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Реальна Війна |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Лачен пише

Nairaland Pulse | News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avatar](https://static-storm.tglist.com/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05dc0a6b-159c-4a9f-bf30-1ae1b923af65.jpg?w=240&h=240)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Серп 30, 2022
TGlist में जोड़ा गया
Вер 16, 2024रिकॉर्ड
19.05.202523:59
16.1Kसदस्य29.03.202508:10
200उद्धरण सूचकांक27.02.202516:07
9.9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27.01.202523:59
9.9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28.01.202523:59
3.75%ER27.01.202523:59
56.97%ERR08.05.202509:59
✅디앤디파마텍 NDR(그로쓰리서치)
안녕하세요 그로쓰리서치입니다.
오늘 저희 사무실에서 디앤디파마텍 NDR을 진행하였습니다.
정리된 내용 공유드립니다.
M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전략
📌I. 회사 소개 및 핵심 사업 영역
디앤디파마텍은 GLP-1 펩타이드 의약품 전문 개발사
주요 사업 영역:
비만 치료제: 멧세라(Metsera)에 기술 이전하여 공동 개발 중 (경구 및 주사 제형).
MASH 치료제 (DD01): 미국에서 임상 2상 진행 중 (1차 평가 지표 발표 임박 - 2025년 6월 예상).
📌II. MASH 치료제 (DD01)
🔥MASH 시장의 잠재력:
매우 큰 시장 규모 (2022-2023년 약 30~40조 원 추정, 2030년 100조 원까지 전망).
대사성 질환의 일종으로, 당뇨 및 비만과 함께 주요 대사 질환으로 분류.
간 지방 축적에서 시작하여 간염, 간경화,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심각한 질병
(대사성 질환 중 유일하게 사망에 이를 수 있음).
경쟁사 동향: 노보노디스크등 GLP-1 기반 MASH 치료제 개발 언급 (임상 진행 중). 릴리, 베링거인겔하임 등도 MASH 치료제 개발 경쟁에 참여.
🔥DD01의 차별점:
- GLP-1/Glucagon 이중 작용제: 지방간 감소 효과와 혈당 조절을 동시에 고려
(기존 GLP-1 단일 작용제 대비 직접적인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 Long-acting 기술 (PEGylation): 주 1회 투여 제형 개발 목표
(지방산 또는 항체 절편 기반 경쟁 약물과 차별화).
- 약물 반감기: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대비 약 2일 더 긴 반감기
(안전성 및 투약 편의성 향상 기대).
- 최고 농도 (Peak-to-Trough Ratio - PTR): 경쟁 약물 대비 좁은 PTR
(약물 농도 변화폭 감소로 인한 오심, 구토 등 부작용 감소 기대).
🔥임상 1상 결과:
지방간 환자 대상 4주 반복 투여 진행 (안전성 및 약효 확인).
40mg, 80mg 투여군에서 평균 지방간 감소율 50%, 52% 달성.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40mg 투여군 75%, 80mg 투여군 100%.
경쟁 약물(GLP-1 단일 작용제)의 52-72주 투여 결과와 비교 시 빠른 지방간 감소 효과 확인.
임상 2상 권장 용량 40mg 결정.
📌임상 2상 계획 및 기대 효과:
1차 평가 지표: 12주 투약 후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2025년 6월 발표 예정).
총 67명 환자 대상 (위약군 포함 1:1 배정).
마지막 환자 투약 완료 (2025년 4월 17일).
투약 완료 이후 CRO에서 데이터 분석 진행
📌기대 효과: 임상 1상 4주 결과(75%)를 바탕으로 12주 결과에서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48주 77%)에 준하는 데이터 확보 기대.
📌2차 평가 지표: 48주 투약 후 조직 검사 기반 MASH 해소율 및 섬유화 개선율 확인 (2026년 상반기 결과 발표 목표).
기술 이전 전략: DD01 임상 2상 12주 데이터 기반 빅파마 기술 이전 목표.
경쟁 약물 베링거잉겔하임(Survodutide)과의 비교:
유효성 측면에서 유사한 수준의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안전성 측면에서 오심, 구토 부작용 비율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 (PEGylation 기술의 장점).
투약 편의성 측면에서 주 1회 제형 개발 중.
📌임상 디자인 특징: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짧은 용량 증량 기간 (2주).
최고 용량 투여 기간 확대로 유효성 극대화 전략.
임상 중단 비율: 현재까지 67명 중 7명 (약물 관련 중단 4명, 오심/구토 관련 중단 2명, 주사알러지 1명, 복통 1명)으로 경쟁 약물 대비 낮은 수치.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GLP-1 계열 약물의 기전 및 약효는 이미 검증됨.
초기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결과 긍정적인 경향 확인 (지방간 감소 환자 분포 등).
최종 결과에 대한 기대감 고조.
📌III. 비만 치료제 (경구형 GLP-1 플랫폼 - ORALINK / Momentum)
멧세라(Metsera)와의 협력: 총 6개 제품 (5개 경구제, 1개 주사제) 공동 개발 진행 중 (멧세라 주도).
🔥멧세라의 개발 현황:
MET-097 (주사제 - HALO 기술 적용): 반감기 15.8일 (현존 GLP-1 중 최장).
>> 월 1회 제형 개발 가능성. 임상 2b 결과 발표 예정 (24주, 16-17% 체중 감량 기대).
MET-233i (주사제 - Amylin 작용제): GLP-1과 병용 시너지 효과 기대. 임상 진행 중.
MET-002o (경구제 - Momentum 플랫폼): 경구 흡수율 최적화 제형 탐색 임상 진행 중 (7개 제형 테스트). 제형 검증후
MET-224o (경구제 - Momentum/HALO 플랫폼) 개발 목표 (MET-002o 대비 긴 반감기). 연내 임상 결과 발표 목표.
디앤디파마텍의 역할: 경구형 플랫폼 기술 제공 및 공동 개발 참여.
📌경쟁 환경:
저분자 GLP-1: 화이자(간 독성으로 임상 중단), 오포글리프론(당뇨 임상 40주 7.9% 감량 - 비만 임상 환산 시 약 11-12% 추정). 릴리 등 개발 경쟁 심화.
펩타이드 GLP-1: 노보노디스크(세마글루타이드), 일라이 릴리(터얼제파타이드, 레타트루타이드) 등 주사제 시장 선점. 경구제 시장 경쟁 초기 단계.
🔥경구형 GLP-1 시장 전망:
저분자 및 펩타이드 방식 공존 예상.
디앤디파마텍의 경구 흡수 플랫폼 기술 경쟁력 중요.
멧세라의 HALO 기술 기반 장기 지속형 주사제 및 경구제 개발 전략 주목.
📌오포글리프론 임상 결과의 의미:
저분자 GLP-1의 가능성 확인 (생산 용이성, 저비용).
안전성(간 독성 등) 및 효능 추가 검증 필요.
고소득 국가는 안전성 입증된 펩타이드 경구제,
저소득 국가는 저분자 경구제 중심으로 시장 형성 가능성 제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안녕하세요 그로쓰리서치입니다.
오늘 저희 사무실에서 디앤디파마텍 NDR을 진행하였습니다.
정리된 내용 공유드립니다.
MASH(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와 비만 치료제 개발 현황 및 전략
📌I. 회사 소개 및 핵심 사업 영역
디앤디파마텍은 GLP-1 펩타이드 의약품 전문 개발사
주요 사업 영역:
비만 치료제: 멧세라(Metsera)에 기술 이전하여 공동 개발 중 (경구 및 주사 제형).
MASH 치료제 (DD01): 미국에서 임상 2상 진행 중 (1차 평가 지표 발표 임박 - 2025년 6월 예상).
📌II. MASH 치료제 (DD01)
🔥MASH 시장의 잠재력:
매우 큰 시장 규모 (2022-2023년 약 30~40조 원 추정, 2030년 100조 원까지 전망).
대사성 질환의 일종으로, 당뇨 및 비만과 함께 주요 대사 질환으로 분류.
간 지방 축적에서 시작하여 간염, 간경화,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심각한 질병
(대사성 질환 중 유일하게 사망에 이를 수 있음).
경쟁사 동향: 노보노디스크등 GLP-1 기반 MASH 치료제 개발 언급 (임상 진행 중). 릴리, 베링거인겔하임 등도 MASH 치료제 개발 경쟁에 참여.
🔥DD01의 차별점:
- GLP-1/Glucagon 이중 작용제: 지방간 감소 효과와 혈당 조절을 동시에 고려
(기존 GLP-1 단일 작용제 대비 직접적인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 Long-acting 기술 (PEGylation): 주 1회 투여 제형 개발 목표
(지방산 또는 항체 절편 기반 경쟁 약물과 차별화).
- 약물 반감기: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대비 약 2일 더 긴 반감기
(안전성 및 투약 편의성 향상 기대).
- 최고 농도 (Peak-to-Trough Ratio - PTR): 경쟁 약물 대비 좁은 PTR
(약물 농도 변화폭 감소로 인한 오심, 구토 등 부작용 감소 기대).
🔥임상 1상 결과:
지방간 환자 대상 4주 반복 투여 진행 (안전성 및 약효 확인).
40mg, 80mg 투여군에서 평균 지방간 감소율 50%, 52% 달성.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40mg 투여군 75%, 80mg 투여군 100%.
경쟁 약물(GLP-1 단일 작용제)의 52-72주 투여 결과와 비교 시 빠른 지방간 감소 효과 확인.
임상 2상 권장 용량 40mg 결정.
📌임상 2상 계획 및 기대 효과:
1차 평가 지표: 12주 투약 후 지방간 30% 이상 감소 환자 비율 (2025년 6월 발표 예정).
총 67명 환자 대상 (위약군 포함 1:1 배정).
마지막 환자 투약 완료 (2025년 4월 17일).
투약 완료 이후 CRO에서 데이터 분석 진행
📌기대 효과: 임상 1상 4주 결과(75%)를 바탕으로 12주 결과에서 경쟁 약물(서보두타이드 48주 77%)에 준하는 데이터 확보 기대.
📌2차 평가 지표: 48주 투약 후 조직 검사 기반 MASH 해소율 및 섬유화 개선율 확인 (2026년 상반기 결과 발표 목표).
기술 이전 전략: DD01 임상 2상 12주 데이터 기반 빅파마 기술 이전 목표.
경쟁 약물 베링거잉겔하임(Survodutide)과의 비교:
유효성 측면에서 유사한 수준의 지방간 감소 효과 기대.
안전성 측면에서 오심, 구토 부작용 비율 현저히 낮을 것으로 예상 (PEGylation 기술의 장점).
투약 편의성 측면에서 주 1회 제형 개발 중.
📌임상 디자인 특징: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짧은 용량 증량 기간 (2주).
최고 용량 투여 기간 확대로 유효성 극대화 전략.
임상 중단 비율: 현재까지 67명 중 7명 (약물 관련 중단 4명, 오심/구토 관련 중단 2명, 주사알러지 1명, 복통 1명)으로 경쟁 약물 대비 낮은 수치.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GLP-1 계열 약물의 기전 및 약효는 이미 검증됨.
초기 블라인드 데이터 분석 결과 긍정적인 경향 확인 (지방간 감소 환자 분포 등).
최종 결과에 대한 기대감 고조.
📌III. 비만 치료제 (경구형 GLP-1 플랫폼 - ORALINK / Momentum)
멧세라(Metsera)와의 협력: 총 6개 제품 (5개 경구제, 1개 주사제) 공동 개발 진행 중 (멧세라 주도).
🔥멧세라의 개발 현황:
MET-097 (주사제 - HALO 기술 적용): 반감기 15.8일 (현존 GLP-1 중 최장).
>> 월 1회 제형 개발 가능성. 임상 2b 결과 발표 예정 (24주, 16-17% 체중 감량 기대).
MET-233i (주사제 - Amylin 작용제): GLP-1과 병용 시너지 효과 기대. 임상 진행 중.
MET-002o (경구제 - Momentum 플랫폼): 경구 흡수율 최적화 제형 탐색 임상 진행 중 (7개 제형 테스트). 제형 검증후
MET-224o (경구제 - Momentum/HALO 플랫폼) 개발 목표 (MET-002o 대비 긴 반감기). 연내 임상 결과 발표 목표.
디앤디파마텍의 역할: 경구형 플랫폼 기술 제공 및 공동 개발 참여.
📌경쟁 환경:
저분자 GLP-1: 화이자(간 독성으로 임상 중단), 오포글리프론(당뇨 임상 40주 7.9% 감량 - 비만 임상 환산 시 약 11-12% 추정). 릴리 등 개발 경쟁 심화.
펩타이드 GLP-1: 노보노디스크(세마글루타이드), 일라이 릴리(터얼제파타이드, 레타트루타이드) 등 주사제 시장 선점. 경구제 시장 경쟁 초기 단계.
🔥경구형 GLP-1 시장 전망:
저분자 및 펩타이드 방식 공존 예상.
디앤디파마텍의 경구 흡수 플랫폼 기술 경쟁력 중요.
멧세라의 HALO 기술 기반 장기 지속형 주사제 및 경구제 개발 전략 주목.
📌오포글리프론 임상 결과의 의미:
저분자 GLP-1의 가능성 확인 (생산 용이성, 저비용).
안전성(간 독성 등) 및 효능 추가 검증 필요.
고소득 국가는 안전성 입증된 펩타이드 경구제,
저소득 국가는 저분자 경구제 중심으로 시장 형성 가능성 제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9.05.202502:31
✅저희가 조만간 GLP-1 비만치료제 관련해서 보고서로 쉽게 풀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Growth Research) [독립리서치] avatar](https://static-storm.tglist.com/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05dc0a6b-159c-4a9f-bf30-1ae1b923af65.jpg?w=24&h=24)


22.04.202505:16
✅AACR 2025 발표 기업 및 연구 주제
D-14 남은 AACR 2025
세계적인 암 연구 학회로, 암 연구자 및 기업들이 최신 연구 성과 공유
- 행사명: AACR 2025 (미국 암연구학회 연례 학술대회)
- 일정: 2025년 4월 25일 ~ 30일
- 장소: 미국 시카고
📌항암제 신약 및 플랫폼 기술 발표
- 펩트론 : 차세대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IEP를 통한 ADC(항체-약물 복합체) 효능 극대화 연구 발표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의 임상 1/2a상 안전성 결과 발표
- 파로스아이바이오 : PHI-501을 활용한 난치성 폐암 전임상 연구 결과 발표
- 보로노이 :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VRN11의 임상 초기 데이터 공개
- 온코닉테라퓨틱스 : 위암 치료 후보물질 네수파립의 비임상 결과 발표 예정
📌이중항체 및 면역 항암 관련 연구
-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기반 항암 후보물질 ABL103 관련 연구 결과 발표
- 에스티큐브 : 항암 면역항체 넬마스토바트의 임상 1b상 결과 발표
- 리가켐바이오 : STING 작용제 포함 총 5건의 전임상 결과 발표
📌AI 및 진단 관련 발표
- 루닛 : AI 기반 폐암 예측 솔루션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와의 공동 연구 결과 발표
📌차세대 치료 플랫폼
- 압타머사이언스 : 차세대 항암제 AST-203의 비임상 연구 결과 발표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D-14 남은 AACR 2025
세계적인 암 연구 학회로, 암 연구자 및 기업들이 최신 연구 성과 공유
- 행사명: AACR 2025 (미국 암연구학회 연례 학술대회)
- 일정: 2025년 4월 25일 ~ 30일
- 장소: 미국 시카고
📌항암제 신약 및 플랫폼 기술 발표
- 펩트론 : 차세대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 IEP를 통한 ADC(항체-약물 복합체) 효능 극대화 연구 발표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의 임상 1/2a상 안전성 결과 발표
- 파로스아이바이오 : PHI-501을 활용한 난치성 폐암 전임상 연구 결과 발표
- 보로노이 :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VRN11의 임상 초기 데이터 공개
- 온코닉테라퓨틱스 : 위암 치료 후보물질 네수파립의 비임상 결과 발표 예정
📌이중항체 및 면역 항암 관련 연구
-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기반 항암 후보물질 ABL103 관련 연구 결과 발표
- 에스티큐브 : 항암 면역항체 넬마스토바트의 임상 1b상 결과 발표
- 리가켐바이오 : STING 작용제 포함 총 5건의 전임상 결과 발표
📌AI 및 진단 관련 발표
- 루닛 : AI 기반 폐암 예측 솔루션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와의 공동 연구 결과 발표
📌차세대 치료 플랫폼
- 압타머사이언스 : 차세대 항암제 AST-203의 비임상 연구 결과 발표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7.05.202500:54
✅트럼프 드론 대량생산 관련 발언
🔥월요일 드론관련주 관심 전망
트럼프 대통령이 저가형 드론의 군사적 활용 가능성과
미국 방산업계의 비효율성 언급
» "미국은 고가 방산 시스템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 이란처럼 저가 고효율 드론을 대량 생산해 실전에 활용해야 한다."
저가형 드론 대량생산에 대한 의지
📌드론 관련주
1. 제이씨현시스템 (033320): 글로벌 드론 제조사 DJI 제품 국내 유통 및 자체 드론 개발
2. 에이럭스 (475580): 자체 개발한 경량 드론 비행제어장치(FC) 기술로 교육 및 촬영용 드론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3. 네온테크 (306620): 산업용, 군부대 정찰용 드론 사업 추진중, 드론기반 물류 운송 시스템 구축
4. 베셀 (177350): 베셀에어로스페이스 계열사에서 경량항공기 양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월요일 드론관련주 관심 전망
트럼프 대통령이 저가형 드론의 군사적 활용 가능성과
미국 방산업계의 비효율성 언급
» "미국은 고가 방산 시스템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 이란처럼 저가 고효율 드론을 대량 생산해 실전에 활용해야 한다."
저가형 드론 대량생산에 대한 의지
📌드론 관련주
1. 제이씨현시스템 (033320): 글로벌 드론 제조사 DJI 제품 국내 유통 및 자체 드론 개발
2. 에이럭스 (475580): 자체 개발한 경량 드론 비행제어장치(FC) 기술로 교육 및 촬영용 드론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
3. 네온테크 (306620): 산업용, 군부대 정찰용 드론 사업 추진중, 드론기반 물류 운송 시스템 구축
4. 베셀 (177350): 베셀에어로스페이스 계열사에서 경량항공기 양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7.05.202501:52
✅테슬라 로보택시(Robotaxi) 기능 거의 완성 – 코드명: Alicorn
🚕 주요 기능 정리:
‘Alicorn’이라는 내부 코드명을 사용하는 로보택시 기능이 사실상 대부분 완성 단계에 도달.
- 픽업 위치 조정 및 확인
- 목적지 입력 및 ETA(도착 예상 시간) 표시
- 탑승자 하차 정보 실시간 제공
- 탑승 취소 및 이유 피드백 처리
- 차량 제어 기능 접근 가능 (예: 트렁크 열기/닫기)
- 수동 또는 긴급 정차 요청
- 정차 요청 확인 및 응급 지원 요청
- 라이드 피드백 수집 ("alicorn_how_is_ride")
🚗 일부 라이드에는 운전자 배정 예정:
alicorn_button_title_call_driver 문구를 통해 일부 초기 서비스는 FSD가 작동하되 운전자가 탑승한 형태로 운영될 가능성 제시.
이는 일반 차량 소유자가 로보택시 네트워크에 자신의 차량을 등록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모델로 해석 가능.
🧠 스마트 소환(Smart Summon) 개선
기존에는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 작동했으나, 이제는 'Start' 버튼 클릭만으로도 작동 가능 (FSD V13과 유사 방식)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 주요 기능 정리:
‘Alicorn’이라는 내부 코드명을 사용하는 로보택시 기능이 사실상 대부분 완성 단계에 도달.
- 픽업 위치 조정 및 확인
- 목적지 입력 및 ETA(도착 예상 시간) 표시
- 탑승자 하차 정보 실시간 제공
- 탑승 취소 및 이유 피드백 처리
- 차량 제어 기능 접근 가능 (예: 트렁크 열기/닫기)
- 수동 또는 긴급 정차 요청
- 정차 요청 확인 및 응급 지원 요청
- 라이드 피드백 수집 ("alicorn_how_is_ride")
🚗 일부 라이드에는 운전자 배정 예정:
alicorn_button_title_call_driver 문구를 통해 일부 초기 서비스는 FSD가 작동하되 운전자가 탑승한 형태로 운영될 가능성 제시.
이는 일반 차량 소유자가 로보택시 네트워크에 자신의 차량을 등록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모델로 해석 가능.
🧠 스마트 소환(Smart Summon) 개선
기존에는 버튼을 누르고 있어야 작동했으나, 이제는 'Start' 버튼 클릭만으로도 작동 가능 (FSD V13과 유사 방식)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9.04.202523:59
🔋[분석글]테슬라 4680 배터리 셀 심층 인터뷰 - 보니 에글스턴
보니 애글스턴은 약 8년 전부터 테슬라 배터리 셀 내재화 팀 출범 주도.
현재 4680 프로젝트 총괄.
📍1. 기존 기술을 가져와 확장하는 방식이 아니라, 백지상태에서 시작해 완전히 새롭게 설계. 고도의 정밀성과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이 요구
📍2. 4680 셀 제작 공정
- 전극 원료를 파우더 상태로 받아 드라이 전극 공정 진행
- 양면 코팅된 전극 시트 생산
- 젤리롤 형태로 감아서 용기에 삽입
- 전해액 주입, 밀봉 후 포메이션(초기 충전 및 활성화) 진행
📍3. 전체 공정 중 포메이션 단계가 가장 오래 걸림. 전극 제작 및 감기는 하루 안에 가능하며, 드라이 공정 덕분에 기존 방식보다 빠름.
📍4. 드라이 전극 공정 특징
- 모든 4680 셀에 적용 (사이버트럭 포함)
- 대형 오븐 없이도 빠른 코팅 가능
- 생산 라인 면적이 작아 공장 효율성 극대화
📍5. 전해질은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맞춤 포뮬레이션 사용. 성능 향상을 위한 첨가제와 소재간 상호작용까지 고려해 설계
📍6. 전해질은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맞춤 포뮬레이션 사용. 성능 향상을 위한 첨가제와 소재간 상호작용까지 고려해 설계
📍7. 배터리 케이스(캔)를 공장 내에서 자체 생산. 오염 최소화 및 물류비 절감 효과.
📍8. "탭리스(Tabless)" 전류 수집 기술
- 전극 끝을 접어 얇게 펴는 방식으로 고품질 용접 가능
- 낮은 저항과 높은 안정성 확보
📍9. 수율 및 생산 속도 지속 향상
- 셀 설계 시부터 고속 자동화와 대량 생산 고려
- 다른 원통형 셀보다 높은 라인 처리량 확보
📍10. 공정 최적화를 통해 매일 새로운 기록 경신
📍11. 4680 셀 개발 목표는 매우 도전적이었지만 성과에 만족. 아직 멈추지 않고 계속 향상 중.
📍12. 인력 대비 생산량(GWh당 인력 수)으로 효율성 측정. 고속 자동화 기반으로 운영되며 사람은 장비 유지와 품질 확인
📍13. 사이버캡 관련 내용: 약 50kWh 배터리 팩으로 300마일 주행거리 달성. 핵심은 차량팀의 효율적 플랫폼 설계.
📍14. 향후 전망
- 배터리는 아직도 진화 중인 산업
- 충전속도, 범위, 안전성 등에서 개선 여지 많음
- 셀 설계 및 공정 개발에 혁신의 여지가 풍부함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보니 애글스턴은 약 8년 전부터 테슬라 배터리 셀 내재화 팀 출범 주도.
현재 4680 프로젝트 총괄.
📍1. 기존 기술을 가져와 확장하는 방식이 아니라, 백지상태에서 시작해 완전히 새롭게 설계. 고도의 정밀성과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이 요구
📍2. 4680 셀 제작 공정
- 전극 원료를 파우더 상태로 받아 드라이 전극 공정 진행
- 양면 코팅된 전극 시트 생산
- 젤리롤 형태로 감아서 용기에 삽입
- 전해액 주입, 밀봉 후 포메이션(초기 충전 및 활성화) 진행
📍3. 전체 공정 중 포메이션 단계가 가장 오래 걸림. 전극 제작 및 감기는 하루 안에 가능하며, 드라이 공정 덕분에 기존 방식보다 빠름.
📍4. 드라이 전극 공정 특징
- 모든 4680 셀에 적용 (사이버트럭 포함)
- 대형 오븐 없이도 빠른 코팅 가능
- 생산 라인 면적이 작아 공장 효율성 극대화
📍5. 전해질은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맞춤 포뮬레이션 사용. 성능 향상을 위한 첨가제와 소재간 상호작용까지 고려해 설계
📍6. 전해질은 테슬라가 자체 개발한 맞춤 포뮬레이션 사용. 성능 향상을 위한 첨가제와 소재간 상호작용까지 고려해 설계
📍7. 배터리 케이스(캔)를 공장 내에서 자체 생산. 오염 최소화 및 물류비 절감 효과.
📍8. "탭리스(Tabless)" 전류 수집 기술
- 전극 끝을 접어 얇게 펴는 방식으로 고품질 용접 가능
- 낮은 저항과 높은 안정성 확보
📍9. 수율 및 생산 속도 지속 향상
- 셀 설계 시부터 고속 자동화와 대량 생산 고려
- 다른 원통형 셀보다 높은 라인 처리량 확보
📍10. 공정 최적화를 통해 매일 새로운 기록 경신
📍11. 4680 셀 개발 목표는 매우 도전적이었지만 성과에 만족. 아직 멈추지 않고 계속 향상 중.
📍12. 인력 대비 생산량(GWh당 인력 수)으로 효율성 측정. 고속 자동화 기반으로 운영되며 사람은 장비 유지와 품질 확인
📍13. 사이버캡 관련 내용: 약 50kWh 배터리 팩으로 300마일 주행거리 달성. 핵심은 차량팀의 효율적 플랫폼 설계.
📍14. 향후 전망
- 배터리는 아직도 진화 중인 산업
- 충전속도, 범위, 안전성 등에서 개선 여지 많음
- 셀 설계 및 공정 개발에 혁신의 여지가 풍부함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6.05.202506:33
✅비만치료제 GLP-1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기
GLP-1 수용체 작용제 유형별 분류
GLP-1은 크게 단일작용제(싱글) / 이중작용제(듀얼) / 삼중작용제(트리플)
이렇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1.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1 (GLP-1)
📍2. 글루카곤수용체 (GCGR)
📍3. 위 억제 폴리펩타이드에 반응하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 (GIPR)
즉 각 회사마다 우리는 GLP-1만 싱글로 할거야~
아냐 우리는 듀얼로 GLP-1이랑 GCGR이랑 묶어서 할거야~
아냐 우리는 GCGR 빼고 GLP-1이랑 GIPR이랑 듀얼로 할거야~
아냐 우리는 이제 차세대로 세가지 다 묶어서 할거야~(삼중작용제)
이렇게 각 회사마다 개발상황이 다릅니다.(표로 정리)
💊GLP-1R 단일 작용제 (Single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효과:
- 중추신경계를 통한 식욕 감소
- 위 배출 지연
- 메스꺼움 증가
- 인슐린 분비 증가
- 인슐린 감수성 향상
💊GLP-1R / GCGR 이중 작용제 (Dual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GCGR
GCGR 관련 효과:
- 에너지 소비 증가
- 열 생성 증가
- 지방간 개선
- FGF21 분비 및 간 FXR 활성화
- 담즙산 분비
- 식욕 감소
- 지방 산화 촉진
💊GLP-1R / GIPR 이중 작용제 (Dual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GIPR
GIPR 관련 효과:
- GABA성 뉴런을 통한 식욕 감소
- 메스꺼움 감소
- 인슐린 분비 증가
- 인슐린 감수성 향상
- 지방 조직량 감소
- 지질 분해 증가
💊GLP-1R / GIPR / GCGR 삼중 작용제 (Triple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GIPR, GCGR
통합 효과: 다양한 장기(뇌, 간, 췌장, 지방조직)를 타겟으로 하여 체중 감소, 대사 개선, 혈당 조절 등 통합적인 치료 가능
📌이중에서 현재 삼중작용제는 차세대 게임체인저로 일라이릴리가 레타트루다이드(Retatrutide)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그리고 3상 진입중으로 가장 빠르게 나가고 있습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GLP-1 수용체 작용제 유형별 분류
GLP-1은 크게 단일작용제(싱글) / 이중작용제(듀얼) / 삼중작용제(트리플)
이렇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1.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1 (GLP-1)
📍2. 글루카곤수용체 (GCGR)
📍3. 위 억제 폴리펩타이드에 반응하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 (GIPR)
즉 각 회사마다 우리는 GLP-1만 싱글로 할거야~
아냐 우리는 듀얼로 GLP-1이랑 GCGR이랑 묶어서 할거야~
아냐 우리는 GCGR 빼고 GLP-1이랑 GIPR이랑 듀얼로 할거야~
아냐 우리는 이제 차세대로 세가지 다 묶어서 할거야~(삼중작용제)
이렇게 각 회사마다 개발상황이 다릅니다.(표로 정리)
💊GLP-1R 단일 작용제 (Single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효과:
- 중추신경계를 통한 식욕 감소
- 위 배출 지연
- 메스꺼움 증가
- 인슐린 분비 증가
- 인슐린 감수성 향상
💊GLP-1R / GCGR 이중 작용제 (Dual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GCGR
GCGR 관련 효과:
- 에너지 소비 증가
- 열 생성 증가
- 지방간 개선
- FGF21 분비 및 간 FXR 활성화
- 담즙산 분비
- 식욕 감소
- 지방 산화 촉진
💊GLP-1R / GIPR 이중 작용제 (Dual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GIPR
GIPR 관련 효과:
- GABA성 뉴런을 통한 식욕 감소
- 메스꺼움 감소
- 인슐린 분비 증가
- 인슐린 감수성 향상
- 지방 조직량 감소
- 지질 분해 증가
💊GLP-1R / GIPR / GCGR 삼중 작용제 (Triple agonists)
작용 수용체: GLP-1R, GIPR, GCGR
통합 효과: 다양한 장기(뇌, 간, 췌장, 지방조직)를 타겟으로 하여 체중 감소, 대사 개선, 혈당 조절 등 통합적인 치료 가능
📌이중에서 현재 삼중작용제는 차세대 게임체인저로 일라이릴리가 레타트루다이드(Retatrutide)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그리고 3상 진입중으로 가장 빠르게 나가고 있습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22.04.202505:19
✅AACR 주요 참가기업 기술 트렌드 및 기업별 발표 요약
📌1. 다중항체 & 항체약물접합체(ADC)
정밀 타깃 항암치료 기술로 글로벌 주목
셀트리온
- 美 ABPRO와 공동 개발한 다중항체 항암제 CT-P72 전임상 결과 구두 발표
- HER2 양성 암세포와 T세포를 연결해 암세포 사멸 유도
에이비엘바이오 & 유한양행
- 이중항체 ABL104 비임상 포스터 발표
- EGFR과 4-1BB 동시 표적
셀트리온제약
- 이중 페이로드 ADC 플랫폼 CTPH-02 공개
- 서로 다른 작용기전의 항암제 2종을 한 항체에 결합해 강력한 치료 유도
리가켐바이오
- ADC 플랫폼 기술 수출처인 **Iksuda(英), Sotio(체코)**와 함께 ADC 전임상 성과 발표
📌2. mRNA 항암치료 기술
한미약품
- mRNA 기반 항암제 후보 포함 7개 신약 후보물질 관련 11건 비임상 데이터 발표
- p53 단백질을 발현시켜 암세포 사멸 유도
📌3. 정밀 진단 및 AI 기반 치료 예측
진씨커
- CRISPR 기반 MUTE-Seq 기술 발표
- 초정밀 유전자 가위 ‘FnCas9-AF2’로 극소량 암 유전자 변이 감지
루닛
- 루닛 스코프(Lunit SCOPE)로 암 조직 AI 분석 및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 제넨텍·아스트라제네카 등과 공동연구 성과 7건 발표 예정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 다중항체 & 항체약물접합체(ADC)
정밀 타깃 항암치료 기술로 글로벌 주목
셀트리온
- 美 ABPRO와 공동 개발한 다중항체 항암제 CT-P72 전임상 결과 구두 발표
- HER2 양성 암세포와 T세포를 연결해 암세포 사멸 유도
에이비엘바이오 & 유한양행
- 이중항체 ABL104 비임상 포스터 발표
- EGFR과 4-1BB 동시 표적
셀트리온제약
- 이중 페이로드 ADC 플랫폼 CTPH-02 공개
- 서로 다른 작용기전의 항암제 2종을 한 항체에 결합해 강력한 치료 유도
리가켐바이오
- ADC 플랫폼 기술 수출처인 **Iksuda(英), Sotio(체코)**와 함께 ADC 전임상 성과 발표
📌2. mRNA 항암치료 기술
한미약품
- mRNA 기반 항암제 후보 포함 7개 신약 후보물질 관련 11건 비임상 데이터 발표
- p53 단백질을 발현시켜 암세포 사멸 유도
📌3. 정밀 진단 및 AI 기반 치료 예측
진씨커
- CRISPR 기반 MUTE-Seq 기술 발표
- 초정밀 유전자 가위 ‘FnCas9-AF2’로 극소량 암 유전자 변이 감지
루닛
- 루닛 스코프(Lunit SCOPE)로 암 조직 AI 분석 및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 제넨텍·아스트라제네카 등과 공동연구 성과 7건 발표 예정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21.04.202503:56
✅모건스탠리 휴머노이드100 로봇 산업 요약
📌주요 기업 예시
🧠Brain (지능 부문)
- NVIDIA: Project Gr00T 통해 생성형 AI 기반 휴머노이드 훈련 플랫폼 개발
- Alphabet (Google): DeepMind의 로봇 AI 개발
- Microsoft: Figure AI에 전략적 투자
- Samsung Electronics, SK hynix: HBM 메모리 및 AI 칩 공급
- Palantir: 로봇 센서 데이터를 위한 분석 소프트웨어 제공
⚙️ Body (하드웨어 부문)
- Sony, Keyence, Intel: 비전 센서 및 카메라 기술
- Samsung SDI, LG에너지솔루션, CATL: 리튬이온 배터리
- Harmonic Drive Systems, Nabtesco: 감속기 및 기어 전문
- Hiwin, THK: 액추에이터, 스크류
- J L Mag, MP Materials: 희토류 자석 소재
🤖 Integrators (통합 제조사)
- Tesla: Optimus 휴머노이드 개발
- Hyundai + Boston Dynamics: Atlas 휴머노이드 개발
- Rainbow Robotics (KOR): RB-Y1 시리즈 개발 중
- UBTech (CHN): Walker 시리즈 생산
- Amazon: Agility Robotics와의 협력 통해 창고 작업용 휴머노이드 테스트 중
📌한국 기업들의 위치
Samsung Electronics: 메모리(HBM) 및 Vision SoC 부문, Tesla Optimus 칩 납품 등으로 포함
SK hynix: HBM 메모리 공급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배터리 모듈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한 순수 국내 통합 제조사 (삼성전자가 지분 보유)
현대차: Atlas 프로젝트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협력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주요 기업 예시
🧠Brain (지능 부문)
- NVIDIA: Project Gr00T 통해 생성형 AI 기반 휴머노이드 훈련 플랫폼 개발
- Alphabet (Google): DeepMind의 로봇 AI 개발
- Microsoft: Figure AI에 전략적 투자
- Samsung Electronics, SK hynix: HBM 메모리 및 AI 칩 공급
- Palantir: 로봇 센서 데이터를 위한 분석 소프트웨어 제공
⚙️ Body (하드웨어 부문)
- Sony, Keyence, Intel: 비전 센서 및 카메라 기술
- Samsung SDI, LG에너지솔루션, CATL: 리튬이온 배터리
- Harmonic Drive Systems, Nabtesco: 감속기 및 기어 전문
- Hiwin, THK: 액추에이터, 스크류
- J L Mag, MP Materials: 희토류 자석 소재
🤖 Integrators (통합 제조사)
- Tesla: Optimus 휴머노이드 개발
- Hyundai + Boston Dynamics: Atlas 휴머노이드 개발
- Rainbow Robotics (KOR): RB-Y1 시리즈 개발 중
- UBTech (CHN): Walker 시리즈 생산
- Amazon: Agility Robotics와의 협력 통해 창고 작업용 휴머노이드 테스트 중
📌한국 기업들의 위치
Samsung Electronics: 메모리(HBM) 및 Vision SoC 부문, Tesla Optimus 칩 납품 등으로 포함
SK hynix: HBM 메모리 공급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배터리 모듈
레인보우로보틱스: 유일한 순수 국내 통합 제조사 (삼성전자가 지분 보유)
현대차: Atlas 프로젝트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협력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2.05.202500:43
✅테슬라 로보택시 6월 1일 출시 암시...
“How long until June?”
(6월까지 얼마나 남았나요?)
그록 답변
“June 1, 2025, is 31 days from today, May 1, 2025.”
(2025년 6월 1일은 오늘인 2025년 5월 1일로부터 31일 남았습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How long until June?”
(6월까지 얼마나 남았나요?)
그록 답변
“June 1, 2025, is 31 days from today, May 1, 2025.”
(2025년 6월 1일은 오늘인 2025년 5월 1일로부터 31일 남았습니다.)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30.04.202508:37
✅디앤디파마텍 국가신약개발사업 신규지원 대상과제 선정 관련하여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이 주관하여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약 개발 전주기 R&D 과제를 공모하는 사업
📌신청 자격
- 임상단계(1상, 2상):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모두 가능
📌평가 절차 및 일정
2월: 서면평가
3월: 발표평가 및 실사
4월 말: 최종 선정 및 예산 조정
5월 중: 협약 체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이 주관하여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신약 개발 전주기 R&D 과제를 공모하는 사업
📌신청 자격
- 임상단계(1상, 2상):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모두 가능
📌평가 절차 및 일정
2월: 서면평가
3월: 발표평가 및 실사
4월 말: 최종 선정 및 예산 조정
5월 중: 협약 체결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9.05.202511:41
✅디앤디파마텍 NDR 보고서[영상 필수 시청]
6월에 주목할 만한 임상 중간 데이터 발표가 예정되어 있음.
패길레이션(Pegylation)과 오랄링크(Oralink)라는 두 가지 핵심 기술 보유.
📌DD01
메쉬(MASH): 대사 이상 지방간염으로, 간경변·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질환.
동반질환으로 당뇨 및 비만 유병률이 매우 높음.
글로벌 환자 수 약 4.4억 명, 2026년까지 시장 규모 약 35조 원 추정.
📌중요 내용
공식 보고서에는 없지만, IR상 블라인드 데이터도 유의미한 수준 언급.
실제로 유효성 있는 수치일지 확인 필요.
경구용 GLP-1 파이프라인은 이미 미국 Metsera社에 기술이전 완료.
향후 DD01까지 성공적으로 이전된다면 다중 L/O 성공 사례 기대.
https://www.youtube.com/watch?v=fT4KByVPBks
6월에 주목할 만한 임상 중간 데이터 발표가 예정되어 있음.
패길레이션(Pegylation)과 오랄링크(Oralink)라는 두 가지 핵심 기술 보유.
📌DD01
메쉬(MASH): 대사 이상 지방간염으로, 간경변·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질환.
동반질환으로 당뇨 및 비만 유병률이 매우 높음.
글로벌 환자 수 약 4.4억 명, 2026년까지 시장 규모 약 35조 원 추정.
📌중요 내용
공식 보고서에는 없지만, IR상 블라인드 데이터도 유의미한 수준 언급.
실제로 유효성 있는 수치일지 확인 필요.
경구용 GLP-1 파이프라인은 이미 미국 Metsera社에 기술이전 완료.
향후 DD01까지 성공적으로 이전된다면 다중 L/O 성공 사례 기대.
https://www.youtube.com/watch?v=fT4KByVPBks
14.05.202501:10
✅테슬라 옵티머스 미쳤다.....😳😳😳😳
진짜 미쳤네요
와 발전속도가.....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진짜 미쳤네요
와 발전속도가.....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0.05.202509:09
✅테슬라 변압기 미친듯이 사재기 진행중
변압기 장비 앞면에 4,800 킬로볼트암페어 (kVA)
📌변압기 성능
고압 측: 34,500V
저압 측: 480/277V
이 조합은 보통 산업용 또는 데이터센터, 대형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변압기임.
테슬라 텍사스에 있는 Cortex2 구축 시작될것으로 보임.
테슬라 로보택시 / FSD 발전을 위한 Cortex2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변압기 장비 앞면에 4,800 킬로볼트암페어 (kVA)
📌변압기 성능
고압 측: 34,500V
저압 측: 480/277V
이 조합은 보통 산업용 또는 데이터센터, 대형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변압기임.
테슬라 텍사스에 있는 Cortex2 구축 시작될것으로 보임.
테슬라 로보택시 / FSD 발전을 위한 Cortex2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17.05.202500:17
✅테슬라, 월스트리트 애널리스트와의 세션에서 새로운 정보를 공개
(IR 책임자 트래비스 악셀로드가 주도한 비공개 브리핑)
🤖 옵티머스(Optimus)
1. 테슬라는 2025년 4분기까지 소규모 생산 시설을 투자자들에게 투어 형태로 공개할 계획
2. 팔로알토(Palo Alto)의 엔지니어링 랩에 있는 최초 생산 라인에서 한 번에 약 12대 정도의 로봇을 제작
3. 월간 생산 능력은 약 1,000대 수준
4. 2세대 생산 라인: 월 1만 대 목표
3세대 생산 라인: 2세대의 10배 규모 목표
테슬라는 올해 말까지 수천 대 규모의 옵티머스 로봇 생산을 목표로 함
🚕 로보택시(Robotaxi)
1. 오스틴(Austin)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계획 유지 중
2. 초기 운영 차량 수: 10~20대
3. 초기에는 '초대제 서비스(invite-only)'로 운영
🧠 신경망(Neural Networks)
옵티머스용 신경망이 차량용보다 훨씬 더 크고 복잡함
💻 Dojo 슈퍼컴퓨터 로드맵
Dojo 2(D2):
2026년 출시 예정
Dojo 1보다 더 효율적이며,
Nvidia의 유사 솔루션보다 저렴할 것
단, Nvidia와의 경쟁에서 "1:1 수준"은 아님
Dojo 3:
2028년 출시 예정
테슬라는 자체 설계한 ASIC(애플리케이션 특화 집적회로)의 성능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확신
컴퓨팅 성능을 10배 향상시키고 더 저렴한 칩을 확보함으로써 큰 전환점(major unlock)이 될 수 있다고 봄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IR 책임자 트래비스 악셀로드가 주도한 비공개 브리핑)
🤖 옵티머스(Optimus)
1. 테슬라는 2025년 4분기까지 소규모 생산 시설을 투자자들에게 투어 형태로 공개할 계획
2. 팔로알토(Palo Alto)의 엔지니어링 랩에 있는 최초 생산 라인에서 한 번에 약 12대 정도의 로봇을 제작
3. 월간 생산 능력은 약 1,000대 수준
4. 2세대 생산 라인: 월 1만 대 목표
3세대 생산 라인: 2세대의 10배 규모 목표
테슬라는 올해 말까지 수천 대 규모의 옵티머스 로봇 생산을 목표로 함
🚕 로보택시(Robotaxi)
1. 오스틴(Austin)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 계획 유지 중
2. 초기 운영 차량 수: 10~20대
3. 초기에는 '초대제 서비스(invite-only)'로 운영
🧠 신경망(Neural Networks)
옵티머스용 신경망이 차량용보다 훨씬 더 크고 복잡함
💻 Dojo 슈퍼컴퓨터 로드맵
Dojo 2(D2):
2026년 출시 예정
Dojo 1보다 더 효율적이며,
Nvidia의 유사 솔루션보다 저렴할 것
단, Nvidia와의 경쟁에서 "1:1 수준"은 아님
Dojo 3:
2028년 출시 예정
테슬라는 자체 설계한 ASIC(애플리케이션 특화 집적회로)의 성능 격차를 줄일 수 있다고 확신
컴퓨팅 성능을 10배 향상시키고 더 저렴한 칩을 확보함으로써 큰 전환점(major unlock)이 될 수 있다고 봄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