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 iM증권 김현석입니다.
20250424 Morning brief
1. 금일 증시 Comment
- 미증시는 트럼프의 對中 관세협상 가능성 제시와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 완화에 상승. S&P글로벌 미국 제조업 PMI 50.7(이전치 50.2)로 확장된 반면 서비스업지수는 51.4로 전월 대비 위축.
- 국내 증시는 한미 통상협의 시작과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대형주 기업의 실적 발표 예정된 가운데 보합의 흐름 보이며 시작할 것으로 전망.
- 폴 앳긴스 SEC위원장 취임 이후 비트코인 상승이 돋보임과 동시에 금 가격 하락 중. 이는 위험자산 선호현상이 일정부분 회복됨을 시사하며 이는 국내 증시에도 우호적인 현상일 것.
2. 현재 중국 경제는?
-미국 고율의 대중국 상호관세 시행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지만..>대미 수출 급감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출이 아직 큰 흔들림이 없는 것은 일단 미국 이외의 지역 수출이 견조. 대표적으로 아세안지역 수출 및 미국 주변 국가로의 수출이 예상보다 견조한 것으로 추론
-그러나 고율의 사호관세율이 지속된다면 중국 수출 등 경기에 궁극적으로 큰 부담을 줄 것임>5월부터 중단될 800달러 미만의 소액 상품 수입에 대한 무관세 혜택 폐지 등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는 물론 중국 중소기업 수출 등에 치명적 영향
-신흥산업 PMI지수 급락 및 IMF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중국 GDP 성장율을 4.0%로 대폭 하향 조정하는 등 상호관세 충격에 따른 중국 경기 둔화 리스크를 경고
3. 유니드, 25년 최상의 시나리오:Q증가, P 상승,(일회성) C 축소
-고환율과 운임비 하락이라는 대외적 여건에서 중국 UHC 신규 가동에 따른 물량 증가와 중국 염화칼륨 강세로 인한 가성칼률 cost-push 효과 기대
-1Q25 Review:영업이익 287억원, 컨센대비 +28.1%>2분기 부터는 UHC 가동 효과 Full 반영되고, 중국 염화칼륨 가격 상승세 지속에 따른 가성/탄산칼륨 판가 추가 상승도 기대
-러시아/벨라루스 염화칼륨 감산의 나비효과>주요 생산국 감삼 움직임 본격화
4. [전기/전자] 아이폰 패닉바잉과 LG이노텍 패닉셀링[LG이노텍/BUY/225,000(유지)]
- 1분기 실적은 관세 부과 앞둔 Pull-im 수요와 긍정적 환율 덕에 당사 추정치 상회. 2분기 까지 이러한 현상 이어질 수 있지만, 이는 오히려 하반 기 수요 가시성을 떨어뜨리는 요인.
- 주가는 이러한 우려를 선반영. 다만 관세 전쟁 이후 섹터 내 가장 가파르게 하락한 종목인 만큼, 우려 완화 시 반등 기울기도 가파를 것.
- 26년을 바라보면 카메라의 유의미한 업그레이드를 기대. FC-BGA 사업 본궤도 진입, 고부가가치의 조명 및 통신 모듈 중심 전장부품 수익성 개선 등도 주목 포인트
5. [반도체] 적극매수하기에는 여전히 불확실성 상존[Intel/NR]
- TSMC 합작사 설립은 무산된 듯. 4월 초 TSMC 합작사 설립에 대한 보도 있었으나, TSMC가 해당 내용 부인. 다만 합작사 설립에도 TSMC의 성공방식이 인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 의문
- 동사 18A 공정이 리스크 생산에 돌입. Panther Lake 프로세서가 첫 제품일 듯. 18A 공정 성공 여부가 동사 향후 경쟁력에 결정적인 영향 미칠 것.
- 미국 반도체 제품 고관세 유지 시 역내 공급망 재편에 따른 수혜 예상. 다만 중국의 고관세 대응은 동사 매출에 악영향 전망(동사 매출의 약 30%가 중국에서 창출됨)
□Head line news
-뉴욕증시, 中 관세 인하 검토가 남긴 찜찜함..나스닥 2.50% 상승 마감(연합)>미국이 중국에 유화적 입장을 보인 데 이어 대중(對中)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라는 소식에 주가는 치솟았다. 하지만 미국이 대중 관세를 일방적으로 인하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 전해지면서 오름폭은 상당 부분 축소
-SK하이닉스, 1분기 영업이익 7.4조..깜짝 실적(연합)>계절적 비수기에도 고부가 제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5세대 HBM3E 12단의 판매 확대 등으로 시장 기대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유통가 1분기 실적 '희비'..이마트, 롯데쇼핑, 현대백화점 웃었다(LS)>관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내수업종에 대한 기대감이 유효하다”며 “롯데백화점 사업은 조기 대선 전후로 새 정부의 내수 부양책 기대감이 있고, 롯데마트는 경쟁사(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에 따른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
-LG이노텍, 1분기 호실적..하반기 신제품 모멘텀 기대(DS)>“관세 리스크가 상존하는 상황에서 선제적인 주문 수요에 따른 물동량 증가, 중국 패널사 가동률 상승으로 인한 기판 소재 사업부의 디스플레이 제품군 수요 증가가 실적 호조의 배경”
-"삼성바이오로직스, 관세 우려 불식시킨 실적"(신한)>“삼성바이오로직스의 내부 거래 감소와 4공장의 안정적 가동률 상승에 기반한 매출 증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어시밀러 판매 호조와 높은 환율 등으로 우호적 상황이 지속됐다”
-"넥센타이어, 미 덤핑관세 품목관세 이중고"(키움)>"회사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재고자산, 매출채권이 급격히 증가하며 넥센타이어 순운전자본에 부담이 발생한 바 있고, 단기적으로는 부담 완화를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
-저 성장 늪에 빠진 韓경제..올해 경제 성장율 1% 하회 가능성도(파이낸셜)>내수·수출 모두 부진하며 0.2% 역성장/한은, 올해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불가피/IMF는 3개월 만에 성장률 반토막으로 조정/일부 IB 0% 성장률 전망...'성장률 쇼크' 현실화
□전일 매매동향(ETF제외)
[코스피외국인 순매수]
한미반도체>삼성SDI>한국전력>LG에너지솔루션>LIG넥스원
[코스피기관 순매수]
SK하이닉스>삼성전자>기아>한화오션>LG에너지솔루션
[코스닥외국인 순매수]
에코프로>HLB>에코프로비엠>삼천당제약>에이비엘바이오
[코스닥기관 순매수]
에코프로비엠>알테오젠>대주전자재료>주성엔지니어링>에스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