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 중국 최설화]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cec00b3405abffe6ba3d1426a4670a4162ecf33ffa4e67b81867c10371515281%2Ff01c252a-2804-442c-a985-79120f0c6946.jpg%3Fw%3D240%26h%3D240&w=640&q=75)
[메리츠 중국 최설화]
로컬 중국 이야기와 생각을 드립니다.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Jul 31, 2019
Added to TGlist
Sep 14, 2024Latest posts in group "[메리츠 중국 최설화]"
19.04.202500:50
(위) 1시간 16분에서 배터리 교체 장면
19.04.202500:50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
대망의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이 사작되었습니다.
위 화면의 로봇은 텐궁이라고 베이징로봇혁신센터에서 만든 휴머노이드이며, 현재 압도적 1위 입니다.
현재 약 1시간 12분 정도 뛰었고, 5km 지점에서 배터리 한번 교체했고, 방금 또 배터리 한번 교체했습니다.
로봇과의 공존, 세상이 바뀌고 있네요.
대망의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마라톤이 사작되었습니다.
위 화면의 로봇은 텐궁이라고 베이징로봇혁신센터에서 만든 휴머노이드이며, 현재 압도적 1위 입니다.
현재 약 1시간 12분 정도 뛰었고, 5km 지점에서 배터리 한번 교체했고, 방금 또 배터리 한번 교체했습니다.
로봇과의 공존, 세상이 바뀌고 있네요.
16.04.202522:59
📮[MERITZ Strategy Daily 전략공감2.0] 2025.4.17(목)
중국, 혼란스러울수록 본질에 집중
- 미중 통상마찰, 혼란스럽지만 앞으로 관세율 확전 가능성은 하락
- 중국정부 혼란스러울수록 본질에 집중: 1) 외교 다변화, 2) 전방위 내수 부양
- 경기의 추가 부양 여력 및 많이 낮아진 정책 불확실성에 중국증시 하방 위험 제한적
https://tinyurl.com/a3p3v3m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중국, 혼란스러울수록 본질에 집중
- 미중 통상마찰, 혼란스럽지만 앞으로 관세율 확전 가능성은 하락
- 중국정부 혼란스러울수록 본질에 집중: 1) 외교 다변화, 2) 전방위 내수 부양
- 경기의 추가 부양 여력 및 많이 낮아진 정책 불확실성에 중국증시 하방 위험 제한적
https://tinyurl.com/a3p3v3m3
* 동 자료는 Compliance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6.04.202506:53
중국증시, 막판 플러스로 전환
중국 국부펀드의 CSI300 ETF 매입과 함께 중국 본토증시는 장중 1% 넘게 하락했다가, 장 마감 직전 플러스로 전환
상해종합 +0.03%, CSI300 +0.07%
중국 국부펀드의 CSI300 ETF 매입과 함께 중국 본토증시는 장중 1% 넘게 하락했다가, 장 마감 직전 플러스로 전환
상해종합 +0.03%, CSI300 +0.07%


16.04.202504:05
(위) 미국 백악관의 대중국 품목별 관세율
오늘 중국 내에서 245% 관세율이 크게 회자되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 4/15일에 발표된 백악관 성명에서 주사기와 바늘 관세율이 245%로 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익숙히 알고 있던 145%보다 100% 더 높은 숫자죠. 중국이 대응 안한다고 했으니 중국발 추가 이벤트는 없겠지만, 외부압박에 중국인들의 국가주의가 더 강해진 것 같습니다.
자료 출처: 뉴욕타임스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5/04/12/business/economy/china-tariff-product-costs.html
오늘 중국 내에서 245% 관세율이 크게 회자되었습니다.
미국 현지시간 4/15일에 발표된 백악관 성명에서 주사기와 바늘 관세율이 245%로 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익숙히 알고 있던 145%보다 100% 더 높은 숫자죠. 중국이 대응 안한다고 했으니 중국발 추가 이벤트는 없겠지만, 외부압박에 중국인들의 국가주의가 더 강해진 것 같습니다.
자료 출처: 뉴욕타임스
https://www.nytimes.com/interactive/2025/04/12/business/economy/china-tariff-product-costs.html


16.04.202502:09
[중국, 서비스소비 부양 2025 행동방안 발표]
중국 상무부 서비스소비 2025년 행동방안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업무 방안》에는 외식, 숙박, 건강, 문화 오락, 관광 휴양, 스포츠 경기 등 주요 산업 분야 뿐만 아니라,
-관광 열차, 항공 관광, 스카이다이빙, 초고화질 TV, 숏폼 드라마 등 새로운 업태와 신흥 소비 장면도 포함
기사 원문: https://wap.eastmoney.com/a/202504163378329050.html
중국 상무부 서비스소비 2025년 행동방안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업무 방안》에는 외식, 숙박, 건강, 문화 오락, 관광 휴양, 스포츠 경기 등 주요 산업 분야 뿐만 아니라,
-관광 열차, 항공 관광, 스카이다이빙, 초고화질 TV, 숏폼 드라마 등 새로운 업태와 신흥 소비 장면도 포함
기사 원문: https://wap.eastmoney.com/a/202504163378329050.html
16.04.202502:02
【중국 1Q GDP 및 3월 지표]
모두 예상 상회했습니다만, 이제 2분기부터 중요해졌죠. 여튼 좋은 출발입니다.
<1Q GDP>
-YoY: 5.4% (예상 5.2%, 직전치 5.4%)
-QoQ: 1.2% (예상 1.4%, 직전치 1.6%)
<3월 지표>
-소매판매: 5.9% (예상 4.3%, 1-2월 4.0%)
-산업생산: 7.7% (예상 5.9%, 1-2월 5.9%)
-고정자산투자 누적액:
4.2% (예상 4.1%, 1-2월 4.1%)
-부동산투자 누적액:
-9.9% (예상 -9.9%, 1-2월 -9.8%)
-실업률: 5.2% (예상 5.3%, 2월 5.4%)
출처: 국가통계국, 블룸버그 컨센서스
모두 예상 상회했습니다만, 이제 2분기부터 중요해졌죠. 여튼 좋은 출발입니다.
<1Q GDP>
-YoY: 5.4% (예상 5.2%, 직전치 5.4%)
-QoQ: 1.2% (예상 1.4%, 직전치 1.6%)
<3월 지표>
-소매판매: 5.9% (예상 4.3%, 1-2월 4.0%)
-산업생산: 7.7% (예상 5.9%, 1-2월 5.9%)
-고정자산투자 누적액:
4.2% (예상 4.1%, 1-2월 4.1%)
-부동산투자 누적액:
-9.9% (예상 -9.9%, 1-2월 -9.8%)
-실업률: 5.2% (예상 5.3%, 2월 5.4%)
출처: 국가통계국, 블룸버그 컨센서스
14.04.202507:32
중국 현지언론에 따르면 EU와 중국은 전기차 최저가격 판매제에 거의 합의된 것으로 보도.
즉 중국 브랜드는 유럽 내에서 특정가격 이상으로 판매하고, JV 형태로의 유럽시장 진출 가능성 높다는 평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87710?sid=103
즉 중국 브랜드는 유럽 내에서 특정가격 이상으로 판매하고, JV 형태로의 유럽시장 진출 가능성 높다는 평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87710?sid=103
14.04.202504:34
[3월 중국 수출: 예상 큰 폭 상회]
3월 수출은 예상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선주문 효과로 예상됩니다. 3월 대미국 수출 증가율도 9.1%로 1-2월 증가율(2.9%)보다 높습니다.
중요한 것은, 2분기부터 관세 충격이 어떤 강도로 영향을 줄지가 관건입니다.
=======
(% YoY, 달러기준)
-수출: 12.4% (예상 4.6%, 2월 -3.0%)
-수입:-4.3% (예상 -2.1%, 2월 1.5%)
출처: 해관총서, 블룸버그 컨센서스
3월 수출은 예상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관세 불확실성에 따른 선주문 효과로 예상됩니다. 3월 대미국 수출 증가율도 9.1%로 1-2월 증가율(2.9%)보다 높습니다.
중요한 것은, 2분기부터 관세 충격이 어떤 강도로 영향을 줄지가 관건입니다.
=======
(% YoY, 달러기준)
-수출: 12.4% (예상 4.6%, 2월 -3.0%)
-수입:-4.3% (예상 -2.1%, 2월 1.5%)
출처: 해관총서, 블룸버그 컨센서스
13.04.202522:57
[중국, 반도체 수입 원산지 기준 변경]
- 11일 중국 반도체협회가 <반도체 원산지 인정 규칙에 관한 긴급통지>를 발표하고, 원산지 기준을 생산지로 변경했습니다. 즉 설계자가 누구든지, 생산지가 미국 외 지역이면 125%의 관세율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 중국 언론에서는 이번 정책으로 피해받는 기업은 인텔, 마이크론,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온세미컨덕터 등이며, 이 중 TI와 ADI의 영향이 가장 크고, 브로드컴과 인텔의 일부 제품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
- 반면 엔비디아와 AMD의 칩은 주로 대만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이들 기업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사 원문(중): https://cj.sina.cn/article/norm_detail?url=http%3A%2F%2Ffinance.sina.cn%2F2025-04-12%2Fdetail-ineswrnu4030356.d.html&autocallup=no&isfromsina=yes
- 11일 중국 반도체협회가 <반도체 원산지 인정 규칙에 관한 긴급통지>를 발표하고, 원산지 기준을 생산지로 변경했습니다. 즉 설계자가 누구든지, 생산지가 미국 외 지역이면 125%의 관세율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 중국 언론에서는 이번 정책으로 피해받는 기업은 인텔, 마이크론,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온세미컨덕터 등이며, 이 중 TI와 ADI의 영향이 가장 크고, 브로드컴과 인텔의 일부 제품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
- 반면 엔비디아와 AMD의 칩은 주로 대만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이들 기업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사 원문(중): https://cj.sina.cn/article/norm_detail?url=http%3A%2F%2Ffinance.sina.cn%2F2025-04-12%2Fdetail-ineswrnu4030356.d.html&autocallup=no&isfromsina=yes
13.04.202509:15
[3월 중국 통화지표: 예상 상회]
-시중 유동성을 반영하는 M1 증가율이 1.6%로, 2월의 0.1% 대비 크게 반등.
-작년에 마이너스인 점을 감안하면 3월 지표 고무적. 미국과의 대립과 함께 베이징의 풋 강도 상승
=========
(% YoY)
-M1: 1.6% (예상 0.3%, 2월 0.1%)
-M2: 7.0% (예상 7.1%, 2월 7.0%)
-1분기 신규위안화 대출총액:
9.78 조 위안 (예상 9.14조 위안)
-1분기 사회융자총액:
15.18조 위안 (예상 14.25조 위안)
출처: 인민은행
-시중 유동성을 반영하는 M1 증가율이 1.6%로, 2월의 0.1% 대비 크게 반등.
-작년에 마이너스인 점을 감안하면 3월 지표 고무적. 미국과의 대립과 함께 베이징의 풋 강도 상승
=========
(% YoY)
-M1: 1.6% (예상 0.3%, 2월 0.1%)
-M2: 7.0% (예상 7.1%, 2월 7.0%)
-1분기 신규위안화 대출총액:
9.78 조 위안 (예상 9.14조 위안)
-1분기 사회융자총액:
15.18조 위안 (예상 14.25조 위안)
출처: 인민은행
11.04.202508:11
[중국의 입장 재성명]
- 미국산 제품에 관세 125%를 발표하면서 중국 관세세칙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입장을 재성명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설령 미국이 계속해서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이는 이미 경제적인 의미가 없으며,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
현재의 관세 수준에서 미국산 대중 수출품이 더 이상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음. 이에 미국이 계속해서 관세 수치 놀음을 이어간다면, 중국은 이에 대응하지 않을 것
그러나 미국이 끝내 중국의 이익을 실질적으로 침해하려 든다면, 중국은 단호하게 반격할 것이며, 끝까지 맞설 것
출처: 관세세칙위원회
- 미국산 제품에 관세 125%를 발표하면서 중국 관세세칙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입장을 재성명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설령 미국이 계속해서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이는 이미 경제적인 의미가 없으며,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
현재의 관세 수준에서 미국산 대중 수출품이 더 이상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없음. 이에 미국이 계속해서 관세 수치 놀음을 이어간다면, 중국은 이에 대응하지 않을 것
그러나 미국이 끝내 중국의 이익을 실질적으로 침해하려 든다면, 중국은 단호하게 반격할 것이며, 끝까지 맞설 것
출처: 관세세칙위원회
11.04.202508:02
중국, 미국산 관세율 125%로 상향
기존 관세율 84%에서 125%로 상향
财政部:调整《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关于调整对原产于美国的进口商品加征关税措施的公告》规定的加征关税税率,由84%提高至125%
财政部:调整《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关于调整对原产于美国的进口商品加征关税措施的公告》规定的加征关税税率,由84%提高至125% https://wallstreetcn.com/articles/3745036#from=ios
기존 관세율 84%에서 125%로 상향
财政部:调整《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关于调整对原产于美国的进口商品加征关税措施的公告》规定的加征关税税率,由84%提高至125%
财政部:调整《国务院关税税则委员会关于调整对原产于美国的进口商品加征关税措施的公告》规定的加征关税税率,由84%提高至125% https://wallstreetcn.com/articles/3745036#from=ios
11.04.202502:06
[시진핑, 동남아 국가 외교방문 발표]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중국
방문일정:
414-15: 베트남
4/15-18: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출처: 인민일보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중국
방문일정:
414-15: 베트남
4/15-18: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출처: 인민일보
09.04.202521:16
미국, 대중국 관세 104%에서 125%로 상향
기타 국가에 대한 관세 90일 유예
보평관세 10%는 유지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73838?sid=101
기타 국가에 대한 관세 90일 유예
보평관세 10%는 유지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73838?sid=101
Records
19.04.202523:59
8.4KSubscribers10.09.202423:59
0Citation index27.01.202523:59
30.2KAverage views per post27.01.202523:59
30.2KAverage views per ad post22.02.202523:59
3.23%ER27.01.202523:59
381.92%ERR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