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avatar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Fact & Insight
TGlist рейтингі
0
0
ТүріҚоғамдық
Растау
Расталмаған
Сенімділік
Сенімсіз
Орналасқан жері
ТілБасқа
Канал құрылған күніЖовт 11, 2023
TGlist-ке қосылған күні
Вер 13, 2024

Рекордтар

17.04.202523:59
7.9KЖазылушылар
10.09.202423:59
0Дәйексөз индексі
14.11.202423:59
8.7K1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26.03.202523:59
11.8KЖарнамалық жазбаның қамтуы
02.01.202501:20
17.65%ER
01.04.202514:40
105.70%ERR
Жазылушылар
Цитата индексі
1 хабарламаның қаралымы
Жарнамалық хабарлама қаралымы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미래에셋증권 매크로/시황 김석환 танымал жазбалары

11.04.202507:29
[ETF 기초] 전 세계에 투자하는 1만 3,630가지 방법: 글로벌 ETF(250411)∥미래에셋증권 윤재홍

▼자료 다운로드
https://m.site.naver.com/1FM3P

▼텔레그램 링크
https://t.me/qooowooo/2818

2020년 이후 매년 발간해오고 있는 글로벌 ETF 기초 자료가 나왔습니다.
작년 2월 대비 종목 수는 1,761개가 증가했고, 운용자산은 +3조 8,640억 달러가 증가했네요.
(2025년은 2월말 기준이라 변화는 있을 수 있습니다)

크게 1.ETF 기초 개념, 2.주요 키워드(12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3) 기타 참고 사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년 자료 대비 구성은 큰 차이가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 및 개별 내용 업데이트&보완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요 보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개별 내용에 있어서 최신 동향&데이터 반영,
2) 일부 키워드 변화(전략을 스마트 베타에 통합, 자산 배분 키워드 새롭게 추가)
3) 국내 수요 많은 커버드콜, 레버리지/인버스 관련 유의사항 추가
4) 최근 미국 신규 상장 많은 옵션 결합형 관련 구체화(버퍼형 등)
+이와 함께 편집에서도 신경 써주셔서 좀 더 깔끔하게 자료 보실 수 있습니다 :)


# 목차
I. 글로벌 ETF 개요

II. 12개 키워드로 접근하는 글로벌 ETF
[키워드1] 대표 지수
[키워드2] 섹터, 산업
[키워드3] 스마트 베타, 전략*
[키워드4] 현금흐름: 배당/인컴
[키워드5] 테마(Thematic)
[키워드6] 채권
[키워드7] 옵션 전략 결합형
[키워드8] 자산 배분**
[키워드9] 암호화폐&블록체인
[키워드10] 레버리지/인버스
[키워드11] 액티브(Active)
[키워드12] 원자재
변경사항(2024년 2월 자료 대비)
* 스마트 베타, 전략: 24년 전략 → 스마트 베타에 병합
** 자산 배분: 신규 작성

III. 참고 사항


자료를 발간할 때마다 ETF 시장이 정말 빠르게 커지고, 다양화 되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ETF도 어디까지나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이죠.
이 자료는 '잘 알고, 잘 활용하기' 측면에서 많이 활용해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자료 개요
- 다루는 것: 1) ETF 기초편: ETF 개념, 주요 유형, 2) 참조 사항: 세금, 제도 등
- 포인트: 다양성과 실시간 대응성을 바탕으로 ETF 시장은 빠르게 확대. ‘글로벌 핵심 자산에 접근하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수단’
[주요 키워드] *목차 참조
중국,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추가 관세 50% 부과 ( 34% → 84%로 상승)
엔 캐리 트레이드, Again?

장 중 달러인덱스 100을 하회했는데 2023년 7월 중순 이후 처음입니다.

당시를 돌이켜보면 재무부가 공개한 에서 시장 예상보다 큰 규모의 차입(국채 발행)에 대한 우려였는데 말이죠.

물론 지금도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감세+부채한도 상향"이 영향을 준 부분도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앞서 미 국채 '베이시스 트레이드' 관련해 말씀드렸는데, 최근 안전자산 선호 현상 강화에 일본 엔화 강세가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https://t.me/globalmktinsight/3364

일본 엔화는 올해 들어 달러 대비 약 10% 정도 강세를 기록 중에 있습니다. 작년 8월 초 139.576을 기록했던 달러/엔 환율을 기억하면, 현재 143.347이니...

이 정도 속도면 얼마 걸리지 않을 것 같네요. 그럼 (작년보다는 덜하겠지만) 엔-캐리 청산 압력에 대해 '또' 높은 관심이 필요해보입니다.
02.04.202522:07
월가 전망, 트럼프 상호 관세 시나리오

* 골드만삭스가 전망한 '부정적 시나리오'와 월가에서 전망한 '최악(Worst)' 시나리오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음.

최상(Best)
- 글로벌 금융시장 '위험자산 선호(Risk-On)' 모드 확산
- 미국의 무역 파트너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축소 → 더 개방적인 세계 무역 환경 조성 → 미국 무역수지 적자 축소
- 유럽위원회(EC): 관세를 낮추고 미국과의 상호 투자를 늘리기 위한 잠재적 협상 '조건표' 개발
- 웰스파고: "상호 관세"라는 망령만으로도 미국 수출에 대한 외국 관세를 줄이거나 없애는 데 성공적이라고 평가


중간(Middle): 대부분이 예상하는 시나리오
- 초기 관세 평균 15%에 이를 것으로 예상 → 2025년 미국 실효 관세율이 3%에서 약 8.4%로 상승
- 특정 국가 또는 제품에 대한 잠재적 면제가 있는 단계적 또는 사다리형 접근

* 경제적 영향
- 미국 2025년 GDP 성장률 0.5~0.8%p 감소
- 물가상승률 0.5~1.0%p 상승
- 골드만삭스: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치 2.0~2.2% → 1.0~.5%로 하향 + 경기 침체 확률 20% → 35%

* 시장 반응
- 골드만삭스: S&P500 향후 3개월 동안 5% 하락할 가능성 (6월 말: 5,880 / 5,290 / 4,460 전망)
- 글로벌 공급망을 갖춘 산업 중 가장 심각한 영향: 자도차, 반도체, 제약, 산업 제조업체

최악(Worst)
상호 간의 무역 보복 조치 확대 → 본격적인 무역 전쟁 발발

* 관세 인상
- 미국, 모든 수입품에 25% 관세 vs. 무역 파트너 25% 상호 관세 부과
- 관세 계산에 VAT 포함할 가능성 (추가 비용 2,144억 달러 예상)

* 경제적 영향
- 세계 경제 손실 1조 4,000억 달러 (미국 24년 무역수지 1조 2,000억 달러 적자)
- 미국 수출 43% 이상 감소
- 미국 GDP 최대 2% 감소
-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확대(경기위축+금리인상)
- 대공황을 심화시킨 1930년대 무역전쟁과 비슷한 효과


* 지역적 영향
- 캐나다 GDP 16.5% 감소할 가능성
- 멕시코 GDP는 잠재적으로 6.6% 감소할 가능성
- 유로존 GDP는 최대 1.2% 감소
- 아시아 경제, 최대 1.3%p 성장 감소
- 인도,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대부분, 동남아시아 등 신흥 시장 큰 타격
스캇 베센트 "X-Date 5월 또는 6월" 경고

* 끝없이 쏟아지는군요😢

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이 오는 "5~6월에 부채 한도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재무부 보유 현금(TGA) 이 바닥(X-Date)난 것으로 4월 개인소득세 납부로 '약간의 시간'을 벌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시장 예상보다 상당히 빠른 시기입니다.

* X-Date 전망
웰스파고: 8월 초순(6~10월)
JP모건: 8월 1일
모건스탠리: 7-8월
양당정책센터: 7월 중순-10월 초
의회예산국: 8-9월


현재 의회에서 논의 중인 사안은,
- 4조 달러 세금 감면 정책 연장
- 1조 5,000억 달러 세금 감면 추가
- 4조 달러 부채한도 상향

등이 있습니다.

이것 역시 '난제'입니다.
02.04.202521:18
상호관세 전체 리스트
Hey, Bessent. Try It!!! 🇺🇸🦅🌎

▶️ 최근 시장

- '달러 약세 + 금리 상승'이라는 최악의 조합이 나타나며 금융 시장 안정성(financial market stability)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

- 얼마 전 브루킹스 연구소에서는 '미 국채 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베이시스 트레이드(basis trade)' 리스크에 관한 자료를 낸 적이 있음.

* 베이시스 트레이드: 레버리지(50-100배)를 활용한 차익거래 전략으로 주로 헤지펀드 등 비은행계 금융기관들이 사용함. 장기 현물 국채 매수 + 동일 만기 국채 선물 매도해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
https://t.co/oGOKVBMeJ7

- 만약 시장 변동성 증가, 금리 급등, 레버리지 축소 압력 등으로 인해 이 포지션이 갑자기 청산되면 장기 국채 현물을 대량으로 시장에 매도해야 함.

- 이는 시장 유동성을 악화시키고 '투매(fire sale) 현상'을 가속화 시켜 시장 안정성을 해쳐 시장 전반의 신용 경색(유동성 위기)을 유발 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

- 실제, 지난주 급락으로 인해 헤지펀드들의 마진콜이 발생하며 대규모 자금 수요가 발생해 대규모 국채 매도로 '현금화' 했다는 주장도 있음.

- 이런 점은 보통 월말 또는 분기말 자금 수요 증가로 인해 SOFR(담보부 야간 자금 조달 금리)이 실효 연방기금금리(EFFR)을 상회하기는 하지만, 최근 연속적으로 상회하는 점은 '(단기) 자금 시장'의 이상 현상으로 보고 있음.

- 여기에 관세로 인한
①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가중(실질금리, 실질임금 마이너스 가능성)
② 트럼프 정부에 대한 정책 불확실성 확대(신뢰도 악화)
③ 대규모 감세 및 부채한도 상향 법안 하원 통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https://t.me/globalmktinsight/3334
04.04.202510:29
중국 맞대응 개시...

1) 중국,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34% 추가 관세 부과

2025년 4월 10일 12시 01분부터
미국산 모든 수입품에 기존 관세에 추가로 34% 부과
* 이번에 추가되는 34% 관세는 면제 불가

예외 조건:
2025년 4월 10일 12시 01분 이전에 출발지에서 이미 출발했고,
2025년 4월 10일 12시 01분부터 5월 13일 24시 사이에 중국에 도착한 물품은
이번에 부과되는 추가 관세에서 제외

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对原产于美国的所有进口商品加征34%关税

2) 중국 상무부, 미국 기업 16곳 '수출 제한 명단'에 포함
민군 겸용 물자(两用物项) 수출 금지, 진행 중인 거래도 즉시 중단
High Point Aerotechnologies 외 15곳
商务部:对16家美国实体列入出口管制管控
🇰🇷 대통령 탄핵 인용 베팅 증가

* 70% 상회

헌재의 결단 '하루' 남기고
시장에서는 대통령 탄핵의 '인용' 가능성을 높게 전망(베팅)

'탄핵선고 D-1' 찬반집회 총력전…경찰, 을호비상 발령(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3018651004?section=society/all&site=major_news01
🇺🇸 주요 약세장 이벤트 및 직전 고점 회복 소요 기간 🇺🇸

* 평균 773일 소요
트럼프 관세를 이끄는 사람들

* 왼쪽부터
❗️백악관 수석 경제학자 스티븐 미란
미란은 세금 인하를 위한 수입을 창출하기 위해 관세를 사용. 그는 행정부에 합류하기 전에 "Mar-a-Lago 협정" 개념을 제안.
미국 군사 보호 하에 있는 국가들이 워싱턴의 부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일반 국채를 저금리 100년 국채로 교환하는 것과 같은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제시.

❗️백악관 경제 고문 피터 나바로
Trump's trade whisperer으로 불리는 나바로는 가장 공격적인 입장을 취하며 관세로 약 6조 달러의 수입이 늘어날 수 있다고 예측. 오랫동안 중국에 대해 강경하고 보호무역주의자였던 나바로는 타깃을 정한 조치보다는 광범위한 관세를 추진하는 데 영향력 행사.

➡️ 미국 수입 3조 달러에 20%의 관세를 매길 경우 향후 10년 동안 약 6조 달러의 수입 + 車 관세로 약 1조 달러.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
루트닉은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의제를 실행하는 데 중심 인물로 부상. 그는 새로운 관세가 어떻게 작동할지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는 임무 수행. 연방 보조금을 받는 회사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자신의 지위 적극적 활용. 연방 자금을 늘리지 않고도 반도체 회사가 미국 프로젝트를 크게 확장하도록 하기 위해 약속된 CHIPS 법 보조금 보류 가능성 시사.
그는 또한 US Steel의 경쟁 입찰자와의 회의를 포함하여 민감한 무역 협상 참여.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
베센트는 자신이 "더티 15"라고 부르는 국가를 타겟팅하는 것을 중심으로 관세 전략 수립. 이 국가들은 미국의 무역 적자의 대부분을 차지. 그는 관세를 "팁에 대한 세금 없음, 사회 보장에 대한 세금 없음, 초과 근무에 대한 세금 없음, 미국산 자동차 구매에 대한 세금 공제"를 포함한 약속된 세금 인하를 자금 조달하는 수익 창출 메커니즘으로 설정. 미국적 가치와 이익에 대한 고수에 따라 관세 수준(녹색, 노란색, 빨간색) 계층화 제안.
02.04.202522:30
이 시각 마켓 반응(순서대로)

* 7시 25분 KST 기준

S&P 500 야간 선물 -3.45%
나스닥 -4.29%, 러셀2000 -4.93%

금 선물은 온스당 3,176달러(+0.3%)

비트코인 83,452달러(24시간 전 대비 -2.02%)

달러/엔 환율 148.44 (-0.51%)

"RISK-OFF 심리 확산"
오늘 잘 보내셨습니까?

오늘도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현+선물 합계 1조원 이상 순매도하며 장 후반으로 갈수록 힘이 빠지는(상승폭 축소) 모습을 보였습니다.

9거래일 연속이고,
그 규모는 15조원을 훌쩍 상회했습니다.


국내 외환시장 종가상
달러/원 환율은 1473원을 기록하며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금요일 헌재 탄핵 선고 당시 1470원에서 1430원까지 하락(원화강세)하며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을 외환시장에서는 해소했다고 판단됩니다.

이제 남은 건,
글로벌 대외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의 체력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장 마감 이후 역외 시장에서 원화 약세 폭이 '유독' 두드러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로/원 1,617원
100엔/원 1,006원
위안/원 201원

아마 많은 분들이 간만에 보는 환율 수준이라 얼떨떨 하실 것 같습니다.

당분간 외환시장 움직임도 눈여겨 보시면서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쉽지 않은 요즘
고생 많은 하루셨습니다.

편안한 저녁 되시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미 주요 지수 선물 가격은 1.2~1.9% 상승을 하고 있고 VIX 선물 지수는 5% 넘게 하락 중입니다.

금 선물 가격은 온스당 3천 달러를 회복하였고, 유가는 배럴당 60달러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일 큰 폭 상승했던 미 국채 금리는 소폭 반락하는 현재입니다.

원/달러 환율 금융위기 후 최고 수준…증시는 소폭 반등 | 연합뉴스 -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8131900002
미국 상호 관세율 정리(표, 업데이트)

▶️ 향후 일정
4월 5일 - 보편 관세 10% 발효
4월 9일 - 국가별 상호 관세 발효(차등)


중국은 2월과 3월에 각각 보편관세 10%p 부과받아 현재 20% 적용 중.

5일 10%p, 9일 24%p가 적용된다면
최종 54%의 관세를 적용받게 됨.

이는 중국이 수입하는 모든 상품에 대한 최호혜관세(WTO)인 7.5% 대비 7.2배 많은 수준.

* 최호혜관세는 2023년 기준

❗️우리나라 상호관세율 25%→26%
최초 25%에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기재되어 있어 언론 발표가 아닌 '부속서' 기준을 따라야 한다고 합니다.

💣🇰🇷😰

韓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종합)

https://www.yna.co.kr/view/AKR20250403094251071?section=international/all&site=topnews01
4월 캘린더 Key Chart

- S&P500 지수의 데드크로스

25일 현재,
50일(검정)과 100일(회색) 이동평균선 간 '데드크로스' 발생

1️⃣ 약세장
이전 4번 중 3번은 50/100일 > 50/200일 > 100/200일 이동평균선 간 '순차적' 데드크로스 발생하며 약세장(bear market)에 진입.

2️⃣ (일시적) 조정
2023년 미 국채 금리가 5%를 상회했을 당시에는 50/100일 이동평균선 간 '데드크로스'만 발생.

4월 증시는 1️⃣과 2️⃣의 경계에서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예상됨. 그리고 관세와 경기가 Key indicator가 될 전망.
Көбірек мүмкіндіктерді ашу үшін кіріңі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