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Fundeasy_최이지 avatar

Fundeasy_최이지

퀄리티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채널에서 언급되는 모든 기업들은 투자 추천이 아니며 투자 판단의 모든 책임은 투자자 개인에게 있음을 알립니다.
https://blog.naver.com/opushk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
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
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Лют 16, 2024
TGlist में जोड़ा गया
Вер 13, 2024
संलग्न समूह

समूह "Fundeasy_최이지" में नवीनतम पोस्ट

허접한 채널에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실버만삭스의 메모장 avatar
실버만삭스의 메모장
말함과 동시에 3,000명 ㅊㅊ
감사합니다 ㅋㅋ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항공우주는 폴란드 최대 민간 방산 기업인 WB 그룹과 폴란드에서 호마르-K 다연장 로켓 발사 시스템용 유도 미사일을 생산하기 위한 합작사 설립을 위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한화항공우주의 현지화 전략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마련했으며, 폴란드의 방산 현대화와 산업 발전에 대한 장기적 commitment를 재확인했습니다. 이 협약은 한화항공우주가 NATO 및 EU 회원국들의 전략적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화항공우주는 신규 합작사 지분 51%를 보유하며, WB 그룹의 자회사인 WB Electronics가 나머지 49%를 보유하게 됩니다. 합작사는 폴란드 반독점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운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합작사는 Homar-K(K239 Chunmoo MRLS의 폴란드 버전)용 80km 사거리 CGR-80 유도 미사일 생산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또 다른 집행 계약 하에서 해당 미사일 생산을 담당할 것입니다. 또한 유럽 이웃 국가들에 대한 유도 미사일 공동 마케팅에도 집중할 것입니다.
투자라는 게

아예 처음이면 어렵고
조금 배워보면 할만한 거 같고
수익 좀 내보면 고수된 거 같고
수익을 유지하다 보면 이젠 어렵고
더 오래하다 보면 난 바보 같다.
#LNG

60년 이상 동안 쉘은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이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 위해 시나리오를 개발해 왔습니다. 에너지 및 석유화학 기업인 쉘의 최신 분석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 순제로 전환부터 무역 장벽과 에너지 안보에 대한 집중으로 인한 글로벌 분열의 지속적 증가까지 다양한 상황을 고려합니다.

“모든 시나리오에 공통된 핵심 요소는 무엇인가요? 가장 중요한 것은... 2050년까지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입니다,” 셸의 CEO인 와엘 사완은 3월 26일 골드만삭스 자산운용과의 토론에서 말했습니다.

화석 연료 중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가 될 것이라고 사완은 설명했습니다. 쉘은 천연가스 시장이 2040년까지 연간 1%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 기간 동안 LNG는 3% 이상 증가해 향후 15년간 6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LNG는 전통적으로 중공업과 일정 부분 전력 생산에 중요했습니다. 사완은 앞으로 LNG가 풍력이나 태양광과 같은 간헐적이고 항상 전력을 생산할 수 없는 재생 에너지의 보완 역할을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아시아의 중공업 분야에서 석탄의 대체재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LNG는 전 세계 가스 판매량의 약 13%를 차지하며, 사완은 2040년까지 이 비율이 약 20%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주요 수요 중심지는 단연 아시아입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사완은 인도와 중국이 전력 공급에서 LNG의 비중을 늘릴 것으로 예상하며, ‘이것은 양적으로 엄청난 변화를 의미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완은 석유가 에너지 전환의 핵심 요소로 남아있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탄소 배출 제로 달성을 위해 석유 수요는 현재 수준에서 약간 감소할 뿐입니다. 석유 생산량이 연간 약 5%씩 감소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빠르게 움직여야 합니다”라고 사완은 말했습니다. 이는 산업이 “상당한 양의 신규 생산”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사완은 전기화가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 중 일부 전력은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에서 공급될 것이지만, 천연가스 및 원자력 발전에서도 공급될 것입니다.
티빙 광고요금제 근황
한번 광고 송출에 광고가 35개
?
USTR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https://t.me/ihresearch/1797

- 미국 선박 건조 산업을 회복시키면서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 중국 선박 소유주 및 운영사는 180일 후부터 순톤당 $50의 항만 사용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 사용료는 3년간 매년 순톤당 $30씩 증가합니다
- 외국에서 건조된 자동차 운반선은 180일 후부터 차량당 $150의 사용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 중국 관련 선박에 대한 수수료는 항구 방문당 아닌 미국 항로당 부과되며, 연간 최대 5회까지 부과됩니다
-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의 주문은 최대 3년간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IH Research avatar
IH Research
USTR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 Actions designed to restore US shipbuilding while mitigating disruptions
- Vessel ownders and operators of China would be assessed port fees starting at $50 per net ton in 180 days
- Fees will increase by $30 per ton per year for three years
- Foreign-built car carriers would start at $150 per vehicle in 180 days
- Fees on Chinese-linked vessels will be assessed per US voyage not per port call and will be imposed no more than 5 times per year
- Orders of US built vessels will lead to suspended fees for up to 3 years

source: https://www.forexlive.com/news/ustr-announces-actions-intended-to-reverse-chinese-dominance-in-shipbuilding-20250417/
#INFY
금리 변동성, 주요 지역의 선거, 지정학적 긴장, 그리고 최근 부각되는 관세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기업들의 IT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고객들은 신중한 태도(cautious)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재량적 지출(discretionary spend)에 대한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제 환경과 고객 예산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연중 가이던스를 재평가할 것

Infosys(INFY) 25.1Q 실적발표, Earnings Calls
https://blog.naver.com/opushk/223838329301
#MMC
가이던스는 현재 시점의 상황을 기반으로 하며, 특히 진행 중인 무역 협상과 관련된 불확실성 및 이것이 소비자/기업 신뢰도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실제 결과는 가정과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Marsh & McLennan(MMC) 25.1Q 실적발표, Earnings Calls
https://blog.naver.com/opushk/223838324845

रिकॉर्ड

20.04.202523:59
3.9Kसदस्य
31.12.202400:15
9उद्धरण सूचकांक
07.12.202423:59
4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06.04.202512:03
3.8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15.01.202523:59
6.96%ER
02.12.202423:59
136.28%ERR

Fundeasy_최이지 के लोकप्रिय पोस्ट

17.04.202509:23
#에르메스
캬.. 한국인 돈 많네
경영진은 한국 시장에서 두 자릿수 이상의 견조한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브랜드들이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https://blog.naver.com/opushk/223837807537
09.04.202501:50
17.04.202523:14
USTR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https://t.me/ihresearch/1797

- 미국 선박 건조 산업을 회복시키면서 혼란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
- 중국 선박 소유주 및 운영사는 180일 후부터 순톤당 $50의 항만 사용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 사용료는 3년간 매년 순톤당 $30씩 증가합니다
- 외국에서 건조된 자동차 운반선은 180일 후부터 차량당 $150의 사용료를 부과받게 됩니다
- 중국 관련 선박에 대한 수수료는 항구 방문당 아닌 미국 항로당 부과되며, 연간 최대 5회까지 부과됩니다
-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의 주문은 최대 3년간 수수료가 면제됩니다
03.04.202521:09
글로벌 주식 재무기능이 가장 강력하다고 생각하는 사이트입니다.
Finchat 많이 이용해보세요.

아래 링크로 유료 플랜 가입시 15% 할인 됩니다.
https://finchat.io/?via=fundeasy
से पुनः पोस्ट किया:
Granit34의 투자스토리 avatar
Granit34의 투자스토리
17.04.202505:11
전력기기 1Q25 Update - 25. 04. 17

#업황
멀티플이 깎인 것과 별개로 업황은 탄탄.
작년부터 국가간 송전망 구축수요 / 신규 신재생 그리드 연결수요 증가를 기반으로 유럽 시장에 대한 언급이 업체들에게서 늘기 시작했는데 최근 종전 - 방산 투자와 연결될 설비 CAPEX 투자도 이러한 유럽 내 송전망 투자기조를 강화하는 데에 일조할 것으로 판단. SMR / 가스터빈 등의 활성화를 시작으로 에너지원 - 전력수요처 간 거리가 짧아지며 송전인프라 투자가 축소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는데 업체들의 경우 유틸리티 업체들의 인프라 CAPEX 수요가 워낙에 강력해 체감되지 않거나 오히려 발주 제품의 대형화 / 고스펙화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어 우려가 실제 업황으로 체감되고 있지는 않는다는 등의 코멘트를 남김.

#밸류에이션
밸류에이션의 경우 개인 추정치 기준 HD현대일렉 & LS ELEC 25F PER 14~15배 / 효성중공업 & 산일전기 & 일진전기 11~12배 레벨까지 내려왔음. 유틸리티 CAPEX가 AI CAPEX보다 재미없어보이는 건 사실이니 할 말은 없지만 OP 성장률 최소 27년까지는 연 20% 이상 달성 가능할 것으로 보이기에 향후 3년간 OP 성장률이 20%를 넘어가는 산업에 밸류 하향조정 이후 몇 배를 줄 수 있을까의 문제로 판단.

#1Q25?
1Q25 실적은 전체적으로는 무난할 것으로 예상.
4Q24 연결조정 이슈가 1분기에 반영될 일진전기 / HD현대일렉트릭, 큰 일회성 비용 없이 1분기 톤 무난해보이는 효성중공업까지는 좋아보이고, 그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LS Electric / 산일전기가 아쉬울 가능성. LS ELECTRIC은 아직 국내 매출 비중 높아 비수기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해보이고, 산일전기의 경우 애초에 셀사이드 컨센서스가 좀 높았다는 생각이라 수출데이터 상으론 매출은 약간 미스나고 OP는 OPM 잘 나오면서 인라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2025년?
25년 연간으로 보았을 때는 효성중공업 추정치가 과도하게 낮아보여 컨센서스 대비 서프라이즈 가능성 높아보이고, 4Q24 쇼크로 인해 추정치 내려간 HD현대일렉트릭도 추정치 상향조정 가능성 있다는 판단. 나머지 3사의 경우 각사별로 리스크가 있어 아직 확언하기 힘든데 LS ELECTRIC의 경우 매출 컨센서스는 북미 데이터센터향 수주 감안하면 보수적으로 잡힌 듯한데 관세 영향이 있다보니 영업이익 쪽이 좀 조심스럽고, 일진전기도 비슷한 상황. 산일전기는 애초에 24년 실적이 꾸준히 가이던스 대비 좋았던 영향으로 외려 25년 증권사 컨센서스가 약간 높게 잡혔던 것 같아보이기도.
18.04.202504:48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피카츄 아저씨⚡️ avatar
피카츄 아저씨⚡️
06.04.202504:27
[이웃공개] 태리 스미스의 <퀄리티 투자, 그 증명의 기록>
책에 대한 문장을 일부 발췌하여 포스팅하였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23821917

특히 팬데믹 시절의 레터가 지금과 같은 혼란한 시기에 와 닿을 것 같습니다^^;

[게시글]
위 책은 태리 스미스의 투자 레터들을 엮어 만든 책입니다. 태리 스미스는 영국 사람임에도 가장 유동성이 풍부한 미국 시장에 투자한다는 점, 그리고 무조건 싼 것만 찾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상적인 투자자입니다.

태리 스미스의 원칙은 저와 같습니다. "훌륭한 주식을 과도하게 비싸지 않게 사서 아무 것도 하지 말아라"

그러면서 동시에 회피해야 할 기업의 특징으로 자산 효율성이 낮고, ROCE가 낮은 기업 그리고 과도한 부채나 복잡한 회계구조, 그리고 분산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가진 종목을 꼽고, 이익은 없지만 미래는 밝은 종목들을 꺼립니다.

제가 좀 인상깊게 읽었던 부분은 배당 재투자에 대한 관점입니다. 이는 워렌 버핏과 <현금의 재발견>에 나온 내용들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배당이란 결국 세금으로 소득률을 깎아먹기 때문에 잉여 창출분에 대해서는 회사가 잘 투자해서 복리의 마법을 이뤄야 한다는 얘기입니다. 결국 단순 자사주 소각으로 빚어진 EPS는 환상일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퀄리티 종목들의 성장은 지루하다는 점입니다.

고로 이 책을 통해서는 ROCE와 같은 수익성 지표, 그리고 FCF와 같은 현금흐름을 통해서 중요한 지표로 맞이할 수 있게 되고, 기업의 성장을 기다릴 수 있는 투자자로 성장할 수 있겠습니다.

태리 스미스의 원칙은 아래와 같이 요약되는데 잊지마세요.
1. 훌륭한 기업에 투자하라.
2. 비싸게 사지 마라.
3. 아무것도 하지 마라.

[발췌문]
은 피카츄 아저씨 블로그 이웃 추가를 하고 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pikachu_aje/223823821917

독후감은 차차 써보겠습니닷
?
06.04.202510:39
다음주에도 하락의 여진이 계속 될 수 있는 근거

4/7 월요일 : 3개월, 6개월 국채 입찰
4/8 화요일 : 3년물 국채 입찰
4/9 수요일 : 10년물 국채 입찰
4/10 목요일 : 4주, 8주, 30년물 국채 입찰

경매 규모(3830억 달러)
14일 : 500억 달러
6주 : 700억 달러
13주 : 760억 달러
26주 : 680억 달러
3년 : 580억 달러
10년 : 390억 달러
30년 : 220억 달러

최소한 경매는 끝나고 좋은 소리하지않을까?
06.04.202509:36
💼가장 저렴한 “M7” 주식은 무엇일까요?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은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으며 품질이 우수한 7개 기업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수요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글로벌 관세 계획을 발표한 후, 매그니피센트 7에 속한 모든 기업이 급락했습니다.

이제, 이들 세계적 수준의 기업들이 최소 20%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실제로 가장 저렴한 기업은 어디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이들 기업 모두에 적용되는 통일된 평가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회성 비용/고유한 회계 처리를 고려하기 위해 3가지 다른 측정 기준을 선택했습니다.

1. Apple
EV/FCF: 28.3x
EV/EBIT: 23.9x
Forward EV/EBIT: 22.7x

2. Microsoft
EV/FCF: 44x
EV/EBIT: 24.4x
Forward EV/EBIT: 21.5x

3. NVIDIA
EV/FCF: 49.7x
EV/EBIT: 30.1x
Forward EV/EBIT: 18.8x

4. Amazon
EV/FCF: 38.7x
EV/EBIT: 28.4x
Forward EV/EBIT: 24x

5. Alphabet
EV/FCF: 25.8x
EV/EBIT: 15.6x
Forward EV/EBIT: 14x

6. Meta
EV/FCF: 33.1x
EV/EBIT: 19.3x
Forward EV/EBIT: 17.9x

7. Tesla
EV/FCF: 1,779x
EV/EBIT: 109.4x
Forward EV/EBIT: 93.1x


무료로도 충분히 좋지만 Finchat을 유료로 이용하고싶으신분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https://t.me/fundeasy_choi/2916
17.04.202507:19
지멘스 에너지(Siemens Energy)의 2025 회계연도 2분기 잠정 실적 및 연간 전망 업데이트

핵심 요약:

지멘스 에너지는 2025 회계연도 2분기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강력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긍정적인 사업 성과에 힘입어 2025 회계연도 전체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2분기 전체 실적은 2025년 5월 8일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5 회계연도 연간 전망 업데이트 (그룹 전체)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¹): 13% ~ 15% (기존 8% ~ 10%)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4% ~ 6% (기존 3% ~ 5%)
순이익: 최대 10억 유로 (기존 손익분기점 수준)
인도 지멘스(Siemens Limited) 에너지 사업 분할에 따른 긍정적 특별 항목은 제외한 가정치입니다.
세전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pre tax): 약 40억 유로


2025 회계연도 연간 전망 업데이트 (사업 부문별)

가스 서비스 (Gas Services):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11% ~ 13% (기존 7% ~ 9%)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11% ~ 13% (기존 10% ~ 12%)

그리드 기술 (Grid Technologies):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24% ~ 26% (기존 23% ~ 25%)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14% ~ 16% (기존 10% ~ 12%)

산업 전환 (Transformation of Industry):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13% ~ 15% (기존 11% ~ 13%)
특별 항목 제외 이익률: 9% ~ 11% (기존 8% ~ 10%)

지멘스 가메사 (Siemens Gamesa):
매출 성장률 (비교 기준): 0% ~ 2% (기존 -9% ~ -5%)
특별 항목 제외 이익: 약 -13억 유로 (기존 전망 유지)
참고: 위 전망에는 법률 및 규제 관련 비용은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2025 회계연도 2분기 잠정 실적 (그룹 전체)

수주: 144억 3300만 유로 (전년 동기: 94억 70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124억 8500만 유로)
비교 기준 52.3% 증가
매출: 99억 6200만 유로 (전년 동기: 82억 78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93억 1900만 유로)
비교 기준 20.7% 증가
이익 (Profit): 6억 1500만 유로 (전년 동기: 5억 1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3억 7200만 유로)
지멘스 가메사 인도 풍력 사업 지분 매각 손실 포함
특별 항목 제외 이익 (Profit before Special Items): 9억 600만 유로 (전년 동기: 1억 7000만 유로, 시장 예상치: 5억 7700만 유로)
이익률: 9.1% (전년 동기: 2.1%, 시장 예상치: 6.2%)
세전 잉여현금흐름: 13억 9000만 유로 (전년 동기: 4억 8300만 유로)


2025 회계연도 2분기 잠정 실적 (사업 부문별)

가스 서비스:
수주: 70억 3800만 유로 (비교 기준 +102.1%)
매출: 31억 6300만 유로 (비교 기준 +18.7%)
특별 항목 제외 이익: 5억 1100만 유로 (이익률 16.1%)
세전 잉여현금흐름: 10억 400만 유로

그리드 기술:
수주: 52억 900만 유로 (비교 기준 +41.6%)
매출: 28억 6100만 유로 (비교 기준 +33.7%)
특별 항목 제외 이익: 5억 7100만 유로 (이익률 19.9%)
약 1억 유로의 긍정적 시점 차이(timing effects) 포함
세전 잉여현금흐름: 6억 3300만 유로

산업 전환:
수주: 15억 6400만 유로 (비교 기준 -1.5%)
매출: 14억 1100만 유로 (비교 기준 +10.5%)
특별 항목 제외 이익: 1억 5500만 유로 (이익률 11.0%)
세전 잉여현금흐름: 1억 4500만 유로

지멘스 가메사:
수주: 8억 7500만 유로 (비교 기준 -1.0%)
매출: 27억 600만 유로 (비교 기준 +16.2%)
특별 항목 제외 이익: -2억 4900만 유로 (이익률 -9.2%)
세전 잉여현금흐름: -3억 3300만 유로
से पुनः पोस्ट किया:
Fundeasy_최이지 avatar
Fundeasy_최이지
21.03.202500:09
이제 남은 것은 얼마나 빨리 집행해주느냐
기업들은 빨리 케파를 늘려 생산량을 늘리느냐
나토, EU 국가들의 군대 전술이 어떤 것 위주느냐
https://naver.me/x2jBLhCN
से पुनः पोस्ट किया:
Pluto Research avatar
Pluto Research
09.04.202522:52
트럼프 중국 선박 재제 행정명령 서명 주요 내용 : 항만료 인상을 선령 + 화물 적재량 (톤 수) 비례하여 적용 - 노후 선박 퇴출/교체 속도는 빨라지는 동시에 코로나 직후 발주된 선박들은 일부 예외 적용 (미국 인플레이션 악화 감안)

https://news.bloombergtax.com/international-trade/white-house-considers-changes-to-plan-for-china-ship-fees
09.04.202508:04
반도체 추가했어요
https://t.me/fundeasy_choi/2993
05.04.202504:32
트럼프의 행동을 이해해보기(Fundeasy 끄적임)

🙏미국의 미래를 진심으로 걱정하는 트럼프?
- 미국의 국가부채는 약 36조달러, 연간 이자 비용만 1.1조 달러로 매년 약 2조달러 이상 부채가 늘어나는 상황

- GDP대비 국가부채는 2024년 약 124%가량 되며 2023년 122.3%에서 거의 2% 증가하고 있는 상황

- 매년 부채가 GDP의 2%가 늘어난다.

- 이 상황에서 트럼프는 재정 적자를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는데

- 관세, 정부 지출 감소, 항만세 등을 추진했고 추진하고 있다.

- 재무장관인 베센트는 다른 지표보다 10년물 금리를 우선시한다고 말하고 있음.

- 바이든/옐런 시절 단기물로 돈을 땡긴 재무부이기 때문에 단기물을 장기물로 리파이낸싱하려면 10년물 금리가 저렴해져야 하는 상황

- 금리가 1% 낮아질 때마다 이자비용 3000억 달러 이상을 절약할 수 있음.

- 금리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은 금리를 내리는 것이지만 인플레이션이 잘 안내려가고 고용이 좋은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를 내릴 이유가 딱히 없음

- 그래서 ㄸㄹㅇ 같은 여러 행동으로 경기침체를 유발하려는 모습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침체가 오면 시장금리가 내려가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릴 수 있는 데이터가 나오기 때문

- 러프하게 바이든 정부 임기동안 10년물 금리가 평균 3% 중반인데 마지막 해에는 4.2% 정도. 단기물은 4.8%정도

- 현재 10년물 금리가 4% 아래로 내려갔고 이제 슬슬 리파이낸싱을 많이 해야하는 시점

- 관세는 대충 보편관세 10%, 상호관세 실효세율 18%정도를 가정하면 관세 수입이 약 4천억 달러정도로 계산됨.

- 금리 1%당 이자비용 3천억, 관세 4천억을 생각하면 연간 7천억 달러를 절약할 수 있음.

- 정부 지출도 줄인다면 연간 1조 달러 +@ 줄일 수 있다는 가정이 완성됨.

- 관세로 인한 미국 국민들의 피해는 하반기부터 나올 감세로 달래 줄 수 있을것이라 생각하는 듯함.

- 대충 트럼프 임기동안 5조 달러 + @의 부채가 줄어들면 미국이라는 나라의 디레버리징이 어느정도 완성?

https://blog.naver.com/opushk/223822996028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