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sted from:
우산 X NNN의 아이디어



01.05.202504:46
■ 에스앤디_[수출데이터(기타소스)] 수출액 25.04월 잠정치 2,234만 달러(YoY +9.6%, 원화 환산 313억 원), 수출액 절대치 올리는 중
- 불닭소스 비중 15% 전후 차지하는 기타소스 수출액 25.04월 잠정치 2,234만 달러로 절대치 연속 상승
- 급격히 수출 늘어나는 기타소스 아이템 없었다면 불닭소스 수출 서프라이즈 이어질 듯
- 불닭소스 네이버 데이터랩 따르면 인기 검색어 순위 최상위권 유지 계속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24.03월 불닭소스 수출액 밀양 수출데이터 크게 잡히며 서프라이즈였습니다. 당시 우리나라 기타소스 수출액 잠정치 2,218만 달러였는데 24.04월 기타소스 수출액 잠정치 2,234만 달러로 절대치 더 올라옵니다. YoY Growth +9.6% 입니다. 1~10일, 1~20일, 1~말일 데이터 보면 Growth 계속 올라옵니다. (0.0% → 2.4% → 9.6%) 점진적으로 수출물량 계속 느는 상황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우리나라 기타소스 전체 수출액 불닭소스 성과에 좌지우지되진 않을 겁니다. 코첼라 때문에 적극적인 영업활동한 것으로 추측되는 25.03월에 기타소스 중 불닭소스 비중 약 19.5%로 추정됩니다. 보통 10~15% 비중을 차지했었습니다. 따라서 나머지 85% 다른 소스 우리나라 기타소스 전체 수출액 영향 미칠 겁니다. 그런데 불닭소스 말고 최근 급격히 수출 늘어나는 소스 있냐 하면 아직 파악 안됩니다. 만약 불닭소스 수출액 비중 25.03월과 유사하게 20% 정도라 하면 서프라이즈 이어질 것 같습니다.
에스앤디와 소통하면 아직 경남밀양으로 들어가는 소스원료 절대량 크게 늘어난 것 같지 않다 합니다. 그런데 어차피 치킨향분말, 그릴농축액, 크림맛분말, 매운치즈소등 주요 소스원료 밀양에 계속 들어가는데 라면 대비 소스 비중 아주 낮을테니 에스앤디 실시간으로 느낄 만큼 물량 변화 크게 없었을 겁니다. 방향이 이렇다면 언젠가 의미 있는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가로 불닭소스 네이버 데이터랩 쇼핑인사이트 인기 검색어 순위 보면 25.04월 소스/드레싱 전체 4위 입니다. 25.03월 2위에서 내려왔지만 기타소스/드레싱 카테고리에선 4개월 연속 1위입니다. 단순히 유행으로만 끝날 상품 아닌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기타소스 수출액 잠정치 만으로 불닭소스의 성과를 온전히 평가하긴 어렵습니다. 결국 15일 나오는 수출데이터 확정치 봐야 합니다. 기타 소스 수출액 절대치 올라온 수준 유지하여 긍정적이지만 계속 타이트하게 점검해가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52021794
- 불닭소스 비중 15% 전후 차지하는 기타소스 수출액 25.04월 잠정치 2,234만 달러로 절대치 연속 상승
- 급격히 수출 늘어나는 기타소스 아이템 없었다면 불닭소스 수출 서프라이즈 이어질 듯
- 불닭소스 네이버 데이터랩 따르면 인기 검색어 순위 최상위권 유지 계속
* 다양한 차트는 첨부된 블로그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포스팅한 관심섹터와 관심종목에 대해 매수/매도 의견을 제안하지 않습니다.
*** 포스팅 작성 시점 관련 종목 보유여부를 확인해 드릴 수 없습니다.
24.03월 불닭소스 수출액 밀양 수출데이터 크게 잡히며 서프라이즈였습니다. 당시 우리나라 기타소스 수출액 잠정치 2,218만 달러였는데 24.04월 기타소스 수출액 잠정치 2,234만 달러로 절대치 더 올라옵니다. YoY Growth +9.6% 입니다. 1~10일, 1~20일, 1~말일 데이터 보면 Growth 계속 올라옵니다. (0.0% → 2.4% → 9.6%) 점진적으로 수출물량 계속 느는 상황아닌지 생각해봅니다.
우리나라 기타소스 전체 수출액 불닭소스 성과에 좌지우지되진 않을 겁니다. 코첼라 때문에 적극적인 영업활동한 것으로 추측되는 25.03월에 기타소스 중 불닭소스 비중 약 19.5%로 추정됩니다. 보통 10~15% 비중을 차지했었습니다. 따라서 나머지 85% 다른 소스 우리나라 기타소스 전체 수출액 영향 미칠 겁니다. 그런데 불닭소스 말고 최근 급격히 수출 늘어나는 소스 있냐 하면 아직 파악 안됩니다. 만약 불닭소스 수출액 비중 25.03월과 유사하게 20% 정도라 하면 서프라이즈 이어질 것 같습니다.
에스앤디와 소통하면 아직 경남밀양으로 들어가는 소스원료 절대량 크게 늘어난 것 같지 않다 합니다. 그런데 어차피 치킨향분말, 그릴농축액, 크림맛분말, 매운치즈소등 주요 소스원료 밀양에 계속 들어가는데 라면 대비 소스 비중 아주 낮을테니 에스앤디 실시간으로 느낄 만큼 물량 변화 크게 없었을 겁니다. 방향이 이렇다면 언젠가 의미 있는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추가로 불닭소스 네이버 데이터랩 쇼핑인사이트 인기 검색어 순위 보면 25.04월 소스/드레싱 전체 4위 입니다. 25.03월 2위에서 내려왔지만 기타소스/드레싱 카테고리에선 4개월 연속 1위입니다. 단순히 유행으로만 끝날 상품 아닌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기타소스 수출액 잠정치 만으로 불닭소스의 성과를 온전히 평가하긴 어렵습니다. 결국 15일 나오는 수출데이터 확정치 봐야 합니다. 기타 소스 수출액 절대치 올라온 수준 유지하여 긍정적이지만 계속 타이트하게 점검해가겠습니다.
https://blog.naver.com/beatthemkt/223852021794
Reposted from:
AWAKE 플러스

30.04.202506:09
📌 원텍(시가총액: 7,182억)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04.30 15:05:36 (현재가 : 8,030원, 0%)
보고자 : 김종원(52년생)/등기임원/대표이사 회장
보고전 : 31.91%
보고후 : 31.91%
변동률 : 0.0%
날짜/사유/변동/주식종류/비고
2025-04-28/ 장내매수(+)/ 1,255주/ 보통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91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36570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2025.04.30 15:05:36 (현재가 : 8,030원, 0%)
보고자 : 김종원(52년생)/등기임원/대표이사 회장
보고전 : 31.91%
보고후 : 31.91%
변동률 : 0.0%
날짜/사유/변동/주식종류/비고
2025-04-28/ 장내매수(+)/ 1,255주/ 보통주/-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91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36570
Reposted from: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하나 채권 김상훈] 후니본(Bond)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2b18a40-d395-4327-a4e4-7c8284052c0d.jpg%3Fw%3D24%26h%3D24&w=48&q=75)


30.04.202501:55
이번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대규모 정전 사태는 우연이 아닌 “예고된 문제”였다는 것. 특히 스페인의 경우 국가 전력망이 평일 기준으로 처음 100% “재생에너지로만 가동되었다”는 성과를 보도한지 6일 만에 이런 대규모 정전이 발생
발생 상황:
• 4월 28일 현지시간 12시 35분경, 스페인, 포르투갈, 일부 프랑스 지역에서 동시에 정전
• 프랑스는 비교적 빠르게 복구됐지만,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복구에 최대 일주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
원인 분석:
• 처음에는 포르투갈 전력회사 REN이 “극한 기온 변화”나 “희귀한 대기 현상” 탓으로 돌렸지만, 실제 원인은 더 복합적
• 스페인 전력망 운영사 Red Eléctrica에 따르면, 전기 네트워크 내 극심한 진동(oscillation) 때문에 스페인 전력망이 유럽 본토 전력망에서 자동으로 차단되며 이베리아 반도(스페인+포르투갈) 전체가 단독으로 고립. 이 고립이 전체 전력 공급 붕괴로 이어짐
근본적인 문제:
• 과거에는 석탄, 가스, 원자력 같은 무거운 회전식 발전기가 전력망을 구성. 이들은 자체 “물리적 관성”이 있어 외부 충격이나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음
• 하지만 최근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는데, 태양광 패널과 현대식 풍력 터빈은 물리적 회전관성이 없음. 따라서 외부 충격(날씨 변화, 주파수 변동 등)에 매우 민감하고 불안정하게 반응
결론:
• 날씨가 계기가 될 수는 있었지만, 시스템 붕괴의 핵심 원인은 구조적인 전력망 불안정성
• 특히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나친 의존,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백업(열 발전기 등) 부족이 문제를 키웠다는 분석
• 유럽의 지도자들은 이런 위험성을 여러 차례 경고받았지만, 그동안 무시해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
발생 상황:
• 4월 28일 현지시간 12시 35분경, 스페인, 포르투갈, 일부 프랑스 지역에서 동시에 정전
• 프랑스는 비교적 빠르게 복구됐지만,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복구에 최대 일주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
원인 분석:
• 처음에는 포르투갈 전력회사 REN이 “극한 기온 변화”나 “희귀한 대기 현상” 탓으로 돌렸지만, 실제 원인은 더 복합적
• 스페인 전력망 운영사 Red Eléctrica에 따르면, 전기 네트워크 내 극심한 진동(oscillation) 때문에 스페인 전력망이 유럽 본토 전력망에서 자동으로 차단되며 이베리아 반도(스페인+포르투갈) 전체가 단독으로 고립. 이 고립이 전체 전력 공급 붕괴로 이어짐
근본적인 문제:
• 과거에는 석탄, 가스, 원자력 같은 무거운 회전식 발전기가 전력망을 구성. 이들은 자체 “물리적 관성”이 있어 외부 충격이나 갑작스러운 변화에도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었음
• 하지만 최근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태양광,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비율이 급격히 높아졌는데, 태양광 패널과 현대식 풍력 터빈은 물리적 회전관성이 없음. 따라서 외부 충격(날씨 변화, 주파수 변동 등)에 매우 민감하고 불안정하게 반응
결론:
• 날씨가 계기가 될 수는 있었지만, 시스템 붕괴의 핵심 원인은 구조적인 전력망 불안정성
• 특히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나친 의존,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백업(열 발전기 등) 부족이 문제를 키웠다는 분석
• 유럽의 지도자들은 이런 위험성을 여러 차례 경고받았지만, 그동안 무시해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
30.04.202500:57
Reposted from:
루팡



01.05.202523:02
메타 CFO 전망 코멘트 - CAPEX
우리는 2025년 전체 자본적 지출(CAPEX), 금융리스 원금 상환을 포함하여, 640억~720억 달러 범위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기존 전망치인 600억~650억 달러에서 상향된 것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된 전망은 AI 관련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및 인프라 하드웨어 비용 증가를 반영한 것입니다.
2025년 자본 지출의 대부분은 당사의 핵심 비즈니스에 계속해서 투입될 예정입니다.
우리는 2025년 전체 자본적 지출(CAPEX), 금융리스 원금 상환을 포함하여, 640억~720억 달러 범위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기존 전망치인 600억~650억 달러에서 상향된 것입니다.
이번 업데이트된 전망은 AI 관련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및 인프라 하드웨어 비용 증가를 반영한 것입니다.
2025년 자본 지출의 대부분은 당사의 핵심 비즈니스에 계속해서 투입될 예정입니다.
01.05.202512:48
Reposted from:
한투 제약/바이오 위해주

30.04.202511:24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화이자(PFE US): 비만 치료제 개발 전략에 관심
보고서: http://bit.ly/4lSWFRx
1Q25 조정 EPS는 컨센서스를 38% 상회했습니다. 매출 137억달러(-8% YoY), 조정 EPS 0.92달러(+10%) 기록했는데요. 조정 EPS 상회 요인은 1)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매출총이익 증가, 2) 비용 절감 효과입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는 3.2% 상승 마감했습니다. 비만 포트폴리오 강화 언급과 비용 절감 목표치 상향 때문입니다. 화이자는 2027년까지 77억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전 목표 대비 17억달러 상향한 것입니다. 한편 다누글리프론 개발 중단으로 비만 치료제 개발사를 인수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관련한 경구형 비만 치료제 개발사의 주가가 상승 중인 만큼 화이자의 선택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화이자가 빨리 팔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선호한다면 바이킹이, 먹는 비만치료제 플랫폼 확보를 목표한다면 멧세라가, 소분자화합물 형태를 희망한다면 GPCR이 인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보고서: http://bit.ly/4lSWFRx
1Q25 조정 EPS는 컨센서스를 38% 상회했습니다. 매출 137억달러(-8% YoY), 조정 EPS 0.92달러(+10%) 기록했는데요. 조정 EPS 상회 요인은 1)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매출총이익 증가, 2) 비용 절감 효과입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는 3.2% 상승 마감했습니다. 비만 포트폴리오 강화 언급과 비용 절감 목표치 상향 때문입니다. 화이자는 2027년까지 77억달러의 비용을 절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전 목표 대비 17억달러 상향한 것입니다. 한편 다누글리프론 개발 중단으로 비만 치료제 개발사를 인수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습니다. 관련한 경구형 비만 치료제 개발사의 주가가 상승 중인 만큼 화이자의 선택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화이자가 빨리 팔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선호한다면 바이킹이, 먹는 비만치료제 플랫폼 확보를 목표한다면 멧세라가, 소분자화합물 형태를 희망한다면 GPCR이 인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30.04.202505:41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30.04.202500:47
2025.04.30 09:47:18
기업명: 폰드그룹(시가총액: 1,97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66억(예상치 : -)
영업익 : 144억(예상치 : -)
순이익 : 6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66억/ 144억/ 64억
2024.4Q 1,377억/ 147억/ 137억
2024.3Q 726억/ 53억/ 17억
2024.2Q 828억/ 110억/ 53억
2024.1Q 756억/ 103억/ 6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11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72850
기업명: 폰드그룹(시가총액: 1,97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066억(예상치 : -)
영업익 : 144억(예상치 : -)
순이익 : 64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066억/ 144억/ 64억
2024.4Q 1,377억/ 147억/ 137억
2024.3Q 726억/ 53억/ 17억
2024.2Q 828억/ 110억/ 53억
2024.1Q 756억/ 103억/ 6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90011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72850
Reposted from:
대세산업 트레이딩

01.05.202523:02
[단독] 中 CCTV, 韓아이돌 초청 대규모 순회공연 추진…한한령 해제 신호탄
https://naver.me/5huMAFTK
https://naver.me/5huMAFTK
Reposted from:
에테르의 일본&미국 리서치

01.05.202507:18
[1보] 통신당국 "유심 부족 해소시까지 SKT 신규가입 중단" 행정지도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50501092300017
Repost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30.04.202507:43
두산 전자 BG 빅 서프네요
두산 전자 BG 1분기 실적 (잠정치)
1분기 매출 4,029억원 (+116% yoy)
영업이익 1,170억원 (+588% yoy)
OP마진 30% 내외로 보입니다
두산 전자 BG 1분기 실적 (잠정치)
1분기 매출 4,029억원 (+116% yoy)
영업이익 1,170억원 (+588% yoy)
OP마진 30% 내외로 보입니다
Reposted from:
재야의 괴수들

30.04.202505:13
제노스코: 오름처럼 숨기고 상장 후 중단 공시 냈을 가능성 농후
https://m.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2099206642141368&utm_source=
세비도플레닙과 데피본티닙 모두 오스코텍과 제노스코가 공동 개발하던 파이프라인이라는 점에서 오스코텍은 물론 기술성 평가에서 업계 최초로 AA, AA를 받았던 제노스코에 대한 재평가도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오스코텍 파이프라인 중 아델사와 공동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치료제(미국 임상 1상)를 제외하면 5개 파이프라인 모두 전임상 단계다.
https://m.edaily.co.kr/News/Read?mediaCodeNo=257&newsId=02099206642141368&utm_source=
세비도플레닙과 데피본티닙 모두 오스코텍과 제노스코가 공동 개발하던 파이프라인이라는 점에서 오스코텍은 물론 기술성 평가에서 업계 최초로 AA, AA를 받았던 제노스코에 대한 재평가도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오스코텍 파이프라인 중 아델사와 공동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치료제(미국 임상 1상)를 제외하면 5개 파이프라인 모두 전임상 단계다.
Reposted from:
Yeouido Lab_여의도 톺아보기

30.04.202501:12
[단독] 한한령 사실상 전면 해제…中서 9월 '5만명' 규모 K팝 공연 열린다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https://m.newspim.com//news/view/20250430000195
Reposted from: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KD
30.04.202500:24
▶️반도체 후공정 | 투자의견: 비중확대(분석재개) : 소켓에 올라타라 (Analyst 박상현)
• 투자의견 ‘매수’로 테스트 소켓 기업인 리노공업과 ISC 분석을 개시. 두 기업은 각각 실러콘 러버 소켓과 포고 핀 소켓 분야의 글로벌 최정상 기업
o 높은 기술 경쟁력을 근거로 두 기업은 대부분의 기간 20배가 넘는 높은 멀티플을 적용받아왔지만, 최근 미국 관세 등 매크로 불확실성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되면서 주가가 매력적인 수준으로까지 하락. 벨류에이션 부담이 낮아진 지금은 분명한 매수 기회
•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에서도 국내 기업 투자 매력 높음
o Winway, Enplans, Cohu, Yamaichi, Yokowo 등의 경쟁사를 모두 포함해 테스트 소켓 매출 비중이 70%가 넘는 기업은 국내 두 기업과 Winway 뿐. 리노공업, ISC, Winway의 24년 영업이익률은 각각 44.6%, 25.7%, 23.6%로 산업 평균 16.0%보다 높은데, 이점이 나머지 기업보다 이들 기업이 높은 멀티플을 적용받은 이유
o 테스트 소켓 3사로 투자 범위를 좁힐 경우, 투자 매력도는 국내 기업이 더 큼. 리노공업은 Winway보다 높은 수익성을 보이지만 PER은 동등 수준이며, ISC는 Winway와 유사한 수익성을 갖지만 PER은 낮기 때문. 테스트 소켓 기업에 투자한다면 국내 리노공업과 ISC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적절
• 주가 상승 여력을 고려한 선호도는 리노공업, ISC 순
o 올해 리노공업 투자 포인트는 양산용 테스트 소켓에서의 점유율 확대. 북미 스마트폰 AP 고객사는 검사 정확도가 높은 리노공업 제품을 선행 R&D용 테스트 소켓에 주로 활용하고, 양산용 테스트 소켓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대만, 일본 경쟁사 제품을 사용해왔으나, 온디바이스AI가 중저가 세그먼트로까지 확대되면서 양산용 AP에서도 고성능 리노공업 제품 채용이 확대되는 것으로 파악
o ISC 투자 포인트는 높은 데이터센터 노출도. 딥시크 사태 이후 우려가 많았지만, 빅테크의 올해 CAPEX 가이던스, TSMC의 최근 실적 및 가이던스 등을 고려할 때 올해도 데이터센터는 가장 고성장할 IT HW 응용처일 것. 올해 ISC의 데이터센터향 매출 비중은 약 60%
• 리포트 링크: https://vo.la/uxamOU
• 투자의견 ‘매수’로 테스트 소켓 기업인 리노공업과 ISC 분석을 개시. 두 기업은 각각 실러콘 러버 소켓과 포고 핀 소켓 분야의 글로벌 최정상 기업
o 높은 기술 경쟁력을 근거로 두 기업은 대부분의 기간 20배가 넘는 높은 멀티플을 적용받아왔지만, 최근 미국 관세 등 매크로 불확실성으로 투자 심리가 악화되면서 주가가 매력적인 수준으로까지 하락. 벨류에이션 부담이 낮아진 지금은 분명한 매수 기회
• 글로벌 경쟁사와 비교에서도 국내 기업 투자 매력 높음
o Winway, Enplans, Cohu, Yamaichi, Yokowo 등의 경쟁사를 모두 포함해 테스트 소켓 매출 비중이 70%가 넘는 기업은 국내 두 기업과 Winway 뿐. 리노공업, ISC, Winway의 24년 영업이익률은 각각 44.6%, 25.7%, 23.6%로 산업 평균 16.0%보다 높은데, 이점이 나머지 기업보다 이들 기업이 높은 멀티플을 적용받은 이유
o 테스트 소켓 3사로 투자 범위를 좁힐 경우, 투자 매력도는 국내 기업이 더 큼. 리노공업은 Winway보다 높은 수익성을 보이지만 PER은 동등 수준이며, ISC는 Winway와 유사한 수익성을 갖지만 PER은 낮기 때문. 테스트 소켓 기업에 투자한다면 국내 리노공업과 ISC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적절
• 주가 상승 여력을 고려한 선호도는 리노공업, ISC 순
o 올해 리노공업 투자 포인트는 양산용 테스트 소켓에서의 점유율 확대. 북미 스마트폰 AP 고객사는 검사 정확도가 높은 리노공업 제품을 선행 R&D용 테스트 소켓에 주로 활용하고, 양산용 테스트 소켓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대만, 일본 경쟁사 제품을 사용해왔으나, 온디바이스AI가 중저가 세그먼트로까지 확대되면서 양산용 AP에서도 고성능 리노공업 제품 채용이 확대되는 것으로 파악
o ISC 투자 포인트는 높은 데이터센터 노출도. 딥시크 사태 이후 우려가 많았지만, 빅테크의 올해 CAPEX 가이던스, TSMC의 최근 실적 및 가이던스 등을 고려할 때 올해도 데이터센터는 가장 고성장할 IT HW 응용처일 것. 올해 ISC의 데이터센터향 매출 비중은 약 60%
• 리포트 링크: https://vo.la/uxamOU
Reposted from:
Buff

01.05.202514:33
삼양식품: 4월 라면 수출 퀵리뷰(네버엔딩 불닭차력쇼)
https://blog.naver.com/somewhaterror/223852667335?fromRss=true&trackingCode=rss
https://blog.naver.com/somewhaterror/223852667335?fromRss=true&trackingCode=rss
Reposted from:
기술적 분석으로 보는 주식시장

01.05.202506:54
파기 환송되기는 했습니다만, 날짜상으로 재판 완결이 대선 이후가 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지는데요. 설사 판결이 유죄로 대선일자 이전에 고등법원에서 나온다 한들 다시 대법원으로 가면 상고하면 되기 때문에 여기서 대세에 지장이 생겼다고 하기에는 많이 어렵다 봅니다.
이재명 후보의 법적 리스크가 있다라고들 얘기하는데요. 이미 음주운전과 전과 이력, 기타 불륜 의혹이 있었음에도 지지율이 높았고 이번 재판의 내용이 새로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질 일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743778?sid=102
이재명 후보의 법적 리스크가 있다라고들 얘기하는데요. 이미 음주운전과 전과 이력, 기타 불륜 의혹이 있었음에도 지지율이 높았고 이번 재판의 내용이 새로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지율이 떨어질 일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743778?sid=102
30.04.202506:13
최 : 위약금면제?
유영상대표 : 검토좀...
최 : 아빠데려와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6067?sid=100
유영상대표 : 검토좀...
최 : 아빠데려와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26067?sid=100


30.04.202502:06
Reposted from:KOREA DAILY INSIGHT - KIS GREG KIM
KD
30.04.202500:58
SNT다이내믹스, 1,264.68억원 규모 공급계약(K21 보병전투차량 4차양산 물품구매계약) 체결
SNT다이내믹스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HANWHA AEROSPACE CO.,LTD)와 1,264.68억원 규모의 공급계약(K21 보병전투차량 4차양산 물품구매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20.58%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계약기간은 2025-04-30부터 2028-09-15까지이다.
SNT다이내믹스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HANWHA AEROSPACE CO.,LTD)와 1,264.68억원 규모의 공급계약(K21 보병전투차량 4차양산 물품구매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20.58%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계약기간은 2025-04-30부터 2028-09-15까지이다.
Reposted from:
IBK투자증권 혁신기업분석부

29.04.202523:59
IBK투자증권
IT/디스플레이
강민구 연구원
[IBKS In-Depth Report] OLED: 폭싹 무르익다
https://buly.kr/EI3XLDF
• 올 봄, 디스플레이 업종을 사야할 시간
• 1. 폴더블 iPhone – 공급망은 국내 업체 중심으로 구성될 것
(1) 폴더블 iPhone,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2) 수요는 우려를 불식시킬 것
(3) 폴더블 패널은 국내사 독점 공급 전망
• 2. IT OLED - 타임라인의 문제일 뿐, 수요는 기대 이상
(1) 애플 IT OLED 수요는 기대 이상
(2) IT OLED 전환의 적기는 바로 지금
(3) 공급사 선정을 좌우할 하이엔드 OLED 기술
• 3. 8세대 Fab – 증설 싸이클은 이제 시작
(1) 삼성디스플레이 이익률의 비결
(2) 초기 IT OLED 공급은 국내 패널사가 독점할 것
(3) 8세대 증설의 명분 찾기
• 4. 기업분석
(1) LG디스플레이: OLED가 이끄는 턴어라운드
(2) 덕산네오룩스: IT OLED 최대 수혜주
(3) 선익시스템: 최고 부가가치 OLED 증착기 국산화 기업
(4) 세경하이테크: 북미 공급망 합류가 가장 기대되는 기업
- 동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IT/디스플레이
강민구 연구원
[IBKS In-Depth Report] OLED: 폭싹 무르익다
https://buly.kr/EI3XLDF
• 올 봄, 디스플레이 업종을 사야할 시간
• 1. 폴더블 iPhone – 공급망은 국내 업체 중심으로 구성될 것
(1) 폴더블 iPhone,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2) 수요는 우려를 불식시킬 것
(3) 폴더블 패널은 국내사 독점 공급 전망
• 2. IT OLED - 타임라인의 문제일 뿐, 수요는 기대 이상
(1) 애플 IT OLED 수요는 기대 이상
(2) IT OLED 전환의 적기는 바로 지금
(3) 공급사 선정을 좌우할 하이엔드 OLED 기술
• 3. 8세대 Fab – 증설 싸이클은 이제 시작
(1) 삼성디스플레이 이익률의 비결
(2) 초기 IT OLED 공급은 국내 패널사가 독점할 것
(3) 8세대 증설의 명분 찾기
• 4. 기업분석
(1) LG디스플레이: OLED가 이끄는 턴어라운드
(2) 덕산네오룩스: IT OLED 최대 수혜주
(3) 선익시스템: 최고 부가가치 OLED 증착기 국산화 기업
(4) 세경하이테크: 북미 공급망 합류가 가장 기대되는 기업
- 동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Shown 1 - 24 of 1 129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