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브이티
본 채널의 게시물은 단순 의견 및 기록용도이고 매수-매도 등 투자권유를 의미하지 않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부정확할 수 있으며 매매에 따른 손실은 거래 당사자의 책임입니다.
해당 게시물의 내용은 어떤 경우에도 법적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Feb 18, 2025
TGlist में जोड़ा गया
Mar 25, 2025से पुनः पोस्ट किया:investor92
IN


25.03.202511:58
NDR 자료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1. 1분기 YoY 성장하지만 QoQ 감익 예상
2. 마케팅 비용 상승 (24년 기준 6.X% -> 25년 기준 MAX 8%)
3. 재고 현재 2.5개월 분 / 증설 관련해서는 레벨업 확인되면 진행할 것 (미국 / 중국 데이터 확인 후 진행하겠다는 의도)
4. 지역별
- 일본: 23년 온라인 / 24년 오프라인 / 25년 오프라인 판매 강화
- 중국: 4월부터 마케팅(왕홍) 시작 / 1분기 오더 4Q24 대비 증가
- 미국: 코스트코 1,2차 물량 완판 3차 오더 진행중 / 얼타 및 코스트코 온,오프라인 6월 시작으로 7월 입점 마무리
- 기타: 전방위적 오더 증가 (동남아, 홍콩, 중동, 러시아, CIS, 유럽, 남미 및 인도)
5. 25년 가이던스
- 지역별 매출 비중: 국내 38% 일본 33% 중화권 5% 미국 7% 기타 17%
- 위 매출 비중을 기반으로 내년 25년 화장품 별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음
- 화장품 별도 매출: 4717.9억 (국내: 1792.802억 / 일본: 1556.907억 / 중화권: 235.895억 / 미국: 330.253억 / 기타: 802.043억)
- 화장품 별도 매출 YoY: 47.8% / 화장품 영업이익(27% 가정) YoY: 33.9%.
- 에이피알(연결) 가이던스 비교: 24년 매출 7227.5억 영업이익 1227억 / 25년 매출 9394억 영업이익 1616억
- 에이피알 매출 YoY: 30.3% / 영업이익 YoY 31.7%
위 내용을 기반과 현재 주가에 대한 코멘트를 하자면,
1분기 YoY 성장은 하지만 QoQ 감익으로 1분기가 상당히 아쉬운 상황
1분기만 보면 회사는 올해 성장을 못하고 정체된 상황에 머물게 되며 앞으로 높은 밸류는 줄 수 없는 상황
앞으로 실적이 찍힐 부분에 대한 밸류는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됨
1. 1분기 YoY 성장하지만 QoQ 감익 예상
2. 마케팅 비용 상승 (24년 기준 6.X% -> 25년 기준 MAX 8%)
3. 재고 현재 2.5개월 분 / 증설 관련해서는 레벨업 확인되면 진행할 것 (미국 / 중국 데이터 확인 후 진행하겠다는 의도)
4. 지역별
- 일본: 23년 온라인 / 24년 오프라인 / 25년 오프라인 판매 강화
- 중국: 4월부터 마케팅(왕홍) 시작 / 1분기 오더 4Q24 대비 증가
- 미국: 코스트코 1,2차 물량 완판 3차 오더 진행중 / 얼타 및 코스트코 온,오프라인 6월 시작으로 7월 입점 마무리
- 기타: 전방위적 오더 증가 (동남아, 홍콩, 중동, 러시아, CIS, 유럽, 남미 및 인도)
5. 25년 가이던스
- 지역별 매출 비중: 국내 38% 일본 33% 중화권 5% 미국 7% 기타 17%
- 위 매출 비중을 기반으로 내년 25년 화장품 별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음
- 화장품 별도 매출: 4717.9억 (국내: 1792.802억 / 일본: 1556.907억 / 중화권: 235.895억 / 미국: 330.253억 / 기타: 802.043억)
- 화장품 별도 매출 YoY: 47.8% / 화장품 영업이익(27% 가정) YoY: 33.9%.
- 에이피알(연결) 가이던스 비교: 24년 매출 7227.5억 영업이익 1227억 / 25년 매출 9394억 영업이익 1616억
- 에이피알 매출 YoY: 30.3% / 영업이익 YoY 31.7%
위 내용을 기반과 현재 주가에 대한 코멘트를 하자면,
1분기 YoY 성장은 하지만 QoQ 감익으로 1분기가 상당히 아쉬운 상황
1분기만 보면 회사는 올해 성장을 못하고 정체된 상황에 머물게 되며 앞으로 높은 밸류는 줄 수 없는 상황
앞으로 실적이 찍힐 부분에 대한 밸류는 반영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됨
25.03.202512:06
개인적인 생각으로 중국 매출 비중이 왜 이렇게 낮을까에 대해 조금 생각을 해봤는데, 이거는 회사도 알 수 없는 것 같음
지금은 샤오홍슈를 통해 자체 바이럴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데, 왕홍 등을 통해서 비용을 투입하면서 마케팅 진행시 어느정도의 반응이 올지에 대한 부분은 회사로서도 추측하기 쉽지 않은 상황
실제 마케팅 진행하면서 긍정적인 반응이 오게 된다면 NDR에서 언급한 중국 매출에 대한 비중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생각함
지금은 샤오홍슈를 통해 자체 바이럴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데, 왕홍 등을 통해서 비용을 투입하면서 마케팅 진행시 어느정도의 반응이 올지에 대한 부분은 회사로서도 추측하기 쉽지 않은 상황
실제 마케팅 진행하면서 긍정적인 반응이 오게 된다면 NDR에서 언급한 중국 매출에 대한 비중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생각함
17.04.202503:12
신한투자증권 화장품/의복 담당 박현진 입니다. 금일 화장품/의류주들 주가 창이 대체로 빨강빨강하네요, 미국 관세 상승에 대한 노이즈, 시장 우려를 좋게 해석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생겨나는거 같기도 합니다.
🔜 금일 주가 상승 이유는
☑️ 1) 미국 관세 인상으로 한국 화장품의 미국/서구권 수요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란 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 2) 미국-중국 관세 폭등으로 중국산 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할 전망이며
☑️ 3) 각국의 추경 확대 기조로 내수 소비가 좋아질 것이란 뷰 확산으로 요약됩니다.
화장품사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들이 상당수고, 일부는 1분기 실적이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 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펌텍코리아,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이죠.
1분기가 아니라도, 2~4분기 실적 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관련기업으로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등이 있지요.
지난번 자료에서도 언급 드렸지만,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2분기 화장품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3)에 관심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만큼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가능성과 그로 인해 소비 경기가 나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추경확대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어 보입니다. 일본, 한국, 중국 다 마찬가지 입니다.
내수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고, 화장품/의류브랜드사에 대해 재평가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해요, 물론 화장품을 수출산업이 되어 내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의류는 아직 내수 비중이 높습니다.
제 지갑에 현금이 생긴다면, 지역화폐를 받는다면 외식비, 교육비에 먼저 지출할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쓰고도 돈이 남으면 저가 화장품, 저가 의류 소비도 늘리지 싶어요, 그 점에서 내수소비가 하나의 테마가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
🔜 금일 주가 상승 이유는
☑️ 1) 미국 관세 인상으로 한국 화장품의 미국/서구권 수요가 낮아지지 않을 것이다란 뷰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 2) 미국-중국 관세 폭등으로 중국산 제품 대비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 확보에 유리할 전망이며
☑️ 3) 각국의 추경 확대 기조로 내수 소비가 좋아질 것이란 뷰 확산으로 요약됩니다.
화장품사들의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 부합하는 기업들이 상당수고, 일부는 1분기 실적이 에프엔가이드 컨센서스를 상회할 것이라 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콜마, 아모레퍼시픽, 펌텍코리아, 에이피알, 실리콘투 등이죠.
1분기가 아니라도, 2~4분기 실적 회복 기대감을 높이는 경우가 다수 입니다. 관련기업으로 코스메카코리아, 씨앤씨인터내셔널, 아이패밀리에스씨 등이 있지요.
지난번 자료에서도 언급 드렸지만,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해 2분기 화장품 공급 계획에 변화가 있는건 아니라는게 업계 중론이다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3)에 관심이 필요하다 생각됩니다. 미국이 관세를 올리는 만큼 소비자가격에 전가될 가능성과 그로 인해 소비 경기가 나빠질 우려가 커지면서 각국이 추경확대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가고 있어 보입니다. 일본, 한국, 중국 다 마찬가지 입니다.
내수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고, 화장품/의류브랜드사에 대해 재평가 기회가 생기지 않을까해요, 물론 화장품을 수출산업이 되어 내수 의미가 크진 않지만, 의류는 아직 내수 비중이 높습니다.
제 지갑에 현금이 생긴다면, 지역화폐를 받는다면 외식비, 교육비에 먼저 지출할 것으로 보이며, 그렇게 쓰고도 돈이 남으면 저가 화장품, 저가 의류 소비도 늘리지 싶어요, 그 점에서 내수소비가 하나의 테마가 될수 있다 생각합니다. 참고하세요!
25.03.202512:12
3월 끝나고 반등을 할 수도 있고, 반등 못하면 1분기 실적 까지는 까봐야 될 것으로 생각됨
25.03.202512:10
비중이 작긴 하지만 티몰에서 전달 대비 판매 단가 및 수량이 적어진 것을 보고 조금은 걱정했으나, 회사에서는 반응이 괜찮다고 평가하는 것을 보니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가투방(DCTG) 저장소

08.04.202507:38
https://m.blog.naver.com/ssinmusa/223826300883
#예스아시아홀딩스 #실리콘투 #K뷰티 #관세
#예스아시아홀딩스 #실리콘투 #K뷰티 #관세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25.03.202502:14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25년 2월 면세점 판매 데이터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총괄 매출액
- 합산: 6.9억달러(+1% YoY/ +6% MoM)
- 내국인: 1.6억달러(-13% YoY/ -9% MoM)
- 외국인: 5.3억달러(+6% YoY/ +11% MoM)
2. 총괄 이용객수
- 합산: 210만명(-2% YoY/ -8% MoM)
- 내국인: 144만명(-5% YoY/ -6% MoM)
- 외국인: 65만명(+6% YoY/ -12% MoM)
3. 시내 면세점
- 매출액: 5.3억달러(+2% YoY/ +11% MoM)
- 이용객수: 79만명(+13% YoY/ -5% MoM)
4. 출국장 면세점
- 매출액: 1.4억달러(+8% YoY/ -6% MoM)
- 이용객수: 95만명(-4% YoY/ -10% MoM)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총괄 매출액
- 합산: 6.9억달러(+1% YoY/ +6% MoM)
- 내국인: 1.6억달러(-13% YoY/ -9% MoM)
- 외국인: 5.3억달러(+6% YoY/ +11% MoM)
2. 총괄 이용객수
- 합산: 210만명(-2% YoY/ -8% MoM)
- 내국인: 144만명(-5% YoY/ -6% MoM)
- 외국인: 65만명(+6% YoY/ -12% MoM)
3. 시내 면세점
- 매출액: 5.3억달러(+2% YoY/ +11% MoM)
- 이용객수: 79만명(+13% YoY/ -5% MoM)
4. 출국장 면세점
- 매출액: 1.4억달러(+8% YoY/ -6% MoM)
- 이용객수: 95만명(-4% YoY/ -10% MoM)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25.03.202512:11
그런데 오늘 주가를 던지듯이 판 것은 결국 1분기에 대한 아쉬움 때문이 아닐까로 생각이 되는데
25.03.202512:11
위에서 언급했듯이 위 매출 추정치는 누구나 다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도미
25.03.202510:42
근데 어차피 형들 다 뭔 말인지 알잔항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