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KD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TGlist रेटिंग
0
0
प्रकारसार्वजनिक
सत्यापन
असत्यापित
विश्वसनीयता
अविश्वसनीय
स्थान
भाषाअन्य
चैनल निर्माण की तिथिЛип 25, 2018
TGlist में जोड़ा गया
Вер 11, 2024

समूह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में नवीनतम पोस्ट

엠앤씨솔루션 – 다다익선 수주가 동사 실적개선 가속화로 연결 (IM)

트럼프 2.0 시대 각자도생 정책이 글로벌 자주국방 강화 추세로 이어짐⇒ 유럽, 중동, 동남아 등으로 방산업체의 수출이 증가되면서 동사 최대 수혜
2024년 기준 EU의 방위비 지출액은 3,260억 유로로 지난 3년간 30%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NATO 유럽 회원국의 무기수입은 2015~19년 기간대비 2020~24년 사이에 두 배 이상 급증하였다. 이 중 64%를 미국산이 차지하여 다른 공급국 비중(프랑스와 한국 각각 6.7%, 독일 4.7%, 이스라엘 3.9%)을 크게 상회하였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 1기 재임시절 NATO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압박한데 이어 2기 대통령 당선 이후에도 GDP 대비 5%의 방위비 지출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자주국방을 위하여 유럽산 무기 구매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 유럽의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한국은 EU 안보·방위 파트너십 체결국으로서 SAFE(Security and Action for Europe) 계획에 따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중동 내 전쟁 위기의 상시화∙구조화로 지정학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예상되면서 자주국방 강화를 위한 중동국가의 국방비 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이렇듯 국방비 지출 확대가 예상되는 지역인 유럽, 중동, 동남아 등으로 우리나라 방산업체의 수출증가가 본격화 됨에 따라 동사 수주증가 및 실적개선으로 이어지면서 최대 수혜가 예상된다.

유럽, 중동 등에서 방산업체의 수주 확대로 동사의 신규수주도 증가 중 ⇒ 이러한 수출향 수주 확대로 동사 올해 실적 개선 가속화 될 듯
동사는 전차와 자주포, 장갑차, 발사대, 레이저, 우주발사대 등 각종 방산 제품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부품인 전기식·유압식 구동장치, 유기압 현수장치, 미사일 발사대&레이더 차량용 유압시스템, 항공용 유압펌프, 안테나/레이더용 구동 안정화 시스템, 위성&발사체 구동장치 등을 제조하고 있다. 이렇게 동사가 제조한 부품은 K2 전차∙K9 자주포∙레드백 장갑차 등 지상분야, 천무·천궁 등 유도분야, KF-21 등 항공 및 해상분야, 레이저 대공무기∙우주 발사체용 3단 TVC 구동장치 등 특수분야에 장착되어 정밀 구동·제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각국의 자주국방 구축 강화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유럽, 중동 등에서 우리나라 방산업체의 지상∙유도 체계 수주가 확대됨에 따라 동사의 신규수주도 증가 중에 있다. 즉, 동사의 연도별 신규수주의 경우 21년 1,709억원, 22년 2,636억원, 23년 4,075억원, 24년 5,099억원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올해 2분기 현대로템의 K2 전차 폴란드향 2-1차 수주가 예상될 뿐만 아니라, 루마니아, 중동 등으로도 K2 전차 수출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 수출지역 확대도 예상된다. 이와 같은 방산업체의 수주확대로 인하여 올해의 경우도 동사의 신규수주 증가의 지속성을 높여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동사의 연도말 기준 수주잔고가 21년 2,074억원, 22년 3,451억원, 23년 5,692억원, 24년 9,570억원 등으로 신규수주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향후 동사의 실적개선이 가속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동사 K-IFRS 연결기준 실적의 경우 매출액 4,012억원(+41.9% YoY), 영업이익 562억원(+61.5% YoY)으로 전망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가시화 될 것이다. 이는 K2 전차 및 K9 자주포 포·포탑 구동장치, 현수장치, 천무·천궁 미사일 발사대 유압 시스템, 서보밸브 등 핵심 제품의 수출매출 증가로 실적개선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신한지주 (055550): 매수(유지) | TP: 75,000원(유지) : 1Q25 Review: 군불 지피다 (Analyst 백두산)
• 1분기 지배순이익은 1조 4,883억원으로 우리 추정치를 5%, 컨센서스를 3% 상회. 우리 추정치 대비 이자이익과 일반관리비가 소폭 양호
o 그룹 분기 NIM은 1.91%로 전분기대비 5bp 상승. 수익성 중심 적정 자산성장과 유동성 예금 증가로 은행 NIM이 동기간 3bp 개선된 것이 주효. 은행 원화대출금은 322조원으로 전분기대비 0.4% 증가. 비이자이익은 9,39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6% 감소했지만, 전분기대비로는 275% 증가. 그룹 분기 대손율은 0.41%로 전년동기대비 3bp 상승. 은행 기업대출과 카드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점은 경계 대상
• 매수의견과 목표주가 75,000원 유지. 1분기 BPS에 목표 PBR 0.72배 적용. 목표 PBR에 내재된 ROE와 자본비용은 각각 9.2%, 12.1%
o 은행이 든든하게 받쳐주는 가운데, 비은행 부문이 턴어라운드되면서 그룹 ROE 개선을 이끌 것에 주목. 보통주자본비율 목표는 13.0%로 유지하되, 내부 관리수준만 13.1%로 상향 조정. 해당 10bp는 유사 시 사용 가능한 버퍼. 주주환원 수준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점에서 긍정적 행보. 비은행 턴어라운드와 RoRWA 개선이 맞물리면서 하반기 자사주 매입/소각에 대한 기대가 확대되는 시점. 은행 업종 탑픽으로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vo.la/cJVCRd

▶️하나금융지주 (086790): 매수(유지) | TP: 93,000원(유지) : 1Q25 Review: 모아지고 있는 기운 (Analyst 백두산)
• 1분기 지배순이익은 1조 1,277억원으로 우리 추정치를 11%, 컨센서스를 9% 상회. 추정치 대비 이자이익이 견조하며 일반관리비 효율성도 개선된 영향
o 은행 분기 NIM은 1.48%로 전분기대비 2bp 상승. 비은행 계열사 이자이익 개선도 맞물리며 예상 대비 그룹 이자이익 양호. 은행 원화대출금은 304조원으로 전분기대비 0.5% 증가. 그룹 분기 대손율은 0.29%로 전분기대비 12bp 하락하고, 전년동기대비로는 4bp 상승. 그룹 매매평가익은 3,776억원으로 전분기대비 크게 확대. 은행과 증권 중심 실적 개선. 그룹 CIR은 38.9%로 전년동기대비 1.5%p 상승. 은행 희망퇴직 비용 808억원이 반영된 영향
• 매수의견과 목표주가 93,000원 유지. 1분기 BPS에 목표 PBR 0.66배 적용. 목표 PBR에 내재된 ROE와 자본비용은 각각 9.6%, 13.5%
o 이번 분기부터 총액 균등배당 정책 시행. 이에 연간 배당총액은 1조원으로 고정되는 가운데, 분기별 약 2,500억원씩 배분. 예상을 상회하는 견조한 실적과 환율 안정으로 인해 적정 성장과 주주환원 확대가 동시에 시현되는 그림인 점에 주목
• 리포트 링크: https://vo.la/rqndOQ

▶️우리금융지주 (316140): 매수(유지) | TP: 20,000원(유지) : 1Q25 Review: 2분기를 보자 (Analyst 백두산)

• 1분기 지배순이익은 6,156억원으로 우리 추정치를 12%, 컨센서스를 16% 하회. 비이자이익과 충당금전입액, 물건비가 추정치 대비 비우호적이음
o 은행 분기 NIM은 1.44%로 전분기대비 4bp 상승. 그룹 일반관리비는 1.3조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했는데, 은행 희망퇴직비용 1,690억원을 제외해도 10% 증가한 셈
• 매수의견과 목표주가 20,000원을 유지. 일회성 요인이 제외되는 올해 2분기부터는 다시 0.9조원 수준의 분기 순이익을 시현할 것. 보통주자본비율이 12.42%로 전분기대비 29bp 개선된 점도 긍정적
o 2분기 중 12.5%를 조기 달성하며 올해 주주환원율은 37.3%로 전년대비 4%p 개선될 전망
• 리포트 링크: https://vo.la/kBhPyLh

▶️HL만도 (204320): 매수(유지) | TP: 53,000원(유지) : 1Q25 Review: 주가에 반영된 실적 부진 (Analyst 김창호)
• 1Q25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4.7% 증가한 792억원(OPM 3.5%)으로 낮아진 컨센서스와 당사 추정치와 유사
o 우호적인 환율 효과로 매출은 7.8% 증가했으나, 완성차들과는 달리 달러 지급 원재료 비중이 높아 영업이익에는 환율 효과가 크지 않았음. 북미 EV 선도 업체의 생산량 감소에 따른 HL만도 중국 판매 부진도 실적을 제한시키는 주요 원인. F/L 모델 생산 준비를 위해 약 3주간 공장 가동을 중지하는 등 생산량 감소로 HL만도의 중국 판매도 전년 대비 -0.5% 감소. 또한 주요 고객사들인 현대기아, GM 등 레거시 완성차들의 생산량 부진도 1Q25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
• 2분기부터 회복 전망. 2Q25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유사한 890억원으로 전망
o 북미 EV 선도 업체의 1Q25 생산량은 17.5만대로, 분기 기준으로는 코로나19로 부품 수급 차질 영향이 컸던 2Q22(11.5만대)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 2Q25부터는 평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HL만도 부품 공급량도 회복 될 것. 2분기 실적 회복의 또 다른 근거는 견조한 북미 실적. 1Q25 북미 매출은 전년 대비 +23.6% 증가했는데, IDB(Integrated Dynamic Brake) 2세대가 본격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2Q25에도 높은 성장이 가능
• 1Q25 영업이익률은 3.5%로 부진했으나, 환율 변동에 따른 영향이 큼. HL만도는 환율이 전년과 유사했다면 실제 영업이익률은 3.9% 수준이라고 밝혔는데, 비수기 감안 시 주가 하락폭(1개월 주가 수익률 -15.2%) 만큼 우려할 수치는 아님. 차별화된 고객사 포트폴리오와 함께 수익성 높은 수주가 매출로 이어지는 시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3,000원을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vo.la/nQGIAR

▶️호텔신라 (008770): 중립(유지) : 1Q25 Review: 업사이드 리스크가 부각되는 중 (Analyst 김명주)
• 1분기 매출은 9,718억원(-0.9% YoY), 영업적자는 25억원(적자전환 YoY)으로 매출은 시장 기대치를 4.2% 하회했지만, 영업적자는 시장 예상(-66억원)보다 적었음
o 지난 3년간 꾸준히 캐시카우 역할을 해오던 호텔 사업부가 이번 분기에는 부진한 실적을 기록 SBTM(계열사의 출장 업무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매출의 감소와 제주호텔의 객실점유율(OCC) 하락 때문
o 다행히 시내 면세점이 시장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전사 실적은 시장 우려보다 양호. 작년 4분기에 BEP 수준의 OPM 수익성을 기록했던 시내 면세점이 이번에는 높은 한자릿수를 기록한 걸로 추정. 1분기 호텔신라 국내 면세의 할인율이 전분기대비 축소(-1.5%p QoQ)되면서 사업부의 실적 개선을 이끌었음. 인천공항 면세점 면적 증가 등에 따른 브랜드 보상금 회복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준 걸로 추정
• 1분기 국내 면세점의 할인율 축소를 이끈 카테고리는 화장품인 걸로 추정. 작년 4분기와 마찬가지로 올해 1분기에도 국내 면세 매출 중 60%가 화장품
o 롯데면세점이 대형 따이공과의 거래를 중단하면서 호텔신라의 입지가 높아졌고 이러한 상황이 할인율 개선에 영향을 미쳤을 것. 최근 중국 화장품 산업 내 과잉재고 축소와 정부의 경기 부양 노력 등으로 중국 화장품 산업이 바닥을 다지고 있음. 이에 따라 따이공의 화장품 수요가 소폭 개선된 점도 할인율 축소 요인 중 하나라고 판단
• 관광객의 여행패턴 변화와 따이공 비즈니스의 한계 때문에 면세 사업이 가져가는 구조적인 문제 해결이 쉽지 않아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 다만 최근 중국 화장품 산업이 바닥을 다지고 있다는 점과 호텔신라가 고정비 절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 시 주가의 업사이드 리스크에는 주목할 시점. 현재 호텔신라는 2~3분기를 목표로 해외 면세점의 임차료 절감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
• 리포트 링크: https://vo.la/SGsnWj
[KIS] 모닝브리프: 조선, 코오롱티슈진, 1Q25 Review - 현대모비스/기아/신한지주/하나금융지주/우리금융지주/HL만도/호텔신라

1Q25 EARNINGS TODAY: S-OIL (
10:00), HANWHA OCEAN (14:00), DOOSAN BOBCAT (16:00), LG H&H(16:30)

▶️조선 | 투자의견: 비중확대(유지) : 우리는 인정한다. 한국산 LNG 운반선도, 미국산으로 (Analyst 강경태)

• LNG 운반선 원산지 표시: 2029년까지 한국산도 미국산으로 인정
o 미국 선주들은 한국 조선소의 2029년 납기 LNG 운반선 슬롯을 빠르게 가져갈것. 2029년까지 한국산 LNG 운반선도 미국산으로 인정될 것이기 때문. LNG 운반선과 관련한 USTR의 조치(4번 부속서)는 SHIPS Act와 연계해서 봐야함. SHIPS Act는 자국의 해운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서 8개 선종으로 구성된 250척 규모의 전략 상선단(Strategic Commercial Fleet)을 꾸리겠다고 명시. 핵심은 2029년까지 적격한 해외 조선소에서 건조한 선박도 전략 상선단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
o 2028년 4월 17일부터 연간 LNG 수출량의 1% 이상을 미국산 LNG 운반선으로 운반해야 하지만, 불가능한 일. 따라서, 미국의 신규 LNG 터미널의 선적량과 매칭해서 발주되는 선박들 중 2029년에 가동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한국산 선박을 최대한 이용하려 할 것
• SHIPS Act로 확보한 시간을 활용해서, 한국 조선사들은 미국 내에서 LNG 운반선을 건조할 수 있는 체재를 갖춰야 할 것. 미국산 LNG 운반선은, 한국 조선사들이 미국령에서 만드는 LNG 운반선이기 때문
o 한화오션의 Hanwha Philly Shipyard(이하 필리 조선소) 또한 LNG 운반선을 건조하기 위해 최적화된 방향으로 시설 투자할 것으로 전망하며, 필요할 경우 인근 부지를 확보해서 신규 도크를 건설하는 그린필드(Greenfield)까지 단행할 것으로 예상. 기존 필리 조선소의 4번 도크 폭(width)이 범용 LNG 운반선 블록을 얹을 수 없는 규모이기 때문. 한화오션의 1번 도크, 삼성중공업의 3번 도크를 벤치마크해서 LNG 운반선 전용 도크를 만드는 것
o HD한국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또한 이러한 현지 투자를 모색할 것이며, 미국 조선소와 합작 법인을 만들어 공동 투자하는 형태 또한 고려 가능. 어떠한 방식이든, LNG 운반선 건조에 관한 주도권은 한국 조선사가 쥐고 있음. 조선 업종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vo.la/zuAdSU

▶️코오롱티슈진 (950160): 매수(유지) | TP: 100,000원(유지) : 기대보다 더 좋았던 TG-C 장기 추적 결과 (Analyst 위해주)
• 4월 25일 국제골관절염학회(OARSI)에서 TG-C(과거명 인보사)의 미국 임상 장기 추적 결과가 발표. 기대 이상으로 좋았던 TG-C 장기 추적 결과를 확인
o 1) TG-C 투여군 암 발생 위험성은 일반 미국인 대비 절반 수준이며, 2) 총인공관절술 환자 비율도 일반 미국 골관절염 환자 대비 55% 감소(15.5% vs 7.0%). 수술 시점도 지연된 것이 특징. 즉 현재까지 추적 결과를 바탕으로 TG-C는 암 발생 원인이 아니며, 골관절염 진행을 늦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음. 이번 발표를 통해 TG-C는 FDA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승인 및 DMOAD(질병을 조절할 수 있는 골관절염 치료제)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높아짐
• TG-C는 FDA 승인에 필요한 데이터를 갖춰가고 있고 27년 품목허가 신청서 제출, 연말 승인 목표 중. Base 시나리오 가정인 OA 신약 승인 가능성 100%, DMOAD 가능성 90% 유지하기에 충분한 상황이라 판단해 목표주가 10만원 유지
• 리포트 링크: https://vo.la/pmkMB

▶️현대모비스 (012330): 매수(유지) | TP: 330,000원(유지) : 1Q25 Review: 좋은 실적입니다. 더 좋아질 것입니다. (Analyst 김창호)
• 1Q25 영업이익은 7,767억원(OPM 5.3%)로 컨센서스와 당사 추정치에 부합
o 품질비용이 반영되었는데 총 450억원 규모로, 전장에서 후방 카메라 관련 350억원, A/S에서 토우 히치 하네스 관련 100억원을 반영. 전동화 사업부의 경우 999억원 적자를 기록했는데, 상저하고 구조를 감안하면 예견되었던 수치.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는 A/S는 환율 약세 효과와 함께 절대 이익규모(8,766억원)와 수익성(26.7%)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달성
• 1분기 -> 2분기 ->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은 개선
o 현대모비스는 상저하고 실적 패턴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고객사로부터 정수 받는 비용회수가 특히 4분기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 상저하고 실적 구조 감안 시, 1Q25는(영업이익 기준 +43.1% YoY 증가) 이익체력 회복이 증명된 실적이었으며 2Q25에는 전동화 사업부 적자폭 축소화 함께 실적 확대 추세가 지속될 것
o HMGMA 가동률 확대에 따른 북미 생산 공장의 고정비 부담 축소와 AMPC 보조금 반영 감안 시 핵심부품 사업부는 빠르면 2분기, 늦어도 3분기에는 흑자전환이 가능할 것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3만원을 유지. 목표주가는 선행 12개월 EPS 47,468원에 6.9배 P/E 멀티플을 적용. 업종 Top-Pick으로 지속 제시하고 있는데 완성차들과는 달리 이익 개선 방향성이 명확
o 2026~2027년 실적까지 고려 시 완성차들 대비 멀티플 격차는 지속 축소될 것이며, 관세 영향까지 감안할 경우 실적 가시성이 더욱 높아짐. 현대모비스의 밸류에이션 할인 요인인 핵심부품 사업부의 실적이 흑자로 전환 될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1분기에만 Non-Captive 핵심부품 수주 달성률이 28%로 성장성 이 지속 확인
• 리포트 링크: https://vo.la/hIpVHI

▶️기아 (000270): 중립(유지) : 1Q25 Review: 환율 약세에도 영업이익은 -12% 둔화 (Analyst 김창호)
• 1Q25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2% 감소한 3조 90억원(OPM 10.7%)으로 컨센서스를 -6.1% 하회했으며 당사 추정치 대비로는 유사. 우호적인 환율 효과에도 불구 전년 높은 기저와 공급 정상화에 따른 판촉 경쟁 심화로 인센티브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믹스 악화로 ASP 증가율이 둔화된 영향이 컸음
o 볼륨(연결 매출대수 기준) 역시 +1.6% YoY 증가에 그쳤으며, 그나마 대부분의 성장은 수익성이 낮은 인도(+15.6% YoY)와 아중동(+25.5% YoY) 등 신흥 시장 기여도가 컸음. 수익성이 가장 높은 미국 도매 판매는 +0.6% 증가에 불과했고 믹스 악화로 ASP는 증가율이 둔화. 차급, 지역, 파워트레인 믹스 모두 수익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며 ASP 증가율은 +5.2%에 그침(동 기간 USD/KRW 평균 환율은 +9.2% 증가)
• 하반기부터 감익폭은 추가 확대될 전망
o 2Q25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4% 하락한 3조 4,480억원을 예상. 관세 부과 이전 미국 소비자들의 선수요 발생으로 인센티브 하락에 따른 수익성 개선을 감안. 하지만 일시적인 현상으로 하반기부터는 수요 둔화와 가격 하락 압력이 높아지며 본격적인 수익성 둔화 사이클 진입이 예상. 북미 매출 의존도가 42.5%로 절대적으로 높고 영업이익 의존도는 60%로 더욱 높은데, 미국 관세가 장기화 될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음
• 투자의견 중립을 유지. 관세 영향이 없었고 환율마저 우호적이었는데 1Q25 실적에서 증명된 것처럼 수익성을 개선시킬 만한 요인이 보이지 않음
o 높아지는 점유율과 성공적인 EV 전환을 위해 수익성이 낮은 저가 모델을 지속 투입하는 것은(EV3 출시 이후 EV4, EV5 및 EV2가 순차적으로 출시 될 예정) 긍정적이나, EV 전환 전략은 전사 수익성 확대 사이클에서 보다 빛을 발할 것. 최소한 ICE들의 수익성 개선 확인이 필요
• 리포트 링크: https://vo.la/TtrEAE
KOSPI to open muted amid tariff overhang, and heavy 1Q earnings release schedule. Eyes on if foreign who turned to net buyers of KOSPI for the 1st time in 11 sessions (with focus on KAKAO, SK HYNIX, SHIPBLDG) continue net buying. NVIDIA +4.3%, and TESLA +9.8% rally may nudge CHIP, and EV BATTERY theme.

* 1Q TODAY: S-OIL (10:00), HANWHA OCEAN (14:00), DOOSAN BOBCAT (16:00), LG H&H(16:30)
* ECO: Minister of Finance open for the discussion on increasing supplementary budget.
* GEOPOLITICS: North Korea confirmed troop deployment to Russia saying it was Kim Jong Un's decision, and plans to continue fully supporting Russia.
* POLITICS: Lee Jae Myung nominated as presidential candidate for main opposition Democratic Party.
* SEC (005930) 1) owes Headwater Research $279mn for infringing electronic products patent in the US, 2) to invest $117mn in southern India plant.
* POSCO HLDG (005490) has raised heavy plate px supplied to domestic shipbuilders, including HD KSOE (009540), HANWHA OCEAN (042660), and SAMSUNG HEAVY (010140).
* SKT (017670) offers free USIM card replacement to its 23mn customers after a hacking attack last week. Stock -3.1% at pre-market.
* SHIPPING: SCFI -1.7% WoW, retreated for 2 weeks.
* HANWHA ENGINE (082740, +5.3% at pre-market) to re-enter medium speed engine biz after 10 years, aiming to challenge market leader HD HHI (329180, +1.6% at pre-market).
* CJ CJ (097950) withdraws its plan to sell a stake in its soy product unit, 'CJ Selecta'.
[단독]한화엔진, 중속엔진사업 10년 만 재진출 검토…HD현대 중심 판 깨나

그룹차원 포트폴리오 강화…방산·조선 시너지↑
STX엔진 인수설도 솔솔…매수·매각 모두 적기
공급망 다변화·경쟁구도 개선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2509131004722
Stocks are set to rise for a fourth day as trade tensions cool and Fed officials point to possible early rate cuts. Three quarters of the post-Liberation Day selloff has already been erased. Here are some of the biggest US movers today:

Alphabet leads Magnificent Seven stocks higher in premarket trading on Friday after the Google parent reported first-quarter results that beat expectations, helped by continued strength in its search advertising business
Meta Platforms +3.8%, Amazon +1.6%, Tesla +1.7%, Nvidia +0.85%, Microsoft +0.2%, Apple -0.5%

Alphabet (GOOGL US) shares rise 5.7% as analysts note that the report was better than had been feared and that the company’s AI products are gaining good traction
Digital ad companies gain: Snap (SNAP US) +2.2%, Pinterest (PINS US) +4.5%

T-Mobile (TMUS US) shares fall 5.2%. The firm could be coming under pressure from rising competition analysts said, after the wireless network operator’s new mobile-phone subscribers fell short of expectations

Intel (INTC US) shares fall 5.8% after the chipmaker gave an outlook that was weaker than expected. Attempting a comeback under new CEO Lip-Bu Tan, the firm said it’s cutting workers to bring costs in line with the business’s smaller size
거래량 ㅎㄷㄷ
Hanwha Ocean rallying further at NXT after market. Currently at W91,500, +13.1%.
Japan Equity Movers: Nidec, Maruwa, Aisin, Nomura Real Estate

Topix closes 1.4% higher, lifted by electronics makers and autos; Nikkei 225 +1.9%.

ADVANCERS
• Nidec (6594) +12%; Posted record 4Q OP
• Maruwa (5344) +10%; Full-year OP increased 36.7% year-on-year
• Aisin (7259) +9.5%; Announced plan to buy back up to 17.2% of shares
• Sky Perfect JSAT (9412) +7%; Raised dividend payout ratio to at least 50% from at least 30%
• Daiichi Sankyo (4568) +6.2%; Plans to buy back as much as ¥200 billion of shares
DECLINERS
• Hogy Medical (3593) -6.2%; Full-year operating income missed analysts’ estimates
• Misumi Group (9962) -3.9%; Full-year operating income forecast undershot analysts’ estimate
• Nomura Real Estate (3231) -3%; Full-year operating income forecast was lower than analysts’ estimates
NXT 오류인가
축 거래대금 1등

* Top 20 Traded Stocks in Korea - Apr 25


1. Hanwha Ocean {042660 KS Equity}
2. SEC {005930 KS Equity}
3. SK Hynix {000660 KS Equity}
4. Hanwha Solutions {009830 KS Equity}
5. Hankuk Steel Wire {025550 KS Equity}
6. HD HHI {329180 KS Equity}
7. Kakao {035720 KS Equity}
8. Samsung Heavy Industries {010140 KS Equity}
9. Hanwha Aerospace {012450 KS Equity}
10. Alteogen {196170 KS Equity}
11. Doosan Enerbility {034020 KS Equity}
12. Ecoplastic {038110 KS Equity}
13. HD KSOE {009540 KS Equity}
14. Wooriro {046970 KS Equity}
15. 4by4 {389140 KS Equity}
16. Hanmi Semiconductor {042700 KS Equity}
17. Wonik Holdings {030530 KS Equity}
18. TS {001790 KS Equity}
19. HD HYUNDAI MIPO {010620 KS Equity}
20. KB FG {105560 KS Equity}
곧 십만오션
China quietly rolls back retaliatory tariffs on some US-made semiconductors, import agencies say

China appears to have quietly rolled back retaliatory tariffs of 125% on some semiconductors made in the US, according to details provided to CNN on Friday by three import agencies in the southern technology hub of Shenzhen.

The exemptions apply to integrated circuits, also known as microchips or semiconductors, according to the agencies. They found out about the exemptions, which have not been officially announced, late on Thursday.

https://edition.cnn.com/2025/04/25/business/china-us-tariffs-semiconductors-exemptions-hnk-intl/index.html
★★KR Tech: SK HYNIX (000660) Undeniable leader, Undemanding valuations

Can't help but think SK Hynix {000660 KS Equity} is a Strong Buy here upon BTE 1Q25 results and ahead of memory upcycle. A victim of its own success, needing mkt attention again as Co is the only supplier that has the full HBM line-up, incl. HBM3e 8Hi, 12Hi and 16Hi. Particularly, Co exclusively supplies HBM3e 12Hi for NVIDIA B300 and GB300 and most of the HBM3e 8Hi for B200 and H20. For NAND, 61TB QLC eSSD is being exclusively supplied to the market, and LPDDR5x for servers will be supplied in 2H25. Shrs trade at just 1.2x/0.9x FY25/26 P/B.

▶️SK Hynix (000660): BUY(Maintain) | TP: W320k(Maintain) : 1Q25 Review: Excellent earnings, no need to say much (Analyst Minsook Chae) Link to English report: https://vo.la/gbAXrI

- Posted 1Q25 sales W17.64tn (-11% QoQ, 42% YoY), OP W7.44tn (-8% QoQ, 158% YoY); beating sales/OP consensus of W17.3tn/W6.6tn by 2%/13%
=> The second highest quarterly OP was achieved thx to solid HMB earnings despite off-seasonality in 1Q25. In 1Q25, HMB account for 14% of DRAM in volume and 46% in sales. Co is the only supplier that has the full HBM lineup, incl. HBM3e 8Hi, 12Hi, and 16Hi. Particularly, Co exclusively supplies HBM3e 12Hi for NVIDIA B300 and GB300, and most of the HBM3e 8Hi for B200 and H20 are also supplied to NVIDIA. For NAND, 61TB QLC eSSD is being exclusively supplied to the market, and LPDDR5x for servers will be supplied in 2H25

- Maintain BUY with TP W320k (2x P/B on 12MF BPS W164k) as sector top pick
=> Co aims to double the HMB sales growth YoY based on robust AI demand. Additionally, Co is continuously expanding its m/s in high-capacity DRAM modules for server and eSSD markets. Co holds a dominant position in key lineups within the AI market, and this leadership will continue for a considerable period
=> In 1Q25, Co recorded no.1 position in DRAM m/s for the first time in memory history and is expected to maintain its no.1 position in m/s in 2Q25 as well, which is why a higher multiple premium over competitors can be justified. Recommend BUY
한화오션 52주 신고가 경신 직전

★★KR Shipbuilding: Greater + faster earnings upcycle. Eyes on Hanwha Ocean next

* Shipbuilding names rallying further - HD HHI (329180, +5.6%), HD Mipo (010620, +2.1%), HD KSOE (009540, +4.2%), Hanwha Ocean (042660, +8.2%) - after yesterday's blow out earnings from HD Hyundai Group on productivity improvement, earlier sales reflection of lucrative LNGCs, f/x tailwind, etc.

=> Eyes on Hanwha Ocean's 1Q25 results due out next Mon, Apr 28 (2pm KST). Latest OP consensus has been formed at c. W200bn level (6.5% OPM) including drillship litigation related reversal. Prior to yesterday's HD Hyundai Group results, I was afraid that there could be some sell on news flows on Hanwha Ocean given the one-off gain nature, BUT, street is now expecting further margin improvements for the sector for 2Q25 given better mix and strong seasonality. So, recommend to Buy Hanwha Ocean ahead of 1Q25 earnings. Even if 1Q25 is inline, there will be big upgrades in FY25/26 earnings given Hanwha Ocean's mix improvement is likely to start in earnest from 2H25.

We also upgrade HD KSOE (009540) TP by 19% to W320k reflecting the rising value of subsidiaries and strong earnings from Samho Heavy. Link to English report: https://vo.la/OmdMGv

रिकॉर्ड

24.04.202523:59
3.8Kसदस्य
22.03.202523:59
50उद्धरण सूचकांक
29.11.202423:59
10.4Kप्रति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20.03.202502:08
7.2Kप्रति विज्ञापन पोस्ट औसत दृश्य
22.01.202523:59
11.29%ER
29.11.202423:59
327.62%ERR

विकास

सदस्य
उद्धरण सूचकांक
एक पोस्ट का औसत दृश्य
एक विज्ञापन पोस्ट का औसत दृश्य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के लोकप्रिय पोस्ट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건설/조선/리츠 | 강경태 | 한국투자증권
17.04.202523:26
USTR의 중국산 선박 제재안 발표

두 단계에 걸쳐서 시행할 것

@ 0단계: 처음 180일 동안은 0달러

@ 1단계: 180일 후부터 적용

- 부과 대상: 중국산 선박 운용 선주, 중국 선주

- 부과 기준: 미국 항차 당 순톤수 기준(net tonnage)

- 인센티브: 미국산 PCC

- 부과 수수료는 향후 점증

@ 2단계: 3년 간 유예

- 미국산 LNG 운반선 건조 장려 목적

- 외국산 선박이 미국산 LNG 운반할 경우

- 입항료는 22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증가

@ 코멘트

- 1단계 조치가 우선 잠정안과 시장 기대에 비해 약합니다.

- 2단계 조치가 의외인데, 미국에서 LNG 운반선을 건조하고 싶어하는 거 같습니다.
से पुनः पोस्ट किया:
건설/조선/리츠 | 강경태 | 한국투자증권
Tradewinds 인용

미국 LNG 터미널 개발 및 운영사
Venture Global이
2분기 내로
LNG 운반선을 발주할
예정입니다.

발주 예정인 LNG 운반선의 크기는
174K~180K cbm로 검토 중이며

발주 수량은 총 12척입니다.
slot 4척을 먼저 잡고,
옵션으로 8척을 더 확보하게 됩니다.

선가는
250~260백만달러에서
결정될 것 같습니다.

기사에서는
Venture Global이
한국 조선사들 하고만
발주 협상을 진행한다고
언급합니다.

중국 조선사와 일해 본 적이 있지만,
미국의 중국산 선박 제재를 앞두고
중국 야드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곧,
미국 발 LNG 운반선 발주가
시작됩니다.
24.04.202509:44
KAKAO CORP. HOLDER OFFERS 10,818,510 SHARES. OFFERING SIZE AROUND $276M–$285M: TERMS
07.04.202520:59
Huntington Ingalls, HD Hyundai Heavy Industries sign MOU for shipbuilding collaboration

U.S. military shipbuilder Huntington Ingalls (HII.N), opens new tab and South Korea's HD Hyundai Heavy Industries (329180.KS), opens new tab have signed an agreement to explore opportunities to increase production in commercial and defense projects, the companies said on Monday.

The companie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o look into areas of innovation and maximize production efficiency using their combined resources.

https://www.reuters.com/business/aerospace-defense/huntington-ingalls-hd-hyundai-heavy-industries-sign-mou-shipbuilding-2025-04-07/
07.04.202523:23
[속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 3.6조서 2.3조로 축소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6281?sid=101
05.04.202522:49
노르웨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7684억 원 규모 추가 계약…기존 전력의 두 배 육박

https://m.g-enews.com/view.php?ud=202504050521119970fbbec65dfb_1
07.04.202523:40
[KIS] 모닝브리프: 1Q25 Preview - 현대로템/휴젤/카카오, 1Q25 Review - LG에너지솔루션/LG전자

Travelling Mon~Wed this week. Please contact via BBG for anything urgent.

▶️현대로템 (064350): 매수(유지) | TP: 118,000원(유지) : 1Q25 Preview: 월드클래스로 진화 중 (Analyst 장남현)

• 1Q25 연결 매출액은 1조 2,230억원(+63.5% YoY), 영업이익은 2,086억원(+366.8% YoY, OPM 17.1%)을 기록할 것. 컨센서스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11.3% 상회하는 것
o 폴란드 K2 전차 26대를 인도하면서, 납품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이에 따른 디펜스솔루션 부문 매출액은 7,657억원으로 추정하며, 폴란드 매출의 높은 수익성을 반영한 부문 영업이익률 추정치는 25.5%
o 2024년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충당금 1,400억원을 선제적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향후 해당 부문에서 2~3%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
• 수출 시장 확대 국면. 비유럽 지역에서는 중동 전차 수출이 늘어날 것
o 지난 2월 IDEX 2025에서 사막 기후에 맞춰 개량된 K2 전차를 전시하며 마케팅 활동을 늘리고 있음. 유럽 경쟁 업체들의 공급이 유럽 내부에 더욱 집중될 것이기 때문에, 경쟁 강도가 완화된 상황에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음.
o 유럽 시장 내 점유율 역시 확대될 것. 폴란드와 K2 전차 180대 규모의 2차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후 루마니아 수출을 위한 협상이 이어질 것. 또한 2차 계약 체결 후 폴란드 현지 생산 거점이 마련되면, 주변국으로의 추가 수출 역시 가능함
•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18,000원을 유지.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높음. 4월 7일 종가 기준 2025년 선행 PER 14.2배로, 유럽 peer 평균 27.1배 대비 낮음
o 과거 디스카운트 주요 원인은 폴란드 1차 계약 이후 수출 파이프라인 부재. 그러나 2차 계약 가시성이 높아졌고, 중동과 유럽을 중심으로 수출 시장이 확장되었음
o 폴란드 매출의 높은 이익률을 기반으로 2025년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87.1% 증가하며, 업종 내 가장 높은 수준의 이익 성장을 이어갈 것. 넓어진 수출 파이프라인과 높은 수익성을 고려했을 때 더 이상 저평가 받을 이유가 없는 기업.
• 리포트 링크: https://vo.la/qaqXoP

▶️휴젤 (145020): 매수(유지) | TP: 400,000원(유지) : 1Q25 Preview: 변동성 이겨낼 실적 (Analyst 위해주)
• 1Q25 매출 929억원(+25.0% YoY, 이하 모두 YoY), 영업이익 411억원(+71.7%, OPM 44.3%)을 전망.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수준
o 톡신 매출 474억원(+38.1%) 중 수출은 294억원(+72.1%)을 전망. 전년대비 중국과 유럽향 수출 데이터가 좋음. 다만 당사가 공격적으로 반영했던 미국 선적은 없었던 것으로 보여 추정치에서 제외
o 필러 매출 339억원(+15.9%), 수출은 269억원(+17.5%)을 전망. 계절적으로 인건비가 높은 분기임에도 전년동기 대비 법무비 부담이 감소해 판관비는 6.8%p 감소할 것
• FY25 매출은 4,570억원(+22.5%) 영업이익은 2,275억원(+36.8%, OPM 49.8%)을 전망. EBITDA 35% 성장 가이던스를 달성할 것
o 톡신의 주요국 수출 성장 가시성이 높음. 중국 톡신 침투율 높아지는 가운데 휴젤 톡신 선호 기조 이어지고 있고, 베네브의 미국 상용화는 지난 3월 초 이미 시작
o 미국 톡신 매출은 378억원(+73.1%)으로 이전 전망을 유지. 3월 7~11일에 개최된 AAD(미국피부과학회)에서 홍보를 시작으로 소프트 론칭을 완료했으며 베네브의 기존 고객들 대상으로도 주문을 받는 것으로 추정. 3Q24 선적 물량이 소진되고 있어 2분기 미국 출하 기대감이 높아질 전망
• 미국 진출하기 오히려 좋은 상황. 관세는 파트너사 부담이라 휴젤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o 의약품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톡신이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가격 인상 리스크는 닥시파이(레방스)를 제외한 모든 제품(애브비의 보톡스는 아일랜드, 갈더마의 디스포트는 영국에서 생산 등)에 해당되기 때문에 보톡스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것
o 경기 침체 우려로 소비 심리 악화한다면 오히려 가격 경쟁력 있는 톡신을 선호하는 기조가 강해질 수 있음
• 리포트 링크: https://vo.la/AsVeiv

▶️카카오 (035720): 매수(유지) | TP: 49,000원(유지) : 1Q25 Preview: AI가 다가온다 (Analyst 정호윤)
• 1Q25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94조원(-2.7% YoY, -1.1% QoQ)과 965억원(-19.7% YoY, +28.0% QoQ)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1,088억원)를 하회할 전망
o 톡비즈 매출액은 5,422억원(+3.8% YoY, -3.7% QoQ); 광고가 비수기이며 DA 광고의 부진이 1분기에도 이어질 전망. 콘텐츠 매출액은 8,840억원(-14.5% YoY, -2.8% QoQ); 1분기에도 모든 콘텐츠 사업부가 전년대비 역성장을 이어갈 것. 영업비용은 1.84조원(-1.6% YoY, -2.3% QoQ)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할 것
• 2025년 실적 개선 폭은 다소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 AI와 관련된 현명한 행보가 올해의 Key
o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콘텐츠 사업부가 역성장을 이어가고 있는데 현 시점에서는 특별한 해결책이 나오기 힘듬. 하반기부터 성과가 확인될 카카오톡 개편에 따른 디스플레이 광고 인벤토리 확대 효과는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지 않은 만큼 큰 폭의 실적 증가는 어려움
o 그러나 상반기 중 카나나를 시작으로 OpenAI와의 협력을 통한 모바일 AI Agent의 개발 등 AI의 서비스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부족한 기술력을 OpenAI를 통해 메꾸는 전략은 소비자들에게 실제로 다양한 효용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성과를 기대할 만함
•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49,000원을 유지. 카카오톡 개편 및 AI 활용에 대한 비전 제시 등이 중요
o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은 5,009억원(+8.8% YoY)으로 시장의 기대치를 다소 하회할 것
o 그러나 AI와 관련된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으며 성과 또한 기대할 만하다는 점이 2025년의 핵심 투자포인트. 시장의 관심이 점차 AI의 서비스화를 성공적으로 할 수 있는 기업을 찾는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는 만큼 AI와 관련된 결과물이 출시되면서 주가가 상승할 수 있을 것이
• 리포트 링크: https://vo.la/sLAZrS
23.04.202522:48
*SK HYNIX: 1Q DRAM B/G -HIGH SINGLE% Q/Q, ASP FLAT
*SK HYNIX: 1Q NAND B/G -HIGH TEEN% Q/Q, ASP -20%
*SK HYNIX SEES 2Q DRAM SALES B/G LOW-TEEN% INCREASE Q/Q
*SK HYNIX SEES 2Q NAND SALES B/G MORE THAN 20% INCREASE Q/Q
से पुनः पोस्ट किया:
HK이노엔(195940) IR & PR 공식채널 avatar
HK이노엔(195940) IR & PR 공식채널
24.04.202500:03
안녕하십니까 HK이노엔 IR팀입니다.

금일 새벽 당사 케이캡의 미국 파트너사 Sebela가 미국에서 진행된 두가지 임상3상(미란성식도염, 비미란성식도염)의 주요결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하여 내용을 안내드립니다.

두가지 임상에서 케이캡(테고프라잔)은 1차 및 2차 평가지표를 모두 충족하였고, 미란성 식도염 임상에서 미란성 식도염 전체 환자군과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LA 등급 C, D)환자군 모두의 2주 및 8주차 치유율에서 PPI(란소프라졸) 대비 통계적 우월성(Superiority)을 입증했습니다. 비미란성식도염의 경우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위산 역류 모두에서 완전한 증상 개선 효과(Complete symptom relief)를 확인했습니다.

해당 임상결과에 대해서 미국 아이비리그 와일 코넬 의과대학 펠리스 슈놀-서스먼 박사와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회장 프라티크 샤르마 박사는 케이캡(테고프라잔)의 우월한 임상데이터와 가슴쓰림 뿐만 아니라 약물 중 유일하게 위산 역류 증상까지 줄여주는 차별적인 효과에 대해 극찬하였습니다.

파트너사는 위 두가지 임상성과에 이어 3분기 중 유지요법 임상을 마무리하고, 금년 4분기에 미국 FDA에 미란성식도염 및 비미란성식도염 적응증으로 신약허가신청(NDA)를 제출할 계획을 명확히 하였으며, 이번 임상(TRIUMph) 연구 결과를 권위있는 학술지에 투고하고, 주요 소화기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입니다.

HK이노엔은 케이캡 글로벌 진출의 큰 변혁점이 될 미국에서의 임상 성공을 안내드릴 수 있어 매우 뜻깊으며, 글로벌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것을 확신합니다.

관련 보도자료 링크
Sebela pharmaceuticals :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ebela-pharmaceuticals-announces-positive-topline-results-from-phase-3-triumph-program-of-tegoprazan-in-gerd-302435337.html
HKinnoN : https://www.inno-n.com/pr/news/view/1/1031?sch_text=

추가적인 문의사항은 HK이노엔 IR팀으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15.04.202503:08
코스닥 상장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 美 FDA 동물실험 폐지 수혜 기대

오가노이드 기반 차세대 재생 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내달 코스닥 상장을 앞둔 가운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동물실험 폐지 정책에 대한 수혜를 받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0일 미국 FDA는 단일클론항체 및 기타 약물에 대한 동물실험 요건을 단계적으로 폐지할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 의약품 개발 실험에 활용됐던 동물실험은 인공지능(AI) 기반 계산 모델과 실험실에서 만든 인체 장기 모사체(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테스트를 이용해 개선되거나 대체될 것이란 설명이다.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50415500251
27.04.202523:06
[단독]한화엔진, 중속엔진사업 10년 만 재진출 검토…HD현대 중심 판 깨나

그룹차원 포트폴리오 강화…방산·조선 시너지↑
STX엔진 인수설도 솔솔…매수·매각 모두 적기
공급망 다변화·경쟁구도 개선

| 출처 : 아시아경제 |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42509131004722
से पुनः पोस्ट किया: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avatar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
04.04.202508:45
[한투증권 채민숙] 반도체주 주가 하락 코멘트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국내 반도체주 주가 하락,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낙폭 확대

▶ 삼성전자 -2.95%, SK하이닉스 -8.12%, 유진테크 -10.98%, 주성엔지니어링 -7.98% 등 커버리지 주가 큰 폭 하락 중

▶ 반도체는 관세 부과 대상에서 면제, 그러나 HS Code 기준 디램, 낸드 단품 및 웨이퍼는 면제 대상이며 디램 모듈 및 낸드 SSD는 면제 대상이 아님

▶ 반도체 소비처인 IT 하드웨어 수요 하락으로 반도체 수요 역시 감소할 가능성을 시장이 반영하고 있음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관세 관련 협상을 진행할 결정권자의 부재가 한국 반도체주의 추가적인 약점으로 작용

▶ 다만 이같은 관세 정책은 오히려 미국 기업의 실적과 주가를 압박하고 미국을 공급망 내에서 고립시킬 가능성이 높음

▶ 특히 올해 수요는 AI 데이터센터가 주도. 서버 및 AI 하드웨어 밸류체인은 대만,중국,한국 등 아시아 위주로 구성

▶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AI 응용분야에서는 오히려 중국이 미국보다 앞서 있다고 볼 수 있음. 이같은 관세 정책은 오히려 미국 데이터센터 투자를 위축시키고 AI 경쟁에서 뒤쳐지게 만들 것

▶ 지정학적 리스크와 한국의 정치 리스크가 함께 발생해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반도체 글로벌 역학 관계 고려 시 관세 정책은 추후 조정될 것

▶ 변동성 확대 구간에서 방어적 대응은 필요하나 현재 반도체 섹터에 대한 공포는 과도하다고 판단


텔레그램 채널: https://t.me/KISemicon
11.04.202501:56
★★KR Shipbuilding: Samsung Heavy (010140) - Mozambique FLNG momentum

Samsung Heavy (010140, +3.1%) is expected to disclose $2.5bn Offshore biz new order for Eni's Mozambique Coral Norte FLNG project, which is finally approved by the Mozambique gvnt. The project's total estimated investment amounts to $7.2bn, of which SHI is likely to win $2.5bn worth Offshore biz order. Note, out of SHI's $4bn Offshore biz new order target, the $2.5bn Mozambique FLNG order is already included. Once the FID is completed, Eni will sign the top side contract with the EPC consortium, and SHI will disclose the new order.

=> The news was out on Wed, but got completely buried during market crash. Mozambique FID delay was one of the big concern last yr... The approval is +IVE for SHI's Offshore earnings outlook.

모잠비크, 코랄 노스 가스전 '72억 달러' 투자 승인…삼성중공업 FLNG 수주 초읽기
https://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85666
17.04.202502:49
美 "조선 재건 韓이 최선책"…HD현대重·한화오션 제시

https://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41702109951607001
16.04.202502:11
그 동안 파마리서치 대비 소외 받았던 클래시스도 최근 외국인 매수 지속

클래시스 (214150): 매수(유지) | TP: 73,000원(상향) : 1Q25 Preview: 분기마다 축적될 성장성 (Analyst 강시온)


• 1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746억원(+48.1% YoY, 이하 YoY), 영업이익 365억원(+37.8%, OPM 49.0%)으로 컨센서스(368억원)에 부합할 전망. 장비와 소모품 매출액은 각각 289억원(+39.1%), 315억원(+18.9%)으로 추정
o 통상 1분기는 유통사의 예산 및 정책 수립 영향으로 주문이 가장 더딘 시기로, 전 분기와 유사한 실적 흐름을 전망. 연초 이후 주문은 점차 활성화되는 패턴을 보이는데, 실제 관세청 수출 데이터 또한 1~3월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냄. 전분기 대비로는 +7.0% 성장했으며, 특히 주력 수출국인 브라질/태국/일본에서 각각 +21%/65%/-1% +QoQ의 우상향 흐름을 보임
o 미국향 볼뉴머 수주는 3월 중 진행된 것으로 파악됨. 영업이익률은 이루다 합병 관련 지급수수료 반영 종료로, 전분기 대비 +0.9%p 개선된 49.0%로 추정

• 1분기를 기점으로 클래시스와 이루다 모두 매 분기 계단식 실적 상승을 전망하며, 하반기에는 유럽 매출이 더해지며 성장세가 가속화될 것. 유럽 내 HIFU 및 RF 장비에 대한 CE MDR 허가는 2분기 중으로 예상되며, 3분기부터 관련 매출이 발생할 전망
o 한편 이루다의 미국 유통사 Cutera가 지난 3월 파산 보호를 신청함에 따라, 이루다의 올해 매출액을 기존 대비 9% 하향한 535억원으로 조정. 다만 당초 이루다의 미국 매출을 보수적으로 가정했던 만큼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기존의 분기별 우상향 실적 흐름은 유지될 전망

• 목표주가를 기존 67,000원에서 73,000원으로 9.0% 상향(12MF EPS 2,235원에 Target PER 33배 적용). 밸류에이션 적용 시점 변경 및 ‘25년, ‘26년 EPS 전망치를 각각 4.8%, 2.8% 상향 조정
o ‘25년 미국/유럽 진출 본격화, ‘26년 중국 진출, ‘27년 HIFU 신제품 출시 등 성장 로드맵이 순차적으로 전개될 전망. 한편 미국 매출 비중이 낮아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며, 환율 환경도 긍정적

• 리포트 링크: https://vo.la/uEEJKu
अधिक कार्यक्षमता अनलॉक करने के लिए लॉगिन क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