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04.202504:58
달러 인덱스
다시 100 근처로 상승
다시 100 근처로 상승
post.reposted:
Particle News

23.04.202509:43
[받은글]
CATL Tech Day 발표를 봤다.
한숨이 나왔다. 몇 번 눈을 감았다. '하아' 소리가 절로 나왔다. 보면서 몇 번을 세웠다가 다시 돌려봤는지 모른다.
4월 15일 중국 정부는 말도 안되는 수준의 2차 전지 안전 기준을 발표했다. 세부 기준을 보면서, 얘들은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나 했다.
강화된 안전 기준으로는 1) 열 폭주 현상이 사실상 없어야 된다, 2) 어떠한 외부 충격도 견뎌야 된다, 3) 300회 이상의 초급속 충전에도 아무 문제가 없어야 된다.
말도 안되는 얘기다. 전기차에 추가 설비를 엄청 달아야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중국에서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나? 그런 생각도 했다. 이 정도로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이었다.
CATL Tech Day를 보고 알았다. 딱 1주일 후에 알았다. 중국 정부와 기업 간의 섬세한 조율 속에 강화된 안전 기준이 발표된 것이었다.
2025년 12월 CATL은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 LFP 배터리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데, 중국은 Sodium 배터리를 만든다.
Sodium?
에너지 밀도는 LFP보다 더 낮고, 무겁다. 충전 속도도 느리다. CATL이 해결했다. 에너지 밀도를 175 Wh/kg까지 높였다. LFP 배터리와 차이가 없다. 충전 속도도 5C까지 나온다(우리나라 삼원계도 4C다). 나트륨 특성 상 부피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지만,부피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CTP, CTC 등의 기술로 해결했다.
이종 배터리 간 결합/융합 기술로 Chemistry별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Sodium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했다. 2019년 CATL은 LFP Cell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Cell To Pack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제 CATL은 '이종 배터리 결합'이라는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최적의 배터리 Chemistry 간 조합을 찾는 Breakthrough를 이뤄냈다.
근데 어떻게 에너지 밀도를 높인걸까? CATL의 발표를 보면, Nano 기술 얘기가 계속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나노 기술을 이용해 가공해서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제 단점은 해결했다.
장점만 남았다.
Sodium은 일단 리튬보다 훨씬 싸다. 말그대로 소금이다. 진짜 소금이다. CATL의 CTO도 '여러분의 부엌에 있는 소금으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된다'고 언급한다.
아울러 Sodium은 리튬보다 반응성이 낮다. 안정성이 높다는 얘기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특히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꼽히는 낮은 온도에서의 가동 역시 Sodium은 문제가 없다. CATL은 영하 40도에서도 아무 문제 없이 작동된다고 시연 영상을 틀었다.
마지막으로 지난주 중국 정부가 내놓은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을 Sodium 배터리는 다 통과한다. 영상에는 양쪽에서 누르고(압착), 바늘과 드릴로 뚫고(천공), 전기톱으로 자르고(절단)을 해도 '불'도 나지 않고, '폭발'도 하지 않는게 나온다. 딱, 지난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다.
2025년 12월부터 CATL은 'Naxin'이라는 브랜드로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값싼 LFP 배터리를 무기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인 중국은 이제 거의 완벽한 안전성까지 확보한 Sodium 배터리까지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향후 현재 구축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 소재 Value Chain이 무너질 수 있다. 호주를 비롯해 남미 국가들에서 생산되는 리튬,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되는 니켈 등등 아무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자재를 가공해서 생산되는 각종 배터리 소재의 수요 역시 사라질 수 있다.
어지럽다.
P.S CATL의 TECH DAY 발표를 보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꼭 보시라. 꼭꼭 보시라. 꼭꼭꼭 보시라. Tesla의 Battery Day는 장난이었다.
CATL Tech Day 발표를 봤다.
한숨이 나왔다. 몇 번 눈을 감았다. '하아' 소리가 절로 나왔다. 보면서 몇 번을 세웠다가 다시 돌려봤는지 모른다.
4월 15일 중국 정부는 말도 안되는 수준의 2차 전지 안전 기준을 발표했다. 세부 기준을 보면서, 얘들은 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나 했다.
강화된 안전 기준으로는 1) 열 폭주 현상이 사실상 없어야 된다, 2) 어떠한 외부 충격도 견뎌야 된다, 3) 300회 이상의 초급속 충전에도 아무 문제가 없어야 된다.
말도 안되는 얘기다. 전기차에 추가 설비를 엄청 달아야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중국에서 전고체 배터리가 나오나? 그런 생각도 했다. 이 정도로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이었다.
CATL Tech Day를 보고 알았다. 딱 1주일 후에 알았다. 중국 정부와 기업 간의 섬세한 조율 속에 강화된 안전 기준이 발표된 것이었다.
2025년 12월 CATL은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아직 LFP 배터리도 제대로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데, 중국은 Sodium 배터리를 만든다.
Sodium?
에너지 밀도는 LFP보다 더 낮고, 무겁다. 충전 속도도 느리다. CATL이 해결했다. 에너지 밀도를 175 Wh/kg까지 높였다. LFP 배터리와 차이가 없다. 충전 속도도 5C까지 나온다(우리나라 삼원계도 4C다). 나트륨 특성 상 부피 문제는 해결할 수가 없지만,부피 활용율을 극대화하는 CTP, CTC 등의 기술로 해결했다.
이종 배터리 간 결합/융합 기술로 Chemistry별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Sodium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했다. 2019년 CATL은 LFP Cell의 단점인 낮은 에너지 밀도를 Cell To Pack 방식으로 해결했다. 이제 CATL은 '이종 배터리 결합'이라는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최적의 배터리 Chemistry 간 조합을 찾는 Breakthrough를 이뤄냈다.
근데 어떻게 에너지 밀도를 높인걸까? CATL의 발표를 보면, Nano 기술 얘기가 계속 나온다. 배터리 소재를 나노 기술을 이용해 가공해서 효율을 극대화했다.
이제 단점은 해결했다.
장점만 남았다.
Sodium은 일단 리튬보다 훨씬 싸다. 말그대로 소금이다. 진짜 소금이다. CATL의 CTO도 '여러분의 부엌에 있는 소금으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된다'고 언급한다.
아울러 Sodium은 리튬보다 반응성이 낮다. 안정성이 높다는 얘기다. 현재 리튬이온배터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고, 특히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꼽히는 낮은 온도에서의 가동 역시 Sodium은 문제가 없다. CATL은 영하 40도에서도 아무 문제 없이 작동된다고 시연 영상을 틀었다.
마지막으로 지난주 중국 정부가 내놓은 말도 안되는 안전 기준을 Sodium 배터리는 다 통과한다. 영상에는 양쪽에서 누르고(압착), 바늘과 드릴로 뚫고(천공), 전기톱으로 자르고(절단)을 해도 '불'도 나지 않고, '폭발'도 하지 않는게 나온다. 딱, 지난주 중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이다.
2025년 12월부터 CATL은 'Naxin'이라는 브랜드로 Sodium 배터리 대량 생산에 들어간다. 값싼 LFP 배터리를 무기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인 중국은 이제 거의 완벽한 안전성까지 확보한 Sodium 배터리까지 본격 양산에 들어간다.
향후 현재 구축되어 있는 모든 배터리 소재 Value Chain이 무너질 수 있다. 호주를 비롯해 남미 국가들에서 생산되는 리튬, 인도네시아 등에서 생산되는 니켈 등등 아무 필요가 없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원자재를 가공해서 생산되는 각종 배터리 소재의 수요 역시 사라질 수 있다.
어지럽다.
P.S CATL의 TECH DAY 발표를 보지 않으신 분이 있다면 꼭 보시라. 꼭꼭 보시라. 꼭꼭꼭 보시라. Tesla의 Battery Day는 장난이었다.
22.04.202521:54
베센트, 머스크, 그리고 트럼프까지 기류의 변화 시작
post.reposted:
루팡

22.04.202509:42
中, 희토류 수출 통제…첫 타깃은 한국
"희토류 쓴 제품, 美 수출 말라"…한국 등 본격 압박
변압기 제조사에 약속 요구…배터리·항공우주도 비상
'우회 수출 금지' 경고 어기면 희토류 판매 중단할 듯
중국 정부가 한국 기업에 ‘중국산 희토류를 사용해 생산한 제품을 미국 군수업체에 수출하면 제재하겠다’는 내용의 경고성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정부가 미국산 반도체의 대중국 우회 수출을 통제해온 것처럼, 중국도 전략광물인 희토류의 ‘제3국 수출 통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미·중 양국이 벌이는 ‘패권 전쟁’에서 한국 기업이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변압기 제조사인 A사는 최근 중국 상무부에서 “중국산 중희토류가 들어간 변압기 등 전력 설비를 미국 방산업체와 미군 등에 수출하지 않겠다는 점을 보증하고, 위반 사항이 적발될 경우 제재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
제재의 구체적 내용은 명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우회 수출 적발 시 중국산 중희토류를 팔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이 같은 공문은 또 다른 변압기 제조사인 B사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변압기 업체뿐 아니라 2차전지, 디스플레이, 전기자동차, 항공우주, 의료장비 등 중국산 전략광물을 수입해 쓰는 다른 업종 기업도 대부분 같은 공문을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중국산 전략광물 전반의 제3국 수출 통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달 초 사마륨, 가돌리늄 등 중희토류 7종과 이를 가공한 영구자석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특히 미국 방산기업 27곳에는 중희토류를 ‘이중용도물품’(군수용과 민간용으로 모두 쓸 수 있는 물품)으로 지정해 아예 수출을 금지했다. 이번 공문은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풀이된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수석연구원은 “중국이 수출 금지 미국 기업 리스트를 계속 추가해 국내 수출 대기업의 타격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1, 2위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 과정에서 제3자 수출 통제를 계속 확대하면 우리 기업의 수출이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86431
"희토류 쓴 제품, 美 수출 말라"…한국 등 본격 압박
변압기 제조사에 약속 요구…배터리·항공우주도 비상
'우회 수출 금지' 경고 어기면 희토류 판매 중단할 듯
중국 정부가 한국 기업에 ‘중국산 희토류를 사용해 생산한 제품을 미국 군수업체에 수출하면 제재하겠다’는 내용의 경고성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정부가 미국산 반도체의 대중국 우회 수출을 통제해온 것처럼, 중국도 전략광물인 희토류의 ‘제3국 수출 통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미·중 양국이 벌이는 ‘패권 전쟁’에서 한국 기업이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변압기 제조사인 A사는 최근 중국 상무부에서 “중국산 중희토류가 들어간 변압기 등 전력 설비를 미국 방산업체와 미군 등에 수출하지 않겠다는 점을 보증하고, 위반 사항이 적발될 경우 제재받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받았다.
제재의 구체적 내용은 명시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우회 수출 적발 시 중국산 중희토류를 팔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이 같은 공문은 또 다른 변압기 제조사인 B사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변압기 업체뿐 아니라 2차전지, 디스플레이, 전기자동차, 항공우주, 의료장비 등 중국산 전략광물을 수입해 쓰는 다른 업종 기업도 대부분 같은 공문을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중국이 중국산 전략광물 전반의 제3국 수출 통제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상무부는 이달 초 사마륨, 가돌리늄 등 중희토류 7종과 이를 가공한 영구자석의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특히 미국 방산기업 27곳에는 중희토류를 ‘이중용도물품’(군수용과 민간용으로 모두 쓸 수 있는 물품)으로 지정해 아예 수출을 금지했다. 이번 공문은 이에 대한 후속 작업으로 풀이된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 수석연구원은 “중국이 수출 금지 미국 기업 리스트를 계속 추가해 국내 수출 대기업의 타격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1, 2위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 과정에서 제3자 수출 통제를 계속 확대하면 우리 기업의 수출이 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286431


22.04.202505:51
엔달러 140 하회, 2023년 7월 이후 처음
#달러약세
#달러약세
post.reposted:
루팡



22.04.202502:23
Kevin Miller (AWS 글로벌 데이터 센터 부문 부사장)
최근 AWS와 기타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데이터 센터 확장 계획에 대해 많은 관심과 추측이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저희의 생각을 간단히 공유하고자 합니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생성형 AI와 기존 워크로드 모두에 대한 강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AWS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 용량을 제공한 지 거의 20년에 가까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언제 어디서든 고객이 필요로 할 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왔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우리로 하여금 여러 가지 해결책을 병행해 고려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일부 옵션은 비용이 과도하게 들 수 있고, 또 다른 옵션은 우리가 필요할 때 용량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한 지역에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고, 다른 지역에는 덜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일상적인 용량 관리 업무이며, 최근 확장 계획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는 없습니다. 다행히도 고객들은 본인의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고, 이런 세부 사항은 저희가 알아서 처리합니다.
최근 AWS와 기타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데이터 센터 확장 계획에 대해 많은 관심과 추측이 이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저희의 생각을 간단히 공유하고자 합니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생성형 AI와 기존 워크로드 모두에 대한 강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AWS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데이터 센터 용량을 제공한 지 거의 20년에 가까운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언제 어디서든 고객이 필요로 할 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왔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우리로 하여금 여러 가지 해결책을 병행해 고려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일부 옵션은 비용이 과도하게 들 수 있고, 또 다른 옵션은 우리가 필요할 때 용량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한 지역에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고, 다른 지역에는 덜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일상적인 용량 관리 업무이며, 최근 확장 계획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는 없습니다. 다행히도 고객들은 본인의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고, 이런 세부 사항은 저희가 알아서 처리합니다.
post.reposted:
하나증권 리서치 중국/신흥국 전략 김경환

23.04.202523:41
•NHK는 일본 인사 발언 토대로 미국측이 관세 협상에서 일본에만 특별 대우를 할수없다는 입장을 표명 했다고 보도
**중국언론 신속보도
>报道:美国称不能在关税措施中给予日本特殊待遇 : 日本政府消息人士称,美国官员坚称,他们不能在关税措施中给予日本特殊待遇。在谈判中,日本首席谈判代表、经济再生大臣赤泽亮正敦促美国重新考虑对汽车、钢铁等产品征收的关税。但消息人士称,华盛顿认为不能为日本破例,因为其他国家也要缴纳关税。(NHK)
**중국언론 신속보도
>报道:美国称不能在关税措施中给予日本特殊待遇 : 日本政府消息人士称,美国官员坚称,他们不能在关税措施中给予日本特殊待遇。在谈判中,日本首席谈判代表、经济再生大臣赤泽亮正敦促美国重新考虑对汽车、钢铁等产品征收的关税。但消息人士称,华盛顿认为不能为日本破例,因为其他国家也要缴纳关税。(NHK)
post.reposted: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23.04.202500:38
■ 불안한데 대안이 있는가
- 과격해진 미국을 보면서 느끼는 불안함은 크게 두 가지
- 첫 번째는 경제. 경제는 경제 대로 좋지 않을 것 같고, 물가는 물가 대로 쉽게 잡히지 않는 모양새. 보통 경기가 좋지 않으면 인플레이션도 약해져야 하는데 미국은 중(中)물가 고착화를 심각하게 고려 중. 연준조차 목표물가 달성은 확신하지만 그 시기가 지연 중이고, 언제가 될지는 알 수 없다고 함. 비록 소수이고, 가능성은 작지만 스태그플레이션 도래를 우려하는 이들도 존재
- 두 번째는 달러. 노골적으로 본인들 입맛에 맞게 달러가치를 조정하겠다고 하고있음. 통화정책 수장은 국가원수로부터 하루가 멀다 하고 해임 위협과 비난에 시달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인만큼 그 어떤 통화보다 인위적인 개입에서 자유로워야 하는데 대통령이 앞장서서 근간을 흔들고 있는 것. 자연스럽게 금 가격은 급등하고 달러인덱스는 100을 하회. 금/달러 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음
- 그러다 보니 달러로 발행된 미국 채권금리는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을 반복 중. 여기서 생각해봐야할 것은 실제로 미국 경제와 물가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짐과 동시에 달러와 미국 시장이 신뢰도까지 잃는다고 한들 대체 통화나 시장이 존재하는가임
- 여러 데이터들을 보았을 때 향후 1~2년 내 미국 경제가 침체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은 제한적이고, 스태그플레이션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은 극히 작을 것으로 전망함
-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보다 더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것이 미국과 달러를 대체할 시장이나 통화의 출현. 유로화 출범, 중국이 부상한지 20년이 넘었음에도 미국과 달러는 압도적인 격차를 유지 중
- 여전히 전세계 외환보유고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육박하고, 전세계 결제 비중에서는 44%를 차지. 일부 신흥국 간 위안화 결제가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3.5%에 불과하며, 외환보유고 비중은 2.2%. 심지어 전성기가 한참 지난 파운드 스털링 결제(6.5%), 외환보유고(4.7%) 비중의 절반밖에 되지 않음
- 중국은 미국이랑 비교하기 전에 해가 지다 못해 달이 떠버린 영국부터 일단 넘고 와야 함
- 미국 채권시장을 볼 때 앞으로의 펀더멘털과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것은 합리적. 그러나 경제가 1970년대로 회귀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 보이며, 달러가 기축통화에서 내려오기에는 대체 통화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무너지지 않을 미국 경제, 붕괴되지 않을 달러시스템임
- 지금의 불안함은 단기적 변동성. 오히려 금리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은 지금이 투자해야 할 때
- 적어도 이 텔레그램 방이 없어지기 전까지 미국채권, 달러는 대체불가능한 안전자산이고, 투자매력이 충분히 있음
- 과격해진 미국을 보면서 느끼는 불안함은 크게 두 가지
- 첫 번째는 경제. 경제는 경제 대로 좋지 않을 것 같고, 물가는 물가 대로 쉽게 잡히지 않는 모양새. 보통 경기가 좋지 않으면 인플레이션도 약해져야 하는데 미국은 중(中)물가 고착화를 심각하게 고려 중. 연준조차 목표물가 달성은 확신하지만 그 시기가 지연 중이고, 언제가 될지는 알 수 없다고 함. 비록 소수이고, 가능성은 작지만 스태그플레이션 도래를 우려하는 이들도 존재
- 두 번째는 달러. 노골적으로 본인들 입맛에 맞게 달러가치를 조정하겠다고 하고있음. 통화정책 수장은 국가원수로부터 하루가 멀다 하고 해임 위협과 비난에 시달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축통화인만큼 그 어떤 통화보다 인위적인 개입에서 자유로워야 하는데 대통령이 앞장서서 근간을 흔들고 있는 것. 자연스럽게 금 가격은 급등하고 달러인덱스는 100을 하회. 금/달러 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음
- 그러다 보니 달러로 발행된 미국 채권금리는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을 반복 중. 여기서 생각해봐야할 것은 실제로 미국 경제와 물가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짐과 동시에 달러와 미국 시장이 신뢰도까지 잃는다고 한들 대체 통화나 시장이 존재하는가임
- 여러 데이터들을 보았을 때 향후 1~2년 내 미국 경제가 침체 국면에 들어설 가능성은 제한적이고, 스태그플레이션 환경이 조성될 가능성은 극히 작을 것으로 전망함
- 경기 침체와 스태그플레이션보다 더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것이 미국과 달러를 대체할 시장이나 통화의 출현. 유로화 출범, 중국이 부상한지 20년이 넘었음에도 미국과 달러는 압도적인 격차를 유지 중
- 여전히 전세계 외환보유고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육박하고, 전세계 결제 비중에서는 44%를 차지. 일부 신흥국 간 위안화 결제가 증가하고 있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3.5%에 불과하며, 외환보유고 비중은 2.2%. 심지어 전성기가 한참 지난 파운드 스털링 결제(6.5%), 외환보유고(4.7%) 비중의 절반밖에 되지 않음
- 중국은 미국이랑 비교하기 전에 해가 지다 못해 달이 떠버린 영국부터 일단 넘고 와야 함
- 미국 채권시장을 볼 때 앞으로의 펀더멘털과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것은 합리적. 그러나 경제가 1970년대로 회귀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해 보이며, 달러가 기축통화에서 내려오기에는 대체 통화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무너지지 않을 미국 경제, 붕괴되지 않을 달러시스템임
- 지금의 불안함은 단기적 변동성. 오히려 금리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은 지금이 투자해야 할 때
- 적어도 이 텔레그램 방이 없어지기 전까지 미국채권, 달러는 대체불가능한 안전자산이고, 투자매력이 충분히 있음
post.reposted:
미국 주식 인사이더 🕵🏻♂️🇺🇸 (Insider Tracking)

22.04.202521:53
⚡️⚡️⚡️⚡️⚡️⚡️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가 상당히 낮아질 것이며 강경한 태도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가 상당히 낮아질 것이며 강경한 태도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2.04.202509:00
솔브레인
대표이사 장내매수
대표이사 장내매수


22.04.202504:56
다시 상승하고 있는 금리
21.04.202522:29
* 아마존 AWS 글로벌데이터센터 부사장 Kevin Miller, "일상적인 캐파 관리 조정일 뿐, 근본적인 확장계획에 변화없다"
#AWS
“This is routine capacity management, and there haven’t been any recent fundamental changes in our expansion plans,” Kevin Miller, AWS’ vice president of global data centers, wrote in a LinkedIn post.
https://buly.kr/611sKzh
#AWS
“This is routine capacity management, and there haven’t been any recent fundamental changes in our expansion plans,” Kevin Miller, AWS’ vice president of global data centers, wrote in a LinkedIn post.
https://buly.kr/611sKzh
post.reposted:
Risk & Return

23.04.202513:52
백악관, 대중 관세 50~65% 사이 인하 가능성 제기 - WSJ
몇분 전 WSJ 독점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 고위 관리가 대중 관세를 현 145%에서 50~65% 사이로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함
또한 작년 말 미 하원이 제시한 것처럼 품목별, 단계적 관세 접근을 고려하고 있음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 판단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35%, 국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최소 100% 관세 부과하는 것. 관세 부과하더라도 5 년에 걸쳐 단계적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요지
https://www.wsj.com/politics/policy/white-house-considers-slashing-china-tariffs-to-de-escalate-trade-war-6f875d69?mod=hp_lead_pos1
몇분 전 WSJ 독점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 고위 관리가 대중 관세를 현 145%에서 50~65% 사이로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함
또한 작년 말 미 하원이 제시한 것처럼 품목별, 단계적 관세 접근을 고려하고 있음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 판단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35%, 국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최소 100% 관세 부과하는 것. 관세 부과하더라도 5 년에 걸쳐 단계적 인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요지
https://www.wsj.com/politics/policy/white-house-considers-slashing-china-tariffs-to-de-escalate-trade-war-6f875d69?mod=hp_lead_pos1
22.04.202522:18
관세기간 독주했던 금 가격 급락 vs 비트코인 급등
22.04.202521:03
비공개 투자자 서밋에서 “매우 가까운 시일 내 대중 무역전쟁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 수준의 관세율로는 현 상황을 지속할 수 없다는 데 모두가 공감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중국과의 다음 단계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세계와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도록 미중 간 긴장 완화 가능성이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4671?sid=101
그러면서 “중국과의 다음 단계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세계와 시장이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도록 미중 간 긴장 완화 가능성이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4671?sid=101


22.04.202506:44
S&P500은 32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MSCI World 지수(미국 제외) 대비 언더퍼폼 중
post.reposted: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22.04.202503:29
* 결국 이렇게 퇴장 준비. 중국과 어떻게 관계를 만들어갈지 정말 궁금하네요
=========================
~ 워싱턴포스트(WP)는 2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 CEO는 정치적 좌파의 악의적이고 비윤리적인 공격에 지쳤다”며 “이 때문에 (언제든) 정부를 떠날 준비가 돼 있는 상태”라고 보도했다. 악의적이고 비윤리적인 공격은 머스크 CEO와 테슬라를 상대로 미국과 유럽에서 진행 중인 반발 시위를 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이외에도 뉴욕타임스(NYT)가 지난 19일 머스크 CEO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불화 소식과 함께 “머스크 CEO는 지난 몇 주 동안 백악관 내에서 잇달아 좌절을 겪었다”고 전하는 등 그가 트럼프 정부에서 존재감이 희미해지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4258?sid=104
=========================
~ 워싱턴포스트(WP)는 2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 CEO는 정치적 좌파의 악의적이고 비윤리적인 공격에 지쳤다”며 “이 때문에 (언제든) 정부를 떠날 준비가 돼 있는 상태”라고 보도했다. 악의적이고 비윤리적인 공격은 머스크 CEO와 테슬라를 상대로 미국과 유럽에서 진행 중인 반발 시위를 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 이외에도 뉴욕타임스(NYT)가 지난 19일 머스크 CEO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의 불화 소식과 함께 “머스크 CEO는 지난 몇 주 동안 백악관 내에서 잇달아 좌절을 겪었다”고 전하는 등 그가 트럼프 정부에서 존재감이 희미해지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4258?sid=104
21.04.202522:24
글로벌 정보기술(IT) 전문매체 wccftech는 21일(현지시간)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칩을 100% 중국 대상으로 만들어 공급망 불확실성을 보장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wccftech는 “앞으로 엔비디아는 딥시크와 함께 새로운 칩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설계할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개발(R&D) 팀은 중국에 만들어질 수 있으며, 현지 산업의 빅 모델 컴퓨팅 프레임 워크와 긴밀하게 통합돼 독점적인 중국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라며 “원래 대만에 만들어질 예정이었던 엔비디아의 해외 본사 계획이 바뀔지도 두고 봐야한다”라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3858?sid=105
wccftech는 “앞으로 엔비디아는 딥시크와 함께 새로운 칩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설계할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개발(R&D) 팀은 중국에 만들어질 수 있으며, 현지 산업의 빅 모델 컴퓨팅 프레임 워크와 긴밀하게 통합돼 독점적인 중국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라며 “원래 대만에 만들어질 예정이었던 엔비디아의 해외 본사 계획이 바뀔지도 두고 봐야한다”라고 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93858?sid=105
23.04.202511:27
지수선물 급등, 달러강세, 장기물금리 급락
- 'Sell America' 트레이드 unwind
- 'Sell America' 트레이드 unwind


22.04.202521:56
장 마감 후 트럼프 발언 후 달러인덱스 급등
22.04.202513:24
달러 반등, 장기금리 반락, 비트코인 급등
post.reposted:
한화투자 중국/신흥국 정정영

22.04.202506:36
• 베트남 총리: “미국과의 관세 협상은 충분히 준비됐다. 이번 협상이 다른 협의나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 저는 미국-베트남 협상을 미국-중국 축소판으로 보고 있습니다
越南总理:与美国的贸易谈判不应损害其他市场 越南政府网站援引越南总理范明政的讲话称,政府贸易谈判团队为即将与美国进行的关税谈判做好“充分准备”,并确保谈判“不会对其他协议或市场产生负面影响”。
>> 저는 미국-베트남 협상을 미국-중국 축소판으로 보고 있습니다
越南总理:与美国的贸易谈判不应损害其他市场 越南政府网站援引越南总理范明政的讲话称,政府贸易谈判团队为即将与美国进行的关税谈判做好“充分准备”,并确保谈判“不会对其他协议或市场产生负面影响”。


22.04.202502:59
시스템트레이더들의 미국 주식 비중이 20년 3월 팬데믹 이후 최저로 감소
21.04.202522:01
개인적으로 'Sell America' 흐름은 이제 누구나 인지하는 상황이 됐고, 그 중반을 지나가고 있다고 생각
트럼프는, 아직 최악은 아니지만 패가 드러난 플레이어가 됐음을 충분히 느낄 시점이 됐고 따라서 트럼프, 그리고 그 최측근들로부터의 변화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
따라서 (관세전쟁으로부터 주식 수급적으로, 펀더멘털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테크에 대한 매수를 시작할 타이밍이라고 봄
트럼프는, 아직 최악은 아니지만 패가 드러난 플레이어가 됐음을 충분히 느낄 시점이 됐고 따라서 트럼프, 그리고 그 최측근들로부터의 변화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
따라서 (관세전쟁으로부터 주식 수급적으로, 펀더멘털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본) 테크에 대한 매수를 시작할 타이밍이라고 봄
Показано 1 - 24 из 931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