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관세 시대: 스마트폰 편
[삼성증권 반도체, IT/이종욱]
4월 2일 트럼프 정부에서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반도체는 품목별 관세 항목으로 구분되어 당장의 관세 정책에서는 제외되었지만
스마트폰은 상호 관세 정책의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1. 생산 지역에 따른 영향
24년 미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1억 600만 대로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8.5%를 차지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의 22%, 삼성의 12%, 구글의 40%, 레노버의 21%, TCL의 61%가 미국에서 판매됩니다.
애플은 아이폰의 95%가 중국에서 생산되며, 인도로 생산 기지를 확대하려고 합니다.
중국 관세는 20%에서 54%로, 인도 관세는 0%에서 26%로 상승하였습니다.
애플은 이 외에도 아이패드 (중국, 베트남), Mac(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애플워치(중국, 베트남)에서도 아시아발 관세 영향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전체 매출의 75%가 관세 인상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미국 판매 비중은 12%로 글로벌 점유율(18%)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갤럭시S시리즈는 주로 베트남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은 주로 한국에서 생산됩니다. 관세가 각각 46%, 25%로 상승했습니다. 전사 매출의 6%가 노출되어 있습니다.
구글은 중국에서 주로 생산하며 19년 베트남, 24년 인도로 확장했습니다. 레노보와 TCL은 중국 기업인 만큼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두 회사 모두 중국에서 주로 생산하지만, 브라질 공장에서 중남미를 대응하기도 합니다.
2. 소비자 가격에는 얼마나 전가될 것인가
모든 세트 공급업체들이 관세에 노출된 만큼,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18년 미국이 세탁기에 20% 관세 부과 시 상승분의 60%가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었다는 사례가 있습니다(ING). 미국 소비자가전협회(CTA)에서는 중국 관세 60% 기준 소비자 가격 26% 상승을 전망했습니다.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 따라 결정되기도 합니다. 아이폰과 같은 브랜드 제품은 가격 전가 가능성이 높고, TCL, 레노보와 같은 중저가 제품은 가격 전가 대신 마진 감소를 감당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3. 수요는 얼마나 빠질 것인가
제품 1% 가격 증가시 수요는 0.2%~3.8%까지 다양하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ITIF, 2014). 주로 고가 플래그십들은 가격 탄력성이 낮고, 저가 브랜드는 가격 탄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관세 인상이 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습니다.
4. 투자 전략
예상보다 높은 상호관세에 Tech 섹터가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그러나 이번 관세 발표 이전에는 다운사이드 리스크가 컸다면, 관세 발표 이후 국가 간 협상 시작되면 업사이드 리스크가 커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관세의 영향은 센티멘트상 최악의 순간을 지나가고 있다는 것이 위안거립니다. 향후 반도체 산업의 관세 발표는 모든 악재가 공개됨을 의미합니다.
미국 노출도 측면에서 미국 기기 비중은 10% 내외로 높지 않고, 그중에서도 애플과 중국 브랜드가 상대적으로 불리하고 삼성 스마트폰이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2025/04/02 공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