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avatar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시황맨이 전해 드리는 주식 시장 이야기
TGlist рейтинг
0
0
ТипАчык
Текшерүү
Текшерилбеген
Ишенимдүүлүк
Ишенимсиз
Орду
ТилиБашка
Канал түзүлгөн датаБер 05, 2021
TGlistке кошулган дата
Вер 18, 2024

Рекорддор

13.04.202523:59
21.5KКатталгандар
09.09.202423:59
0Цитация индекси
30.09.202423:59
13.7K1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08.12.202423:59
9.7K1 жарнама посттун көрүүлөрү
06.04.202515:17
1.44%ER
22.01.202523:59
61.64%ERR
Катталуучулар
Citation индекси
Бир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Жарнамалык посттун көрүүсү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시황맨의 주식이야기 популярдуу жазуулары

11.04.202504:26
오늘 야후에 나온 분석인데 읽어 보면 공부가 좀 됩니다. 요약을 해 보면

◎ 4차원 딜메이커 트럼프의 진짜 목표는 중국
◎ 고집 센 시진핑도 당장은 물러설 생각이 없어
◎ 미국과 동등한 초강대국으로 생각하고 있는 중
◎ 시진핑의 강점(?)은 관세가 미국인 피해가 크다는 점
◎ 특히 증시 하락은 미국 경제 미래를 예측하는 수단
◎ 증시 급락으로 트럼프가 받는 타격은 큰 상태
◎ 톰 리. 증시 하락하면 트럼프는 협상 레버리지 잃어

◎ 채권 시장 불안은 더 큰 문제점 유발
◎ 달러 하락 포함 모든 미국 자산 매도세 진행 중 암시
◎ 트럼프가 압박 받고 90일 유예한 이유로 보임
◎ 혹 중국이 의도적으로 국채 팔아 금리 급등 시킬 경우
◎ 유동성에 영향을 주면서 신용 경색. 나아가 금융 위기 우려
◎ 다만 중국 수출 제품 구매국 없어져 자국 피해도 막대

◎ 트럼프의 감세안도 중요한 변수가 될 것
◎ 국채 발행 늘려야 하는 상황에 금리가 올라 버린 것
◎ 관세 → 경제 타격 → 외국인 이탈 → 금리 상승
◎ 선거가 없는 시진핑은 유리하다 장기적으로 불리
◎ 중국 제품 구매할 대상이 타격 받는 것 자체가 부담

◎ 트럼프는 미국과 중국 경제를 분리하는데 진심
◎ 무역전쟁 초점을 중국으로 압축가고 있어

글에 결론은 없지만 제가 느끼기에는 '이러다 다 죽어..' 모드라. 어느 순간 대화하는 시점이 오지 않을까..결국 그렇게 되야되는 상황인 것 같네요.

https://finance.yahoo.com/news/commentary-china-knows-trumps-breaking-point-213645787.html
빌 애크먼. 관세 시행 연기 가능성. 시황맨

약 3시간 전에 빌 애크먼이 SNS에 의미있는 글을 올렸네요.

월요일에 트럼프가 관세 시행을 연기하는 발표를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수십 년간 미국에 해를 끼지고 산업을 파괴하는 불공정한 관세를 해결하는 중요한 일을 트럼프가 하는 중

다만 며칠 만에 해결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라 대비할 시간을 주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고 언급.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경기 침체에 빠질 위험성이 커진다고 지적.

월요일은 미국 경제 역사에 가장 흥미로운 날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올렸네요.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한 인물인데.. 관세 시행 연기를 암시하는 내용을 올린 겁니다.

트럼프 측과 소통을 하고 난 발언인지, 본인 희망을 올려 '희망 고문'만 유발하는 것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05.04.202500:42
겁나는 신호와 위로가 되는 신호. 시황맨

하이일드 스프레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 재무가 부실한 기업들이 자금 빌릴 때 내는 이자로 보면 됩니다.

이 금리에서 국채 금리를 뺀 것이 하이일드 스프레드입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3%라면 지금 국채 금리 4% 적용시 대략 이자 7% 내고 돈 빌리는거죠.

이 비용이 올라가면 자금 조달이 그만큼 어렵다고 보고 '아주 심하게 올라가면' 경기 침체 신호로 해석합니다.

대략 5% 정도면 침체로 간다고 보는데. 이번주에 4% 돌파. 여기서 더 오르면 일부 기업들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다음주 이 즈음에서 안정되는지 중요.

'위로가 되는' 신호는... S&P500 지수가 이틀간 -10% 넘게 하락한 경우가 1953년 이 후 이번 포함 총 5회였습니다.

이 때 대부분 바닥으로 작용하며 반등 시작. 다만 2008년의 경우 11월 6일 한 번 나온 후 20일 한 번 더 밀고 바닥이 나왔습니다.

여하튼 이틀간 이런 투매 나오면 대부분 바닥으로 작용했다는 점.

그런데 특이한 점은 저 급락 경우가 모두 공화당 대통령 때네요. 레이건, 부시, 트럼프, 또 트럼프.
코스피 PBR 0.81 의미. 시황맨

최근 5년간 코스피 PBR 0.83배는 중요한 지지선 역할을 했습니다.

전일 급락으로 코스피 PBR은 0.81까지 하락한 상태.

이 선 이하로 내려간 경우는 코로나 시점과 같이 경기 침체인 경우입니다.

지금 위치는 경기 침체를 반영하는 것이냐, 일시적 큰 조정 정도로 보면 되는 것이냐를 가늠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차트 출처 : indexergo
미 증시가 오늘도 -4% 하락하면 3일 연속이 됩니다.

3일 연속 4% 하락은 1930년대 대공황 이 후에는 없었습니다.

현실적으로 나오기 힘든 기록이라는 의미죠.
26.03.202520:36
3월 27일 시황. 관세, 증시 전망, 연준 인사 발언 겹치며

◎ 해외 증시
관세와 무역갈등 우려 재부각되며 하락
테슬라, 엔비디아 등 빅테크 하락하며 약세 주도
4월 2일 앞두고 관세 정책 전망은 혼란스러운 상태
주초 예상 보다 덜 광범위할 가능성 부각되며 기대감도
그러나 이 날은 몇 가지 상황 변화가 있었음
트럼프 뉴스맥스 인텨뷰에서 예외가 많지는 않을 것
친구 국가들이 더 심했다며 돈 돌려 받을 때라고 표현
장중 백악관은 이 날 자동차 관세 발표할 것이라고
이 소식 전해지면서 지수 밀리기 시작
엔비디아, 테슬라 큰 폭 하락하고 M7 일제히 하락
테슬라는 관세 부각시 브랜드 거부감 커지는 모습
캐나다에서 보조금 수령이 제한되었다는 보도도
에릭 디젠홀. 정치색 강한 경우 브랜드 유지 어려워
전기차 독점 생산도 아니어서 현재 상황 극복 쉽지 않아
윌리엄 블레어. 긍정적 재료도 있어 바닥 치고 반등할 것
FT. 중국 기업들 엔비디아 의존도 낮추라는 압박 있을 것
환경 규제를 빌미로 H20 구매 말도록 압박한다는 것
H20의 전력 효율이 낮다는 핑계, 엔비디아측은 반박
열 효율 낮추면 성능 저하. 매출 타격 우려에 급락
마이크로소프트 일부 데이터센터 계획 철회 보도 겹침
CNBC. 미국측 중국 수출 금지 블랙리스트 기업 추가
AI, 슈퍼컴퓨터, 양자컴, 군용 등 사용되는 제품등 대상
이 사안과 겹치며 미중 무역 갈등 우려 재확산
UBS. 중국 보다 미국 AI 기업에 투자해야
미국의 자본 투자 압도적, 향 후 미국 경쟁력이 더 클 것
페퍼스톤. 불확실성 높은 사안. 하루 이상 계획 어려워
전일 소비자신뢰지수 급락도 빠른 경기 침체 우려 자극
CFRA. 트럼프 관세 언급할 때 마다 오르고 내리고 반복
악재 부각시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강세. 더 이어질수도
바클레이즈, 관세 리스크에 S&P500 6,600 → 5,900
실적 둔화로 이어질 것. 금융, 헬스케어, 빅테크는 선호
반면 비스포크는 지표상 경기 침체 조짐 없다고 평가
최근 주택착공, 건축허가, 산업 생산 등 지표 양호
심리적 부진이 실물 경제 영향 주었다고 보기 어려워
도이치. 2분기까지 부진할수 있으나 초여름 바닥 나올 것
오스틴 굴스비. 경제 불확실성에 다음 인하 늦어질수도
무살렘. 관세에 따른 인플레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어
마이크론은 향 후 메모리 제품가 인상 통지했다고
공급 부족에 따른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전달
다만 반도체주 전반적 약세에 -2% 하락
국제유가 상승에 엑손모빌 등 주요 에너지 관련주 반등
펩시코, 스타벅스 등 주요 소비 관련 종목들 강세
2월 내구재주문은 예상 -1.1% 상회한 0.9%
GDP NOW는 지난번과 동일한 -1.8 기록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4.55 (+0.36%)
국제유가 69.84달러 (+1.2%)
변동성지수 18.33 (+6.88%)
10년물 금리 4.35%
MSCI 한국지수 -0.46%
야간선물 -0.69%

◎ 전망과 전략
전일 코스피는 대형주 지수만 +1% 이상 상승
중소형 업종 지수는 상승폭이 미미했음
코스닥은 중형주 > 대형주 > 소형주
업종 주도권이 외국인, 기관에게 있다는 의미
현재 예탁금 수준 감안하면 당분간 이런 기조는 유지
이번주~다음주 초반 지나며 재료 영향력은 피크
해외는 관세, 국내는 정치, 수급은 공매도
각각의 재료 노출 때 마다 변동성이 나타날 가능성
그러나 대부분 어느 정도 반영된 재료.
또 외국인은 올해 처음 2주 연속 매수 가능성
특히 공매도 재개되면서 종목별 움직임도 변화
낙폭이 컸던, 둔했던 종목들 순환매가 나타남
반도체, 자동차에 전일 이차전지까지
현재 주도권 쥐고 있는 외국인, 기관 누적 종목들
매도 후 매수로 턴하는 종목들 관심 지속
26.03.202511:22
챗GPT VS 네스케이프. 시황맨

인터넷이라는 혁명적인 기술이 보급되며 기술주를 끌어 올리는 계기가 되었던 네스케이프.

네스케이프 등장 이 후 나스닥 지수의 움직임과 챗GPT 등장 이 후 나스닥 지수를 비교한 차트.

현재까지는 당시와 비슷한 경로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시 나스닥 시장은 닷컴 버블로 이어지는 시기까지 올라 5년 이상의 랠리를 이어갔었습니다.

물론 비교의 전제는 챗GPT과 네스케이프만큼 혁명적인 개발이 맞는지 여부가 되겠죠.

그림 출처 : bespokeinvest
05.04.202505:53
배당금 받는 날짜 딱 1분만에 알아내기.

방송 요약
세이브로 접속해서 배당금 지급 받는 날짜 1분만에 알아내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https://youtu.be/Fc5H16ttwYM
코스피 PBR 0.8 이하는? 시황맨

코스피 지수가 PBR 0.8 아래까지 가려고 하네요.

2000년대 이 후 PBR 0.8배 미만은 이라크 전쟁, 카드 대란이 겹쳤던 2003년, 금융 위기 터진 2008년, 그리고 코로나 대유행 때인 2020년 세 번뿐이었습니다.

차트 출처 : indexergo
폴리마켓에 나온 국가별 관세 인하 순서. 시황맨

수요일 이 후 중국에 추가 관세 54% 부과할 가능성은? 83%로 높은 편

어느 나라부터 관세가 내려갈 것인가? 국가별 예상 보니

일본부터가 37%로 가장 높고, 트럼프와 통화했다는 베트남이 16%,

다음으로 이스라엘 10%, 아르헨티나 10%,

한국이 먼저일 것이라는 확률은 7%로 5위.

단지 확률을 보는 사이트입니다만..그래도 앞순서에는 있네요
09.04.202504:14
관세 발효 이 후. 시황맨

◎ 부정적 시나리오
관세 발효로 침체 우려 확산 본격화
맞보복 반복되며 협상 기대 약화
어닝 시즌 전망치 낮추거나 가이던스 없거나
금리, 환율 추가 상승, 증시 하락으로 금융 혼란

◎ 긍정적 시나리오
사실상 악재 현실화로 재료 노출
협상 국면으로 전환. 일부 국가 관세 인하
첫 대상인 한국과 일본의 과정, 결과 중요
감세 등 증시 부양 카드

◎ 나올 수 있는 돌발 변수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 현실화
트럼프와 시진핑 전격 통화
방치하던 증시 부양을 위한 백악관의 카드 등

아무래도 초반 협상 대상 국가로 트럼프가 동맹국 우선 운운하며 부각시킨 한국과 일본의 과정과 결과가 중요하겠네요.
최근 10년 외국인 순매도 순위. 시황맨

오늘 외국인 코스피 매도 규모가 많다 싶었는데...2015년 이 후 찾아 보니 5위였네요..

15위까지 기록 보면 다음날 하루 더 고전하는 경우가 많았고. 다음 달에는 오르는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코스피 PBR 0.8에서 턴. 시황맨

어제 종가로 코스피 PBR 0.8까지 내려왔었습니다.

0.8 아래 숫자를 본 것은 2003년 카드 대란, 2008년 리먼 사태, 2020년 코로나 때였다고 어제 공유했었습니다만.

앞이 '8' 수준에서 돌리느냐 '7'을 보게 되느냐는 악재의 강도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었습니다.

다행히 0.8 초반에서 이번에도 돌리게 되는 것같네요.
26.03.202507:08
주식 시황. 우리 증시가 유난하게 강했던 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에 무슨일이? 트럼프 약점 잡혔다? 관세 우려 진정 가능성. 코스닥 이 것 하나는 조심해야

방송 요약
우리 증시가 유난하게 강했던 이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에 무슨 일이?
트럼프 약점 잡혔다?
관세 우려 진정 가능성.
코스닥 이 것 하나는 조심해야

https://youtu.be/ZTIjtQLZ9iY
03.04.202501:48
지수 낙폭 축소 이유. 시황맨

'일단' 관세 수치가 공개 되면서 재료 정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일부 투자자들의 판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상 보다 높은 수치지만 이 자체는 '협상 받을테니 전화 줘.'이런 의미죠.

기억해 보면 트럼프 1기 때 우리나라에 처음 요구한 방위비 분담금은 50억달러. 현재 환율로 약 7조원이었죠. 기존 분담금 대비 5~6배나 높게 부른 겁니다.

협상 진행하다가 미국 대통령이 바뀌었고 최종 합의는 1.2조원에서 타결되었습니다.

내년부터는 약 1.5조원 정도 부담하게 되어 있구요. 당시 트럼프가 제시한 7조원하고는 큰 차이가 나죠.

무엇 보다 말이 관세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는 '셀프 인플레이션' 측면도 있습니다.

미국 자동차 평균 판매가가 약 4만달러인데. 25% 붙이면 당장 5만달러가 됩니다.

예일대 조사에 의하면 가구당 연간 비용 부담이 3000달러 이상 커진다고 분석하고 있구요.

미국 역시도 베센트 장관의 발언처럼 이 후 깎아주는 방식으로 협상이 진행된 것이고 결과물은 어쨌든 오늘 트럼프가 표로 보여준 수치 보다는 낮을 것이라고 보는 겁니다.

또 하나는 우리나라 증시 일정입니다. 당장 내일 헌법재판소 선고가 나오는데 최대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계기가 될 겁니다.

결과 이 후 추경, 다양한 부양 정책 등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할 수 있어 이 점을 겨냥한 일부 저점 매수세가 붙은 점도 낙폭을 일부 만회한 계기가 되었을 겁니다.

물론 공매도가 재개된 상태. 변동성을 노리는 옵션 거래, 여전히 트럼프 한마디에 흔들리는 증시 상황 감안하면 쉽게 편안해지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오늘 관세, 내일 헌법재판소. 다음주 삼성전자 실적으로 이어지는 거를 타선이 없는 일정은 부담이 됩니다.

한편으로는 불확실성을 하나씩 지우는 과정이라는 점도 주목은 해야할 듯합니다. 특히 내일은 상반기 우리 증시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일정이 될겁니다.

공매도 재개 전후 대규모 매도하는 외국인이 태도를 바뀌는 신호(선물 거래 변화 등) 나오는지 오늘 내일 집중적으로 살펴 봐야겠습니다.
Көбүрөөк функцияларды ачуу үчүн кириңи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