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더블유자산운용 노현복 입니다.
최근 국내/글로벌 이슈가 다수 발생하여 이에 따른 당사 포트폴리오 영향과 대응현황을 공유드리오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주요 이슈 : (1) 3/31 공매도 재개 (2) 금일 새벽 트럼프 관세 우려 확대 (3) 내일 예정된 정치 이벤트
결론 : 금주 큰 이벤트 3건이 맞물려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었으며, 내일 이벤트 발표시 대부분의 단기 불확실성이 반영될 예정입니다.
이에 현재 단기 불확실성 peak 구간으로 판단하며, 관세-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정리드리겠습니다
현재 당사 주요 포트폴리오는 미용기기(휴젤, 메디톡스, 파마리서치), 화장품(에이피알), 음식료(삼양식품), 은행, 조선, 방산 순이며
트럼프 상호관세 25% 부과에 따른 당사 포트폴리오 영향은 대표 수출섹터인 미용기기, 화장품, 음식료에 해당됩니다
포트폴리오 영향
미용기기 : 휴젤, 메디톡스, 파마리서치
평균 영업이익율 35%에 해당되는 고부가 제품 위주로 취급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관세대상이 되는 원가 비중이 낮기 때문에 향후 관세 영향은 매우 낮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주요 경쟁사의 미국 현지 생산비중도 낮은 부분 역시 긍정적인 부분이며, 3개 기업의 미국향 매출비중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에 관세 영향은 매우 낮습니다.
보톡스의 경우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비중도 있으며, 의료용은 관세 대상이 아닙니다. 이에 해당 섹터의 관세 우려는 향후에도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합니다.
작성시점의 SNS지표, 수출입데이터, 구글트랜드 모두 역사적 고점을 돌파하는 중이며,
실제로 금일 3개 기업 평균 주가수익율은 +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화장품 : 에이피알
판가의 약 30~40% 수준이 공급가이며, 이 부분이 관세대상 입니다.
에이피알의 경우 미국 매출비중이 약 30% 수준이며, 공급가 35% x 미국 매출비중 30% x 관세율 25% = 약 2~3% 수준으로 제한적이며,
관세를 모두 판가로 전가할 경우에도 미국 판가가 약 8% 상승하는 효과이므로, 이 부분이 현재의 높은 수요를 낮출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합니다.
아직 가성비 좋은 K뷰티의 미국내 침투율은 1% 수준으로 향후 업사이드가 더 큰 상황이며, 주요 경쟁국가는 유럽 기업들이 다수인 관계로 상대적으로 국내 화장품 기업이 불이익을 볼 가능성 역시 낮은 상황입니다.
작성시점의 SNS지표, 아마존 추이 모두 긍정적인 상황이며,
금일 에이피알 주가는 -1% 하락했습니다.
음식료 : 삼양식품
국내 대표 수출기업으로 수출비중 90%, 미국향 수출비중 30%에 해당됩니다.
미용기기, 화장품과 마찬가지로 이익율이 높은 기업이며,
관세 25% 상승시 미국 현지 판가는 약 5% 상승 효과가 발생합니다.
현지 판가가 $2.0 -> $2.1 로 $0.1 상승하며, 현재의 높은 수요가 해당 판가 상승분에 영향을 미칠 부분은 제한적으로 판단합니다.
작성 시점의 각종 지표 역시 매우 우수한 상황이며, 금일 주가 -2% 하락했습니다.
관세 피해가 확대된 타 지역 생산 기업(OEM 등)은 금번 관세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며,
향후 관세 추이와 타이트한 업데이트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최근 국내외 이슈가 발생하여 어려운 시장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나,
실적 성장율이 우수한 기업 위주로 잘 대응해서 좋은 성과로 꼭 보답드리겠습니다.
문의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연락 부탁드립니다.
편안한 저녁시간 보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