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인싸이터(Insight Eater) - 통찰력을 먹고 사는 인싸들 <비상장/VC투자> avatar

인싸이터(Insight Eater) - 통찰력을 먹고 사는 인싸들 <비상장/VC투자>

비상장주식 / VC & PE / Pre&Post-IPO / 상장주식 / 블록체인 / 산업 동향 / 트렌드 / 드립 / 짤 / 또뭐있지여튼다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
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
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Січ 12, 2022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Квіт 22, 2024

Рекорддор

22.04.202523:59
2.8KКатталгандар
10.09.202423:59
0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09.12.202423:59
3K1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01.11.202423:59
2.6K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01.04.202514:32
4.55%ER
09.02.202503:01
105.41%ERR

인싸이터(Insight Eater) - 통찰력을 먹고 사는 인싸들 <비상장/VC투자> популярдуу жазуулары

22.04.202501:57
본문의 딸기 회사 오이시 스트로베리가 아주 재미있음

오이시(Oishii)는 미국 뉴저지에 본사 둔 수직농업(vertical farming) 스타트업

프리미엄 딸기 ‘오마카세 베리(Omakase Berry)’와 ‘코요 베리(Koyo Berry)’로 유명한데 사실 유명세를 타게된건 비싼 판매가임

딸기 하나당 단가가 상당히 높음 (수십 달러 이상) 그래서 럭셔리 식재료 시장 타겟팅하며 프리미엄 이미지 구축함
- Whole Foods 등 고급 유통망과도 연결됨


오이시는 이름에서처럼 일본의 고급 딸기 품종을 연중 실내에서 재배하는 기술 보유함(근데 직접 먹어본 사람말로는 한국 설향딸기가 더 짱이라함;)

스마트팜 기반의 농업 기술 기업으로 자동화, AI, 로봇 기술을 도입함:
- 수확/환경관리 자동화 로봇 중심으로 운영
- 환경 제어(온도, 습도, 광량 등)와 데이터 기반 관리 시스템을 탑재

2024년 일본 NTT가 리드한 시리즈 B 투자 라운드에서 1.34억 달러 유치했고 이후 추가로 1,600만 달러 투자 유치하며 시리즈 B 총 1.5억 달러로 마감
- 누적 투자금 약 2.2억 달러 수준
- 주요 투자사로는 NTT, Spark Capital, Astanor Ventures 등

2025년 4월 농업용 로봇 스타트업 Tortuga AgTech 인수했는데 해당 인수를 통해 딸기 수확 자동화 기술을 강화하게 됌
- 수확 인건비 최대 50% 절감 가능하다고 발표
- 뉴저지 필립스버그에 위치한 ‘Amatelas Farm’에서 로봇 50대 이상 운영 중
- 고효율 LED, 이동식 선반 시스템, 정수 시스템 등 탑재됌.

=> 그야말로 애그테크로 VC 투자 꾹꾹 눌러받은 사례


https://www.eggplant-report.com/post/sweet-fantasy-produce
17.04.202503:18
리벨리온은 1500억원에서 최대 2000억원 규모로 투자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해외 투자자들이 주요 타깃으로 중동 등 각국의 글로벌 투자사, 기업들과 물밑 협상 중이다. 리벨리온의 초기 투자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기존 주주들의 구주 거래도 함께 이뤄질 수 있어, 최종 딜 사이즈는 더 커질 가능성도 거론된다.

http://m.thebell.co.kr/m/newsview.asp?svccode=00&newskey=202504151138515120106336
✅스콧 베센트(재무장관) 관세 유예 관련 발언

트럼프는 단순히 관세를 올린 것이 아니라 '덫'을 놓았고,

중국은 그 덫에 제대로 걸려들었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1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다른 국가들에 대해선 90일 유예기간을 제공한 후 시장 반등이 시작

중국은 혼자 남게 되었고, 완전히 노출된 상태

베센트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단순한 강경 정책이 아닌 정밀하게 계산된 압박

📌“우리는 보복하지 않은 동맹국 및 무역 파트너들과 기꺼이 협력할 것입니다.”

📌“사실 복잡한 메시지가 아니었습니다. 보복하지 말 것, 그러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avatar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빌 애크먼. 관세 시행 연기 가능성. 시황맨

약 3시간 전에 빌 애크먼이 SNS에 의미있는 글을 올렸네요.

월요일에 트럼프가 관세 시행을 연기하는 발표를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수십 년간 미국에 해를 끼지고 산업을 파괴하는 불공정한 관세를 해결하는 중요한 일을 트럼프가 하는 중

다만 며칠 만에 해결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 대비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언급.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경기 침체에 빠질 위험성이 커진다고 지적.

월요일은 미국 경제 역사에 가장 흥미로운 날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올렸네요.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한 인물인데.. 관세 시행 연기를 암시하는 내용을 올린 겁니다.

트럼프 측과 소통을 하고 난 발언인지, 본인 희망을 올려 '희망 고문'만 유발하는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힙한 펭미업의 1인칭 시점 avatar
힙한 펭미업의 1인칭 시점
05.04.202503:52
유튜버들이 쿠팡 링크를 거는 이유

링크 클릭 후 24시간 안에 그 사람이 구매한 금액의 6.7%를 수익금으로 받는 구조. 꼭 그 광고 제품을 사지 않아도 됨
22.04.202500:31
비나우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664억원에 영업이익 75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에 비해 매출(1140억원)은 133.6%, 영업이익(238억원)은 215.5% 폭증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도 224억원에서 690억원으로 208% 증가했다.

비나우는 올 2월 IMM인베스트먼트(IMM인베)와 LB프라이빗에쿼티(LB PE), 브이원캐피탈파트너스 등을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 프리IPO를 했다. 당연히 회사 성장을 위한 투자유치는 아니었다.
재무적투자자(FI)들은 신주가 아닌 구주를 산 것으로 전해진다.

https://www.the-stock.kr/news/articleView.html?idxno=30437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윤과장 주식공부방 avatar
윤과장 주식공부방
03.04.202522:45
📉 나스닥 6% 이상 급락한 주요 사례

✅ 1. 2000년대 IT 버블 붕괴 (닷컴 버블)
2000년 4월 14일: -9.67%
• 닷컴 버블이 꺼지면서 기술주들이 대폭락
2000년 4월 3일: -7.64%
2000년 3월 15일: -6.16%

✅ 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10월 15일: -7.87%
• 리먼 브라더스 파산 이후 금융 시스템 붕괴 우려 확산
2008년 9월 29일: -9.14%
• 미 의회가 금융구제법안을 부결하면서 증시 패닉
2008년 10월 9일: -7.29%

✅ 3.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2020년 3월 16일: -12.32%
• 코로나 팬데믹 공포로 증시가 연쇄 폭락

✅ 4. 2022년 인플레이션·금리 인상 쇼크
2022년 5월 5일: -7.73%
• 미 연준(Fed)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 우려로 기술주 급락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M&A WATCH(deal, news) avatar
M&A WATCH(deal, news)
29.03.202508:41
VIG파트너스는 카카오모빌리티 소수 지분 투자를 위한 투자자 모집을 진행 중이다. VIG 측은 TPG(29.04%), 칼라일(6.18%), 한국투자증권·오릭스PE(5.35%) 등 카카오모빌리티 기존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지분 약 40% 이상을 인수하는 거래를 추진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업 가치를 약 5조 원대 중반으로 평가할 경우, 해당 지분 매입에는 약 2조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ttps://www.investchosun.com/m/article.html?contid=2025032780150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묻따방 avatar
묻따방
02.04.202508:07
08.04.202502:14
올다무토의 시대

올리브영 다이소 무신사야 뭐 워낙 잘하니까는 그러려니 하는데 신기한건 토스임
슬금슬금 커머스 들어오더니 이미 입점업체 3만개 확보함 ㅎㄷㄷ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81892?sid=101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IH Research avatar
IH Research
어제 미국 장전부터 나스닥 오르더니..
16.04.202503:41
거래소가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나스닥 선회 이후 어깨 힘 풀어서 러브콜 보내는 상황

==============================
한때 IPO 시장에서는 딜의 규모만 보고 나스닥 상장을 시도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됐다. 공모액만 조단위에 이르는 대형 IPO를 치를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같은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IB들도 무신사의 움직임을 지켜봐 왔다는 후문이다.

다만, 무신사 측은 방향성을 확정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우선 국내 증권사를 대상으로 주관 콘테스트를 진행해 향후 방향성을 정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주관사단의 전략과 시장에서의 인식 등을 고려해 노선을 확정해야 하는 탓이다. 토스(비바리퍼블리카) 역시 국내사를 대상으로 주관사단을 꾸린 후 나스닥 상장으로 전략을 선회하기도 했다.

게다가 한국거래소가 대형 비상장 기업의 국내 시장 유치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기도 했다. 지난해 유니콘 기업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었는데, 당시 정은보 이사장이 직접 참석하기도 했다. 해외 시장 대신 코스피 시장의 강점을 적극 강조하는 자리로도 여겨졌다.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504140808022000107675
08.04.202508:49
트럼프와 최강 브로맨스를 자랑했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관세 문제를 놓고 연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머스크 CEO가 주말 동안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만나 관세정책 수정을 설득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한 불만으로 자신의 X(옛 트위터)에 트럼프 관세정책의 설계자인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는 글을 썼다는 해석도 덧붙였다. 그는 최근 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그의 X에 쓰자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비꼬았다.

http://www.sedaily.com/NewsView/2GRFXWR8DU?OutLink=telegram
Кайра бөлүшүлгөн:
Risk & Return avatar
Risk & Return
루이비통 그룹(LVMH), 1Q25 실적 발표

> 매출 €20.311b (est. €21.097b), -2% YoY
- 패션·가죽 €10.108b, -4% YoY
- 소매업(세포라) €4.189b, 0% YoY
- 시계·쥬얼리 €2.482b, 1% YoY
- 향수·화장품 €2.178b, 0% YoY
- 와인·증류주 €1.305b, -8% YoY

> 어닝콜

- 올해 주요 변수는 '일본 내 중국 수요'다. 절대적인 수요는 강세지만 작년 급격한 증가분을 올해도 이어가기 때문에 성장률에 기여는 없다

- 화장품 매장 '세포라'는 지난해 두자릿수 성장률 기록한 이후 매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 미국 시장에서 2년 연속 둔화하고 있다

- 면세점 DFS는 홍콩과 마카오의 낮은 방문자 수로 인해 어려움 겪었다

- 2분기 가격정책은 정한 바 없다. 관세정책에 의해 1분기에 가격상승 효과는 미미했다. 우리는 가격 견인 성장보다 믹스(제품구성)에 집중하고 있다

- 미국에서 제조공장 3곳을 운영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텍사스에 있는 3곳의 공장이 미국 내 생산량의 1/3을 공급한다

15일 본장 -6%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