘에서 토출(액체나 기체, 분말 등을 기계나 장치에서 밖으로 내보내는 것)될 수 있는 크기로, 초미세 무세포진피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부분입니다. 미세 바늘을 통한 연부 조직 내 주입이 가능해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55
이는 지난 2021년 11월 특허를 출원한 지 3년 5개월 만입니다. 여기에는 ‘메가필 하이젝트’, ‘에스텐 인젝션’의 제조 방법이 포함됐습니다.
이번 등록 특허는 초저온의 분쇄 과정을 거쳐 무세포진피 내 콜라겐의 손상과 구조의 변화 없이 미세 직경의 바늘에서 토출(액체나 기체, 분말 등을 기계나 장치에서 밖으로 내보내는 것)될 수 있는 크기로, 초미세 무세포진피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부분입니다. 미세 바늘을 통한 연부 조직 내 주입이 가능해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55
21.04.202502:09
Переслав з: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8.04.202505:28
2025.04.18 14:28:19
기업명: 오름테라퓨틱(시가총액: 5,766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일반)
대표보고 : 이승주(74년생)/대한민국
보유목적 : 경영권 영향
보고전 : 54.88%
보고후 : 53.59%
보고사유 : 장내매매에 따른 변동보고
* 2018 IMM 벤처펀드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20,000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20,000주/-
* IBK투자증권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15,128주/-
* KB-솔리더스 글로벌헬스케어펀드
2025-04-04/장내매도(-)/보통주/ -18,320주/-
2025-04-14/장내매도(-)/보통주/ -16,400주/-
2025-04-15/장내매도(-)/보통주/ -5,822주/-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3,397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449주/-
* 디에스자산운용(주)
2025-04-08/장내매수(+)/보통주/ 504주/-
2025-04-09/장내매도(-)/보통주/ -500주/-
2025-04-11/장내매수(+)/보통주/ 5,702주/-
2025-04-15/장내매수(+)/보통주/ 4,163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607주/-
* 엔에이치투자증권㈜(신탁업자 지위로서)
2025-04-09/장내매도(-)/보통주/ -90,053주/-
* 케이비 글로벌 플랫폼 펀드
2025-04-04/장내매도(-)/보통주/ -6,760주/-
2025-04-14/장내매도(-)/보통주/ -37,800주/-
2025-04-15/장내매도(-)/보통주/ -13,108주/-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7,809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1,045주/-
* 케이비 성장지원 펀드
2025-04-04/장내매도(-)/보통주/ -2,940주/-
2025-04-14/장내매도(-)/보통주/ -15,800주/-
2025-04-15/장내매도(-)/보통주/ -5,609주/-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3,298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490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000295
주요 지분공시(최근1년) : https://www.awakeplus.co.kr/board/notice/4758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75830
기업명: 오름테라퓨틱(시가총액: 5,766억)
보고서명: 주식등의대량보유상황보고서(일반)
대표보고 : 이승주(74년생)/대한민국
보유목적 : 경영권 영향
보고전 : 54.88%
보고후 : 53.59%
보고사유 : 장내매매에 따른 변동보고
* 2018 IMM 벤처펀드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20,000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20,000주/-
* IBK투자증권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15,128주/-
* KB-솔리더스 글로벌헬스케어펀드
2025-04-04/장내매도(-)/보통주/ -18,320주/-
2025-04-14/장내매도(-)/보통주/ -16,400주/-
2025-04-15/장내매도(-)/보통주/ -5,822주/-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3,397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449주/-
* 디에스자산운용(주)
2025-04-08/장내매수(+)/보통주/ 504주/-
2025-04-09/장내매도(-)/보통주/ -500주/-
2025-04-11/장내매수(+)/보통주/ 5,702주/-
2025-04-15/장내매수(+)/보통주/ 4,163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607주/-
* 엔에이치투자증권㈜(신탁업자 지위로서)
2025-04-09/장내매도(-)/보통주/ -90,053주/-
* 케이비 글로벌 플랫폼 펀드
2025-04-04/장내매도(-)/보통주/ -6,760주/-
2025-04-14/장내매도(-)/보통주/ -37,800주/-
2025-04-15/장내매도(-)/보통주/ -13,108주/-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7,809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1,045주/-
* 케이비 성장지원 펀드
2025-04-04/장내매도(-)/보통주/ -2,940주/-
2025-04-14/장내매도(-)/보통주/ -15,800주/-
2025-04-15/장내매도(-)/보통주/ -5,609주/-
2025-04-16/장내매도(-)/보통주/ -3,298주/-
2025-04-17/장내매도(-)/보통주/ -490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18000295
주요 지분공시(최근1년) : https://www.awakeplus.co.kr/board/notice/4758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75830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18.04.202501:13
바이오 의약 및 헬스케어 소재 전문기업인 아미코젠은 최대주주가 창업주인 신용철 전 회장에서 마가파트너스투자조합으로 변경됐다고 공시했습니다. 해당 조합은 총 275만4541주(지분율 5.01%)를 확보하며 아미코젠의 최대주주에 올랐습니다.
기존 최대주주였던 신 전 회장은 아미코젠 주식 202만8603주(3.69%)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신 전 회장은 지난 2월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박성규 사외이사와 함께 해임됐습니다. 회사 경영방침과 부합하지 않은 이견으로 해임안이 상정된 데 따른 것입니다. 신 전 회장은 계열사인 비피도 등 투자 실패와 부산 금곡벤처밸리 개발과 관련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습니다.
회사는 기존 주주들이 공동 의결권 행사 목적의 조합을 설립하고, 주식을 양수함에 따라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최대주주 변경일은 조합 출자가 완료된 4월 17일로 확정됐습니다. 조합은 총 83인의 출자자로 구성됐습니다. 출자 총액은 약 89억7980만원입니다.
대표 조합원 겸 업무집행조합원(GP)은 소지성 아미코젠 총괄부사장(사내이사)이 맡고 있습니다. 최다 출자자는 비상장기업인 비움의 박명수 대표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16
기존 최대주주였던 신 전 회장은 아미코젠 주식 202만8603주(3.69%)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신 전 회장은 지난 2월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박성규 사외이사와 함께 해임됐습니다. 회사 경영방침과 부합하지 않은 이견으로 해임안이 상정된 데 따른 것입니다. 신 전 회장은 계열사인 비피도 등 투자 실패와 부산 금곡벤처밸리 개발과 관련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습니다.
회사는 기존 주주들이 공동 의결권 행사 목적의 조합을 설립하고, 주식을 양수함에 따라 최대주주가 변경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최대주주 변경일은 조합 출자가 완료된 4월 17일로 확정됐습니다. 조합은 총 83인의 출자자로 구성됐습니다. 출자 총액은 약 89억7980만원입니다.
대표 조합원 겸 업무집행조합원(GP)은 소지성 아미코젠 총괄부사장(사내이사)이 맡고 있습니다. 최다 출자자는 비상장기업인 비움의 박명수 대표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16
17.04.202502:22
최근 핫한 바이오 기업가치 평가 어떻게 했나 + 라이선스 계약이 나올 것을 알 수 있는 힌트는 이미 나와있다! https://youtu.be/BW9vgJwN0yg?si=39M7NGdQcaRdHWu4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16.04.202505:22
다국적 제약사 바이오젠(Biogen)과 에자이(Eisai)는 15일(현지시간)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인 '레켐비(Leqembi, 성분 레카네맙)'가 유럽연합(EU)에서 시판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의 근본 원인을 표적해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치료제로는 EU에서 최초로 승인됐습니다. 이번 유럽집행위원회(EC)의 시판 허가는 EU 27개 회원국은 물론, 아이슬란드·리히텐슈타인·노르웨이 등 유럽경제지역(EEA) 국가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레켐비는 초기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레켐비는 '아밀로이드베타(Aβ) 단백질'을 표적하는 단일클론항체로, 특히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독성 응집체인 '프로토피브릴(protofibril)'을 선택적으로 제거합니다. 기존 치료제들이 주로 '불용성 플라크'만을 겨냥했던 것과 달리, 레켐비는 '가용성 응집체'까지 제거해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앞서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지난해 7월 'ARIA 발생 위험성'을 이유로 레켐비에 대한 '승인 거절 권고'를 내렸지만, 약 4개월 뒤인 11월에는 '조건부 승인 권고'로 입장을 전환한 바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51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의 근본 원인을 표적해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치료제로는 EU에서 최초로 승인됐습니다. 이번 유럽집행위원회(EC)의 시판 허가는 EU 27개 회원국은 물론, 아이슬란드·리히텐슈타인·노르웨이 등 유럽경제지역(EEA) 국가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레켐비는 초기 알츠하이머병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합니다. 레켐비는 '아밀로이드베타(Aβ) 단백질'을 표적하는 단일클론항체로, 특히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독성 응집체인 '프로토피브릴(protofibril)'을 선택적으로 제거합니다. 기존 치료제들이 주로 '불용성 플라크'만을 겨냥했던 것과 달리, 레켐비는 '가용성 응집체'까지 제거해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효과를 보였습니다.
앞서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는 지난해 7월 'ARIA 발생 위험성'을 이유로 레켐비에 대한 '승인 거절 권고'를 내렸지만, 약 4개월 뒤인 11월에는 '조건부 승인 권고'로 입장을 전환한 바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51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18.04.202505:23
다국적 제약사 사노피(Sanofi)는 17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기반의 항체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바이오기업인 에어렌딜랩스(Earendil Labs)와 자가면역질환 및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를 위한 차세대 이중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y) 2종에 대해 2조6000억원 규모의 전 세계 독점 라이선스(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은 AI 기반 신약 개발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시장에서도 점진적인 변화가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사노피는 에어렌딜랩스의 AI 기술로 개발된 이중특이성 항체 후보물질인 ‘HXN-1002’와 ‘HXN-1003’에 대한 전 세계 독점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하게 됐습니다. 이 항체들은 각각 중등도에서 중증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그리고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설계됐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르면 사노피는 에어렌딜랩스에 업프론트(선급금) 1억2500만달러(약 1800억원)를 지급하고, 향후 개발 및 상업화 진행 상황에 따라 최대 17억2000만달러(약 2조4000억원)의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추가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총 계약 규모는 18억4500만달러(약 2조6000억원)에 달합니다. 마일스톤 중 약 5000만달러(약 710억원)는 단기간 내 지급될 예정입니다. 에어렌딜랩스는 제품 출시 후 매출에 따라 한 자릿수 후반에서 두 자릿수 초반 수준의 로열티를 사노피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에어렌딜랩스는 AI 플랫폼과 ‘고속 대량 실험 기술(high-throughput biology)’을 활용해 차세대 생물학적 제제를 설계 및 개발하는 미국 바이오기업입니다. 치료제 개발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AI 기반의 예측 단백질 모델링과 생성형 단백질 엔지니어링을 접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29
사노피는 에어렌딜랩스의 AI 기술로 개발된 이중특이성 항체 후보물질인 ‘HXN-1002’와 ‘HXN-1003’에 대한 전 세계 독점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하게 됐습니다. 이 항체들은 각각 중등도에서 중증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그리고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설계됐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르면 사노피는 에어렌딜랩스에 업프론트(선급금) 1억2500만달러(약 1800억원)를 지급하고, 향후 개발 및 상업화 진행 상황에 따라 최대 17억2000만달러(약 2조4000억원)의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추가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 총 계약 규모는 18억4500만달러(약 2조6000억원)에 달합니다. 마일스톤 중 약 5000만달러(약 710억원)는 단기간 내 지급될 예정입니다. 에어렌딜랩스는 제품 출시 후 매출에 따라 한 자릿수 후반에서 두 자릿수 초반 수준의 로열티를 사노피로부터 받을 수 있습니다.
에어렌딜랩스는 AI 플랫폼과 ‘고속 대량 실험 기술(high-throughput biology)’을 활용해 차세대 생물학적 제제를 설계 및 개발하는 미국 바이오기업입니다. 치료제 개발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AI 기반의 예측 단백질 모델링과 생성형 단백질 엔지니어링을 접목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429


18.04.202501:38
AI의료. 차트 좀 살아 있는 것들
1. 신테카
2. 온코
3. 보로
4. 쓰리
1. 신테카
2. 온코
3. 보로
4. 쓰리
Переслав з:
더바이오 뉴스룸

17.04.202500:01
셀트리온이 글로벌 주요 파머징 시장(Pharmerging Market)인 중남미 지역에서 입찰 성과를 이어가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회사는 우선 중남미 최대 의약품 시장인 브라질에서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인 ‘허쥬마(성분 트라스투주맙)’의 공급 기간 연장에 성공했습니다. 셀트리온 브라질법인은 허쥬마 출시 다음 해인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트라스투주맙 연방정부 입찰에서 5년 연속 낙찰을 이어온 데 이어, 최근 다시 한번 공급 기간 연장에 성공해 오는 2026년 3월까지 허쥬마를 공급하게 됐습니다.
과테말라에서는 다음달 출시를 앞둔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인 ‘베그젤마(성분 베바시주맙)’가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중앙정부 산하 사회보장청(IGSS) 입찰 수주에 성공하며 출시와 동시에 시장을 선점하게 됐습니다. 현재 혈액암 치료제인 ‘트룩시마(성분 리툭시맙)’가 과테말라에서 70%의 점유율로 처방 1위를 기록하고 있어, 셀트리온은 더욱 강력해진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 확대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코스타리카에서도 허쥬마가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사회보장청(CCSS) 입찰에서 추가 공급을 확정하며 올 상반기까지 연장 공급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67
셀트리온에 따르면 회사는 우선 중남미 최대 의약품 시장인 브라질에서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인 ‘허쥬마(성분 트라스투주맙)’의 공급 기간 연장에 성공했습니다. 셀트리온 브라질법인은 허쥬마 출시 다음 해인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트라스투주맙 연방정부 입찰에서 5년 연속 낙찰을 이어온 데 이어, 최근 다시 한번 공급 기간 연장에 성공해 오는 2026년 3월까지 허쥬마를 공급하게 됐습니다.
과테말라에서는 다음달 출시를 앞둔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인 ‘베그젤마(성분 베바시주맙)’가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중앙정부 산하 사회보장청(IGSS) 입찰 수주에 성공하며 출시와 동시에 시장을 선점하게 됐습니다. 현재 혈액암 치료제인 ‘트룩시마(성분 리툭시맙)’가 과테말라에서 70%의 점유율로 처방 1위를 기록하고 있어, 셀트리온은 더욱 강력해진 ‘항암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 확대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코스타리카에서도 허쥬마가 시장의 95%를 차지하는 사회보장청(CCSS) 입찰에서 추가 공급을 확정하며 올 상반기까지 연장 공급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67
16.04.202501:03
오늘은 아름다움에 가치를 둔 주식들이 가는 날이네요
Показано 1 - 24 із 880
Увійдіть, щоб розблокувати більше функціональност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