से पुनः पोस्ट किया:
더바이오 뉴스룸

09.05.202510:56
종근당이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개발사인 앱클론에 122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합니다.
앱클론은 9일 종근당을 대상으로 122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주금 납입일은 오는 19일입니다.
종근당은 이번 유상증자 참여로 앱클론 보통주 140만주(지분율 약 7.3%)를 확보하게 됩니다. 신주 발행가액은 기준 주가(9692원) 대비 10%의 할인율이 적용된 8723원입니다.
앱클론은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임상 개발을 가속화할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입니다. 앱클론은 연구개발(R&D)에 올해 52억원, 2026년 60억원, 2027년 10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916
앱클론은 9일 종근당을 대상으로 122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주금 납입일은 오는 19일입니다.
종근당은 이번 유상증자 참여로 앱클론 보통주 140만주(지분율 약 7.3%)를 확보하게 됩니다. 신주 발행가액은 기준 주가(9692원) 대비 10%의 할인율이 적용된 8723원입니다.
앱클론은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임상 개발을 가속화할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입니다. 앱클론은 연구개발(R&D)에 올해 52억원, 2026년 60억원, 2027년 10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916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8.05.202505:35
2025.05.08 14:08:33
기업명: 유한양행(시가총액: 8조 8,671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694억(예상치 : 5,142억/ -9%)
영업익 : 86억(예상치 : 212억/ -59%)
순이익 : 393억(예상치 : 249억+/ 58%)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694억/ 86억/ 393억
2024.4Q 4,961억/ -118억/ -231억
2024.3Q 5,988억/ 476억/ 355억
2024.2Q 5,283억/ 185억/ 319억
2024.1Q 4,446억/ 6억/ 10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2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100
기업명: 유한양행(시가총액: 8조 8,671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4,694억(예상치 : 5,142억/ -9%)
영업익 : 86억(예상치 : 212억/ -59%)
순이익 : 393억(예상치 : 249억+/ 58%)
**최근 실적 추이**
2025.1Q 4,694억/ 86억/ 393억
2024.4Q 4,961억/ -118억/ -231억
2024.3Q 5,988억/ 476억/ 355억
2024.2Q 5,283억/ 185억/ 319억
2024.1Q 4,446억/ 6억/ 10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2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0100


04.05.202511:29
릴리 점유율 역전


29.04.202523:22
[키움 허혜민] 참고로 중국 기업 하나 소개
홍콩에 상장한 Ascletis가 저분자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ASC30(GLP-1) 1b상 다회용량증량(MAD) 시험 4주차 데이터 발표한 바 있는데
최대 6.5% 위약 대비 체중 감소 효과 확인
ASC30은 로슈의 CT-996, Viking의 VK2735 등과 효능면에서 동등 수준
Ascletis의 올해 YTD 주가 +106% 상승. 시가총액 약 1.1조 원
올해 3분기 2a 시작 예정
릴리의 경구 비만 치료제 orforglipron의 ACHIEVE-1(2형 당뇨병 3상)에서 HbA1c 최대 1.5% 감소 및 최대 6.3% 체중 감소 확인.
이제는 미국 바이오텍 데이터도 봐야하지만, 중국의 경쟁력이 올라오면서 중국 데이터도 확인해야하네요 ^^ 화이자가 결국 누굴 선택할지..?
홍콩에 상장한 Ascletis가 저분자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ASC30(GLP-1) 1b상 다회용량증량(MAD) 시험 4주차 데이터 발표한 바 있는데
최대 6.5% 위약 대비 체중 감소 효과 확인
ASC30은 로슈의 CT-996, Viking의 VK2735 등과 효능면에서 동등 수준
Ascletis의 올해 YTD 주가 +106% 상승. 시가총액 약 1.1조 원
올해 3분기 2a 시작 예정
릴리의 경구 비만 치료제 orforglipron의 ACHIEVE-1(2형 당뇨병 3상)에서 HbA1c 최대 1.5% 감소 및 최대 6.3% 체중 감소 확인.
이제는 미국 바이오텍 데이터도 봐야하지만, 중국의 경쟁력이 올라오면서 중국 데이터도 확인해야하네요 ^^ 화이자가 결국 누굴 선택할지..?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9.04.202522:34
2025.04.29 18:51:12
기업명: 바이오솔루션(시가총액: 2,208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제목 :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 주요내용
1) 품목허가 품목명:
- 카티라이프(CartiLife®, 바솔자가유래자가연골세포)
2) 적응증:
-관절연골이 손상 또는 결손된 대상자에 대한 자가유래 연골세포치료제(카티라이프)의 이식
3) 품목허가 신청일, 허가일 및 허가기관:
-신청일: 2024년 04월 23일
-허가일: 2025년 04월 29일
-품목허가 기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4) 허가사항:
용법용량
-첨부물(의약품직접주입기) 관련 문구 추가
사용상의 주의사항
-투여금지 대상(HCV, HIV-1/2 양성인 환자) 삭제
-3상 임상에 따른 안전성 정보 추가
-과량투여시의 처치 항목 추가 등
허가조건
-치료적확증 임상시험 조건 삭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97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6820
기업명: 바이오솔루션(시가총액: 2,208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제목 :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의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 변경허가 획득
* 주요내용
1) 품목허가 품목명:
- 카티라이프(CartiLife®, 바솔자가유래자가연골세포)
2) 적응증:
-관절연골이 손상 또는 결손된 대상자에 대한 자가유래 연골세포치료제(카티라이프)의 이식
3) 품목허가 신청일, 허가일 및 허가기관:
-신청일: 2024년 04월 23일
-허가일: 2025년 04월 29일
-품목허가 기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4) 허가사항:
용법용량
-첨부물(의약품직접주입기) 관련 문구 추가
사용상의 주의사항
-투여금지 대상(HCV, HIV-1/2 양성인 환자) 삭제
-3상 임상에 따른 안전성 정보 추가
-과량투여시의 처치 항목 추가 등
허가조건
-치료적확증 임상시험 조건 삭제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97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6820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9.05.202506:50
2025.05.09 15:42:54
기업명: 셀트리온(시가총액: 35조 2,32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8,419억(예상치 : 9,492억/ -11%)
영업익 : 1,494억(예상치 : 2,171억/ -31%)
순이익 : 1,087억(예상치 : 1,808억/ -4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8,419억/ 1,494억/ 1,087억
2024.4Q 10,636억/ 1,964억/ 2,356억
2024.3Q 8,819억/ 2,077억/ 841억
2024.2Q 8,747억/ 725억/ 785억
2024.1Q 7,370억/ 154억/ 20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980043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8270
기업명: 셀트리온(시가총액: 35조 2,32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8,419억(예상치 : 9,492억/ -11%)
영업익 : 1,494억(예상치 : 2,171억/ -31%)
순이익 : 1,087억(예상치 : 1,808억/ -4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8,419억/ 1,494억/ 1,087억
2024.4Q 10,636억/ 1,964억/ 2,356억
2024.3Q 8,819억/ 2,077억/ 841억
2024.2Q 8,747억/ 725억/ 785억
2024.1Q 7,370억/ 154억/ 20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980043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68270
07.05.202522:52
★ [키움 허혜민] ★ 제약바이오 인싸이트 – 리쇼어링, FDA 인사 논란, 약가 정책 삼중고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생산 확대를 유도하는 행정명령과 관세 및 메디케어 약가 책정 계획 발표 예고로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리쇼어링과 제조 투자 확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
게다가, FDA 인사 교체와 규제 강화 기조는 신약 개발 속도 저하 우려를 키우고 있음.
이에 따라, 빅파마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외부 기술에 더 의존할 수 있음.
다만, 당분간 정책 관망 필요. 이미 승인 받은 약물 또는 모멘텀을 보유한 승인 타겟/약물의 제형 변경 개발 바이오텍 등 안전지대로 판단.
K-BIO는 이러한 시기를 기회 삼아 R&D 투자 확대,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 모색 필요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1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트럼프 대통령의 자국 생산 확대를 유도하는 행정명령과 관세 및 메디케어 약가 책정 계획 발표 예고로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은 리쇼어링과 제조 투자 확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
게다가, FDA 인사 교체와 규제 강화 기조는 신약 개발 속도 저하 우려를 키우고 있음.
이에 따라, 빅파마는 신약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해 외부 기술에 더 의존할 수 있음.
다만, 당분간 정책 관망 필요. 이미 승인 받은 약물 또는 모멘텀을 보유한 승인 타겟/약물의 제형 변경 개발 바이오텍 등 안전지대로 판단.
K-BIO는 이러한 시기를 기회 삼아 R&D 투자 확대,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 등을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 모색 필요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I531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01.05.202522:55
[키움 허혜민] 2025년 1분기 바이오파마 VC 투자, 전년 대비 20% 감소
GlobalData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파마 벤처 투자 금액은 2024년 1분기 81억 달러 → 2025년 1분기 65억 달러로 20% 감소
투자 건수는 9% 감소한 162건
임상 3상 단계 기업의 중간 투자 금액은 6,250만 달러로 가장 높았음
-> 임상 데이터를 갖춘 후기 개발 기업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사상 최대 자금 유입
2022~23년: 시장 조정기
2025년: 정상화 예상됐으나, 트럼프 수입 관세 정책 여파로 시장 변동성 심화로 기대에 못 미치는 투자환경 지속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biopharma-vc-financing-fell-20-q1-compared-24-globaldata
GlobalData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파마 벤처 투자 금액은 2024년 1분기 81억 달러 → 2025년 1분기 65억 달러로 20% 감소
투자 건수는 9% 감소한 162건
임상 3상 단계 기업의 중간 투자 금액은 6,250만 달러로 가장 높았음
-> 임상 데이터를 갖춘 후기 개발 기업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사상 최대 자금 유입
2022~23년: 시장 조정기
2025년: 정상화 예상됐으나, 트럼프 수입 관세 정책 여파로 시장 변동성 심화로 기대에 못 미치는 투자환경 지속
https://www.fiercebiotech.com/biotech/biopharma-vc-financing-fell-20-q1-compared-24-globaldata
30.04.202508:54
29.04.202522:50
[키움 허혜민] 화이자, 비만 R&D 도입 계획에 관련주 상승
실적발표에서 비만치료제 포함 심장대사 약물 추가하기 위한 계약 모색 계획 밝혔음
화이자 CEO는 앞으로 GIPR 길항제와 같은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파트너십이나 인수를 포함한 외부 기회를 모색하여 비만 분야를 포함한 심장대사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언급
이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볼라는 경구 비만치료제 다누글리프론 부진 이후 회사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올해 총 $15B 규모의 2~3건의 인수 계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9/pfizer-pfe-slashes-spending-on-weaker-revenue-after-obesity-failure
Metsera +17.62%, Viking +7.71%, Structure +9.7%, Terns +5.8% 상승 마감
실적발표에서 비만치료제 포함 심장대사 약물 추가하기 위한 계약 모색 계획 밝혔음
화이자 CEO는 앞으로 GIPR 길항제와 같은 프로그램을 발전시키고, 파트너십이나 인수를 포함한 외부 기회를 모색하여 비만 분야를 포함한 심장대사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데 전념할 것이라고 언급
이후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볼라는 경구 비만치료제 다누글리프론 부진 이후 회사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해 올해 총 $15B 규모의 2~3건의 인수 계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25-04-29/pfizer-pfe-slashes-spending-on-weaker-revenue-after-obesity-failure
Metsera +17.62%, Viking +7.71%, Structure +9.7%, Terns +5.8% 상승 마감
29.04.202522:26
★ [키움 허혜민] ★ 에스티팜, 실적은 1분기가 바닥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상향, 목표가 10만 원 하향.
1분기 매출 부진 영향으로 기대치 하회. (영업이익 10억 원 vs 컨센서스 41억 원)
분기별 공급 일정으로 인한 부진은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었던 바로, 장 중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 발표에도 동사의 주가는 -1.4% 하락에 그쳤음.
1분기가 분기 실적 바닥으로 4분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35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 / 허혜민]
◆ 애널리스트 코멘트
투자의견 BUY 상향, 목표가 10만 원 하향.
1분기 매출 부진 영향으로 기대치 하회. (영업이익 10억 원 vs 컨센서스 41억 원)
분기별 공급 일정으로 인한 부진은 시장에서 예상하고 있었던 바로, 장 중 기대치를 하회하는 실적 발표에도 동사의 주가는 -1.4% 하락에 그쳤음.
1분기가 분기 실적 바닥으로 4분기로 갈수록 실적 개선 기대.
키움 제약/바이오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335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09.05.202501:16
2025.05.09 10:16:06
기업명: 에스케이바이오팜(시가총액: 7조 6,747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444억(예상치 : 1,567억/ -8%)
영업익 : 257억(예상치 : 341억/ -25%)
순이익 : 233억(예상치 : 266억/ -1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444억/ 257억/ 233억
2024.4Q 1,630억/ 407억/ 1,864억
2024.3Q 1,366억/ 193억/ 63억
2024.2Q 1,340억/ 260억/ 246억
2024.1Q 1,140억/ 103억/ 9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980010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6030
기업명: 에스케이바이오팜(시가총액: 7조 6,747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444억(예상치 : 1,567억/ -8%)
영업익 : 257억(예상치 : 341억/ -25%)
순이익 : 233억(예상치 : 266억/ -12%)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444억/ 257억/ 233억
2024.4Q 1,630억/ 407억/ 1,864억
2024.3Q 1,366억/ 193억/ 63억
2024.2Q 1,340억/ 260억/ 246억
2024.1Q 1,140억/ 103억/ 9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980010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26030
07.05.202522:26
01.05.202522:46
아니 기사 제목...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79136
‘살보다 주가가 더 빠지네’…美일라이릴리 주가 급락
그럼에도 이날 주가가 크게 하락한 건 미국 최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인 CVS가 오는 7월부터 젭바운드를 일부 보험급여에서 제외하고 위고비는 유지하기로 했단 소식 때문이다.
일라이릴리는 올해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 전망치를 인수합병 관련 비용을 반영, 기존 22.50~24달러에서 20.78~22.28달러로 낮췄다.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479136
‘살보다 주가가 더 빠지네’…美일라이릴리 주가 급락
그럼에도 이날 주가가 크게 하락한 건 미국 최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인 CVS가 오는 7월부터 젭바운드를 일부 보험급여에서 제외하고 위고비는 유지하기로 했단 소식 때문이다.
일라이릴리는 올해 연간 조정 주당순이익 전망치를 인수합병 관련 비용을 반영, 기존 22.50~24달러에서 20.78~22.28달러로 낮췄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바이오스펙테이터

30.04.202506:45
화이자(Pfizer)의 피하주사(SC)제형의 PD-1 항체 ‘사산리맙(sasanlimab)’이 방광암 임상3상에서 질병 재발 및 진행, 사망에 대한 위험을 32% 낮춘 결과를 내놨습니다.
화이자는 올해 1월 사산리맙이 EFS를 개선해 방광암 임상3상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드디어 PD-1 영역으로의 진입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번 AUA2025 학회에서 화이자는 BCG 단독투여보다 BCG와 사산리맙을 병용했을 때 위험율이 32% 낮아진 수치를 공개했습니다.
특히 비근침윤성 방광암(NMIBC)는 1차치료제로 지난 수십년간 BCG가 사용됐으나, 치료후 40~50%의 환자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최근 계속해서 BCG unresponsive 환자를 대상으로 신약이 허가 받은 상황 속에서 BCG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BCG를 투여하지 않은(BCG-naïve) 환자를 대상으로 사산리맙의 효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번 임상결과는 의미가 있네요.
또한 사산리맙은 IV에서 SC로 제형변경한 것이 아닌 처음부터 BCG와 병용할 수 있게 SC제형으로 개발된 것으로,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등의 보조제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화이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사산리맙이 가진 투여용이성은 키트루다, 티센트릭, 옵디보 등의 SC형태와 구분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74
화이자는 올해 1월 사산리맙이 EFS를 개선해 방광암 임상3상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드디어 PD-1 영역으로의 진입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이번 AUA2025 학회에서 화이자는 BCG 단독투여보다 BCG와 사산리맙을 병용했을 때 위험율이 32% 낮아진 수치를 공개했습니다.
특히 비근침윤성 방광암(NMIBC)는 1차치료제로 지난 수십년간 BCG가 사용됐으나, 치료후 40~50%의 환자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최근 계속해서 BCG unresponsive 환자를 대상으로 신약이 허가 받은 상황 속에서 BCG를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지만 BCG를 투여하지 않은(BCG-naïve) 환자를 대상으로 사산리맙의 효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번 임상결과는 의미가 있네요.
또한 사산리맙은 IV에서 SC로 제형변경한 것이 아닌 처음부터 BCG와 병용할 수 있게 SC제형으로 개발된 것으로,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등의 보조제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화이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사산리맙이 가진 투여용이성은 키트루다, 티센트릭, 옵디보 등의 SC형태와 구분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974
29.04.202522:42
[키움 허혜민] 머크 키트루다 생산을 위해 델라웨어에 $1B 투자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해외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위협하면서 이는 미국에서 의약품을 제조하려는 대형 제약회사의 또 다른 이니셔티브
머크는 지난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관세로 인한 $200mn 손실을 2025년 실적 가이던스에 포함시켰다고 밝힌 바 있음.
https://www.fiercepharma.com/manufacturing/delaware-merck-begins-construction-1b-keytruda-manufacturing-facility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해외에서 생산되는 의약품을 표적으로 삼는 것을 위협하면서 이는 미국에서 의약품을 제조하려는 대형 제약회사의 또 다른 이니셔티브
머크는 지난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관세로 인한 $200mn 손실을 2025년 실적 가이던스에 포함시켰다고 밝힌 바 있음.
https://www.fiercepharma.com/manufacturing/delaware-merck-begins-construction-1b-keytruda-manufacturing-facility
29.04.202522:17
08.05.202522:35
07.05.202500:42
주주님께 드리는 글 [UPDATE -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관련 당사의 입장 및 대응 전략 안내(3)]
이달 5일(현지 시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의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향후 2주 이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이에 대한 일부 주주님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난 2월 19일 [UPDATE -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관련 당사의 입장 및 대응 전략 안내(2)] 공지문을 통해 회사에서 검토 중인 대응 전략에 대해 설명 드렸습니다.
주주님들께 이번에 발표된 예고 내용에 따라 현재까지 검토 진행된 대응 전략에서 추가된 사항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고자 합니다.
■ 셀트리온 대응 전략 및 진행 상황
단기 대응 전략으로 당사는 2025년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현재 약 15개월 분의 재고 이전을 완료해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미국 내 판매분을 넘어 내년 상반기 판매분에 대해서도 관세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시킨 상황입니다.
중기적으로 당사는 미국 현지 CMO 업체를 통한 완제의약품(DP) 생산 계약을 완료했으며, 이에 따라 현지에서 생산 가능한 물량을 이미 확보한 상황입니다. 또한 관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분에 대해서도 제조소와의 협의를 통해 추가 계약이 진행될 수 있도록 조치를 끝마쳤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대응 전략을 통해 올해를 넘어 내년 이후에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들을 이미 갖춘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장기 대응 차원에서 진행 중인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의 경우 예비 검토를 끝낸 가운데 종합적인 내용들을 포괄한 상세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제반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리스크 대응책을 빠르게 마련할 것입니다.
당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관세 변화와 관련하여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통해 철저하게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미국 내 의약품 관세 정책이 확정될 경우 이에 대한 회사의 종합적인 대책을 상세히 마련하고, 이를 주주 여러분들께 조속히 공유해 회사에 대한 신뢰와 성원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celltrion.com/ko-kr/preview/notice/3913
이달 5일(현지 시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의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향후 2주 이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이에 대한 일부 주주님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난 2월 19일 [UPDATE -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정책 관련 당사의 입장 및 대응 전략 안내(2)] 공지문을 통해 회사에서 검토 중인 대응 전략에 대해 설명 드렸습니다.
주주님들께 이번에 발표된 예고 내용에 따라 현재까지 검토 진행된 대응 전략에서 추가된 사항들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고자 합니다.
■ 셀트리온 대응 전략 및 진행 상황
단기 대응 전략으로 당사는 2025년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현재 약 15개월 분의 재고 이전을 완료해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올해 미국 내 판매분을 넘어 내년 상반기 판매분에 대해서도 관세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시킨 상황입니다.
중기적으로 당사는 미국 현지 CMO 업체를 통한 완제의약품(DP) 생산 계약을 완료했으며, 이에 따라 현지에서 생산 가능한 물량을 이미 확보한 상황입니다. 또한 관세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분에 대해서도 제조소와의 협의를 통해 추가 계약이 진행될 수 있도록 조치를 끝마쳤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대응 전략을 통해 올해를 넘어 내년 이후에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들을 이미 갖춘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장기 대응 차원에서 진행 중인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 생산시설 확보의 경우 예비 검토를 끝낸 가운데 종합적인 내용들을 포괄한 상세 검토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제반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다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리스크 대응책을 빠르게 마련할 것입니다.
당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관세 변화와 관련하여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통해 철저하게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미국 내 의약품 관세 정책이 확정될 경우 이에 대한 회사의 종합적인 대책을 상세히 마련하고, 이를 주주 여러분들께 조속히 공유해 회사에 대한 신뢰와 성원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celltrion.com/ko-kr/preview/notice/3913
01.05.202503:32
से पुनः पोस्ट किया: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30.04.202506:44
2025.04.30 15:39:27
기업명: 녹십자(시가총액: 1조 4,5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838억(예상치 : 4,077억/ -6%)
영업익 : 80억(예상치 : 58억/ +38%)
순이익 : 297억(예상치 : 6억+/ 485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838억/ 80억/ 297억
2024.4Q 4,409억/ -101억/ -387억
2024.3Q 4,649억/ 396억/ 358억
2024.2Q 4,174억/ 176억/ -91억
2024.1Q 3,568억/ -150억/ -30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2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6280
기업명: 녹십자(시가총액: 1조 4,515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838억(예상치 : 4,077억/ -6%)
영업익 : 80억(예상치 : 58억/ +38%)
순이익 : 297억(예상치 : 6억+/ 485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838억/ 80억/ 297억
2024.4Q 4,409억/ -101억/ -387억
2024.3Q 4,649억/ 396억/ 358억
2024.2Q 4,174억/ 176억/ -91억
2024.1Q 3,568억/ -150억/ -30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62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6280
29.04.202522:36
제목 : 올리패스(주) 상장폐지 관련 이의신청서 접수 및 개선기간 부여
동 사는 최근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감사범위제한으로 인한 한정으로 상장폐지사유가 발생('25.04.07)한 바 있으며, 금일('25.04.28)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60조의 규정에 따라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였습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5조의 규정에 따라 차기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의 다음날부터 10일('26.04.10*)까지 개선기간을 부여하였으며, 동 개선기간 중에는 매매거래정지가 지속됩니다.
* 사업보고서 제출기한 연장 신고 또는 금융당국의 제출지연 제재 면제 승인 등으로 변동 가능
또한 개선기간 종료 후 15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개선계획 이행내역서 및 개선계획 이행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확인서 등을 제출받아 관련 서류제출일로부터 20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당해 주권의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의결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 관련 공시 : 기타시장안내(상장폐지 관련) ('25.04.07)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900886
동 사는 최근 사업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이 감사범위제한으로 인한 한정으로 상장폐지사유가 발생('25.04.07)한 바 있으며, 금일('25.04.28)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60조의 규정에 따라 이의신청서를 제출하였습니다.
거래소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5조의 규정에 따라 차기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의 다음날부터 10일('26.04.10*)까지 개선기간을 부여하였으며, 동 개선기간 중에는 매매거래정지가 지속됩니다.
* 사업보고서 제출기한 연장 신고 또는 금융당국의 제출지연 제재 면제 승인 등으로 변동 가능
또한 개선기간 종료 후 15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개선계획 이행내역서 및 개선계획 이행결과에 대한 전문가의 확인서 등을 제출받아 관련 서류제출일로부터 20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하여 당해 주권의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의결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 관련 공시 : 기타시장안내(상장폐지 관련) ('25.04.07)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8900886


29.04.202513:57
노바티스의 렉비오 1Q25 $257mn(YoY +72%) 올해 블록버스터 예약이네요
#에스티팜 #올리고 #API
#에스티팜 #올리고 #API
दिखाया गया 1 - 24 का 904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