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Harvey's Macro Story avatar
Harvey's Macro Story
Harvey's Macro Story avatar
Harvey's Macro Story
Период
Количество просмотров

Цитирования

Посты
Скрыть репосты
2월 금통위 리뷰: 다가올 한국의 디플레이션

오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당연한것이라서 관심사는 아니였음. 개인적으로 본것은 성장률 부분인데 1.5%로 하향조정이 충격적.

-한국은 일본/중국과 다르다. 내수가 안되는 국가. 한국은 일본식 디플레이션 충격이 저출산 고령화만큼 빠르게 다가올 듯.
-일본은 압구정/강남에 아파트가 있는 사람이라면 한국은 강동구에 이제 막 아파트를 구입한 사람이라고 비유하거나 일본은 건물주인데 한국은 이제 자가 겨우 구입한 국가의 펀더멘탈인데 솔직히 앞으로의 30년이 두려워진다.
-주식투자자는 낙관적이라고 한다. 일본의 오랜 디플레 기간에도 닌텐도의 시총은 꾸준히 올랐고, 키엔스와 화낙은 약진했다. 소프트뱅크는 글로벌VC의 대장 자리가 되었고. 투자 기회는 존재할것이다. 물론 국가가 하향세는 타는것과는 별개의 기회다.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진 출처: 한국은행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Fed의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정책에 대한 내용

-양적 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 중단 가능성

연준이 부채 한도 협상(debt ceiling negotiations)이 해결될 때까지 QT를 일시 중단할 수 있음.

-연준의 채권 매입 구조 조정 가능성

QT 종료 후, 연준의 국채 및 채권 매입 방식이 재구성될 수 있음.

사진 출처: CNBC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우에다 BOJ총재의 국회출석

-우에다 총재는 식료품 가격 상승에 대해 우려를 표명.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다"라고 발언.

-일본에서 식료품 물가 상승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으로 해석.

-일본 경제와 국민 생활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문제이며, 중앙은행 차원에서 대응이 필요할 수도 있다는 의미.

-일본의 인플레이션 상황과 관련이 있으며, 일본은행의 향후 정책 방향(금리 인상 여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사진 출처: Kyodo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미일 정상회담: 일본의 외교적 전술의 승리 그리고 한국은?

-일본은 대미투자를 1조달러(150조엔)으로 확대하겠다고 이야기함. 2023년 기준 대미투자는 7,800억 달러 수준. 이시바 총리는 도요타 자동차등의 공장 건설 계획을 언급하면서 미국내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 일본의 대미투자 잔액이 5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다고 언급.

-소프트뱅크그룹과 OpenAI의 협력은 핵심 기술 개발에서 세계를 선도하기 위한 협력이라고 공동성명에 밝혔음.

-US스틸건은 인수가 아닌 대규모 투자건으로 선회. 바이든정부가 "안보상의 이유"로 불허된건인데 개인적으로 투자건으로 선회된것은 일본에 이득이라고 생각. 솔직히 인수해서 일본제철이 얻는 이득이 무엇인지 모르겠음. 상징성 제외하고.

-트럼프는 대일 무역 적자에 대해서 해소 언급. 이에 대한 조치로 미국산 LNG 수입 확대 합의. 어차피 일본입장에서는 수입하는 입장이라서 호주,말레이시아,러시아의 비중을 줄이고 미국산을 확대로 대응하면되서 큰 문제가 안됨.

-알래스카 생산 석유는 이제 시작해도 수입할때쯤 트럼프 임기말일텐데 지금 합의는 트럼프 체면세우는 의도가 큰듯.

-북한과의 문제도 언급이 됐는데 일본입장에서는 나쁜것은 아님.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도 북한과 정상회담 하려고 노력했는데 이시바 총리가 미국의 적극적인 의지와 함께 북한과 수교를 한다거나 북한과 정상회담 하면서 납북자 문제 해결할 수 있는 동력이 생길수 있음.

-일본은 트럼프 체면을 세워주고 실리를 완벽하게 얻어낸 정상회담이였음.

-한국은 컨트롤타워가 부재중이라서 트럼프 취임 이후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이시바 일본 총리와의 회담 과정과 결과를 보면서 차기 행정부가 국익에 도움이 될수 있게끔 준비하면 좋겠음.

사진 출처: Nikkei, Prime Minister of Japan, The White House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관세전쟁이 시작된 가운데 한국과 일본은 과연 어떻게 다를까?

도이치방크가 작성한 이 그래프는 2022년 기준으로 국가별 평균 관세율(관세율 가중 평균)을 비교한 내용.

MFN weighted mean: 최혜국 대우(MFN, Most Favored Nation) 관세율을 가중 평균으로 계산한 값.

Applied rate, weighted mean: 실제 적용된 관세율의 가중 평균.

미국은 관세율이 전 세계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며, 최혜국 대우 관세율과 실제 적용 관세율 모두 낮은 수준. 인도, 아르헨티나, 한국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율을 기록.

관세전쟁이 시작되면 한국이 일본보다 민감도가 높을수 밖에 없는 환경.

미국보다 낮은 일본의 낮은 관세율은 국제 교역 및 경제 성장 전략의 결과로 해석.

사진 출처: Deutsche Bank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일본은행, 정책 금리 0.5% 수준으로 인상 예정
-24일 금정위서 금리인상 가능성

금리인상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음.
-25년 춘투(봄 임금 교섭)에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대폭 임금인상이 예상
-물가상승률이 2% 넘는 상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임.
-BOJ내부에서 트럼프 신행정부 출범 이후 주식시장등에서 혼란이 보이지 않아서 금리인상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확산

-정책금리는 0.50%으로 인상될 경우 2008년 10월이후 약 16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됨.

-일본 국내에서는 쌀 등 식료품과 에너지 비용이 크게 상승. 기업간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계속 상승 중.
-JPY 약세로 인해서 원자재등 수입품 가격에 상승 압력이 가중.

-BOJ 집행부가 24일에 금리인상 안건을 제출할 경우 9명의 정책위원 중 과반수가 찬성할 가능성이 커졌음.
-BOJ는 시장 동향을 주시하면서 금리인상을 최종적으로 판단할 예정.

사진 출처: 毎日新聞(마이니치 신문)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워런 버핏이 추가 매수 선언을 한 일본 5대 종합상사 현재 지표

미쓰비시 상사 PER 10.08 PBR 1.02 배당수익률 4.20%
미쓰이물산 PER 8.72 PBR 1.04 배당수익률 3.68%
이토추상사 PER 10.00 PBR 1.50 배당수익률 3.26%
스미토모상사 PER 7.02 PBR 0.84 배당수익률 4.01%
마루베니 PER 7.65 PBR 1.02 배당수익률 4.15%

보유 회사(5대 상사)

1. 伊藤忠商事(이토추 상사) - 7.47% 보유
2. 三菱商事(미쓰비시 상사) - 8.31% 보유
3. 三井物産(미쓰이 물산) - 8.09% 보유
4. 住友商事(스미토모 상사) - 8.23% 보유
5. 丸紅(마루베니) - 8.30% 보유

각 상사의 주식 평가액 (2024년 2월 21일 기준)

이토추 상사: 9조 7,328억 엔
미쓰비시 상사: 9조 5,753억 엔
미쓰이 물산: 8조 661억 엔
스미토모 상사: 3조 9,288억 엔
마루베니: 3조 8,023억 엔

-버핏은 주주환원에서 긍정적인 평가
-상사에 대해서는 앞으로 100년 동안 아니 영원히 살아남을 기업이라고 평가.

사진 출처: Nikkei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우에다 가즈오 BOJ총재, 총리관저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회담.

-이시바 총리 취임이후 두번째 회담(첫번째는 작년 10월2일)

-우에다 총재는 다음주에 개최될 G7 및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앞서서 총리와 회담

-20일 채권시장의 장기금리는 2009년 11월 이후 최고 수순인 1.44%를 기록.

-BOJ의 추가 금리인상 전망을 배경으로 하는 10년물 국채금리가 계속 상승 중. 도쿄 외환시장에서도 엔화 환율이 2개월 반만에 1달러 150엔 수준으로 상승.

-우에다 총재는 이시바 총리와 장기금리에 대해 논의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답변. 우에다 총재는 정기적으로 총리와 금융/경제 동향에 대해서 의견교환을 하고 있다고 했음.

사진 출처: Bloomberg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1월 CPI 예상치 상회

-개인적으로 트럼프 1기와 비교하면서 관세로 인한 인플레는 없다는게 이해가 되지 않았음.
-트럼프 1기와 환경이 바뀌었음. 디플레이션이라는 일본은 인플레이션으로 바뀌었고, 현재 98년이후 최고 수치인 0.50%의 기준금리+17~18년도에는 미국은 QE의 일상화가 될것이라고 이야기했던만큼의 디플레이션 위협이 강했던 시기. 지금은 어떤것보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한 환경.

사진 출처: Investing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It’s Hard to Look Beyond Trump
트럼프 이후를 바라보기 어려운 이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무역과 외교에서 강경한 보호주의 정책을 펼쳤지만, 이는 결국 미국의 신뢰도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음.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를 폐기하고 새로운 협정을 체결한 뒤 다시 파기하는 등 예측 불가능한 태도를 보이며 무역 상대국과의 관계를 불안정하게 만듦.

트럼프는 경제적 충격에도 불구하고 보호주의 정책을 고수. 대표적인 사례로 25% 픽업트럭 관세가 있으며, 이는 미국 자동차 업계를 보호했으나 소비자들에게 비용 부담을 전가함. 또한, 그는 무역 문제를 단순한 경제적 논리가 아닌 힘과 승리의 문제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음.

국제 질서에서도 트럼프의 태도는 불확실성을 초래. 우크라이나 문제에서 유럽이 전략적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트럼프가 우크라이나 지원을 철회할 수도 있음. 이는 유럽이 더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

또한, 대통령이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없으며, 그를 권력으로 이끈 요인들도 존재. 트럼프는 2016년 대선 당시 FBI 국장을 해임하며 혼란을 야기했고, 최근 ABC 방송과의 법적 다툼에서도 언론이 그를 허위로 비난했다고 주장.

2024년 대선과 관련해, 트럼프는 경제·무역 정책에서 레이건 전 대통령의 방식을 따르고자 하나, 레이건의 성공은 무역 보호보다는 국내 산업 성장과 군사력 강화에서 비롯됨. 트럼프가 보호주의를 지속한다면, 중국과의 관계에서 경제적 분리(디커플링) 전략을 강화할 가능성이 큼.

현재 트럼프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으며, 특히 민주당과 외부 그룹들이 그를 견제하기 위해 엘론 머스크와의 관계 등 새로운 이슈를 주목하고 있음.

출처: Wall Street Journal (2025.02.05)

https://t.me/insidertracking/3608 🖥
BOJ의 다음 금리인상 시기는 7월로 예상. 7월 25bp 인상을 통해서 0.75%에 기준금리는 갈것이고 올해 말에는 1.00% 도달할듯.

-BOJ의 중립금리는 1%이상일수도 있다고 보던데 Terminal rate는 과연 어디일까?
-디플레이션 종식된 일본은 이제 국제사회에서 한 축을 확실히 담당하는듯. 그동안 Fed와 ECB의 기준금리와 같은 통화정책에 관심을 가졌지 BOJ의 움직임을 보는것만으로도 일본이 돌아왔다는 뜻.

사진 출처: Bloomberg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Переслал из:
[니커 게임/엔터] avatar
[니커 게임/엔터]
30.11.202413:12
CUBE - 아이들 전원 재계약 완료

https://naver.me/5XJesG4U
JPY 강세는 온다

-최근 한달동안 USD/JPY 강세
-BOJ의 매파적 발언과 일본의 강한성장 및 인플레데이터가 원인
-일본 전략가들은 장기적으로 JPY 강세 전망.

-개인적으로 일본이 추가 금리인상을 하면서 30년동안 '금리의 벽'이었던 0.50%을 넘어 0.75%로 가는 모습의 세계는 궁금.

-3월 금정위부터 ETF 매각에 대한 논의도 시작되는만큼 BOJ는 통화정책의 비정상화를 완전히 끝내는듯.

-기시다 후미오/이시바 시게루 같이 보수본류와 온건파 총리가 2번 연속으로 탄생한것이 일본에는 긍정적.

-JPY의 강세는 140 벽이 무너지고 130후반대까지 갈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올해말과 내년초까지 봐야할듯.

사진 출처: BofA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
댄 아이브스 강연 요약

현재 AI 시장은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페라리와 같으며, 기존 기술 기업들은 느리게 움직이는 미니밴처럼 보일 수 있음. AI 혁명은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파티는 한창 진행 중. 현재 시점은 밤 10시 정도로, 여전히 많은 기회가 존재한다고 강조함.

AI 시장에서 애플(AAPL)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iPhone과 iOS 기기가 AI 기술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주요 경로가 될 것으로 예상됨. 비록 애플의 AI 챗봇이 아직 강력하지 않더라도, 수많은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될 것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거대한 수익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보임. 애플의 서비스 부문 가치는 2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테슬라(TSLA)에 대한 전통적인 밸류에이션 방식은 적절하지 않으며, 단순히 자동차 판매량과 단기 실적으로 평가하면 핵심 가치를 놓칠 수 있음. AI 및 자율주행 기술이 테슬라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이며, 향후 3~5년 내에 다른 자동차 제조사들이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을 라이선스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함.

AI 관련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에서도 중요한 기회가 있음. 팔란티어(PLTR)는 초기에는 과소평가되었으나 최근 120달러까지 상승하며, 장기적으로 1조 달러 기업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함. 단순한 밸류에이션보다는 성장성과 시장 점유율 확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함.

AI와 관련된 주요 기업으로 엔비디아(NVDA), 마이크로소프트(MSFT), 오라클(ORCL), 팔란티어(PLTR), 세일즈포스(CRM) 등을 언급하며, AI 시장이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을 넘어 다양한 기업들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함. 특히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팔로알토 네트웍스(PANW), Zscaler(ZS) 등의 기업이 AI 시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함.

또한 AI 투자를 바라볼 때 미국과 중국의 긴장감이 시장에 불확실성을 줄 수 있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투자 기회를 창출하는 요소라고 분석함. AI 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며,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도 AI 경쟁에서 중요한 플레이어가 될 것이라고 설명함.

궁극적으로, AI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앞으로 10년간 엄청난 성장이 예상됨. 투자자들은 단순한 밸류에이션에 집착하지 말고, 장기적인 혁신과 성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함.

참고로 AI 사용을해서 번역을 한 부분이라 살짝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구독자님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 🙏


감사합니다

https://t.me/insidertracking/3608 🖥
소프트뱅크 어닝 발표에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구조가 나왔음.

-과연 미국의 대형 프로젝트는 순탄하게 진행될수 있을까?

사진 출처: SoftBank Group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미일 금리차가 축소되고 있는 지금 엔캐리 트레이드와 JGB(일본 국채)

USD/JPY vs. Carry Attractiveness

-일본 엔화 기반 캐리 트레이드의 매력도가 축소되고 있는 상황.
-2023년 초부터 캐리 트레이드의 매력도가 점차 낮아지면서 USD/JPY 환율도 영향을 받고 있음.
-금리 차 축소 및 엔화 강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2-Year & 10-Year JGB Yields

-2022년 후반부터 2년물과 10년물 금리가 모두 상승세.
-특히 10년물 금리 상승폭이 더 크며, 이는 장기 금리가 BOJ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결론: 일본과 미국 간 금리 차가 축소되면서 엔화 기반 캐리 트레이드의 매력도가 감소.
BOJ의 통화 긴축 신호가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고, 이는 장기적으로 엔화 가치와 일본 국채 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사진 출처: MUFG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우리는 일본에 대해서 어느만큼 이해하고 있을까?

-노무라 클라이언트 서베이보니 확실히 일본내 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의 시선이 다름. 일본내 투자자는 1.00%이 50% 1.00~1.50% 20%.

-일본내/외국인투자자 괴리감 제일 심한듯.

-현재 레벨에서 딱 한번만 더 금리 인상(0.75%)하면 버블경제 붕괴 이후 금리로 Terminal rate 1.00%로 간다면 버블경제 시대 금리. 이제 일본은 디플레이션 종료와 더불어 잃어버린 30년을 종식시켰다고 봐도 될듯.

-일본 내외 투자자들이 경제 상황, 통화정책, 또는 글로벌 금융 환경에 대해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것.

-1월 금리인상이 진행되면서 이제는 Terminal rate 1.00%은 가능하다고 생각.

사진 출처: Nomura, Bank of Japan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우에다 총재가 키포인트로 보는것은 역시 '임금'

-BOJ는 JPY의 약세만큼 '임금-물가' 선순환을 강조
-GS는 160 JPY면 12월 금리인상 가능하다고 판단
-추가적인 JPY의 약세는 큰 리스크라고 이야기한 우에다 총재
-시장은 12월 금리인상을 반영하기 시작.

사진 출처: Nikkei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20.02.202523:57
일본 1월 CPI 발표: 인플레시대의 일본

-도쿄 CPI에서 예상되었던 대로 종합, 코어, 코어코어 모든 지표에서 가속화 되었음. 코어 CPI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

-상승 가속의 주요 요인은 식료품. 쌀 가격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신선식품뿐만 아니라 기타 식료품도 상승하고 있음.

-석유 관련 제품의 경우도 가속화되면서 재화 부문의 가격 상승하는 가운데 수입 비용 증가도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음.

-서비스 부문에서는 가속화되는 모습이 없음. 서비스 부문은 상승률 둔화.

-BOJ의 금리인상을 향한 흐름에는 변함이 없는 모습. 인플레시대의 일본의 모습.

사진 출처: CNBC,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트럼프 2.0을 이해하기 위한 과거의 7명의 대통령들

1. Calvin Coolidge (1923-1929)
"작은 정부, 친기업 정책(small-government, pro-business policies)"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경제 자유를 강조한 대통령

2. James Polk (1845-1849)
"서반구에서의 명백한 운명(manifest destiny in the western hemisphere)"
-미국의 서부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인물. 트럼프의 모습에서는 그린란드와 비슷.

3. Andrew Jackson (1829-1837)
"새로운 정치 질서, 딥 스테이트와의 전쟁(new political order, deep state battles)"
-앤드류 잭슨은 엘리트 계층과 싸우며 대중주의(populism)를 강조한 대통령. 트럼프와는 딥 스테이트 비슷.

4. Woodrow Wilson (1913-1921)
"전쟁 전 고립주의(prewar isolationism)"
-윌슨은 WW1 전까지 미국의 외교적 고립주의를 유지하려고 했음.

5. Richard Nixon (1969-1974)
"적 목록, 복수심, 에너지 독립의 꿈(enemies lists, vendettas and dreams of energy independence)"
-닉슨은 정치적 적을 정리한 '적 목록'을 만든 것으로 유명. 복수심과 에너지 독립 정책을 추진한 대통령.(그러나 엔딩은 워터게이트로 인한 사임)

6. Dwight Eisenhower (1953-1961)
"법인세 인하와 국경 정책(lower corporate taxes and deportation policies)"
-아이젠하워는 전쟁영웅이기도 하고, 법인세를 낮추고 이민 단속 정책을 시행.

7. William McKinley (1897-1901)
"관세 및 보호주의(tariffs and protectionism)"
-매킨리는 보호무역주의를 시행하고 관세를 적극 활용한 대통령.

"Trump 2.0" 정책이 과거 여러 대통령들의 정책을 조합한 것을 강조. 특히 보호주의,작은 정부,반 엘리트주의, 고립주의 등의 개념이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트럼프의 정책을 이해할 수 있음.

사진 출처: J.P Morgan Asset Management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무역전쟁의 시작: 미국은 승리할수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미국의 무역전쟁은 소프트파워에서 치명적일수 있음. 민주당정권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동맹국/우방국 관계없이 무역전쟁을 한다는 것. 이것은 중국 중심으로 제조업의 밸류체인이 재편될수 있음.

미국은 전 세계 소비의 29%를 차지하지만, 글로벌 상품 생산의 15%만을 담당.

중국의 글로벌 소비 비중은 12%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 상품 생산의 32%를 차지.

즉, 중국의 세계 생산 비중은 두 번째로 큰 상품 생산국인 미국의 두 배 이상.

이로 인해 미국과 중국 간의 글로벌 무역에서 약 1조 달러 규모의 불균형이 발생한다고 Deutsche Bank는 분석하고 있음.

미국-중국 무역 전쟁이 멕시코, 캐나다, EU에 대한 관세 문제보다 훨씬 장기화될 것.

미국의 힘으로 상대국을 압박할수 있는 시대는 끝났음. 1985처럼 중국 상대로 플라자합의는 불가능함.

지금 중국의 제조업이나 첨단테크에서 치고 올라가는 모습은 과거 소련과 일본과는 다름.

소련은 군사력 원툴이었고, 일본은 경제력 원툴이었음.

중국은 군사/경제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무역전쟁때도 위안화 절하로 대응해서 트럼프 1기 끝날때쯤 1단계 무역합의까지 한 국가임.

아베 신조 전 총리 회고록보면 일본도 중국에게 무엇인가를 하겠다 하면 중국은 일본의 체급을 인정해줬음.

한국은 일본은 1인당 GDP를 역전했다는 이유로 중국은 그냥 여전히 무시하는 국가인데 한국은 생각을 넓여야하지 않을까?

사진 출처: Deutsche Bank, The Kobeissi letter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BOJ의 금리목표는 1.5% 수준으로 내년까지 금리인상 지속?

-전 BOJ 이사이자 현 도쿄재단정책연구소 수석연구원인 하야카와 히데오는 내년 중으로 BOJ의 정책금리를 1.5%로 전망.
-BOJ의 다음 금리인상 시기는 7월로 예상
-BOJ의 금리인상 속도는 6개월에 한번 정도로 7월 인상이 일반적인 견해라고.
-유일한 변수는 JPY의 약세가 진행되면 앞당길수 있다 정도.
-BOJ는 중립금리 추정 하한선인 1%까지는 금리인상을 차분히 진행할듯. 이를 초과하면 신중히 상황을 살피면 진행.
-Terminal rate의 예상 중앙값은 1%
-하야카와 히데오 전 BOJ 이사의 견해는 시장보다 더 매파적.
-BOJ가 제시한 자연이자율 추정에 따르면 2% 물가 목표 달성시 중립금리 수준은 1~2.5%로 설정.
-금리인상이 지연될 가능성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신선식품 가격의 상승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개인 소비 회복이 지연될수 있다는 것.

-결론적으로 중립금리 하한선인 1%까지 BOJ는 큰 문제가 없는한 진행될것.

사진 출처: Bloomberg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내일 12시에 금정위에서 금리인상이 이루어지면 일본도 드디어 정상화가 됩니다. 0.50%은 08년 10월이후 17년만의 수치. 디플레 종식이후 일본을 이끌어가는 증시와 임금인상.

사진 출처: Bloomberg

*매수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텔레그램: https://t.me/harveyspecterMike
Переслал из:
유진 Dr. Quant avatar
유진 Dr. Quant
Asian Stocks Slip, Yen Gains After Inflation Data: Markets Wrap

* 도쿄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엔화 상승세

- 도쿄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추정치를 초과하면서 엔화가 강세를 보임. 아시아 주식은 변동했고, 미국 주식 선물은 투자자들이 추수감사절 휴일 이후 현금 거래가 재개될 준비를 하면서 상승.

- 엔화는 달러에 대해 한 달 이상 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여 150을 넘어 강세를 보임.

- 외환시장에서 BOJ의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50%를 상회

- 또한 정부 고위관계자는 국방비 지출 증가를 충당하기 위해 세금을 니상할 것이라고 발언함

Source: Bloomberg
Показано 1 - 24 из 50
Войдите, чтобы разблокировать больше функциональност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