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제약/바이오/미용 원리버 Oneriver
인생에 도움이 되는 바이오 영상 모음집
https://youtube.com/@Iamoneriver
문의
Kakao ID : iamoneriver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https://youtube.com/@Iamoneriver
문의
Kakao ID : iamoneriver
해당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Лист 07, 2021
TGlist में जोड़ा गया
Вер 19, 2024रिकॉर्ड
15.04.202516:32
21.8Kसदस्य10.09.202423:59
0उद्धरण सूचकांक07.12.202423:59
10.6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11.09.202423:59
14.1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08.03.202523:59
3.91%ER19.01.202523:59
40.41%ERR03.04.202508:01
학교가 혜화인데..
의견 부탁드립니다
내일 갈 수 있다 👍🏻
없다 집에서 쉬어라 ♥️
의견 부탁드립니다
내일 갈 수 있다 👍🏻
없다 집에서 쉬어라 ♥️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6.04.202500:54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화장품 업종 최근 현황 리마인드
- 한국 화장품의 3월 누적 수출 전년대비 +12%
- (3월 누적 기준) 지역별 수출 증감률:
- 미국 +12%, 일본 +15%, 유럽 +61%, 기타지역 +37%, 중국 -19% 등
-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일본 견조한 성장세,
유럽 초강세 흐름, 중국은 역성장폭 축소 중
- 전반적으로 수출 모멘텀 여전히 견조
* 최근 주요 기업 현황 업데이트
- 에이피알: 컨센서스 상회 기대, 해외 매출 초강세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 해외 매출 +147% 성장, 미국 +187%, 일본 +103% 성장 예상
- 아모레퍼시픽: 컨센서스 상회 예상, 북미/EMEA에서 라네즈가 고성장, 이익체력 상승 & 중국 적자 축소(예상 -100억원 → -50억원 수준), 다만 COSRX는 하회
- LG생활건강: 1Q 당사 OP 추정치 1.3천억원, 부합 전망. 면세 역성장 하나, H&B/온라인 중심 확대, 비중국 수출 확대 기조. 생활용품 수출 중심 확대, 음료는 업황 약세이나, 비용 축소를 통해 이익 안정성 높일 전망
- 실리콘투: 컨센서스 부합, 미국 지사 실적 회복 → 미국 성장세 전환(경쟁 강도는 유사하나, 전분기비 매출 확대에 따라 GPM QoQ 개선), 유럽/중동 등으로 기회 요인 확대 → 하반기 유럽/중동 매출이 미국 매출을 상회 기대
- 브이티: 1Q 당사 OP 추정치 250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2분기 부터 북미 주요 온/오프라인 채널 입점 예정, 중국 리들샷 물량 수출 본격화 예정
- 아이패밀리에스씨: 1Q 당사 OP 추정치 92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 H&B 매출 사상 최대 매출 기록 중이며, 수출은 2월 부터 일본/동남아/미국 등 수출 확대 추세, 3Q 미국 주요 화장품 오프라인 채널 입점 확정
- 클리오: 1Q 당사 추정치 74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는 H&B 채널 사상 최대 매출, 수출은 일본 중심으로 회복세 나타나고 있음. 추가로 미국/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채널 접점 확보, 해외 매출 점진적 확대 예정
- ODM사: 국내 더블디짓 성장세 → 수출 주도 K뷰티 수주 강세 흐름 지속, 코스맥스 미드틴 성장, 한국콜마 로우틴 성장세
- 펌텍코리아: 2월 수주 ATH, 3월은 2월을 또 상회, 수주 강세 지속
***
화장품 업종 최근 현황 리마인드
- 한국 화장품의 3월 누적 수출 전년대비 +12%
- (3월 누적 기준) 지역별 수출 증감률:
- 미국 +12%, 일본 +15%, 유럽 +61%, 기타지역 +37%, 중국 -19% 등
-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일본 견조한 성장세,
유럽 초강세 흐름, 중국은 역성장폭 축소 중
- 전반적으로 수출 모멘텀 여전히 견조
* 최근 주요 기업 현황 업데이트
- 에이피알: 컨센서스 상회 기대, 해외 매출 초강세에 따른 실적 호조 기대. 해외 매출 +147% 성장, 미국 +187%, 일본 +103% 성장 예상
- 아모레퍼시픽: 컨센서스 상회 예상, 북미/EMEA에서 라네즈가 고성장, 이익체력 상승 & 중국 적자 축소(예상 -100억원 → -50억원 수준), 다만 COSRX는 하회
- LG생활건강: 1Q 당사 OP 추정치 1.3천억원, 부합 전망. 면세 역성장 하나, H&B/온라인 중심 확대, 비중국 수출 확대 기조. 생활용품 수출 중심 확대, 음료는 업황 약세이나, 비용 축소를 통해 이익 안정성 높일 전망
- 실리콘투: 컨센서스 부합, 미국 지사 실적 회복 → 미국 성장세 전환(경쟁 강도는 유사하나, 전분기비 매출 확대에 따라 GPM QoQ 개선), 유럽/중동 등으로 기회 요인 확대 → 하반기 유럽/중동 매출이 미국 매출을 상회 기대
- 브이티: 1Q 당사 OP 추정치 250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2분기 부터 북미 주요 온/오프라인 채널 입점 예정, 중국 리들샷 물량 수출 본격화 예정
- 아이패밀리에스씨: 1Q 당사 OP 추정치 92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 H&B 매출 사상 최대 매출 기록 중이며, 수출은 2월 부터 일본/동남아/미국 등 수출 확대 추세, 3Q 미국 주요 화장품 오프라인 채널 입점 확정
- 클리오: 1Q 당사 추정치 74억원, 컨센서스 부합 전망, 국내는 H&B 채널 사상 최대 매출, 수출은 일본 중심으로 회복세 나타나고 있음. 추가로 미국/유럽 등 다양한 국가의 채널 접점 확보, 해외 매출 점진적 확대 예정
- ODM사: 국내 더블디짓 성장세 → 수출 주도 K뷰티 수주 강세 흐름 지속, 코스맥스 미드틴 성장, 한국콜마 로우틴 성장세
- 펌텍코리아: 2월 수주 ATH, 3월은 2월을 또 상회, 수주 강세 지속
***
02.04.202500:29
삼천당 ☆승계작업 완료☆
4월 NDR 세마 중간결과발표
5월 아일리아 유럽허가 밎 계약 상대방 오픈
6월 아일리아 미국허가신청,
세마결과 발표전 계약 가능
7월 아일리아 캐나다 판매
세마 비임상 최종결과발표
4~7월이내
경구용인슐린 ind신청
아일리아 캐나다향 선적기사
4월 NDR 세마 중간결과발표
5월 아일리아 유럽허가 밎 계약 상대방 오픈
6월 아일리아 미국허가신청,
세마결과 발표전 계약 가능
7월 아일리아 캐나다 판매
세마 비임상 최종결과발표
4~7월이내
경구용인슐린 ind신청
아일리아 캐나다향 선적기사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17.04.202502:30
[하나증권 화장품 박은정]
실리콘투 주가 상승 관련 의견 공유
- 2025년: 미국 < 유럽 + 중동
- 미국이 1Q25 성장세 전환된 가운데, 사재기 이슈로 2Q25 매출 점증 기대
- 또한 유럽과 중동 등으로의 기회요인 확대될 것으로 예상
- 2분기 분기 최대 매출 추정
- 최근 NDR 통해서 1Q25 미국 지사 매출 회복 공유
- 전분기 GPM 하락 요소 중 하나는 미국 매출이 300억원으로 감소한 영향
vs 3Q24 누적 미국 평균 매출 571억원
- 전분기비 매출 개선됨에 따라 GPM 하락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
- 반면에 유럽이 미국 매출 수준 만큼 근접
- 유럽은 지난 4Q24 400억원 도달 추정(기타해외 매출과 네덜란드, 폴란드 가감)
- 유럽 매출이 분기 20% 비중 상회하기 시작
- 현재 한국의 유럽향 주요국 1Q25 수출은 YoY+61%, 수출 기여도 확대 중
- 기업마다 유럽의 경우 실리콘투와 거래하는 경우 대부분
- 당사는 1Q25 매출 2천억원(YoY+35%), 영업이익 371억원(YoY+33%, 영업이익률 19%) 추정
- 1분기 한국 화장품 수출에 점유율 6% (과거 최고 수준) 타겟한 것
- 다만 지사(미국/유럽) 재고 부분의 Sell Out은 트래킹이 어려워 여기서 편차가 있을 것
- 미국의 경쟁 우려가 오히려 관세 부과로 경쟁 여력 축소, 아마존에서 한계 이익을 내는 브랜드사의 의존성 확대, 사재기 등으로 상반기 우호적으로 변모되는 가운데
- 유럽의 모멘텀 확대가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견인할 전망
[참고]
재고자산 관련
- 재고자산 QoQ 200억원 가량 증가(재고자산: 3Q24 1.2천억원, 4Q24 1.4천억원)
- 회사는 미국 관세 부과 대비 및 물류 창고 확장 이전 등으로 재고를 선제적으로 확충
관세 부담 관련
- 실리콘투의 미국 사업은 국내에서 화장품을 매입하여 미국 지사로 보내 판매하는 구조, 수입 통관의 주체 지사
- 회사는 재고 선제적 확충하여, 관세 부담 당장은 미미
- 상호관세 90일 지연 된 상황에서, 오히려 사재기 등의 환경이 조성 중. 긍정적 요소
- 관세 부담과 관련해서는 브랜드사, CA등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전문: https://vo.la/eeOHNl
***
실리콘투 주가 상승 관련 의견 공유
- 2025년: 미국 < 유럽 + 중동
- 미국이 1Q25 성장세 전환된 가운데, 사재기 이슈로 2Q25 매출 점증 기대
- 또한 유럽과 중동 등으로의 기회요인 확대될 것으로 예상
- 2분기 분기 최대 매출 추정
- 최근 NDR 통해서 1Q25 미국 지사 매출 회복 공유
- 전분기 GPM 하락 요소 중 하나는 미국 매출이 300억원으로 감소한 영향
vs 3Q24 누적 미국 평균 매출 571억원
- 전분기비 매출 개선됨에 따라 GPM 하락은 제한적 수준에 그칠 것
- 반면에 유럽이 미국 매출 수준 만큼 근접
- 유럽은 지난 4Q24 400억원 도달 추정(기타해외 매출과 네덜란드, 폴란드 가감)
- 유럽 매출이 분기 20% 비중 상회하기 시작
- 현재 한국의 유럽향 주요국 1Q25 수출은 YoY+61%, 수출 기여도 확대 중
- 기업마다 유럽의 경우 실리콘투와 거래하는 경우 대부분
- 당사는 1Q25 매출 2천억원(YoY+35%), 영업이익 371억원(YoY+33%, 영업이익률 19%) 추정
- 1분기 한국 화장품 수출에 점유율 6% (과거 최고 수준) 타겟한 것
- 다만 지사(미국/유럽) 재고 부분의 Sell Out은 트래킹이 어려워 여기서 편차가 있을 것
- 미국의 경쟁 우려가 오히려 관세 부과로 경쟁 여력 축소, 아마존에서 한계 이익을 내는 브랜드사의 의존성 확대, 사재기 등으로 상반기 우호적으로 변모되는 가운데
- 유럽의 모멘텀 확대가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을 견인할 전망
[참고]
재고자산 관련
- 재고자산 QoQ 200억원 가량 증가(재고자산: 3Q24 1.2천억원, 4Q24 1.4천억원)
- 회사는 미국 관세 부과 대비 및 물류 창고 확장 이전 등으로 재고를 선제적으로 확충
관세 부담 관련
- 실리콘투의 미국 사업은 국내에서 화장품을 매입하여 미국 지사로 보내 판매하는 구조, 수입 통관의 주체 지사
- 회사는 재고 선제적 확충하여, 관세 부담 당장은 미미
- 상호관세 90일 지연 된 상황에서, 오히려 사재기 등의 환경이 조성 중. 긍정적 요소
- 관세 부담과 관련해서는 브랜드사, CA등과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전문: https://vo.la/eeOHNl
***
30.03.202509:21
http://bit.ly/3QTPURa
से पुनः पोस्ट किया:
BRILLER

27.03.202522:19
[머크 키트루다 SC 데이터 공개]
엄위원님이 말씀하셨던 알테오젠/머크 키트루다 SC 본발표 데이터가 몇십분전에 올라왔습니다.
기존 초록 데이터에서 Overall survival 이랑 혈중농도 데이터 추가되었습니다.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merck-lays-out-subcutaneous-keytruda-data-lung-cancer-amid-patent-brawl-halozyme
+
퍼플렉시티 프로로 필요한 부분만 간단하게 퀵하게 공유
ai번역 요약시 오역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으니 관심있으신분들은 링크 들어가셔서 꼭 전체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유럽 폐암 의회 2025에서 발표된 3상 데이터에 따르면, 키트루다 SC는 치료의 첫 번째 주기 동안 전반적인 약물 노출과 주기 3 동안 정상 상태 최저 농도 측면에서 키트루다 IV보다 열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약동학적 결과
SC 제형은 우수한 약동학적 성능을 보였습니다:
1주기 곡선하면적(AUC): 기하평균비 1.14
3주기 최저혈중농도(Ctrough): 기하평균비 1.67
두 지표 모두 0.8의 비열등성 기준을 초과했으며, 1을 넘는 값은 Keytruda SC가 IV보다 더 높은 약물 농도를 나타냅니다.
효능 결과
중앙 추적 관찰 기간 9.6개월 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 SC와 IV 간 유사, IV가 약간의 5% 우위
환자 생존: SC가 19% 개선
이러한 효능 결과는 기술적인 것이며, 한 제형의 우수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장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닙니다.
투여 및 편의성
Keytruda SC는 투여 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중앙 주사 시간: 2분
환자의 의자 착석 시간: IV 대비 49.7% 감소 (59분 vs 117분)
의료진 시간: 치료 관련 작업에 대한 총 활동 시간 45.7% 감소
이러한 투여 시간과 편의성의 개선은 환자와 의료 제공자 모두에게 시간을 절약하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FDA는 Merck의 Keytruda SC 신청을 수락했으며, 기존 Keytruda IV의 모든 고형 종양 적응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목표 결정일은 2025년 9월 23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알테오젠
엄위원님이 말씀하셨던 알테오젠/머크 키트루다 SC 본발표 데이터가 몇십분전에 올라왔습니다.
기존 초록 데이터에서 Overall survival 이랑 혈중농도 데이터 추가되었습니다.
https://www.fiercepharma.com/pharma/merck-lays-out-subcutaneous-keytruda-data-lung-cancer-amid-patent-brawl-halozyme
+
퍼플렉시티 프로로 필요한 부분만 간단하게 퀵하게 공유
ai번역 요약시 오역이나 오타가 있을 수 있으니 관심있으신분들은 링크 들어가셔서 꼭 전체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유럽 폐암 의회 2025에서 발표된 3상 데이터에 따르면, 키트루다 SC는 치료의 첫 번째 주기 동안 전반적인 약물 노출과 주기 3 동안 정상 상태 최저 농도 측면에서 키트루다 IV보다 열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약동학적 결과
SC 제형은 우수한 약동학적 성능을 보였습니다:
1주기 곡선하면적(AUC): 기하평균비 1.14
3주기 최저혈중농도(Ctrough): 기하평균비 1.67
두 지표 모두 0.8의 비열등성 기준을 초과했으며, 1을 넘는 값은 Keytruda SC가 IV보다 더 높은 약물 농도를 나타냅니다.
효능 결과
중앙 추적 관찰 기간 9.6개월 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 SC와 IV 간 유사, IV가 약간의 5% 우위
환자 생존: SC가 19% 개선
이러한 효능 결과는 기술적인 것이며, 한 제형의 우수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주장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닙니다.
투여 및 편의성
Keytruda SC는 투여 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중앙 주사 시간: 2분
환자의 의자 착석 시간: IV 대비 49.7% 감소 (59분 vs 117분)
의료진 시간: 치료 관련 작업에 대한 총 활동 시간 45.7% 감소
이러한 투여 시간과 편의성의 개선은 환자와 의료 제공자 모두에게 시간을 절약하고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FDA는 Merck의 Keytruda SC 신청을 수락했으며, 기존 Keytruda IV의 모든 고형 종양 적응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목표 결정일은 2025년 9월 23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알테오젠
25.03.202513:04
SK바이오팜이 라이선스 아웃한 솔리암페톨(수노시) ADHD 임상3상 결과
빠르게는 치료 첫 주부터 ADHD 개선 확인
150mg 용량에서 통계적 유의치 달성
Axsome Therapeutics Announces FOCUS Phase 3 Trial of Solriamfetol in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chieves Primary Endpoint
https://www.manilatimes.net/2025/03/25/tmt-newswire/globenewswire/axsome-therapeutics-announces-focus-phase-3-trial-of-solriamfetol-in-adults-with-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adhd-achieves-primary-endpoint/2079508/amp
빠르게는 치료 첫 주부터 ADHD 개선 확인
150mg 용량에서 통계적 유의치 달성
Axsome Therapeutics Announces FOCUS Phase 3 Trial of Solriamfetol in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chieves Primary Endpoint
https://www.manilatimes.net/2025/03/25/tmt-newswire/globenewswire/axsome-therapeutics-announces-focus-phase-3-trial-of-solriamfetol-in-adults-with-attention-deficit-hyperactivity-disorder-adhd-achieves-primary-endpoint/2079508/amp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5.03.202509:16
2025.03.25 17:58:32
기업명: 보로노이(시가총액: 2조 1,529억)
보고서명: [기재정정]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등결정) (VRN101099의 제1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 임상명칭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1상 시험
* 대상질환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
* 임상단계 : 제1상 임상시험
* 승인기관 :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 임상국가 : 호주, 한국
* 시험목적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및 내약성, 약동학 그리고 항종양 효과(약효)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약물의 최대내약용량 및 용량제한 독성을 확인하고 제2상 권장용량(RP2D, Recommended Phase 2 Dose)을 확립하고자 함
* 임상방법 : 72명 내외의 HER2 양성 고형암 환자에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약력학 및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제1상, 다국가, 다기관, 공개, 용량 증량 임상시험으로 해당 용량에 배정된 시험대상자에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안전성을 확인하여 다음 용량으로 증량하는 단계적 증량 방법으로 진행됨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 당사는 2024년 12월 23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의 산하기관인 St. Vincent's Hospital 로부터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에 임상시험계획승인(1상)이 되었음(2024년 12월 20일)을 통보 받았습니다.
- 상기'16) 예상종료일'은 임상계획 승인일로부터 약 36개월(시험대상자의 등록 진행 속도에 따라 변경 가능)로 진행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2025년 03월 25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로부터 임상시험계획승인(1상)을 받았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590141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10210
기업명: 보로노이(시가총액: 2조 1,529억)
보고서명: [기재정정]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계획승인신청등결정) (VRN101099의 제1상 임상시험계획 승인)
* 임상명칭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제1상 시험
* 대상질환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
* 임상단계 : 제1상 임상시험
* 승인기관 :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 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s)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 임상국가 : 호주, 한국
* 시험목적 : HER2 양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VRN101099의 안전성 및 내약성, 약동학 그리고 항종양 효과(약효)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약물의 최대내약용량 및 용량제한 독성을 확인하고 제2상 권장용량(RP2D, Recommended Phase 2 Dose)을 확립하고자 함
* 임상방법 : 72명 내외의 HER2 양성 고형암 환자에서 VRN101099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PK), 약력학 및 항종양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제1상, 다국가, 다기관, 공개, 용량 증량 임상시험으로 해당 용량에 배정된 시험대상자에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안전성을 확인하여 다음 용량으로 증량하는 단계적 증량 방법으로 진행됨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 당사는 2024년 12월 23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의 산하기관인 St. Vincent's Hospital 로부터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REC)에 임상시험계획승인(1상)이 되었음(2024년 12월 20일)을 통보 받았습니다.
- 상기'16) 예상종료일'은 임상계획 승인일로부터 약 36개월(시험대상자의 등록 진행 속도에 따라 변경 가능)로 진행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2025년 03월 25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로부터 임상시험계획승인(1상)을 받았습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2590141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10210
से पुनः पोस्ट किया:
Buff



02.04.202507:50
2024년 외국인 의료관광 +93% yoy
피부과 +195% yoy
'외국인 환자 유치' 100만명 돌파…'의료관광 중심국가' 도약
https://www.nocutnews.co.kr/news/6318079?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402120042
피부과 +195% yoy
'외국인 환자 유치' 100만명 돌파…'의료관광 중심국가' 도약
https://www.nocutnews.co.kr/news/6318079?utm_source=naver&utm_medium=article&utm_campaign=20250402120042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blbio_official

06.04.202523:39
금일 공시를 통해 글로벌 제약사 GSK(시가총액 약 108조원)와의 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기술이전 소식을 알리게 되었습니다.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의 플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는 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기술이전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본 계약은 당사의 계속될 플랫폼 계약의 시작으로서,
1. 글로벌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플랫폼 기술이전이며
2. IGF1R 기반 BBB 셔틀로서는 글로벌 최초의 플랫폼 기술이전 입니다.
3. 또한, 플랫폼 기술이전인 만큼 무한한 확장성(모달리티 X 타깃(에피톱 단위) 확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는 약 4.1조원 (GBP 2,140,100,000)이며
계약금 및 단기 마일스톤으로 약 1,480억원 (GBP 77,100,000)을 수령하게 될 예정입니다.
- 계약금 : 약 739억원 (GBP 38,500,000원)
- 단기 마일스톤: 약 741억원 (GBP 38,600,000원)
또한, 로열티 역시 순매출에 따라 합의된 비율로 수령하게 됩니다.
이번 기술이전을 통해 GSK는
1. GSK가 보유하고 있는 복수의 신규 타깃(Novel Target)에 에이비엘바이오의 BBB셔틀(Grabody-B) 플랫폼을 적용하여
후보물질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를 이전 받게 되며,
2. 항체 뿐만 아니라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olynucleotide) 등의 모달리티(Modality)로의
확장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Nucleotide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siRNA, ASO 등이 있습니다.
지난 1월 IR행사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현재 글로벌 퇴행성뇌질환 시장에서 BBB 셔틀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으며,
이러한 흐름에 맞춰 당사도 지속적인 성과를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주 4월 9일 수요일에 개최되는 IR행사에서
본 계약의 의미를 포함하여,
연초 제시한 에이비엘바이오 성장의 네 가지 축 등에 대해
이상훈 대표님께서 직접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네 가지 성장 축]
1)신약(ABL001)
2)Grabody-B(IGF1R 기반 뇌혈관장벽 투과도 개선 플랫폼)
3)Grabody-T(4-1BB 기반 면역항암제 플랫폼)
4)이중항체 ADC
*기술이전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7900004
*에이비엘바이오 유튜브 IR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68
*에이비엘바이오 애널리스트 간담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0
*에이비엘바이오 기업설명회 공시 링크 :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04901171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리가켐바이오 IR/PR 공식 채널



28.03.202510:48
안녕하세요, 리가켐바이오 IR/BD팀입니다. 금일 UBS증권 Brandon Suh 위원님께서 당사에 대한 신규 커버리지를 개시하는 리포트를 발간해주셨습니다. 목표주가 15만원, 투자의견 매수로 제시해주셨습니다. "Just getting started"라는 제목으로 작성해주셨습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원문은 규정상 올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보고서 원문은 규정상 올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더바이오 뉴스룸

11.04.202510:32
항암신약 ‘레이저티닙(한국명 렉라자·미국명 라즈클루즈)’의 개발 주역인 오스코텍의 자회사인 제노스코의 상장이 불발됐습니다. 한국거래소 상장심사위원회는 제노스코의 상장을 두고 오스코텍과 경제적 이익을 공유하는 ‘복제 상장’이라고 정의하며 제노스코의 상장을 불허했습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이날 상장심사위원회를 열고 제노스코의 상장을 ‘미승인’으로 결론냈습니다. 제노스코가 거래소에 지난해 10월 기술특례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지 6개월 만입니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에 미승인된 제노스코의 상장에 대해 중복 상장이 아닌 복제 상장으로 규정했다”며 “모회사인 오스코텍과 자회사 제노스코 간 수익의 원천, 비즈니스 모델 등 사업 내용이 동일한 점이 심사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255
11일 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는 이날 상장심사위원회를 열고 제노스코의 상장을 ‘미승인’으로 결론냈습니다. 제노스코가 거래소에 지난해 10월 기술특례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지 6개월 만입니다.
거래소 관계자는 “이번에 미승인된 제노스코의 상장에 대해 중복 상장이 아닌 복제 상장으로 규정했다”며 “모회사인 오스코텍과 자회사 제노스코 간 수익의 원천, 비즈니스 모델 등 사업 내용이 동일한 점이 심사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255


31.03.202507:13
[원리버 4월1일 오후 9시30분 라이브 공지]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더바이오 뉴스룸

16.04.202506:39
인체조직 재생의학 전문기업인 엘앤씨바이오는 결손된 연조직 부위에 주입할 수 있는 ‘초미세 무세포진피 제조 방법’ 기술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11월 특허를 출원한 지 3년 5개월 만입니다. 여기에는 ‘메가필 하이젝트’, ‘에스텐 인젝션’의 제조 방법이 포함됐습니다.
이번 등록 특허는 초저온의 분쇄 과정을 거쳐 무세포진피 내 콜라겐의 손상과 구조의 변화 없이 미세 직경의 바늘에서 토출(액체나 기체, 분말 등을 기계나 장치에서 밖으로 내보내는 것)될 수 있는 크기로, 초미세 무세포진피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부분입니다. 미세 바늘을 통한 연부 조직 내 주입이 가능해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55
이는 지난 2021년 11월 특허를 출원한 지 3년 5개월 만입니다. 여기에는 ‘메가필 하이젝트’, ‘에스텐 인젝션’의 제조 방법이 포함됐습니다.
이번 등록 특허는 초저온의 분쇄 과정을 거쳐 무세포진피 내 콜라겐의 손상과 구조의 변화 없이 미세 직경의 바늘에서 토출(액체나 기체, 분말 등을 기계나 장치에서 밖으로 내보내는 것)될 수 있는 크기로, 초미세 무세포진피를 제조하는 기술에 대한 부분입니다. 미세 바늘을 통한 연부 조직 내 주입이 가능해져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큽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355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