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국내외 유통/화장품 트렌드와 상장/비상장 기업에 대한 뉴스와 의견을 공유 합니다. 상장 기업 뿐 아니라 비상장 기업 투자에도 도움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겠습니다.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
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
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Черв 03, 2019
TGlist में जोड़ा गया
Вер 13, 2024

रिकॉर्ड

20.04.202523:59
7.2Kसदस्य
21.03.202523:59
200उद्धरण सूचकांक
14.01.202523:59
3.2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14.01.202523:59
4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12.04.202523:59
2.49%ER
30.09.202423:59
37.56%ERR

[한투증권 김명주] 유통/화장품 के लोकप्रिय पोस्ट

21.04.202503:34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최근(4월 1~20일) 화장품 수출 데이터를 보면 홍콩향 수출이 빠르게 회복(YoY)하고 있습니다.

1) 홍콩->심천이 전통적인(?) 따이공 루트 중에 하나라는 점 2) 하이난 면세의 객단가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3월 +27.8% YoY) 등을 고려 시 중국 화장품 산업이 바닥을 다지고 있음은 분명해 보입니다.
 
11.04.202502:30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25년 4월 1~10일 화장품 수출 데이터(잠정치)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국가별 수출액 증감(% MoM)
- 전체: 3억 5,579만달러(+71.8% MoM)
- (조업일수 미고려) 중국 +79.4%, 미국 +54.7%, 일본 +37.7%
, 베트남 +22.8%, 홍콩 +77.8%, 태국 +13.6%, 러시아 +53.4%, 폴란드 +161.0%
- (조업일수 고려) 전체 +11.2%, 중국 +16.1%, 미국 +0.1%, 일본 -10.9%, 베트남 -20.6%, 홍콩 +15.0%, 태국 -26.5%, 러시아 -0.7%, 폴란드 +68.9%

2. 국가별 수출액 증감(% YoY)
- 전체: 3억 5,579만달러(+43.8% YoY)
- (조업일수 미고려) 중국 +32.0%, 미국 +18.2%, 일본 +23.9%
, 베트남 -18.2%, 홍콩 +120.8%, 태국 +22.1%, 러시아 -4.6%, 폴란드 -%
- (조업일수 고려) 전체 +26.9%, 중국 +16.4%, 미국 +4.3%, 일본 +9.3%, 베트남 -27.9%, 홍콩 +94.9%, 태국 +7.7%, 러시아 -15.8%, 폴란드 -%

3. 국가별 비중(%)
- 중국 19.4%, 미국 17.2%, 일본 9.5%, 베트남 3.6%, 홍콩 7.3%, 태국 1.9%, 러시아 2.8%, 폴란드 3.0%

4. 국가별 비중 전월대비 증감률(%p)
- 중국 +0.8%p, 미국 -1.9%p, 일본 -2.3%p, 베트남 -1.5%p, 홍콩 +0.2%p, 태국 -1.0%p, 러시아 -0.3%p, 폴란드 +1.0%p

* HS Code 33: 향료·화장품 기준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20.04.202510:14
20일 대체 데이터 플랫폼 한경에이셀(Aicel)에 따르면 올리브영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한 신용카드 결제금액(추정치)은 올해 1분기(1~3월) 4225억원으로, 작년 동기(4741억원) 대비 11% 감소했다. 월별로는 작년 10월 이후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032211
01.04.202501:20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25년 3월 1~31일 화장품 수출 데이터(잠정치)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국가별 수출액 증감(% MoM)
- 전체: 9억 4,021만달러(+9.6% MoM)
- 중국 +22.4%, 미국 +11.7%, 일본 +1.9%
, 베트남 -5.9%, 홍콩 +23.7%, 태국 +12.9%, 러시아 +23.9%, 폴란드 +51.1%

2. 국가별 수출액 증감(% YoY)
- 전체: 9억 4,021만달러(+24.6% YoY)
- 중국 +10.3%, 미국 +22.8%, 일본 +9.6%
, 베트남 -10.7%, 홍콩 +83.7%, 태국 +10.9%, 러시아 +35.8%, 폴란드 +281.2%

3. 국가별 비중(%)
- 중국 21.3%, 미국 16.6%, 일본 9.8%
, 베트남 4.5%, 홍콩 8.3%, 태국 2.2%, 러시아 3.8%, 폴란드 2.7%

4. 국가별 비중 전월대비 증감률(%p)
- 중국 +2.2%p, 미국 +0.3%p, 일본 -0.7%p, 베트남 -0.7%p, 홍콩 +1.0%p, 태국 +0.1%p, 러시아 +0.4%p, 폴란드 +0.7%p

* HS Code 33: 향료·화장품 기준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21.04.202501:35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25년 4월 1~20일 화장품 수출 데이터(잠정치)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국가별 수출액 증감(% MoM)
- 전체: 5억 8,551만달러(+4.0% MoM)

- (조업일수 미고려) 중국 +13.4%, 미국 -11.0%, 일본 +6.3%, 베트남 -18.6%, 홍콩 +9.3%, 태국 +6.7%, 러시아 +32.4%, 폴란드 +10.3%
- (조업일수 고려) 전체 -6.1%, 중국 +2.5%, 미국 -19.6%, 일본 -4.0%, 베트남 -26.5%, 홍콩 -1.3%, 태국 -3.6%, 러시아 +19.6%, 폴란드 -0.4%

2. 국가별 수출액 증감(% YoY)
- 전체: 5억 8,551만달러(+7.9% YoY)
- (조업일수 미고려) 중국 -10.5%, 미국 -9.7%, 일본 -2.7%
, 베트남 -29.7%, 홍콩 +66.0%, 태국 +20.1%, 러시아 +21.4%, 폴란드 -%
- (조업일수 고려) 전체 +7.9%, 중국 -10.5%, 미국 -9.7%, 일본 -2.7%, 베트남 -29.7%, 홍콩 +66.0%, 태국 +20.1%, 러시아 +21.4%, 폴란드 -%

3. 국가별 비중(%)
- 중국 21.2%, 미국 15.8%, 일본 10.4%
, 베트남 3.7%, 홍콩 7.5%, 태국 2.4%, 러시아 4.1%, 폴란드 2.8%

4. 국가별 비중 전월대비 증감률(%p)
- 중국 +1.8%p, 미국 -2.7%p, 일본 +0.2%p, 베트남 -1.0%p, 홍콩 +0.4%p, 태국 +0.1%p, 러시아 +0.9%p, 폴란드 +0.2%p

* HS Code 33: 향료·화장품 기준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23.03.202522:33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유통/화장품 3/24 Daily 뉴스 업데이트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전일 주요 뉴스

1) 산업

- 화장품 외부포장 표기 의무화…바깥면서 주요정보 확인 가능
https://tinyurl.com/2ynuhz6w

- 일본 2월 소비자물가 3.0% 상승…3개월째 3%대
https://tinyurl.com/23m7j5gn

- 홈플러스 "매입채무유동화 상거래채권으로 취급하기로 결정"
https://tinyurl.com/2c9t62gl

- 티몬·위메프, 경영진 3명에 1800억원 손해배상 청구
https://tinyurl.com/26fraupe

- 올리브영, 3월 2주간 글로벌몰 주문액 전년동기대비 107% 급증, 자국으로 돌아간 후에도 지속 구매
https://tinyurl.com/246cf6h3

- "봄에는 내추럴 메이크업" 무신사 뷰티, 립·치크 거래액 3.5배 '쑥'
https://tinyurl.com/2yn27s2x

- 샤넬·구찌·디올도 빠졌다... 백화점 명품 15개 중 11개 지난해 역성장
https://tinyurl.com/22v7bh9z

- 중국 단체관광객 한시 비자면제 추진에…여행·면세업계 '웃음'
https://tinyurl.com/23uqh6xd

- 소비침체 여파로 유통업계, 임원 줄여 인건비 감축
https://tinyurl.com/26xdyayw


2) 커버리지 기업 및 글로벌

- 아모레퍼시픽(전일주가 -0.73%): 에스트라닷컴 쇼핑 서비스 5월 종료, 5월부터 아모레몰과 통합 운영
https://tinyurl.com/2byo2d93

- GS리테일(전일주가 +3.34%): 현장 중심 'AI 전환' 본격 추진
https://tinyurl.com/257m78ht

- 롯데쇼핑(전일주가 +1.24%): 롯데백화점 노원점, '전체 면적 80%' 역대 최대 리뉴얼 추진
https://tinyurl.com/282wze3z

- 신세계(전일주가 -0.95%): 신세계면세점,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와 개별관광객(FIT) 중심 유치 전략 "올해 5만명 목표"
https://tinyurl.com/2yxpjk4q

- Amazon(전일주가 +0.65%): 아마존, 인도 판매자 성장 촉진 위해 1,200만 개 제품 수수료 인하
https://tinyurl.com/4ke6eumf

- Amazon(전일주가 +0.65%): 아마존과 플립카트, 창고 급습 조사서 인도 품질관리 규정 위반 적발…"인증 누락 제품 판매"
https://tinyurl.com/yw594bw6
23.03.202522:42
[한투증권 화장품/유통 김명주] 화장품/유통 Weekly(3/24)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하이난 면세의 객단가 상승이 지니는 의미
- 최근 하이난 면세의 객단가(소비자가 지출하는 금액, Basket size)가 높아지고 있음. 제한적인 정보로 정확한 객단가 상승 요인은 파악할 수 없음
- 다만 추정해볼 수 있는 요인으로는 고가 상품의 가격 인상(ex. 주얼리/시계 등)과 롯데 면세의 대형 따이공 거래 중단에 따른 하이난 내 따이공 매출 증가 가능성
- 또한 화장품 과잉 재고의 감소 혹은 판매 화장품(특히 럭셔리)의 가격 정상화 등으로 추정
- 이를 중국 화장품 산업의 회복 지표로 활용하기는 어렵지만, 중국 화장품 산업이 바닥을 다졌다는 힌트로는 이용할 수 있음

★ 관련 기업: 코스맥스와 이마트, 그리고 롯데쇼핑
- 유통 섹터가 지난주에는 숨고르기에 들어갔으며, 화장품 섹터는 뚜렷한 투자 포인트가 없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특정 종목(ex. 에이피알)의 수급 쏠림 현상이 지속
- 아쉽게도 아직까지 중국 화장품 산업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뚜렷한 시그널은 찾기 힘듦
- 하지만 최근 한국 화장품의 중국향 화장품 흐름을 보면 YoY 역성장 폭이 줄어들고 있으며, 하이난 면세의 객단가는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음
- 향후 중국의 화장품 산업이 회복한다고 해도 중저가 혹은 로컬 브랜드의 매출 회복부터 시작될 걸로 가능성이 높음
- 화장품 섹터에서 가장 안전한 종목은 코스맥스를 포함한 상위 OEM/ODM 업체이며, 유통 섹터에서는 변함없이 이마트를 선호

보고서 링크: https://tinyurl.com/27e3zxbh

감사합니다.
[한투증권 김명주] 하이난 면세점 데이터(25년 3월)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전체 구매금액: 29억 위안(-5.3% YoY vs. 2월 -13.4% YoY)
- 면세쇼핑건수: 252만 건(-26.2% YoY vs. 2월 -26.6% YoY)
- 객단가: 6,546위안(+27.8% YoY vs. 2월 +25.0% YoY)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한투증권 화장품/유통 김명주]
 
지난 주 로레얄은 1QFY25(25년 1월~3월) 실적을 발표하면서 미국은 예상보다 부진했고(-1.4% YoY), 중국은 우려보다는 양호(중국이 포함된 북아시아 +8.4% YoY), 유럽(+4.9%  YoY)은 양호했다고 언급했습니다. 회사는 작년 하반기에 매출 감소를 보였던 중국 화장품 산업(-High single digit YoY)이 이번 1분기에는 flat을 기록하며 중국 시장이 현재 안정화(바닥을 다졌다는 의미인 듯)에 접어들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국 화장품 산업의 회복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여전히 미국/유럽 시장 대비해서 기대치를 낮다는 점을 고려 시 중국 화장품 산업에 노출도가 있는 기업에 주목할 시점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아모레퍼시픽/코스맥스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호텔신라의 단기 업사이드 리스크도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호텔신라는 실적 추정이 불가능한 회사인데, 불가능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는 홍콩/싱가포르 공항을 방문하는(면세점을 이용하는)중국인들의 객단가를 추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중국이 경기 부양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최소한 중국인의 객단가는 작년보다는 낮아질 가능성은 낮고, 중국 내 화장품 과잉 재고가 줄어들면서 따이공 수요는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호텔신라의 구조적인 문제(ex. 관광객의 여행패턴 변화, 따이공 비즈니스의 한계 등)은 해결되기 어렵지만, 중국의 화장품 산업이 작년 하반기대비로는 나아지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기 때문에 호텔신라의 단기 업사이드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관련해서 오늘 발간한 화장품/유통 위클리(로레알 실적 발표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https://alie.kr/DwDy7g4)와 아래 차트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20.04.202522:40
[한투증권 화장품/유통 김명주] 화장품/유통 Weekly(4/21): 로레알 실적 발표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로레알 실적 발표에서 찾는 투자 아이디어
- 글로벌 화장품 기업인 로레알이 1QFY25(25년 1월~3월) 매출은 117.4억 유로(+4.4% YoY, +5.9% QoQ)를 기록. 시장 기대치를 2.5% 상회
- 북미 매출은 시장 기대보다는 부진(-1.4% YoY, IT phasing 조정 시 +0.5% YoY), 중국은 우려보다는 양호(중국이 포함된 북아시아 +8.4% YoY), 유럽은 1분기 매출 증가에 기여
- 작년 하반기에 매출 감소(-high single digit YoY)를 보였던 중국 화장품 산업은 올해 1분기에는 flat 했고, 로레알의 시장점유율은 상승
- 로레알의 실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 화장품 산업은 바닥을 다지고 있는 중


★ 관련 기업: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 그리고 롯데쇼핑, 호텔신라
- 지난 주(4/14~18) 지수의 반등과 함께 화장품과 유통 섹터의 주가 모두 양호. 금요일(4/18) 신세계와 롯데쇼핑은 이마트, 현대백화점과의 키맞추기로 주가 흐름이 양호
- 이러한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걸로 판단하기 때문에 유통 섹터에서는 롯데쇼핑과 단기 업사이드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호텔신라에 주목
- 화장품 섹터에서는 아모레퍼시픽과 코스맥스를 추천

- 중국 화장품 산업의 회복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시장의 기대가 낮다는 점을 고려 시 중국 화장품 산업에 노출도가 있는 기업에 주목할 시점

보고서 링크: https://alie.kr/DwDy7g4

감사합니다.
01.04.202522:40
[한투증권 화장품/유통 김명주] 현대백화점 1Q25 Preview: 유통에서 가장 마음 편한 선택지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동대문 면세점의 영업 중단을 결정
- 전일(4/1) 현대백화점은 동대문 면세점의 영업 중단과 무역센터 면세점의 영업 면적 축소(기존 면적 대비 약 20%)를 공시
- 현재 인천공항 공항점이 영업이익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4년 동대문 면세점의 영업적자는 약 200~300억 내외였을 걸로 추정
- 회사의 체질 개선 덕분에 올해 면세 사업부의 영업적자는 73억원으로 작년대비(OP -291억원) 크게 감소할 걸로 추정

★ 1Q25 Preview: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 625억원(+11.6% YoY), 영업이익은 944억원(+37.1% YoY, OPM +8.9%)으로 매출은 시장 기대치를 상회, 영업이익은 부합할 전망
- 고마진 카테고리인 의류 매출 부진(-5% YoY 내외 추정) 등이 예상되지만, 다행히 면세점 적자(OP -65억원)가 2024년 4분기대비(-118억원) 축소될 것
- 지누스는 하반기가 상대적으로 성수기. 올해 1분기 지누스의 영업이익은 지난 4분기(OP +161억원)보다는 소폭 감소한 90억원(흑자전환 YoY)으로 추정

★ 목표주가를 23% 상향한 80,000원으로 제시
-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65,000원에서 23% 상향한 80,000원을 제시
- 올해 하반기 백화점 산업의 기저가 매우 낮음. 이에 1분기 회사의 백화점 사업부가 부진했음에도, 연간으로는 무난히 영업이익 증익(+5.2% YoY)을 기록할 것
- 유통 섹터로의 우호적인 수급 덕분에 실적 안정성이 높은 현대백화점 주가는 양호할 걸로 전망


보고서 링크: https://tinyurl.com/2bkfers2

감사합니다.
27.03.202510:16
[한투증권 화장품/유통 김명주] 아모레퍼시픽 1Q25 Preview: 매력적인 주가 수준에 도달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2.7% 상회할 전망
-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1조 601억원(+16.3% YoY), 영업이익은 991억원(+36.4% YoY, OPM +9.4%)으로 매출은 시장 기대치를 1.9%, 영업이익은 2.7% 상회할 전망
- 올해 1분기에도 코스알엑스와 상반되게 라네즈를 포함한 기존 아모레퍼시픽 브랜드의 북미 매출 흐름(+21% YoY)이 견조할 걸로 예상
- 라네즈와 코스알엑스의 가격 차이 및 작년 온라인 마케팅 정도 또한 현재의 상반된 매출 흐름을 만들어내는 요인 중 하나라고 추정

★ 중국 화장품 산업이 회복한다면 그건 보너스
- 지난 2년간 아모레퍼시픽이 중국 시장에서 체질개선을 진행했음에도 중국 사업의 매출 규모가 적지 않음
- 최근 중국 화장품 산업이 바닥을 다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는 데이터들이 확인되고 있음
- 1분기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사업 적자는 4분기(OP -147억원 추정)대비 크게 축소된 -74억원으로 추정

★ 업사이드 리스크에 대비할 시점
- 아모레퍼시픽에 대하여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70,000원(12MF, PER 31.2x)을 유지
- 현재 주가는 최근 1년 내 전저점(99,500원, 24/12/9) 수준이며, 회사의 해외 사업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도 크지 않은 상태
- 현재 주가 수준은 작은 호재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준이기 때문에 업사이드 리스크를 대비하여 매수할 시점이라 판단

보고서 링크: https://tinyurl.com/pfsr4huz

감사합니다.
10.04.202522:31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유통/화장품 4/11 Daily 뉴스 업데이트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 전일 주요 뉴스

1) 산업

- 중국 3월 소비자물가 0.1% 내려…내수 부양에도 2개월째 하락
https://is.gd/fobus7

- 중국, 미국 관세폭탄에 84% 보복관세 발효…미중 '치킨게임' 격화
https://is.gd/W6E2xZ

- 美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4%…예상치 하회
https://is.gd/cWdgYT

- 무신사와 함께 일본 진출한 '마뗑킴'…도쿄 시부야에 1호 매장
https://is.gd/rwnp2z

- 이탈리아 명품브랜드 프라다, 베르사체 2조원에 인수
https://is.gd/YvxaPw

- 여행객 증가에도 면세점 매출 감소세
https://is.gd/98pdKe

- 컬리, 11일부터 150억 규모 자사주 공개 매입
https://is.gd/1AlR2C

- 뷰티컬리, 30·40 직장여성 사로잡았다...'럭셔리뷰티' 고속성장
https://is.gd/eNV1aD

- '무더위 일찍 온다'…유통업계 벌써 여름 수요 공략
https://is.gd/JI47Kr


2) 커버리지 기업 및 글로벌

- GS리테일(전일주가 +2.01%): 허서홍 GS리테일 대표, '요기요·쿠캣·휴젤' 이사회서 빠지고 '본업' 집중
https://is.gd/muExAl

- GS리테일(전일주가 +2.01%): GS25, 무신사 뷰티브랜드 '위찌' 판매…기초 이어 색조 화장품
https://is.gd/6vkX77

- 이마트(전일주가 +3.82%): "주주가치 제고" 이마트, '밸류업 이행' 372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https://is.gd/l8zARH

- 이마트(전일주가 +3.82%): 5월 '물류통합' 본격화…'정용진호' 두 번째 오프라인 혁신 전략
https://is.gd/zRbs0n

- Walmart(전일주가 +1.13%): "월마트의 낙관(연간 영업이익 가이던스 유지), 시장에선 공감 얻기 어려워"
https://alie.kr/9BVS0Kz

- Amazon(전일주가 -5.17%): 아마존 ceo, “관세로 인해 아마존 가격 인상 예상"
https://alie.kr/GP2WDpV

- Amazon(전일주가 -5.17%): 아마존 중국 판매자들, 관세 급등에 가격 인상 또는 미국 시장 철수 검토
https://alie.kr/DaOOWnn

- 미국 Z세대, 뷰티에 사상 최대 지출… 인기 브랜드는 e.l.f. 뷰티
https://alie.kr/31SvftV
25.03.202500:13
[한투증권 유통/화장품 김명주] 25년 2월 면세점 판매 데이터

텔레그램: https://t.me/kmj_retailcosmetics

1. 총괄 매출액
- 합산: 6.9억달러(+1% YoY/ +6% MoM)

- 내국인: 1.6억달러(-13% YoY/ -9% MoM)
- 외국인: 5.3억달러(+6% YoY/ +11% MoM)

2. 총괄 이용객수
- 합산: 210만명(-2% YoY/ -8% MoM)

- 내국인: 144만명(-5% YoY/ -6% MoM)
- 외국인: 65만명(+6% YoY/ -12% MoM)

3. 시내 면세점
- 매출액: 5.3억달러(+2% YoY/ +11% MoM)
- 이용객수: 79만명(+13% YoY/ -5% MoM)

4. 출국장 면세점
- 매출액: 1.4억달러(+8% YoY/ -6% MoM)
- 이용객수: 95만명(-4% YoY/ -10% MoM)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한투증권 화장품/유통 김명주]
 
올해들어 아모레퍼시픽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밸류에이션 매력이 확보된 상태입니다. 현재 아모레퍼시픽의 주가 수준은 주가 하방이 탄탄한 반면, 업사이드 리스크가 부각되는 레벨이기 때문에, 단기 반등 가능성이 높다라고 판단합니다.

현재 주가는 103,000원인데, 지난 1년간 전저점은 99,500원입니다. 참고로 코스알엑스도 없었고, 미국도 부각되지 않았던, 그리고 지금보다 중국 사업이 더 부진했던 22년 하반기 평균주가는 121,059원 이었습니다.

코스알엑스의 부진은 아쉽지만,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에서 라네즈를 포함한 아모레퍼시픽의 본 브랜드 매출 흐름은 양호합니다. 코스알엑스와 라네즈의 매출 흐름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떠올릴 수 있는 요인은 1) 가격 차이(라네즈가 더 비쌈) 2) 오프라인 매출 비중(라네즈는 온라인 비중이 40% 내외로 온오프가 거의 반반) 3) B2B 매출 유무(코알은 B2B를 적극 활용) 4) 작년 온라인 마케팅 강도 등 이라고 판단합니다.
 
라네즈는 코스알엑스 대비 온오프라인 매출 비중이 밸런스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미국 시장의 경쟁 심화 등에서 조금은 자유로울 수 있는 걸로 판단합니다. 미국 화장품 시장에서 경쟁 심화가 발생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아마존 채널에서의 경쟁이었습니다. 라네즈는 아모레퍼시픽이 직접 가격을 관리했기 때문에, 반복되는 할인 행사에도 불구하고 다른 중저가와 달리 가격 정책 유지가 잘되었고, 덕분에 미국의 중저가 화장품 산업의 흐름과 다르게 양호한 매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엘프뷰티는 실적 발표에서 미국 중저가 화장품 산업이 전년동기대비 5% 감소했다고 언급했습니다. 라네즈를 포함한 아모레퍼시픽 브랜드의 미국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0% 증가할 걸로 전망합니다.
 
최근 중국 화장품 산업이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여러가지 힌트들이 확인됩니다. 과거대비 아모레퍼시픽의 중국 사업 민감도가 낮아진 점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중국 매출이 존재하고(전체 매출 기준 약 10% 내외), 현재 중국사업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 회복에 따라서 흑자로 돌아설 경우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는 매출 기여도 대비 훨씬 큽니다.
 
다음주부터 재개되는 공매도, 미국 시장의 반등 가능성(과거와는 다른 형태가 될 가능성이 큼), 중국 화장품 산업의 바닥 가능성 등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 했을 때 현재 아모레퍼시픽이 주가 수준은 매우 매력적인 구간이라고 판단되며, 업사이드 리스크에 대비할 시점이라고 판단합니다.
 
감사합니다.
 
김명주 드림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