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Q24 카카오 주요 Q&A>
Q. 톡비즈 관련. 광고 경기 전망? 신규 서비스의 성장 기여 목표?
- 25년 본격적인 경기 성장 회복 기대하기는 어려움
- 1분기 역시 광고주가 적극적인 마케팅 진행하기는 어려운 상황
- 상반기 카카오톡 광고 신규 서비스 출시 후 하반기 트래픽 가시화 목표, 더블디짓 성장 목표
- 비즈니스 메시지의 경우, 25년 두자릿수 성장 목표
- 타겟팅 메시지 발송 위한 로직, 템플릿 개선 중
- 톡 내 트래픽을 발견형 확장, DA 직접적 수혜 예상
- 발견 영역 확대 후 유저 반응에 따라 신규 DA 상품으로 출시
- AI 검색 및 AIGC에 적합한 검색 및 커머스 광고 기회
Q. 커머스 관련, 커머스 시장 전망? 25년 전략?
- 4분기 GMV 둔화
- 소비 트렌드의 경우, 생필품 가격 중시, 프리미엄 상품에는 적극적인 양극화 현상 관찰
- 변화하는 트렌드에 적합한 전략 구축을 목표
- 작년과 유사한 수준의 매출과 GMV 달성 목표
- 선물하기의 경우, 24년 개인화된 선물 프로모션 강화로 YoY 24% 성장, 선물하기 GMV 견인
- 25년에도 AI 쇼핑 메이트 접목 등으로 선물하기 내 발견형 커머스 강화
- 개인화 쇼핑 큐레이션 강화, 25년 2월 AI 쇼핑 메이트 진입점 추가, 접근성 강화
- 선물 구매 과정에서의 만족도 극대화, 구매 전환 및 GMV 기여 기대
- 선물하기 외 커머스의 경우, 연내 쇼핑탭 지면 다각화, 개인화된 쇼핑 큐레이션 고도화
- 참여형 콘텐츠 확대, 활동성 및 체류시간 증대 목표
Q. 25년 1분기 실적 가이던스?
- 1분기 전망 관련, 플랫폼 부문 계절적 비수기 + 콘텐츠 부문 IP 사이클 효과 저점, 고정비 부담으로 전반적 수익성 하향화
- 1분기 실적 부진은 일시적일 것
- 2분기 부터는 비즈니스 메시지, 선물하기 견조 성장, 광고 계절성 회복, 플랫폼 계절적 성수기로 수익성 회복
Q. 25년 연간 실적 가이던스?
- 톡비즈의 경우 상반기 발견 신규 서비스 준비로 완만한 성장세, 하반기 출시 효과 가시화로 광고 두자릿수 성장, 24년 이상 성장목표
- 콘텐츠의 경우, 상반기 IP 사이클 하단 위치 핵심에 집중한 사업 전개 예정, 불확실성 존재
- 영업비용의 경우, 보수적인 집행 기조 유지
- 인건비, YoY 유사한 수준 또는 소폭 증가, 마케팅비, 매출 대비 6% 수준 유지
- AI 및 데이터센터 지속 투자, 외주 인프라비 및 상각비 YoY 증가 예정
- 영업이익의 경우, 상저하고 예상
- 중장기 성장 동력 마련, 비용 효율화로 수익성 개선 목표
Q. AI 신사업 관련, 카나나 출시 타임라인
- 카나나 올해 상반기 내 퍼블릭 CBT 예정
- 1월 사내 CBT 완료, 기능 개선 작업 중
- 그룹 채팅 방 내 AI 상호작용으로 유저 경험 고도화
- 채팅 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초관계형 커뮤니티로 확장
Q. Capex 투자 계획
- 24년 550억원 규모 GPU capex 투자, 25년 비슷한 수준
- 카카오브레인 흡수합병 이후 25년 SLM 및 모델 오케스트레이션으로 전환, GPU 투자 규모 상대적 감소
Q. 오픈 소스 모델 개선, 딥시크에 대한 뷰 및 카카오 서비스 내 도입 계획?
- 서비스화의 측면에서 안전성 등 고려할 부분 존재, 바로 수익성 개선 불가능
- 24년부터 글로벌 오픈 소스 모델 튜닝
- 튜닝된 오픈 모델 + 자체 개발 SLM + 오픈AI와의 협업으로 capex 및 수익성 관점에서 가장 고도화된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 완성했다고 생각
- 이용자 데이터 바탕으로 개인화된 AI 서비스 제공 가능하다는 경쟁 우위 존재
- 안전성 확보 위한 노력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