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회색인간의 매크로 + 투자 avatar
회색인간의 매크로 + 투자
회색인간의 매크로 + 투자 avatar
회색인간의 매크로 + 투자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avatar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신영증권/법인영업 해외주식 Inside avatar
신영증권/법인영업 해외주식 Inside
08.05.202502:24
UBS: 성과 압박 속 90일간 불확실성 점진적 해소 전망

향후 관세 정책에 대한 보다 명확한 방향성 제시가 임박한 것으로 판단됨. 이번 주말 예정된 미·중 고위급 회담(제네바 회담)은 양국 간 긴장 완화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되며, 미·중 무역 갈등에 대한 시장의 최악의 비관론은 이미 정점을 지난 것으로 보임.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관세 기조 또한 최근 시장 불안 확대에 따라 일부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음. 이는 행정부가 금융시장 스트레스에 일정 수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시사함.

여러 국가들이 미국과의 관세 정책 협상 의사를 밝히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 또한 정책 성과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90일 간의 관세 유예 기간 중 다양한 양자 또는 산업별 합의가 도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됨.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당사는 올해 9월부터 총 100bp의 연준 기준금리 인하를 기본 시나리오로 유지함. 다만, 무역 정책 전개 방향에 따라 광범위한 정책 경로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음.

투자 전략 측면에서는 지속 가능한 수익 확보(durable income)에 주목할 것을 제안함. 미국 국채는 경기 둔화 국면에서 방어적 역할을 하며 포트폴리오의 분산 효과를 높일 수 있음. 동시에, 신용 스프레드가 보상적인 수준에 도달한 하이일드채, 이머징 마켓채, 시니어론 등 단·중기 듀레이션의 고수익 채권을 선별적으로 병행함으로써 수익성과 분산 효과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음.

향후 무역 불확실성이 점진적으로 해소되고, 미국이 주요 교역국들과 순차적 합의 도출에 나설 경우, 미 금리 하락과 맞물려 주식 시장의 반등 가능성도 커질 수 있음. 당사는 연말 기준 S&P500 지수가 5,800pt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점진적 분할 진입을 통해 중장기 상승에 대응하면서 단기 타이밍 리스크를 관리하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함.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https://cafe.naver.com/traderoreconomist/2496


오늘의 데일리를 올렸습니다. 오늘은 옵션 만기일~~~ 경건한 만기일에는 옵션 짤짤이를 꼭 해야....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avatar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07.05.202520:02
■ Jerome Powell 연준 의장(비둘기파, 당연직)

1. 경제는 견조(in a soild position). 현재 통화정책은 상황 변화에 적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수준(well positioned to respond in timely way). 기준금리도 적정한 레벨(policy rate is in a good place)

2. 이례적인 수출환경 변화(unusual swing in trade, import swing complicated GDP data)가 1분기 역성장 원인. 그럼에도 경제는 견조(solid)한 것으로 판단

3. 불확실성이 향후 소비와 투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불명확

4. 고용시장은 전반적으로 균형잡힌(broadly in balance) 수준이며 완전고용 상태가 지속 중. 임금 상승세도 완만(moderate)해지고 있음. 다만, 데이터의 흐름은 둔화 추세로 진입 중(assess for weakening)

5. 서베이에 따르면 소비자와 기업심리 모두 약화(lower sentiment)

6.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상승. 이는 관세정책에 기인

7. 고용은 더 이상 물가 상승 요인이 아님

8. 장기적 관점에서 물가는 2%로 복귀 중(most longer-term measures consistent with 2% goal)

9. 현재까지 관세 여파는 예상을 매우 크게 뛰어넘는(significantly bigger than expected) 수준

10. 양대책무 달성 관련 어려움이 증가(dual mandate goals in tension). 물가와 고용 중 어느 쪽 리스크가 더 크다고 이야기할 수 없음

11. 인플레이션의 고착화 여부는 관세발효 시점과 그 규모, 기대인플레이션 흐름이 결정할 것

12. 관세가 장기적으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명확

13. 정책을 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불확실성 감소를 기다릴 것(well positioned to wait for greater clarity). 통화정책은 완만하게 긴축적(modestly restrictive). 강력하게 긴축적이지 않음(not highly restrictive)

14. 서두를 필요가 없음.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야 함. 기다리는 것에 대한 비용은 낮음(the costs of waiting are fairly low). 지금은 선제적(preemptive)으로 움직일 때가 아님. 추가적인 데이터 확인이 필요

15. 상황이 변화하면 기민하게 적시에 대응 가능

16. 통화정책 목표 달성 시점은 내년 이후로 지연될 가능성. 이렇게 목표 달성이 힘든 적은 상당기간 없었음

17. 연내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한 선택일 수도, 아닐 수도 있음. 정책금리 경로를 확실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님. 금리 조정은 데이터의 흐름이 결정

18. 양대책무 관련 리스크가 증가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데이터에 반영되지는 않았음

19. 개인적으로 불확실성은 극도로 증가(uncertainty is extremely elevated)한 것으로 판단

20. 데이터 상 경제가 약화된다는 명백한 징후(don't see much evidence in actual data of a slowdown in the economy)는 부재

21. 과거 양적완화는 연준의 권한을 벗어난 조치가 아니었음. 다만, 테이퍼링을 조금 이른 시점, 조금 빠르게 진행했었어야 함

22. 실업률이 얼마나 상승할지, 고용시장이 얼마나 위급한 상황인지는 판단이 어려운 상황. 그러나 확연한 고용위축이 나타날 경우 대응에 나설 것

23. 1분기 역성장 기저효과는 2분기에 발현될 것. 순수출이 성장에 크게 기여할 전망. 소비와 투자도 마찬가지

24. 금번 GDP 수치로 인해 크게 달라진 것은 없음

25. 심리지표가 비정상적으로 위축(outsized change in sentiment)된 것은 사실
전력 수요가 GDP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는 구조로 전환됨

• 전형적 경기 둔화 국면에선 드문 현상 → 에너지 집약적 산업이나 기술 인프라 수요 증가 가능성
08.05.202511:14
영국과 어떤 수준으로 협정이 나올지 과연....?
친애하는 워싱턴 특파원 이상은 기자의 글
08.05.202501:14
한국시간으로는 오늘 밤이군요 5/8 11시.... 그리고 Sell On?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마산창투 avatar
마산창투
07.05.202523:21
#희토류

희토류 가격 210% 급등: 전기차, 로봇공학, 방위 공급망 위기

중국이 4월 초 7가지 핵심 중·경희토류 원소에 대한 수출 통제를 시행하면서 국제 희토류 시장은 구매 열풍에 휩싸였음

한달만에 테르븀과 디스트로슘 가격은 2배 이상 급등하며 거의 10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월간 상승세를 기록했음

이러한 여파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전문가들은 이러한 가격 급등이 미중무역 갈등에 새로운 불씨를 지피고 있으며, 전기차, 로봇, 군사 장비 제조업체의 공급망의 장기적인 안정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

닛케이 아시아 와 상하이 금속 시장(SMM) 자료 에 따르면 , 2025년 5월 1일 기준 유럽의 디스프로슘 가격은 4월 초 킬로그램당 약 425달러에서 850달러로 급등했고, 테르븀 가격은 965달러에서 3,000달러로 각각 100%와 210% 급등

■ 전기 자동차와 로봇 공학은 심각한 위험에 직면

테르븀, 디스프로슘, 사마륨과 같은 희토류 원소를 사용하는 고성능 영구 자석은 열 저항과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켜 전기 자동차 모터와 휴머노이드 로봇 공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는 최근 중국의 엄격한 수출 통제와 희토류 자석 확보 지연으로 인해 자사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인정했음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506PD211/robotics-rare-earth-materials-market.html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avatar
채권 애널리스트 김성수
07.05.202520:02
■ 5월 FOMC 성명서

성명서는 3월과 대동소이. 특기할만한 부분은 ‘순수출 변화가 데이터에 영향을 미쳤음(althoughswings in net exports have affected the data, 문구 추가)’에도 불구하고 경제는 여전히 견조(expand at a solid pace, 문구 유지)한 것으로 판단

전망의 불확실성은 ‘추가적으로’ 증가(increased‘further’)한 것으로 평가했으며,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상승 리스크가 모두 증가(the risks of higher unemployment and higher inflation have risen)했다는 문구 추가

관세 관련 직접적인 명시 문구는 부재

-> 지켜볼 수 있는 상황이기에 계속 지켜보겠다는 것. 신중함은 여전함
지난 한시간 동안 쏟아내는군요... 포스팅 4개
08.05.202502:54
방산이 대장주 될만 하네요 할만 해....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실전매매전략 : 마켓타이밍
08.05.202501:14
*TRUMP: MAJOR TRADE DEAL NEWS CONFERENCE TOMORROW AT 10AM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avatar
한화투자증권 경제 임혜윤
07.05.202522:50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5/8 Bloomberg>

1) 파월, 인플레·실업률 상승 위험 커져
연준 위원들은 만장일치로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4.25%~4.5% 범위로 유지하기로 결정. 3연속 동결로, 연준은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모두 오를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경고. 파월은 경제가 잘 버티고 있어 연준이 금리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대규모 관세 인상은 인플레이션 상승, 경제 성장 둔화, 실업률 증가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일시적 현상에 그칠 수 있지만 오래 지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

2) 원화 변동성 확대
연휴 이후 거래를 재개한 달러-원 환율(REGN)은 지난주 종가 대비 9원 정도 하락한 1,392원 부근에서 간밤 거래를 마감. 주말 미-중 무역협상 소식에 반응한 달러 강세에 낙폭이 줄어들었음. 옵션시장에서는 통화 심리를 보여주는 달러-원 리스크 리버설이 약간 반등하긴 했으나 여전히 원화 강세 방향을 뚜렷하게 가리키고 있으며, 변동성 지표는 2022년 이후 가장 높게 치솟으며 불안한 시장 상황을 보여줬음

3) 미-중 무역협상 기대. 트럼프 관세 인하 주목
이번 주말 허리펑 중국 부총리와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등의 무역 회담 예정. 최대 관심사는 트럼프가 즉시 관세를 인하할지, 얼마나 내릴 지임. 한 가지 가능성은 미국이 중국에 펜타닐 관련 관세를 제외한 모든 보복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관세율을 20% 수준으로 되돌리는 방식. 반면 HSBC는 미국이 관세율을 50%로 되돌릴 것이라 예상했고, 모간스탠리는 “점진적 접근”이 될 공산이 더 크다고 전망

4) EU, 무역협상 실패 시 보잉·美 자동차에 관세 보복 예정
유럽연합(EU)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이 실패로 끝날 경우 보잉사의 항공기와 미국산 자동차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 EU가 목요일 발표 예정인 새로운 관세 목록에서 미국산 산업재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임. 앞서 블룸버그는 약 1,000억 유로(1,140억 달러) 상당의 미국 수출품이 추가 관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보도. EU와 미국 간의 협상은 거의 진척이 없어 트럼프 관세의 대부분이 유지될 것으로 보임

5) 파키스탄, 인도 공습 이후 잠재적 보복 가능성
파키스탄은 인도군이 표적 공격을 단행한 데 대해 보복할 권리가 있다면서, 핵 보유국인 양국의 적대감이 확산될 위험을 시사. 지난달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 대응으로 인도 정부는 “긴장이 고조되지 않도록 정밀하고 절제된 대응”을 단행했다고 발표. 이에 파키스탄 총리실은 “자위권 행사로 시기, 장소, 방식에 있어 자국이 선택하는 대로 대응할 권리가 있다”며, “파키스탄군이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정식으로 승인했다”고 밝혔음
(자료: Bloomberg News)
07.05.202512:32
테슬라와 너무 대조되는군요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avatar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07.05.202511:15
BofA FOMC 프리뷰

1. 총론
1) 5월 FOMC 회의(5월 7일)의 기준금리 동결(4.375%)이 확실시됨.
2)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연준은 아직 관련 자료(관세 규모·인플레이션 충격 등)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았다고 판단.
3) 조기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 목표에 대한 연준의 신뢰도 저하 우려를 초래할 수 있어 신중한 ‘회의별 접근(meeting-by-meeting)’ 기조 유지.

2. 정책 기조
1) 데이터 의존적 접근 유지: 최근 연준 인사들은 모두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고 강조.
2) 물가 안정 목표와 완전고용 목표 간 균형: 실업률이 급등하면 금리 인하 여지를 열어두되,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들기 전에는 선제 인하 자제.
3)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파월 의장에게 직접 묻는다면 ‘배제하지 않겠다’는 수준에서 답변할 것.

3. 금리 시장 전망
1) 시장은 6월 약 15bp, 7월 약 40bp 인하을 가격에 반영 중이나 과도하다고 판단.
2) 단기 금리 시장 전략: 7월 FOMC OIS 매도(금리 상승에 베팅) 권고.
3) 금리 인하 사이클 하단(cutting trough)은 중립금리(약 3%) 수준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크며, 이를 하회하려면 실물지표(성장·고용)가 뚜렷히 부진해야 함.
4) 5년 OIS 매수 포지션은 최근 가격 재조정 후 청산. 7월 OIS 매도 포지션은 유지.

4. 시장 기능성과 리스크
1) 미 국채 시장 유동성·기능성 질문 시 “전반적으로 질서 정연(orderly)”하다고 언급할 전망.
2) 연준은 무역정책뿐 아니라 재정·이민 정책 변화 효과도 함께 관찰하며, 재정 확장과 금리 인하의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문제를 경계.

5. 외환 시장(USD) 전망
1) 5월 FOMC는 달러화(DXY)에 큰 이벤트가 되기 어려움.
2) 대미(對美) 투자매력 약화, 자산배분 변화 우려 등 구조적 요인이 달러 중장기 약세 압박 요인으로 부상.
3) 무역전쟁 충격 이후 달러는 3년 저점 부근에서 횡보 중. 경기·물가 지표 부진이 확인되면 달러 추가 약세 가능성.
08.05.202504:50
흠??? TWD 다음은 KRW??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avatar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5.202502:54
2025.05.08 11:29:37
기업명: LIG넥스원(시가총액: 7조 8,87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9,076억(예상치 : 8,122억+/ 12%)
영업익 : 1,136억(예상치 : 654억/ +74%)
순이익 : 842억(예상치 : 565억+/ 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9,076억/ 1,136억/ 842억
2024.4Q 11,678억/ 617억/ 697억
2024.3Q 7,403억/ 519억/ 407억
2024.2Q 6,047억/ 491억/ 457억
2024.1Q 7,635억/ 670억/ 60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9550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특파원 김씨 PRO avatar
특파원 김씨 PRO
#속보 트럼프, 내일 오전 10시(동부시간) 주요 무역 협정 발표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 예정된 기자회견에서 평판이 좋은 국가와 상당한 무역 협정을 맺을 것을 약속했습니다.

AI+ : 트럼프 대통령, 내일 오전 10시(동부시간)(한국시간 5월 8일 11시) 주요 무역 협정 발표 예정.

출처 | 2025-05-08 09:59:01
빠른속보, 특파원김씨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루팡 avatar
루팡
07.05.202522:19
AppLovin 2025년 1분기 실적 (시간외 +17.7%)

매출: 14.8억 달러 (예상: 13.8억 달러); 전년 대비 +40%

조정 EPS: $1.67 (예상: $1.42)

조정 EBITDA: 10.1억 달러; 전년 대비 +83%

전략 업데이트
AppLovin은 모바일 게임 사업부를 Tripledot Studios에 매각하기로 최종 합의

조건: 현금 4억 달러 + Tripledot 보통주 약 20% 지분

거래 마감 예상 시점: 2025년 2분기, 규제 승인 등 절차 완료 조건

1분기 광고 부문 실적
매출: 11.6억 달러; 전년 대비 +71%

조정 EBITDA: 9.43억 달러; 전년 대비 +92%

EBITDA 마진: 81%

앱(게임) 부문 실적
매출: 3.25억 달러; 전년 대비 -14%

조정 EBITDA: 6,200만 달러; 전년 대비 +9%

전략적 방향
마케팅 및 광고 기술 플랫폼 중심의 사업 구조로 전환 가속화

현금 흐름 및 자본 환원
영업현금흐름: 8.32억 달러

잉여현금흐름: 8.26억 달러

자사주 매입: 1분기 중 340만 주, 총 12억 달러 규모

총 발행주식 수: 3억 3,800만 주 (Class A + B 포함)

CEO 발언
광고 플랫폼의 강력한 성장과 높은 마진 확대가 실적을 견인

모바일 게임 매각 이후, 고성장·고수익 소프트웨어 기업으로의 정체성 확립


자사주 매입 등 자본 환원은 장기 성장성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반영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avatar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07.05.202510:59
Tesla China sells 58,459 cars in Apr, down 6% year-on-year

That's down 5.96 percent from 62,167 vehicles sold in the same month last year and down 25.84 percent from 78,828 units in March.

https://cnevpost.com/2025/05/07/tesla-china-sells-58459-cars-apr-2025/
Көрсетілген 1 - 24 арасынан 1 336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