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avatar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투자자 유의 사항
1. 이 콘텐츠에 게재된 내용들은 본인의 분석 및 기록용도로 작성하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
2. 이 콘텐츠는 투자참고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어떠한 경우에도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3. 해당 글은 필자가 습득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제시 또는 인용한 수치는 사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의 정확성에 대해서 보증할 수 없습니다.
TGlist рейтингі
0
0
ТүріҚоғамдық
Растау
Расталмаған
Сенімділік
Сенімсіз
Орналасқан жері
ТілБасқа
Канал құрылған күніOct 31, 2020
TGlist-ке қосылған күні
Sep 17, 2024

Telegram арнасы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статистикасы

Жазылушылар

10 968

24 сағат
4
0%Апта
3
0%Ай
23
-0.2%

Дәйексөз индексі

0

Ескертулер0Каналдарда қайта жазылу0Каналдарда ескерту0

1 жазбаның орташа қамтуы

780

12 сағат7800%24 сағат780
36%
48 сағат1 2190%

Қатысу деңгейі (ER)

1.23%

Қайта жазылды10Пікірлер0Реакциялар0

Қамту бойынша қатысу деңгейі (ERR)

11.11%

24 сағат0%Апта0%Ай
1.71%

1 жарнамалық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742

1 сағат812109.43%1 – 4 сағат61983.42%4 - 24 сағат21228.57%
Каналға біздің ботымызды қосып, осы каналдың аудиториясын біліңіз.
24 сағаттағы жазбалар саны
6
Динамика
-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тобындағы соңғы жазбалар

나는 과거에 바이앤홀드로 몇년에 걸친 긴 시계열로 투자한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 자산을 모아가야 하는 젊은 친구들에게는 너무나 긴 시계열의 투자를 권하지는 않는다.

3년의 기간을 설정해서 몇백%의 수익율을 기대하는 종목을 찾으려는 노력보다는 6개월에서 1년정도안에 30%~100% 수준의 기대수익율을 기대하는 종목을 찾고 그것을 반복할 수 있도록 투자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 한 섹터의 다양한 기업들을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게 더 적절하지 않나 싶다.

그렇게해서 자산이 좀 늘어난 이후에는 좀더 긴 시계열로 투자하면 좋지 않을까 한다.

긴 시계열이라는 것은 좋게 말하면 장기보유지만 그 장기보유를 하는 기간동안 시장의 흐름에서 빠져나와 투자 공부 를 열심히 안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자산을 모아가는 시기에 투자 능력을 같이 발전시켜야 자산이 늘어났을 때도 늘어난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투자능력이 같이 배양되게 되는 법이다.

그러려면 매년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섹터의 기업들을 공부하고 리서치하고 모니터링 하는 과정들을 거쳐야 하는데 투자 초기부터 그렇게 묻어놓고 시장에서 관심이 멀어져버리면 투자능력을 기를 시간이 부족해지는 법이다.

그리고, 몇년을 묵혀놓는다고 몇백%의 수익율이 달성되는 경우도 흔치 않다.

내가 제우스에서 얻은 성과는 돌이켜봤을 때 꽤나 운이 좋 았던 케이스였을 뿐이었다.

대략 금액으로 기준점을 나누자면 몇천만원에서 10억원 이전까지는 조금 액티브하게, 그 이후로는 조금 여유있게 투자의 시계열을 잡는게 어떨까 한다.

10억까지의 여정도 쉬운길은 아닐테니 그때까지는 언제나 바쁘게 리서치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소리다.

#포즈랑님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37778227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KK Kontemporaries avatar
KK Kontemporaries
TSMC 외국계 트레이더들 1차 반응

분기 매출 가이던스: 전 분기 대비 +13% (시장 기대치 +4~5% 대비 상회)

TSMC 2분기 가이던스, 예상보다 강한 수준

2025 회계연도(내년) 설비투자 가이던스: 380~420억 달러 계획 재확인 – 고객사의 성장 지원 지속 의지

연간 매출 가이던스 하향 없음 –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결과에 가까움

1. 2분기 가이던스 양호
2. 설비투자 축소 없음
3. 연간 가이던스 하향 없음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avatar
다올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TSMC 1Q25 실적 발표 (현지기준 4/17)

▶️ 실적 내용
실적 공시 ($Bil)
- 매출액: 25.5
- 매출총이익 (GPM): 15.0 (58.8%)
- 영업이익 (OPM): 12.4 (48.5%)
- EPS(NT$): 13.94
→ 매출액 컨센서스 소폭 하회, 가이던스 부합 (달러 기준)
(NT$ 기준 매출액 컨센서스 상회)
→ GPM 컨센서스 및 가이던스 부합

컨센서스 ($Bil)
- 매출액: 25.7
- 매출총이익(GPM): 14.9 (58%)
- EPS(NT$): 13.57

직전 가이던스 ($Bil)
- 매출액: 25.0-25.8
- GPM: 57-59%
- OPM: 46.5-48.5%

▶️ 1Q25 매출 세부 data

» 공정별 매출 비중 (전분기/당분기)
- 3nm: ↓ (26% / 22%)
- 5nm: ↑ (34% / 36%)
- 7nm: ↑ (14% / 15%)
→ 7nm 이하 선단공정 비중: ↓ (74% / 73%)
- 16nm: = (7% / 7%)
- 28nm: ↓ (6% / 3%)
- 40/45nm: = (3% / 3%)
- 기타 공정: = (10% / 10%)

» 플랫폼별 매출 비중 (전분기/당분기)
- HPC: ↑ (53% / 59%)
- 스마트폰: ↓ (35% / 28%)
- IoT: = (5% / 5%)
- Automotive: ↑ (4% / 5%)
- DCE: = (1% / 1%)
- 기타: = (2% / 2%)

» 출하 및 재고 데이터
(1Q24 → 2Q24 → 3Q24 → 4Q24 → 1Q25)
- 웨이퍼 출하량(kcps): 3,030 → 3,125 → 3,338 → 3,418 → 3,259
- 재고자산(NT$Bil): 267 → 272 → 293 → 288 → 293
- 재고일수: 90일 → 83일 → 87일 → 80일 → 83일

📁 IR자료: https://buly.kr/2fdS0Cp


위 내용은 공시 자료 요약으로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avatar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4nm 공정 가동률이 하반기부터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4 로직 다이 생산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HBM4, 4E 로직 다이 생산량이 향후 웨이퍼 기준 월 수천장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빅테크 물량 수주도 희소식이다. 퀄컴과 AMD는 삼성전자 4nm 공정을 통해 각각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XR2+ 2세대 제품, 차세대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 입출력(I/O) 다이 양산을 계획 중이다. 물량은 다소 적지만 빅테크 물량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에 따라 4nm 공정 가동률이 전년 대비 크게 올라올 것으로 기대된다. 4nm 공정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주력 공정이다. 현재 수율이 80%에 달한다.


#삼성파운드리

https://buly.kr/7bGezNO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현대차증권_리서치센터_채널 avatar
현대차증권_리서치센터_채널
[현대차증권 Quant 조창민]
Weekly Quanticle - 1분기 실적시즌 & 낙폭과대 점검

1. 1분기 실적시즌 개막
- 코스피+코스닥 내 컨센서스(3M)가 3개 이상 존재하는 243개 종목의 1분기 컨센서스는 56.9조원을 기록 중(분기말 기준)
- 전망치를 100% 충족하는 실적을 기록할 시 전년대비 증감률은 약 +8.7%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지난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이익 증감률의 둔화 국면은 지속될 것
- 다만 1분기 실적시즌은 전망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 이익 전망에 대한 기대가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
- 실적시즌 초반 결과가 양호할수록 증시 전반의 실적시즌도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경향

2. 또 한 번 입증된 ‘이격도 90 = 낙폭과대’
- 4/7일 KOSPI는 -5.6% 하락, 4/9일에도 -1.7% 하락하며 2,300pt선을 하회. 그러한 과정에서 KOSPI의 60일 이격도는 89.97%를 기록하며 90% 하회
- 4/10일 증시는 +6.6% 상승한 2,445.06pt에 마감. 단 하루만에 151pt 상승하며 2,450pt 수준까지 회복에 성공
- 해당일 증시의 상승을 주도했던 스타일은 역시나 낙폭과대. ‘이격도 90 하회 = 낙폭과대주 강세’라는 공식이 이번에도 입증
- 실제로, 증시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이격도가 90% 밑으로 하회한 후 낙폭과대의 1개월 성과는 73.3%의 확률로 증시를 아웃퍼폼
- 과거 백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본 낙폭과대 컨셉의 증시 대비 강세 지속 기간은 약 2~30거래일 정도로 계산. 즉 약 1개월~1개월 반 즈음에서 낙폭과대주 강세의 정점이 확인됨

*자세한 내용은 하단 링크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
*https://buly.kr/9iFkm20
*현대차증권 투자전략팀 통합 채널: t.me/hmsecstrat

**동 자료는 compliance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https://www.reuters.com/technology/nvidia-expects-up-55-billion-charge-first-quarter-2025-04-15/?utm_source=chatgpt.com

삼성전자는 아직 H20용으로 HBM 판매가 없고, SK하이닉스는 H20용 HBM3e 3월 추가 판매 완료해 엔비디아처럼 재고 손실처리 등의 비용 반영은 없을 것입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부터 12Hi 위주로 엔비디아에 판매하고 있고, H20은 기존 계획 대비 추가된 물량이므로 H20 제재로 인한 연간 HBM 계획 변동 및 실적 추정치 변경은 없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다만 해당 이슈로 엔비디아가 시간외 6% 하락 중이기 때문에 국내 반도체주 투자 심리가 좋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avatar
시장 이야기 by 제이슨
미국의 소비 둔화 지표 참고

#농구천재님

https://m.blog.naver.com/tosoha1/223834498761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avatar
강해령의 반도체탐구생활
✍️SK하이닉스, 1분기 수출액 8.2조…27% 급증

https://naver.me/FK5mLI7F

관세청 자료로 SK하이닉스는 1분기를 어떻게 보냈는지 요리조리 뜯어봤습니다.

-이천, 청주의 메모리(HS코드:854232) 수출액 합계는 57억 9800만달러(약 8조2000억원). 전년동기비 27% 증가.

-중국 D램 공장인 우시 팹의 수출 실적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대만(대장이 TSMC인) 으로 간 복합구조칩 집적회로(HS코드: 8542323000) 수출액이 전체 1분기 메모리 수출액의 48%입니다. 복합구조칩엔 HBM이 포함돼 있습니다. 모든 복합구조칩 수출액이 HBM과 관련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HBM 영향력은 상당해보입니다.

-낸드, D램 및 HBM 후공정 팹이 같이 있는 "청주" 쪽 수출액도 재밌습니다. 이 사업장에서도 85% 이상의 수출이 복합구조 회로칩에서 나왔습니다.

-여기서도 HBM이 모든 매출을 차지하지 않겠지만 적잖은 영향이 있는듯 합니다. 작년 1분기보다 청주의 복합구조회로칩 수출이 5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청주에서는 지난해부터 M15 중심의 HBM 제조 인프라가 갖춰지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청주와이천 #1분기견조한실적기대
저분자 화합물 치료제 실패 사례 정리 잘 해주셨습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F
FS리서치
https://blog.naver.com/greatahn/223833868402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관세 현실화 -> 경기침체 -> 침체를 상쇄하기 위한 대규모 감세와 재정정책 -> 국채발행 증가 -> 금리상승

트럼프의 의도대로 되지 않기 시작한 채권시장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Narrative Economics avatar
Narrative Economics
트럼프: 통화 후 한국과 "큰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

Рекордтар

16.03.202523:59
11KЖазылушылар
09.09.202423:59
0Дәйексөз индексі
20.01.202523:59
8.7K1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20.01.202523:59
8.7KЖарнамалық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09.01.202523:59
9.76%ER
20.01.202523:59
79.04%ERR
Жазылушылар
Цитата индексі
1 хабарламаның қаралымы
Жарнамалық хабарлама қаралымы
ER
ERR
OCT '24JAN '25APR '25

한걸음_적자생존 기록실 танымал жазбалары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큐코노미
02.04.202507:52
유명한 사람들이 책 추천한거 모아둔 유용한 곳

https://onthegiant.com/people
08.04.202504:36
너무 좋은 글

#포즈랑님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26102838
17.04.202509:16
나는 과거에 바이앤홀드로 몇년에 걸친 긴 시계열로 투자한 경우도 있었지만, 지금 자산을 모아가야 하는 젊은 친구들에게는 너무나 긴 시계열의 투자를 권하지는 않는다.

3년의 기간을 설정해서 몇백%의 수익율을 기대하는 종목을 찾으려는 노력보다는 6개월에서 1년정도안에 30%~100% 수준의 기대수익율을 기대하는 종목을 찾고 그것을 반복할 수 있도록 투자의 범위를 넓히고 다양 한 섹터의 다양한 기업들을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게 더 적절하지 않나 싶다.

그렇게해서 자산이 좀 늘어난 이후에는 좀더 긴 시계열로 투자하면 좋지 않을까 한다.

긴 시계열이라는 것은 좋게 말하면 장기보유지만 그 장기보유를 하는 기간동안 시장의 흐름에서 빠져나와 투자 공부 를 열심히 안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자산을 모아가는 시기에 투자 능력을 같이 발전시켜야 자산이 늘어났을 때도 늘어난 자산을 운용할 수 있는 투자능력이 같이 배양되게 되는 법이다.

그러려면 매년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섹터의 기업들을 공부하고 리서치하고 모니터링 하는 과정들을 거쳐야 하는데 투자 초기부터 그렇게 묻어놓고 시장에서 관심이 멀어져버리면 투자능력을 기를 시간이 부족해지는 법이다.

그리고, 몇년을 묵혀놓는다고 몇백%의 수익율이 달성되는 경우도 흔치 않다.

내가 제우스에서 얻은 성과는 돌이켜봤을 때 꽤나 운이 좋 았던 케이스였을 뿐이었다.

대략 금액으로 기준점을 나누자면 몇천만원에서 10억원 이전까지는 조금 액티브하게, 그 이후로는 조금 여유있게 투자의 시계열을 잡는게 어떨까 한다.

10억까지의 여정도 쉬운길은 아닐테니 그때까지는 언제나 바쁘게 리서치하고 고민해야 한다는 소리다.

#포즈랑님

https://m.blog.naver.com/highk27/223837778227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15.04.202523:18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4nm 공정 가동률이 하반기부터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4 로직 다이 생산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HBM4, 4E 로직 다이 생산량이 향후 웨이퍼 기준 월 수천장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빅테크 물량 수주도 희소식이다. 퀄컴과 AMD는 삼성전자 4nm 공정을 통해 각각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XR2+ 2세대 제품, 차세대 서버용 중앙처리장치(CPU) 입출력(I/O) 다이 양산을 계획 중이다. 물량은 다소 적지만 빅테크 물량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에 따라 4nm 공정 가동률이 전년 대비 크게 올라올 것으로 기대된다. 4nm 공정은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주력 공정이다. 현재 수율이 80%에 달한다.


#삼성파운드리

https://buly.kr/7bGezNO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관세 현실화 -> 경기침체 -> 침체를 상쇄하기 위한 대규모 감세와 재정정책 -> 국채발행 증가 -> 금리상승

트럼프의 의도대로 되지 않기 시작한 채권시장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Narrative Economics avatar
Narrative Economics
트럼프: 통화 후 한국과 "큰 합의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천프로의 콘텐츠 모음방
30.03.202507:46
https://blog.toss.im/article/10to100-library?

토스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말하는 추천책 100권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선진짱 주식공부방 avatar
선진짱 주식공부방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유진투자증권 ETF/파생 강송철 avatar
유진투자증권 ETF/파생 강송철
30.03.202507:51
# 최근 읽은 것 중 가장 공감하는 기사입니다,

[WSJ] I Quit Google Search for AI—and I’m Not Going Back

- 필자는 지난 한 달 동안 Google 검색을 완전히 그만두고 OpenAI의 ChatGPT를 아이폰과 노트북의 기본 검색 도구로 설정해 사용함. 그 결과, 명확하고 사람처럼 들리는 답변을 얻게 되었음.
- 필자는 ChatGPT 외에도 Perplexity, Anthropic의 Claude, 심지어 Google의 Gemini까지 사용해보았음. Google은 검색 시장의 90%를 점유하면서 SEO 쓰레기, 스폰서 링크, 클릭 유도성 콘텐츠로 가득 찬 검색 지옥을 만들어냈음.
- 예를 들어, “iPhone 16 Pro 가격”을 검색하면, 필자는 먼저 4개의 스폰서 링크, 월납입금이 나열된 제품 광고, “People Also Ask” 블록을 지나야 원하는 정보를 볼 수 있었음

- 반면, AI 챗봇은 개인 비서 같은 검색 경험을 제공함. ChatGPT, Microsoft Copilot, Perplexity는 실시간 웹 접속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출처가 명시된 답변을 생성함.
- 최근에는 Anthropic의 Claude도 이 대열에 합류했으며, Google 역시 검색에 통합된 AI 모드를 테스트 중임
- 다만 AI가 항상 최고의 답을 주는 건 아니며, 여전히 개선 중임. 그리고 필자는 한 가지 근본적인 우려를 갖고 있음.
- AI가 인터넷의 콘텐츠를 요약해 제공할 경우, 그 콘텐츠를 직접 작성하는 작가(필자 본인 포함)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음

- 필자는 AI 검색이 기존의 전통적인 검색보다 뛰어난 영역들을 정리해보려 했으며, 그 리스트는 매우 길었음.
- 쇼핑, 인물 검색, 레시피, 사용 방법, 영화 추천, 해당 영화 스트리밍 플랫폼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AI 검색이 더 나은 결과를 제공했음

- “AI 검색은 블루링크(전통적인 하이퍼링크)의 종말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필자는 장례식이 아닌 "변신"에 가깝다고 평가함.
- AI 챗봇은 사용자를 불필요한 클릭 마라톤에서 해방시켜주지만, 유용한 정보를 잘 추출하는 경우, 오히려 ‘실제로 클릭하고 싶은 링크’만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음

- 예를 들어, 필자는 모든 챗봇에게 동일한 중요한 육아 관련 질문을 던졌음:
- “7살 아이에게 사줄 수 있는 $500 이하의 3D 프린터는 무엇인가?”
- ChatGPT는 5개의 추천 제품 목록을 제공했으며, 각 항목에는 간단한 설명, 이미지, 출처 링크가 포함되어 있었음.
- Perplexity는 시각적 구성 면에서 가장 뛰어났으며, 상위 추천 제품 이미지, 그리고 가격과 기능을 비교한 표를 제공함.
- Gemini 2.0 Flash(Google의 기본 무료 모델)는 상위 추천 제품을 나열했지만 출처 링크나 인용은 없음.
- 반면, Google.com에서 새로 시도 중인 AI 모드 탭에서는 같은 추천 리스트를 더 자세히 설명하고 정확한 출처 링크와 함께 제공함.
- 기존의 구글 검색 결과는 예상한 그대로였음: 스폰서 링크, 홍보 제품, 베스트바이(Best Buy), 아마존, 유튜브 영상 링크 등으로 가득 차 있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파악하려면 여러 번 클릭해야 했음
- 참고로 Bing도 마찬가지로 부실했음.

- 필자 외에도 챗봇을 통한 쇼핑의 장점을 체감하는 이들이 늘고 있음. Adobe에 따르면 생성형 AI를 통해 미국 소매 사이트로 유입된 트래픽은 지난달에 2024년 7월 대비 1,200% 증가했음.
- 또한 미국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향후 1년 안에 생성형 AI를 쇼핑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응답

- 어떤 검색은 매우 간단해서, 챗봇의 첫 번째 답변만으로 충분했음
- 반면, 어떤 인물의 약력을 깊이 파악하거나, 요통(허리 통증)에 대해 이해하고자 할 때는 요약된 답변만으로는 부족하여 직접 원문 링크를 클릭해 내용을 확인했음
- 또한, AI의 환각(hallucination) 현상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명백한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있음. 중요한 검색일수록 반드시 제공된 링크를 클릭해 사실 확인을 해야 함

- 이번에는 비교적 간단한 리스트임: Google 검색이 여전히 뛰어난 분야들.
- 우선, 이미 존재하는 웹페이지에 직접 접근할 때는 구글이 최적의 도구임
- 혹은 어렴풋이 기억하는 어떤 기사나 문서를 찾으려고 할 때 등에는 구글 검색이 가장 효율적임
- AI 도구들도 지역 식당이나 쇼핑 장소 추천을 해줄 수 있지만, 정확한 지도, 주소, 운영시간을 보여주는 데는 여전히 구글이 더 정확하고 우수함
- Google 역시 AI가 검색의 미래라는 점을 잘 알고 있음. 현재 구글은 AI 관련 기능이 접목된 10,000여 개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음
- 검색 결과 상단에 표시되는 AI 개요(AI Overview) 요약, 독립형 Gemini 챗봇, 검색 결과와 Gemini 응답을 결합한 실험적 AI 모드 등
- 필자는 구글 검색 제품 부문 부사장인 로비 스타인(Robby Stein)에게 왜 이렇게 많은 검색 옵션이 존재하는지 물어보았음.
- 스타인은 이에 대해,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검색을 하기 때문에, 각각에 맞는 서로 다른 경험이 필요하다"고 답함
- 필자의 생각에는,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AI 모드가 구글 검색의 미래가 될 가능성이 높음
(이하 생략)

https://www.wsj.com/tech/personal-tech/google-search-chatgpt-perplexity-gemini-6ac749d9?st=cDnHpf
05.04.202505:05
항상 소신있는 뷰를 남겨주시는 형님

#stalk님

https://m.blog.naver.com/stalk0218/223822983931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KK Kontemporaries avatar
KK Kontemporaries
17.04.202506:28
TSMC 외국계 트레이더들 1차 반응

분기 매출 가이던스: 전 분기 대비 +13% (시장 기대치 +4~5% 대비 상회)

TSMC 2분기 가이던스, 예상보다 강한 수준

2025 회계연도(내년) 설비투자 가이던스: 380~420억 달러 계획 재확인 – 고객사의 성장 지원 지속 의지

연간 매출 가이던스 하향 없음 – 기대할 수 있는 최상의 결과에 가까움

1. 2분기 가이던스 양호
2. 설비투자 축소 없음
3. 연간 가이던스 하향 없음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뭘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 했어 avatar
뭘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 했어
30.03.202507:48
https://blog.naver.com/rock2580/223814490967

TnBFolio 3월 티 타임 후기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서화백의 그림놀이 🚀 avatar
서화백의 그림놀이 🚀
24.03.202513:23
아래는 세 보고서를 종합하여 요약한 내용입니다:

1) 글로벌 서버 시장 전망 및 AI 트레이닝 서버 출하량 하향 조정
- AI 서버 시장 전망 하향: 기존 대비 AI 트레이닝 서버(특히 GPU 기반 풀랙 서버) 출하량을 2025년에 크게(약 35%) 낮추고, 2026년에도 일부 조정해 반영했습니다. 이는 차세대 GPU 제품 전환 시점이 겹치는 데다, 초대형 CSP(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투자와 수요가 당초 기대 대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 AI 서버 종류별 동향:
- *랙 형태(Rack-level)*: 2025~26년 출하량을 크게 낮춰 잡았으며, 전 세대 대비 생산 및 수요 모두 점진적으로 증가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예측치가 하락했습니다.
- *기존 베이스보드 기반 고성능 서버*: 전체 시장에서 완전히 대체되기보다는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설계 유연성 등)로 인해 일정 수요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일반 서버(General servers) 및 추론(Inferencing) 서버: 일반 서버 시장은 PC·서버 교체 수요가 조금씩 살아나며 2025~26년에 각각 6%, 4%의 출하량 증가가 예상됩니다. AI 추론 서버는 AI 서비스 확산으로 인해 중장기적 수요가 유망하지만, 시장 규모가 트레이닝 서버에 비해서는 작습니다.
- 미·중 클라우드 업체 투자: 미국 주요 CSP의 2025년/26년 자본 지출(capex)은 각각 전년 대비 +41%/+15%로 추정되는 반면, 중국 주요 CSP의 2025년/26년 capex는 각각 +26%/+4%로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citeturn0file0

2) 일본 반도체 제조장비(SPE) 업종 전망: 밸류에이션(멀티플) 하향 및 수요 재점검
- AI 서버 수요 둔화에 따른 백엔드 공정 업체 실적 조정: 전 세계 AI 서버 전망이 하향 조정됨에 따라, 후공정 장비 업체(Disco, Advantest, Tokyo Seimitsu 등)의 FY25~26년 실적 추정치가 소폭 낮아졌습니다. 다만 전공정 장비(전사적으로 EUV, 드라이 노광 등) 기업에 대해서는 중장기 수요전망이 크게 바뀌지 않아 기존 추정치를 유지했습니다.
- 섹터 멀티플 조정: AI 서버 호황 기대감이 다소 줄어든 데다, 전체 반도체 업황이 이미 '업사이클 중반부'에 들어섰다는 판단으로, 기존 FY25E 기준 EV/EBITDA 18배 적용에서 FY25~26년 평균치 기준 15배로 낮췄습니다. 그 결과 주요 종목들의 목표주가를 평균 8% 내외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 투자 의견: 일본 SPE 업종 내에서는 Tokyo Electron(프론트엔드 공정), Advantest 및 Disco(백엔드 공정)의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반면 Lasertec처럼 EUV 관련 투자가 단기에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기업은 주가 상승 여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합니다.
citeturn0file1

3) 대만 부품업체 관점: AI 서버 랙 출하 부진으로 실적·목표주가 하향
- GPU AI 서버 중심의 단기 전망 하향: 글로벌 AI 서버 랙 출하량이 2025년에 기존 전망 대비 35%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이면서, 주로 GPU 기반 AI 서버에 대한 파워 모듈·CCL(동박 적층판)·커넥터 기업들의 단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됩니다. 반면 ASIC 기반 AI 서버(구글·아마존 등)가 주력인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할 것으로 분석됩니다.
- 주요 대만 업체별 조정:
- *델타(Delta)*: AI 서버 전력공급(PSU)·냉각솔루션 비중이 상당하지만, 수요 둔화로 2025~26년 실적 추정치 및 밸류에이션을 낮췄습니다. 그럼에도 차세대 파워랙(고성능 전원장치) 진출 가능성이 있어 중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했습니다.
- *EMC, TUC, GCE*: 주로 ASIC 서버나 고속 스위치용 CCL·PCB를 공급하기에 GPU 보다는 영향이 적습니다. 따라서 목표주가와 이익 추정치를 일부 낮추었지만, 향후 시장점유율 확대와 지속적인 고부가 제품 공급으로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 *Lotes*: GPU AI 서버 관련 신제품(SoCAMM, UQD 등)을 공급하지만, 출하량 둔화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경쟁 심화 가능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했으며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습니다.
- *ITEQ*: 중·저가 CCL 위주의 포트폴리오로 높은 이익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추가적인 AI 서버 둔화까지 겹쳐 수익성 개선 폭이 제한적이라고 판단, 매도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citeturn0file2

---

요약적으로:
- AI 트레이닝 서버(GPU 위주) 수요 전망이 이전보다 눈에 띄게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2025~26년 중 차세대 GPU 전환과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의 Capex 조정, 그리고 생산 공정 복잡도 등으로 인해 출하량이 예상치보다 부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 반면 기존 베이스보드 기반 고성능(AI) 서버나 ASIC AI 서버, 추론 서버는 상대적으로 수요 변동 폭이 크지 않으며, 일반 서버 시장은 교체 사이클로 인해 소폭 성장할 전망입니다.
- 이러한 흐름에 따라 반도체 제조장비 업종(특히 후공정 장비 회사)과 AI 서버 부품·소재주(대만·일본 등) 역시 목표주가·실적 전망이 일부 하향되었습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AI 확산이 가져올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추세 자체가 중단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회사는 생산 전환(차세대 모델)과 시장점유율 확대(고부가 소재·제품)로 성장성을 유지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Қайта жіберілді:
벨루가의 주식 헤엄치기 avatar
벨루가의 주식 헤엄치기
24.03.202523:06
250324_Hybrid Bonding Technology for HBM4E or HBM5—It’s a Must? - TechInsights

https://bit.ly/4hItJIO

(1) HBM4E, HBM5를 위해 하이브리드 본딩은 필수인가?

(2)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은 YMTC, KIOXIA, Western Digital(SanDisk)과 같은 3D NAND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이미 일반화 된 개념

(3) YMTC는 이를 Xtacking(Xtacking 1.0에서 Xtacking 4.x까지)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KIOXIA/Western Digital은 이를 CBA(BiCS8)라고 부름

(4) 하이브리드 본딩의 장점은 무엇일까?

(5) 하이브리드 본딩에서는 일단 1) 메모리 부분(Memory Array)과 2) 제어 회로(Peripheral Logic) 부분을 따로 따로 만든 뒤, 3) 아주 작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금속 Vias(Small-pitch metal vias) 수백만 쌍을 통해 결합

(6) 따로 따로 만드는 이유는 각각의 부분의 최적화된 공정이 다르기 때문이며, 따로 제작한 후 결합하면 더 효율적인 공정이 가능하기도 해서임

(7) 해당 방식은 1) 저장 밀도를 크게 향상 시키며, 2) 더 높은 I/O 속도를 제공하며, 3) 전력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음

(8) 현재 Micron,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CuA, COP, 4D PUC NAND 제품들은 곧 하이브리드 본딩 구조로 전환될 예정

(9) 또한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은 3D DRAM 및 차세대 HBM 등에서도 활용 될 가능성이 높음

(10) 한편, 현재 HBM에서는 마이크로 범프(M-Bump)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8hi, 12hi, 16hi와 같이 여러 개의 HBM DRAM 다이 사이 사이에 적층 됨

(11) 현재 Micron,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HBM3, HBM3E에서 각각 MR-MUF, TC-NCF, Advanced MR-MUF를 각각 사용하고 있으며 동시에 16hi 이상에서의 HBM4를 개발 중인 상황

(12) JEDEC 표준은 현재 HBM3까지는 720µm, HBM3E 및 이후 세대는 775µm로 규정되어 있음

(13) HBM의 DRAM 적층 수가 8개, 12개, 16개, 20개로 증가함에 따라, 현재의 JEDEC 표준을 완화하지 않는다면 HBM의 높이는 쉽게 증가하기 어려운 구조

(14) 이는 결국 1) DRAM 다이 두께, 2) 다이 간 간격을 줄여야 함을 의미

(15) 현재 HBM3의 DRAM 다이 두께는 55µm이며, 8개의 다이를 적층한 HBM3의 마이크로 범프의 높이는 14.5µm

(16) AMD MI300X에 사용된 새로운 HBM3 12hi의 경우, 우리가 확인해 본 결과 기존 JEDEC 표준을 유지하기 위해 다이 두께가 37µm로 감소했음을 확인

(17) 향후 DRAM 다이의 두께가 20µm로 줄어들고, 하이브리드 본딩과 같은 "Gapless Structure"가 적용되면 16단, 20단 심지어 24단 적층도 775µm 폼팩터 내에서 HBM 모듈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18) 현재 16단의 구조는 기존 MR-MUF 혹은 TC-NCF를 활용하면서 DRAM 다이 두께를 더 줄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

(19) 그러나 향후 20단 이상의 구조에서의 HBM은 1) 적층 높이, 2) I/O 밀도, 3) 열관리 등의 한계로 인해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의 채택 필요성이 크게 증가할 것

(20) 현재 TC Bonding(Thermo-Compression Bonding) 방식의 HBM 모듈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

(21) 이에 따라, HBM 제조 업체들은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비용과 결함, 휨(Warpage), 수율, 소재, 정렬 정밀도, 공정 온도 및 처리 속도(Throughput) 등의 문제를 복합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하는 과제에 놓여 있음
24.03.202505:19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