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 IT는 SK ]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652ede3b-d53c-4561-9555-7b8279da64ae.jpg%3Fw%3D240%26h%3D240&w=640&q=75)
[ IT는 SK ]
최도연, 박형우, 한동희, 이동주, 권민규, 박제민 (SK증권)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Mar 14, 2023
TGlist में जोड़ा गया
Sep 24, 2024रिकॉर्ड
19.04.202523:59
4.3Kसदस्य05.03.202516:02
500उद्धरण सूचकांक24.03.202523:59
7.9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18.10.202423:59
9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21.03.202511:53
5.49%ER09.10.202423:59
201.76%ERR17.04.202522:11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4.18. 주요 뉴스
엔비디아 CEO, 중국 방문…미국 수출 제한 속 '협력 희망' 의사 개진
- 젠슨 황은 중국 정부 초청으로 베이징을 방문, 이번 회담은 미국이 H20 AI 칩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한 이후 이뤄진 회담.
https://buly.kr/FLY0sA1
TSMC, 1분기 순이익 60% 급증, 시장 예상치 상회
-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도 AI 수요 급증 자신감
https://buly.kr/1c8uMXO
2분기 D램 및 낸드 가격 최대 8% 상승 전망
- 관세 대비 메모리 비축 수요 증가
https://buly.kr/CB4NDW8
넷플릭스, 1분기 매출 105억 4300만 달러 시장 예상치 소폭 상회, EPS 6.6.1$, 예상치 큰 폭 상회
- 광고 기반 요금제가 신규 가입자의 55% 차지
https://buly.kr/7bGfi9k
美 법원, 구글 광고 기술 독점 인정…사업 분할 가능성 제기
- 광고주 네트워크 시장에서의 독점은 입증X, 나머지 부분 항소 예정
https://buly.kr/AlkJMuh
중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의 절반 수준
https://buly.kr/7bGfiKB
Apple Vision Air 전용 전원 케이블 유출…Vision Pro와는 다른 디자인, ‘미드나잇 블루’ 색상 적용
- 현재 Vision Air는 $2,000 가격대의 보급형 모델로 예상
https://buly.kr/9XL0VMv
OpenAI, 새로운 고성능 AI 모델 o3 및 o4-mini 공개…이미지 기반 추론까지 가능
- 이번 주 초 GPT-4.1 발표에 이어, 빠르게 AI 기능 확장에 박차
https://buly.kr/1u5XLz
인텔, 고급 AI 칩 중국 수출 제한에 직면
- 미국의 새로운 AI 칩 수출 규제로 중국 수출에 라이선스 필요
https://buly.kr/611qtAi
삼성전자, 4nm 로직 다이 수율 40% 달성…HBM4 개발 가속화
- 2025년 내, 양산 진입 목표
https://buly.kr/NjbV1O
오픈AI와 소프트뱅크, 스타게이트 AI 프로젝트를 위한 영국 투자 검토 중
https://buly.kr/YeMTor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4.18. 주요 뉴스
엔비디아 CEO, 중국 방문…미국 수출 제한 속 '협력 희망' 의사 개진
- 젠슨 황은 중국 정부 초청으로 베이징을 방문, 이번 회담은 미국이 H20 AI 칩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한 이후 이뤄진 회담.
https://buly.kr/FLY0sA1
TSMC, 1분기 순이익 60% 급증, 시장 예상치 상회
-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도 AI 수요 급증 자신감
https://buly.kr/1c8uMXO
2분기 D램 및 낸드 가격 최대 8% 상승 전망
- 관세 대비 메모리 비축 수요 증가
https://buly.kr/CB4NDW8
넷플릭스, 1분기 매출 105억 4300만 달러 시장 예상치 소폭 상회, EPS 6.6.1$, 예상치 큰 폭 상회
- 광고 기반 요금제가 신규 가입자의 55% 차지
https://buly.kr/7bGfi9k
美 법원, 구글 광고 기술 독점 인정…사업 분할 가능성 제기
- 광고주 네트워크 시장에서의 독점은 입증X, 나머지 부분 항소 예정
https://buly.kr/AlkJMuh
중국 CXMT, 올해 D램 생산량 68% 확대, SK하이닉스의 절반 수준
https://buly.kr/7bGfiKB
Apple Vision Air 전용 전원 케이블 유출…Vision Pro와는 다른 디자인, ‘미드나잇 블루’ 색상 적용
- 현재 Vision Air는 $2,000 가격대의 보급형 모델로 예상
https://buly.kr/9XL0VMv
OpenAI, 새로운 고성능 AI 모델 o3 및 o4-mini 공개…이미지 기반 추론까지 가능
- 이번 주 초 GPT-4.1 발표에 이어, 빠르게 AI 기능 확장에 박차
https://buly.kr/1u5XLz
인텔, 고급 AI 칩 중국 수출 제한에 직면
- 미국의 새로운 AI 칩 수출 규제로 중국 수출에 라이선스 필요
https://buly.kr/611qtAi
삼성전자, 4nm 로직 다이 수율 40% 달성…HBM4 개발 가속화
- 2025년 내, 양산 진입 목표
https://buly.kr/NjbV1O
오픈AI와 소프트뱅크, 스타게이트 AI 프로젝트를 위한 영국 투자 검토 중
https://buly.kr/YeMTor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6.03.202521:51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3.27. 주요 뉴스
마이크론, 가격 인상 경고… 2025-26년 강한 수요 예고
https://buly.kr/9tAOUI8
메모리 현물가 업데이트: DDR5 강세가 DDR4까지 확산되며 향후 몇 주간 가격 강세 지속 전망
https://buly.kr/8TqKdlc
마이크론, NVIDIA GB300용 LPDDR5 SOCAMM 공개… 경쟁사보다 앞서
https://buly.kr/3NIMC6u
NVIDIA의 H20 AI GPU는 중국에서 판매 금지될 수도
https://buly.kr/8TqKdlr
낸드 가격 2분기부터 안정화 전망… "관세 여파에 수요 증가"
https://buly.kr/3NIMC7B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3.27. 주요 뉴스
마이크론, 가격 인상 경고… 2025-26년 강한 수요 예고
https://buly.kr/9tAOUI8
메모리 현물가 업데이트: DDR5 강세가 DDR4까지 확산되며 향후 몇 주간 가격 강세 지속 전망
https://buly.kr/8TqKdlc
마이크론, NVIDIA GB300용 LPDDR5 SOCAMM 공개… 경쟁사보다 앞서
https://buly.kr/3NIMC6u
NVIDIA의 H20 AI GPU는 중국에서 판매 금지될 수도
https://buly.kr/8TqKdlr
낸드 가격 2분기부터 안정화 전망… "관세 여파에 수요 증가"
https://buly.kr/3NIMC7B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1.04.202501:12
[SK증권 반도체 한동희, 박제민]
3월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8.3억달러 (+25% MoM, Flat QoQ)
DRAM 모듈 13.5억달러 (+95% MoM, -10% QoQ)
NAND 3.1억달러 (+79% MoM, -14% QoQ)
MCP 19.2억달러 (+60% MoM, -15% QoQ)
SSD 6.0억달러 (+61% MoM, -20% QoQ)
* 위 내용은 공개 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월 반도체 수출액 잠정치
DRAM 8.3억달러 (+25% MoM, Flat QoQ)
DRAM 모듈 13.5억달러 (+95% MoM, -10% QoQ)
NAND 3.1억달러 (+79% MoM, -14% QoQ)
MCP 19.2억달러 (+60% MoM, -15% QoQ)
SSD 6.0억달러 (+61% MoM, -20% QoQ)
* 위 내용은 공개 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16.04.202505:36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ASML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7.74B (-16% QoQ, +46% YoY): 컨센서스 -1%
GPM 54.0% (+2%p QoQ, +3%p YoY): 컨센서스 +1.6%p
EPS €6.00 (-12% QoQ, +93% YoY): 컨센서스 +4%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7.45B (-4% QoQ, +19% YoY): 컨센서스 -4%
GPM 51.5% (Flat QoQ, +0%p YoY): 컨센서스 부합
▶️ Net bookings
€3.93B (-44% QoQ, +9% YoY)
▶️ 경영진 코멘트
최근 관세 관련 발표는 거시 경제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중
당분간 상황은 역동적으로 변할 가능성
▶️ URL: https://buly.kr/7mBQ5KS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ASML FY1Q25 실적발표
▶️ FY1Q25 실적 (Non-GAAP)
매출액 €7.74B (-16% QoQ, +46% YoY): 컨센서스 -1%
GPM 54.0% (+2%p QoQ, +3%p YoY): 컨센서스 +1.6%p
EPS €6.00 (-12% QoQ, +93% YoY): 컨센서스 +4%
▶️ FY2Q25 가이던스
매출액 €7.45B (-4% QoQ, +19% YoY): 컨센서스 -4%
GPM 51.5% (Flat QoQ, +0%p YoY): 컨센서스 부합
▶️ Net bookings
€3.93B (-44% QoQ, +9% YoY)
▶️ 경영진 코멘트
최근 관세 관련 발표는 거시 경제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 확대 중
당분간 상황은 역동적으로 변할 가능성
▶️ URL: https://buly.kr/7mBQ5KS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1.03.202501:10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강해지는 국면 (3/10)
2Q25: 26년 HBM 계약 통한 강한 AI 확인 예상
빅테크들의 2025년 CapEx 계획 시장 예상치 상회
TSMC CoWoS 생산 능력 상향
엔비디아 블랙웰 본격화 및 ASIC 진영의 하이엔드 HBM 수요 증가(2E,3->3E)
-> 전년대비 계약 빠르게 종료
26년 HBM 전망치 상향 국면
Commodity DRAM 고정가격 안정화 국면 시작
DRAM 3사의 제한적인 D5 재고 상황, AI 강세 및 중국 이구환신 정책
-> 서버 D5, 플래그십 모바일향 LPD5X 수요 확대, HBM 강세에 따른 선단공정 생산 능력 잠식
2Q25 재고조정 안정화 시작의 기존 전망 유지
->2Q25 메모리 출하 반등을 통해 확인할 것
과거 Commodity 사이클에서의 주가 반등 논리는
출하 회복과 가격 하락 안정화 시작이었음을 기억
반도체 비중 확대 의견 유지
AI 사이클 내 메모리가 가장 강해지는 국면은 HBM과 Commodity가 시너지를 내는 구간
->2Q25 HBM 강세 재확인과 재고조정 안정화로 시너지 기대감 점증
AI CapEx의 상승은 HBM 수요 상향 요인
->2Q25부터 2026년 HBM 전망 상향과 이에 수반되는 Commodity 생산능력 잠식 확대
->2026년 메모리 증익에 대한 가시성을 높이는 요소
SK하이닉스 최선호주 유지
-> HBM 우위 속 M15X (HBM 기준 90K/월) 활용한 시장 수요 흡수 여력 강화
-> ASIC 진영으로의 저변 확대 가속화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UiT8pf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강해지는 국면 (3/10)
2Q25: 26년 HBM 계약 통한 강한 AI 확인 예상
빅테크들의 2025년 CapEx 계획 시장 예상치 상회
TSMC CoWoS 생산 능력 상향
엔비디아 블랙웰 본격화 및 ASIC 진영의 하이엔드 HBM 수요 증가(2E,3->3E)
-> 전년대비 계약 빠르게 종료
26년 HBM 전망치 상향 국면
Commodity DRAM 고정가격 안정화 국면 시작
DRAM 3사의 제한적인 D5 재고 상황, AI 강세 및 중국 이구환신 정책
-> 서버 D5, 플래그십 모바일향 LPD5X 수요 확대, HBM 강세에 따른 선단공정 생산 능력 잠식
2Q25 재고조정 안정화 시작의 기존 전망 유지
->2Q25 메모리 출하 반등을 통해 확인할 것
과거 Commodity 사이클에서의 주가 반등 논리는
출하 회복과 가격 하락 안정화 시작이었음을 기억
반도체 비중 확대 의견 유지
AI 사이클 내 메모리가 가장 강해지는 국면은 HBM과 Commodity가 시너지를 내는 구간
->2Q25 HBM 강세 재확인과 재고조정 안정화로 시너지 기대감 점증
AI CapEx의 상승은 HBM 수요 상향 요인
->2Q25부터 2026년 HBM 전망 상향과 이에 수반되는 Commodity 생산능력 잠식 확대
->2026년 메모리 증익에 대한 가시성을 높이는 요소
SK하이닉스 최선호주 유지
-> HBM 우위 속 M15X (HBM 기준 90K/월) 활용한 시장 수요 흡수 여력 강화
-> ASIC 진영으로의 저변 확대 가속화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2UiT8pf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1.03.202502:22
*지난주 발간 자료입니다.
*종목별 선호도 및 코멘트는 3 페이지 참고 부탁드립니다.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IT 소부장, AI-Driven
▶️ Summary
1. 레거시 관련 전공정 주가 지난주부터 하락 반전. 그러나 중국 이구환신 효과로 DRAM/NAND 재고 소진이 확인되어, 레거시 업황은 개선될 전망. 3-4월 supply chain에서의 동향 변화까지 감지된다면 다시 강한 상승 반전 예상
2. AI-driven 수요 사이클 지속. CSP에 이어 Telco도 AI DC 구축 시작으로 GPU 확보 노력. 2-3년 투자 사이클 진입. AI 후공정 업체의 다운사이드 리스크보다 업사이드 리턴이 큰 구간
3. 업황 이외 모멘텀 check: ASIC, 유리기판, 폴더블, 극저온 식각
Top-picks: 리노공업, 파크시스템스, 테크윙, 넥스틴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EdskqCe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종목별 선호도 및 코멘트는 3 페이지 참고 부탁드립니다.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IT 소부장, AI-Driven
▶️ Summary
1. 레거시 관련 전공정 주가 지난주부터 하락 반전. 그러나 중국 이구환신 효과로 DRAM/NAND 재고 소진이 확인되어, 레거시 업황은 개선될 전망. 3-4월 supply chain에서의 동향 변화까지 감지된다면 다시 강한 상승 반전 예상
2. AI-driven 수요 사이클 지속. CSP에 이어 Telco도 AI DC 구축 시작으로 GPU 확보 노력. 2-3년 투자 사이클 진입. AI 후공정 업체의 다운사이드 리스크보다 업사이드 리턴이 큰 구간
3. 업황 이외 모멘텀 check: ASIC, 유리기판, 폴더블, 극저온 식각
Top-picks: 리노공업, 파크시스템스, 테크윙, 넥스틴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EdskqCe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17.04.202522:59
# 이수페타시스
- MLB는 미중분쟁 환경에서 쇼티지 심화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결론
- 몇 안되는 1Q & 2Q 서프 기업
(당사 추정치도 상회 가능성)
- 가격 상승 싸이클 기대:
신규 플랫폼 고객사 단가인상 수용
- 매크로 우려에도 (미중분쟁)
MLB/다중적층 기판은 쇼티지 심화
▶️ 1Q 실적 서프 예상 : 믹스개선
- 일회성 비용에도 실적 서프
- 현재 수주 고려 시, 2분기에도 QoQ 개선
▶️ 2025년 전망: 가격 상승 싸이클
- 800G 비중 상승 시작
- AI기판도 다중적층으로 업그레이드
- 단가 인상 동향
▶️ 목표주가 59,000원으로 상향. 미중분쟁으로 기판 쇼티지 심화
- MLB 쇼티지
- 다중적층(하이브리드)기판 쇼티지
- 공급자 우위환경
- 미중분쟁 반사수혜 제품군
▶️ URL:
https://buly.kr/9tAWTrn
- MLB는 미중분쟁 환경에서 쇼티지 심화
[ SK증권 박형우, 권민규 ]
IT부품/전기전자, 2차전지
▶️ 결론
- 몇 안되는 1Q & 2Q 서프 기업
(당사 추정치도 상회 가능성)
- 가격 상승 싸이클 기대:
신규 플랫폼 고객사 단가인상 수용
- 매크로 우려에도 (미중분쟁)
MLB/다중적층 기판은 쇼티지 심화
▶️ 1Q 실적 서프 예상 : 믹스개선
- 일회성 비용에도 실적 서프
- 현재 수주 고려 시, 2분기에도 QoQ 개선
▶️ 2025년 전망: 가격 상승 싸이클
- 800G 비중 상승 시작
- AI기판도 다중적층으로 업그레이드
- 단가 인상 동향
▶️ 목표주가 59,000원으로 상향. 미중분쟁으로 기판 쇼티지 심화
- MLB 쇼티지
- 다중적층(하이브리드)기판 쇼티지
- 공급자 우위환경
- 미중분쟁 반사수혜 제품군
▶️ URL:
https://buly.kr/9tAWTrn
08.04.202502:31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삼성전자 1Q25P; 스마트폰, DRAM 출하 예상 상회
1Q25 영업이익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매출액 79조원 (+4.2% QoQ), 영업이익 6.6조원 (+1.6% QoQ)
당사 전망치 25%, 컨센서스 38% 상회
주요 사업부별 영업이익 추정
DS: 메모리 영업이익 3.4조원 (DRAM 3.7조원, NAND -0.3조원), Foundry/LSI -2.5조원
HBM3e 재설계에 따른 출하 부진에도 Conventional DRAM 출하 호조로 DRAM 출하 -1% QoQ 추정
SDC: 0.5조원. 경쟁강도 심화에도 불구하고 GS25 출시 효과로 전년대비 견조 추정
MX/NW: 4.5조원. 스마트폰 출하 예상 상회. 6,030만대 (+16% YoY), ASP 325달러 (-3%YoY) 추정
애널리스트 의견
상호관세에 따른 세트 수요 둔화 우려와 2Q25 GS25 출시효과 희석, 구조적인 SDC 경쟁 심화 등 고려하면, 전사 실적 방어를 위한 메모리 증익 중요성 점증
현재의 HBM 강세 속 D5 공급 부족 상황에서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 발생 감안하면 2Q25 메모리 가격 인상 및 지속을 위한 업계의 보수적 설비투자, 생산, 출하 기조 강화 국면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omxT9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삼성전자 1Q25P; 스마트폰, DRAM 출하 예상 상회
1Q25 영업이익 어닝서프라이즈 기록
매출액 79조원 (+4.2% QoQ), 영업이익 6.6조원 (+1.6% QoQ)
당사 전망치 25%, 컨센서스 38% 상회
주요 사업부별 영업이익 추정
DS: 메모리 영업이익 3.4조원 (DRAM 3.7조원, NAND -0.3조원), Foundry/LSI -2.5조원
HBM3e 재설계에 따른 출하 부진에도 Conventional DRAM 출하 호조로 DRAM 출하 -1% QoQ 추정
SDC: 0.5조원. 경쟁강도 심화에도 불구하고 GS25 출시 효과로 전년대비 견조 추정
MX/NW: 4.5조원. 스마트폰 출하 예상 상회. 6,030만대 (+16% YoY), ASP 325달러 (-3%YoY) 추정
애널리스트 의견
상호관세에 따른 세트 수요 둔화 우려와 2Q25 GS25 출시효과 희석, 구조적인 SDC 경쟁 심화 등 고려하면, 전사 실적 방어를 위한 메모리 증익 중요성 점증
현재의 HBM 강세 속 D5 공급 부족 상황에서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 발생 감안하면 2Q25 메모리 가격 인상 및 지속을 위한 업계의 보수적 설비투자, 생산, 출하 기조 강화 국면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omxT9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7.03.202521:39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3.28. 주요 뉴스
SK하이닉스, HBM4 설비 투자 하향 조정 고심… “AI 메모리 수요 정체 가능성”
https://buly.kr/15OVnms
CoreWeave(CRWV) IPO, 대실패로 전락... NVIDIA, 2억 5천만 달러 앵커 투자로 긴급 개입
https://buly.kr/4bhfQ6I
Rapidus, Quest Global과 협력해 2나노 칩 개발 가속화
https://buly.kr/90abwUC
SiCarrier: 중국의 칩 장비 업체, Applied Materials와 ASML에 도전장
https://buly.kr/1GJGmao
"AI 열풍은 전략이 아니다": AI EXPO 2025에서 델 임원이 던진 두 가지 현실 점검 질문
https://buly.kr/GZxC7Yr
마이크로소프트, AI EXPO 2025에서 'AI 접근성과 자율성' 강조
https://buly.kr/28t3gfQ
Nvidia의 젠슨 황, GAA 기반 기술로 20% 성능 향상 기대
https://buly.kr/DlJ4QWE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3.28. 주요 뉴스
SK하이닉스, HBM4 설비 투자 하향 조정 고심… “AI 메모리 수요 정체 가능성”
https://buly.kr/15OVnms
CoreWeave(CRWV) IPO, 대실패로 전락... NVIDIA, 2억 5천만 달러 앵커 투자로 긴급 개입
https://buly.kr/4bhfQ6I
Rapidus, Quest Global과 협력해 2나노 칩 개발 가속화
https://buly.kr/90abwUC
SiCarrier: 중국의 칩 장비 업체, Applied Materials와 ASML에 도전장
https://buly.kr/1GJGmao
"AI 열풍은 전략이 아니다": AI EXPO 2025에서 델 임원이 던진 두 가지 현실 점검 질문
https://buly.kr/GZxC7Yr
마이크로소프트, AI EXPO 2025에서 'AI 접근성과 자율성' 강조
https://buly.kr/28t3gfQ
Nvidia의 젠슨 황, GAA 기반 기술로 20% 성능 향상 기대
https://buly.kr/DlJ4QWE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04.04.202500:2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SK 하이닉스; 난 좀 달라
1Q25 OP 6.7조원 (-17% QoQ)의 호실적 예상
AI 인프라 투자 강세 지속: HBM, 선단공정 견조한 수요
이구환신, Pull-in 수요: 레거시 수요 예상 상회
수익성 중심 운영 지속으로 보수적 출하
가격은 DRAM 선방, NAND 예상 수준
NAND: 높은 기저, SSD 단기 부진으로 단품 비중 증가
(B/G) DRAM -10%, NAND -19%
(ASP) DRAM +1%, NAND -17%
DRAM OP 7.1조원 (-6% QoQ):
비수기 및 HBM 일시적 정체에도 경기 방어력 증명
NAND OP -0.2조원 (적자전환):
QLC SSD 기반 Solidigm 흑자지속으로 선방
2Q25 OP 8.2조원 (+22% QoQ) 전망. 저점 통과
HBM 출하 반등 본격화, HBM3e 12H 비중 상승 동반,
D5, NAND 일부 제품 가격 반등으로 DRAM 증익, NAND 적자 폭 축소
출하 반등을 통한 재고 하락 역시 시작
최선호주 유지. HBM 지배력 강화 통한 차별화 국면
관세 등 수요 관점 리스크 부각 국면이나, AI사이클 내 HBM 경쟁 우위 지속
M15X 통한 지배력 강화 예상. HBM 강세 통한 업계 선단 공급부족 지속 전망
25년 OP 37조원 (+58% YoY) 예상
업종 내 실적 차별화 여전히 진행형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00,000원 유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AapTLR5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 하이닉스; 난 좀 달라
1Q25 OP 6.7조원 (-17% QoQ)의 호실적 예상
AI 인프라 투자 강세 지속: HBM, 선단공정 견조한 수요
이구환신, Pull-in 수요: 레거시 수요 예상 상회
수익성 중심 운영 지속으로 보수적 출하
가격은 DRAM 선방, NAND 예상 수준
NAND: 높은 기저, SSD 단기 부진으로 단품 비중 증가
(B/G) DRAM -10%, NAND -19%
(ASP) DRAM +1%, NAND -17%
DRAM OP 7.1조원 (-6% QoQ):
비수기 및 HBM 일시적 정체에도 경기 방어력 증명
NAND OP -0.2조원 (적자전환):
QLC SSD 기반 Solidigm 흑자지속으로 선방
2Q25 OP 8.2조원 (+22% QoQ) 전망. 저점 통과
HBM 출하 반등 본격화, HBM3e 12H 비중 상승 동반,
D5, NAND 일부 제품 가격 반등으로 DRAM 증익, NAND 적자 폭 축소
출하 반등을 통한 재고 하락 역시 시작
최선호주 유지. HBM 지배력 강화 통한 차별화 국면
관세 등 수요 관점 리스크 부각 국면이나, AI사이클 내 HBM 경쟁 우위 지속
M15X 통한 지배력 강화 예상. HBM 강세 통한 업계 선단 공급부족 지속 전망
25년 OP 37조원 (+58% YoY) 예상
업종 내 실적 차별화 여전히 진행형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00,000원 유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AapTLR5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9.04.202523:40
[SK증권 IT 장비/소재 이동주]
<솔브레인>
▶️ 상반기까지 메모리 감산 여파 지속. 다만, 시장 재고 수준 감소함에 따라 하반기 가동률은 회복세. 상저하고 흐름
▶️ 주요 낸드 업체 세대 전환 가속화. 9세대 투자 시작, 10세대 연내 가능성. 관련 대표 소재로 인산계 식각액 주목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4만원으로 하향하나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hobH5D
<원익IPS>
▶️ 전방 투자 기조는 여전히 보수적으로 전환 투자 중심
▶️ 삼성전자 D1c 재설계 이후 수율 개선, P4 디램 신규 투자 2-3분기 기대감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3.3만원으로 하향. 다만 투자 센티의 방향성은 달라질 수 있는 구간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jZ4Zca
<유니셈>
▶️ 1Q25부터 키옥시아향 스크러버 공급 점진적 확대
▶️ 삼성전자 D1c 재설계 이후 수율 개선, P4 디램 신규 투자 2-3분기 기대감 / 낸드 극저온 식각 관련 수혜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0.8만원으로 하향. 센티는 최악의 구간을 벗어나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 제한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5q731I4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솔브레인>
▶️ 상반기까지 메모리 감산 여파 지속. 다만, 시장 재고 수준 감소함에 따라 하반기 가동률은 회복세. 상저하고 흐름
▶️ 주요 낸드 업체 세대 전환 가속화. 9세대 투자 시작, 10세대 연내 가능성. 관련 대표 소재로 인산계 식각액 주목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4만원으로 하향하나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는 제한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hobH5D
<원익IPS>
▶️ 전방 투자 기조는 여전히 보수적으로 전환 투자 중심
▶️ 삼성전자 D1c 재설계 이후 수율 개선, P4 디램 신규 투자 2-3분기 기대감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3.3만원으로 하향. 다만 투자 센티의 방향성은 달라질 수 있는 구간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jZ4Zca
<유니셈>
▶️ 1Q25부터 키옥시아향 스크러버 공급 점진적 확대
▶️ 삼성전자 D1c 재설계 이후 수율 개선, P4 디램 신규 투자 2-3분기 기대감 / 낸드 극저온 식각 관련 수혜
▶️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0.8만원으로 하향. 센티는 최악의 구간을 벗어나 추가적인 하방 리스크 제한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5q731I4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3.04.202522:00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4.04. 주요 뉴스
삼성전자 메모리값 최대 5% 인상
https://buly.kr/GE7ihbI
TSMC, Nvidia 주문 축소에도 불구하고 AI 칩 패키징 확장 가속
https://buly.kr/880ra3X
BBU 및 EDLC 설계의 불확실성으로 Nvidia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
https://buly.kr/DaOLzLq
美 관세 폭탄, 당장은 삼성보다 애플에 악재지만 트럼프가 아이폰에 면죄부 주면 상황 반전
https://buly.kr/5JMjt15
미중 긴장 고조 속, 중국 기업의 미국 투자 제한
- NDRC 산하 지부 최근 몇 주간 미국에 투자하려는 기업들의 등록 및 승인 절차를 보류하라는 지시
https://buly.kr/AwezH7G
애플 공급망, 트럼프 관세에 침묵… 애널리스트들 “가격 상승·출하량 감소 경고”
https://buly.kr/DEYq1eq
Google, CoreWeave로부터 Nvidia Blackwell GPU 임대 협상 중
https://buly.kr/FsICjxo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4.04. 주요 뉴스
삼성전자 메모리값 최대 5% 인상
https://buly.kr/GE7ihbI
TSMC, Nvidia 주문 축소에도 불구하고 AI 칩 패키징 확장 가속
https://buly.kr/880ra3X
BBU 및 EDLC 설계의 불확실성으로 Nvidia GB300 출시 지연 가능성
https://buly.kr/DaOLzLq
美 관세 폭탄, 당장은 삼성보다 애플에 악재지만 트럼프가 아이폰에 면죄부 주면 상황 반전
https://buly.kr/5JMjt15
미중 긴장 고조 속, 중국 기업의 미국 투자 제한
- NDRC 산하 지부 최근 몇 주간 미국에 투자하려는 기업들의 등록 및 승인 절차를 보류하라는 지시
https://buly.kr/AwezH7G
애플 공급망, 트럼프 관세에 침묵… 애널리스트들 “가격 상승·출하량 감소 경고”
https://buly.kr/DEYq1eq
Google, CoreWeave로부터 Nvidia Blackwell GPU 임대 협상 중
https://buly.kr/FsICjxo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30.03.202522:13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2025.03.31. 주요 뉴스
SiCarrier, SMIC의 수율이 TSMC의 3분의 1에 불과한 가운데 5nm 칩 생산을 위해 DUV에 베팅
https://buly.kr/jZ0w9J
중국 AI 칩 제조업체들이 DeepSeek 지원을 위해 경쟁하지만, 전체 모델 채택은 여전히 제한적
https://buly.kr/4QmvXHe
SMIC, 2025년까지 5nm 칩 생산 완료 예정, 하지만 비용은 TSMC보다 최대 50% 높은 상황
https://buly.kr/CB4Gc0v
TSMC, 2030년까지 애리조나에 최첨단 A16(1.6nm) 공장 건설 계획 공개
https://buly.kr/9iFexlI
TSMC, 日 파운드리 공장 장비 반입 늦춘다
https://buly.kr/HHcF8qO
삼성 '엑시노스' 스마트폰으로 이관?…“득보다 실”
https://buly.kr/FWSfKgh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2025.03.31. 주요 뉴스
SiCarrier, SMIC의 수율이 TSMC의 3분의 1에 불과한 가운데 5nm 칩 생산을 위해 DUV에 베팅
https://buly.kr/jZ0w9J
중국 AI 칩 제조업체들이 DeepSeek 지원을 위해 경쟁하지만, 전체 모델 채택은 여전히 제한적
https://buly.kr/4QmvXHe
SMIC, 2025년까지 5nm 칩 생산 완료 예정, 하지만 비용은 TSMC보다 최대 50% 높은 상황
https://buly.kr/CB4Gc0v
TSMC, 2030년까지 애리조나에 최첨단 A16(1.6nm) 공장 건설 계획 공개
https://buly.kr/9iFexlI
TSMC, 日 파운드리 공장 장비 반입 늦춘다
https://buly.kr/HHcF8qO
삼성 '엑시노스' 스마트폰으로 이관?…“득보다 실”
https://buly.kr/FWSfKgh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17.04.202523:58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사이클 신뢰를 위한 체크 포인트
관세 영향: B2B보다 B2C. 생산 전략 하향으로 대응
관세에 따른 하반기 B2C 수요 하향 불가피
다만, 시장은 반도체 관세 우려로 B2B 둔화 역시 반영
Section 232 기반 조사는 결정까지 최대 270일 소요,
단시일 반도체 관세 단정은 이른 우려
AI 투자비용 부담->AI 경쟁 내 미국 입지 약화 가능
H20 규제로 Blackwell과의 H/W 성능 격차 확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AI CapEx 지속 필요
B2C 수요 둔화 대응: 공급자들 생산 전략 하향 예상
불확실성 속 수요 낙관을 통한 선제적 Capa 확장 불가
1Q25 말 DRAM 3사 재고 6주 수준의 정상 범위,
D5는 여전히 극심한 공급 부족
생산 대응을 통한 가격 방어, 이후 회복 탄력성 유효
메모리 이익은 출하보다는 가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적발표에서 Commodity에 대한 보수적 생산 및 투자 기조 확인 예상
AI CapEx 기준: 하향 및 유지보다는 상향 필요
관세 부과로 반도체 제외 AI 인프라 비용 상승
CapEx 하향 및 유지의 경우 반도체 비용 축소 해석
다만, TSMC 가이던스 유지는 AI 수요 강세를 암시
AI 패권 경쟁 속 긍정적 AI CapEx 확인에 무게
경기 침체를 가정한 주가,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조건
D5 현물가 상승, HBM 공급 부족 속 Commodity 보수적 생산 기조, 긍정적 AI CapEx 확인?
->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것
-> 1Q25 메모리 호실적 (삼성전자 3.4조원, SK하이닉스 7.4조원 예상)이 의미를 갖기 시작할 것
반도체 비중 확대 유지, 최선호주 여전히 SK하이닉스
견조한 AI, HBM 경쟁력 기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oqXQT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사이클 신뢰를 위한 체크 포인트
관세 영향: B2B보다 B2C. 생산 전략 하향으로 대응
관세에 따른 하반기 B2C 수요 하향 불가피
다만, 시장은 반도체 관세 우려로 B2B 둔화 역시 반영
Section 232 기반 조사는 결정까지 최대 270일 소요,
단시일 반도체 관세 단정은 이른 우려
AI 투자비용 부담->AI 경쟁 내 미국 입지 약화 가능
H20 규제로 Blackwell과의 H/W 성능 격차 확대를 최대한 활용하려면 AI CapEx 지속 필요
B2C 수요 둔화 대응: 공급자들 생산 전략 하향 예상
불확실성 속 수요 낙관을 통한 선제적 Capa 확장 불가
1Q25 말 DRAM 3사 재고 6주 수준의 정상 범위,
D5는 여전히 극심한 공급 부족
생산 대응을 통한 가격 방어, 이후 회복 탄력성 유효
메모리 이익은 출하보다는 가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적발표에서 Commodity에 대한 보수적 생산 및 투자 기조 확인 예상
AI CapEx 기준: 하향 및 유지보다는 상향 필요
관세 부과로 반도체 제외 AI 인프라 비용 상승
CapEx 하향 및 유지의 경우 반도체 비용 축소 해석
다만, TSMC 가이던스 유지는 AI 수요 강세를 암시
AI 패권 경쟁 속 긍정적 AI CapEx 확인에 무게
경기 침체를 가정한 주가,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조건
D5 현물가 상승, HBM 공급 부족 속 Commodity 보수적 생산 기조, 긍정적 AI CapEx 확인?
-> Fundamental을 바라보기 시작할 것
-> 1Q25 메모리 호실적 (삼성전자 3.4조원, SK하이닉스 7.4조원 예상)이 의미를 갖기 시작할 것
반도체 비중 확대 유지, 최선호주 여전히 SK하이닉스
견조한 AI, HBM 경쟁력 기반 실적 차별화 지속 예상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CoqXQT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23.03.202523:52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SKH Long, MU Short 페어 구간
마이크론 주가 8% 급락에 대한 해석
① 2025년 HBM 목표 매출액 기대 이하
25년 시장 규모 $35B 이상, 24년 점유율 7%, 25년 말 20% 점유율(DRAM 점유율) 감안시,
25년 마이크론의 HBM 목표 매출액은 $5~6B 수준
FY2Q25 HBM 매출액 $1B 이상 감안하면, 낮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성장률이 드라마틱하지 않음
② HBM3e 마진 제고 여력 의구심
마이크론 HBM3e 8H GB200, 12H GB300향. 현재 HBM 주력 8H. 공정난이도 높은 12H 하반기 주력화
-> 마진 제고 여력 검증 필요
26년 HBM 계약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마이크론의 시장 포지션 및 경쟁사 대비 실적 아웃퍼폼 여부 고민
반도체 비중 확대, SK하이닉스 최선호주 유지
마이크론 주가 급락으로 단기 센티먼트 우호적이지 않을 수 있으나, 마이크론에 국한된 포인트가 다분
이구환신, 관세인상 대비 Pull-in 수요가 메모리 출하 반등 및 재고 하락 견인할 것
제한적 투자 속 AI 투자 강세 지속->HBM 및 D5 선단 공정 수급여건 단기 해소 어려움
AI 투자 확대->HBM 시장 전망 상향 요인
HBM 수요 강세 속 공정 난이도 증가 등 공급 제한은 1년 이상의 장기공급계약 가능성 제고
HBM 경쟁 우위 속 M15X 활용 엔비디아 외 ASIC으로 저변확대가 용이해질 SK하이닉스 최선호주 유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9XKrSsP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KH Long, MU Short 페어 구간
마이크론 주가 8% 급락에 대한 해석
① 2025년 HBM 목표 매출액 기대 이하
25년 시장 규모 $35B 이상, 24년 점유율 7%, 25년 말 20% 점유율(DRAM 점유율) 감안시,
25년 마이크론의 HBM 목표 매출액은 $5~6B 수준
FY2Q25 HBM 매출액 $1B 이상 감안하면, 낮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성장률이 드라마틱하지 않음
② HBM3e 마진 제고 여력 의구심
마이크론 HBM3e 8H GB200, 12H GB300향. 현재 HBM 주력 8H. 공정난이도 높은 12H 하반기 주력화
-> 마진 제고 여력 검증 필요
26년 HBM 계약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마이크론의 시장 포지션 및 경쟁사 대비 실적 아웃퍼폼 여부 고민
반도체 비중 확대, SK하이닉스 최선호주 유지
마이크론 주가 급락으로 단기 센티먼트 우호적이지 않을 수 있으나, 마이크론에 국한된 포인트가 다분
이구환신, 관세인상 대비 Pull-in 수요가 메모리 출하 반등 및 재고 하락 견인할 것
제한적 투자 속 AI 투자 강세 지속->HBM 및 D5 선단 공정 수급여건 단기 해소 어려움
AI 투자 확대->HBM 시장 전망 상향 요인
HBM 수요 강세 속 공정 난이도 증가 등 공급 제한은 1년 이상의 장기공급계약 가능성 제고
HBM 경쟁 우위 속 M15X 활용 엔비디아 외 ASIC으로 저변확대가 용이해질 SK하이닉스 최선호주 유지
▶️ 보고서 링크: https://buly.kr/9XKrSsP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