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카이에 de market avatar
카이에 de market
S&P500은 올해 하락분의 절반을 회복함


* 1950년 이후, 하락의 절반을 회복한 이후 특징

1. 이전 저점을 다시 터치하지 않음(2022년 8월 제외)

2. 이후 1M, 3M, 6M, 12M 전구간에서 주가가 상승. 특히 12개월 후는 100% 확률로, 평균 18%의 상승률을 보였음
ISM 서비스업 PMI 컨센서스 상회. 지난달 대비 상승
================
약장수 리포트 구매 안내 https://t.me/yakjangsu/14598
헤지펀드들의 지난 4월 미국 ETF 숏 규모는 역대 가장 큰 규모
Reposted from:
루팡 avatar
루팡
David Sacks
(백악관 인공지능 및 암호화폐 정책 책임자)

100만 배의 도약

트럼프 대통령 임기 동안 AI는 100만 배 더 강력해질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믿기 어려워하지만, 논리적으로 풀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AI 모델은 연간 약 3~4배의 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점은 성능 평가, 기능 향상, 사용자 경험, 그리고 생태계의 성장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속도로 복리 성장한다면, 2년 안에 10배(1자릿수), 4년 안에는 100배(2자릿수)의 성능 향상이 이뤄집니다.

마찬가지로 AI용 반도체 칩 역시 연간 3~4배 속도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는 Nvidia의 GPU가 Hopper에서 Blackwell, 그리고 곧 출시될 Ruben과 Feynman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볼 수 있습니다. 진화는 단순한 논리 회로뿐 아니라 메모리 대역폭(HBM)과 랙 아키텍처(NVL72 등)에서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4년 안에 칩 성능도 100배 향상될 것입니다.

AI를 구동하는 데이터 센터 역시 급격히 확장되고 있습니다. 최첨단 클러스터인 Colossus는 1년 전만 해도 약 10만 개의 GPU를 보유했으나, 현재는 30만 개 수준이며, 100만 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 후 300만 개, 궁극적으로 가장 야심찬 AI 기업들은 1,000만 개 규모를 목표로 하게 될 것입니다. 이 역시 4년간 100배 확장의 여지를 보여줍니다.

즉, 100배 더 뛰어난 모델이 100배 더 강력한 칩 위에서, 100배 더 많은 칩이 구동되는 데이터센터에서 작동하게 된다면, 전체적으로 100만 배의 AI 성능 향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AI 경쟁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경기침체 우려 완화에 지수선물 상승폭 확대
01.05.202513:08
마솦, 메타 실발에 베팅했던 건가
06.05.202503:25
대만달러 +3.5%, 원달러 +0.9%

- 급락세 일부 되돌림
05.05.202509:20
* 대만, 홍콩 정부, 급격한 자국통화 강세에 외환시장 개입


지난 2일 대만 중앙은행이 1988년 이후 최대폭의 오름세를 보인 달러당 대만달러값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시장에 개입했다고 보도했다.

달러당 대만달러값은 5일(정오 기준) 외환시장에서도 3.5% 이상 급등하며 2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날 홍콩 금융관리국(HKMA)은 홍콩달러가 용인할 수 있는 강세의 끝값(달러당 7,85홍콩달러)까지 오르자 60억달러 규모의 달러를 매입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87186?sid=101
S&P500, 2004년 11월 이후 가장 긴 9거래일 연속 상승 중
02.05.202523:24
SOXX +3.5%, EWY +3.8%
02.05.202513:01
< 🇺🇸 4월 고용보고서 컨센 상회 >

▶️ 일자리 증가 (단, 3월 수치 큰 폭 하향조정), 광의실업률 하락, 임금 상승률 컨센 하회

1️⃣ 비농업 고용
실제 177k / 컨센 138k / 이전 228k (수정 185k)
*민간: 실제 167k / 컨센 125k / 이전 209k (수정 170k)

2️⃣ 실업률
실제 4.2% / 컨센 4.2% / 이전 4.2%
*U6: 7.9%➡️7.8%
*U6-U3갭: 3.7%p➡️3.6%p

3️⃣ 시간당 임금 전년비
실제 3.8% / 컨센 3.9% / 이전 3.8%

4️⃣ 시간당 임금 전월비
실제 0.2% / 컨센 0.3% / 이전 0.3%

5️⃣ 평균 주간근로시간
실제 34.3 / 컨센 34.2 / 이전 34.2 (수정 34.3)

6️⃣ 경제활동참가율
실제 62.6% / 컨센 62.5% / 이전 62.5%
프리마켓

마이크로소프트 +9%
메타 +6%
엔비디아 +5%
06.05.202503:21
어제 SOXX -0.9%, EWY +1.2%
유가 4년내 최저
03.05.202502:31
(아마존 코멘트 복기)

- "AI 사업이 전년 대비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
- "더 많은 AI 캐파가 있었다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었을 것"


** 이번주 빅테크의 실적과 capex 관련 내용들은 이제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AI 수익화 논란, 딥시크 발 과잉투자 논란, CAPEX 둔화 논란을 모두 불식시키고 있다고 생각. 심지어 이 내용들은 관세 불확실성의 한가운데에서 확인되고 있음

** 포트폴리오 관점, (지금까지 성과가 좋을 수 밖에 없었던) 1.트럼프 수혜섹터, 혹은 관세와 무관한 섹터에 여전히 비중을 둘지, 아니면 2.관세 피해가 가장 우려되서 많이 빠져있지만 그게 아님이 밝혀지고 있는 테크에 비중을 둬야 할지 고민이 필요한 시점
02.05.202514:49
- 하지만 오늘 트레이딩 데스크에서 체감된 플로우는 달랐음. 분위기가 확실히 전향적으로 전환됨. 전일 실적 발표에서 MSFT와 META는 기대치를 완벽히 충족시켰고, 이것이 테크 섹터 회복의 전환점이 되었음.

- 이 두 종목의 실적은 최상의 시나리오였음. 매출 상회와 함께 마진 방어도 잘 되었고, AI 관련 투자사이클에 대한 강한 확신도 재확인되면서, 단기적 매수세를 넘어, 섹터 전반에 자신감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었음.
02.05.202500:36
>중국 상무부 입장 일부 완화 조짐, 완강한 기존 입장에서 미국 요청에 따라 ‘검토중’이라고 답변 (5월 2일)

•중국 상무부는 최근 미국이 여러 차례 무역 문제와 관련해 중국과 협상을 진행 중이며 합의 가능성을 언급한 데 대해, 미국 고위 인사들이 관세 문제에 대해 협상의 뜻을 여러 차례 밝혀온 점에 주목한다고 밝힘. 또한 미국 측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협상 의사를 적극적으로 전달해 온 점도 언급하며, 이에 대해 현재 중국 측이 평가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

> 商务部:任何可能的对话、会谈中,如果美方不纠正错误的单边关税措施,则说明美方完全没有诚意,且会进一步损害双方互信. 有记者问:近期美方多次表示,正与中方就经贸问题进行谈判,并会达成协议,请问商务部对此有没有进一步的消息和评论?答:中方注意到美方高层多次表态,表示愿与中方就关税问题进行谈判。同时,美方近期通过相关方面多次主动向中方传递信息,希望与中方谈起来。对此,中方正在进行评估
01.05.202511:32
트럼프에 큰 힘을 실어주고 있는 사우디
06.05.202502:55
오픈AI 조직 구조 개편 발표. 영리 기업 전환 계획 축소

: 비영리 법인(OpenAI Inc.)의 통제 구조 유지. “AGI를 모든 인류에게 이롭게 개발한다”는 설립 사명도 변함없이 유지

: 기존의 이익 제한형(Capped-profit) 자회사 구조(LLC)는 공익기업(PBC, Public Benefit Corp)형태로 전환

: 새로운 구조는 투자 유치 유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사명 중심 운영에 대한 법적 의무를 갖추도록 설계됨. 주주 이익과 함께 공공의 이익을 법적으로 고려해야 함

: OpenAI Inc.는 신규 PBC의 통제권을 유지하며, 주요 주주로 참여하여, 다양한 공익 활동을 지원할 자원을 확보하게 됨

: 캘리포니아와 델라웨어 주 법무장관 포함 외부 법률 및 시민사회와의 광범위한 논의 결과

: 빠르게 성장 중인 AI 산업 내 오픈AI의 사명 중심성과 독립성 유지를 위한 대응

: PBC 구조를 통해 대규모 자금 조달 기반을 마련하고, AGI 개발 과정에서 안전성, 투명성, 공정한 접근성을 보장할 계획

https://openai.com/index/evolving-our-structure/
애플

- S&P500과 나스닥지수가 모두 1% 이상 상승했는데 애플이 -3% 이상 하락한 날은 2002년 10월 17일 이후 23년만

- 당시 애플 시총은 50억달러였음
Reposted from:
루팡 avatar
루팡
빅테크 연간 CapEX 추이 및 전망

공통적인 Capa 부족 언급 → AI/일반 서버 모두 투자 확대 필요

빅테크들이 공통적으로 언급 중인 것은 AI 컴퓨팅 용량 부족. 공급 측면에서 부족한 데이터센터 Capa 확대 가속화 계획 표출

AI 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면서 6월 이후 Capa 제약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는 환경하반기 인프라 관련 투자는 지속 확대될 계획

지난 코로나19 당시 일반 서버에 대한 대규모 투자 이후 현재 교체 주기가 도래한 것과 함께 AI 서비스 확대 과정에서 추가 투자 필요성은 확대될 수밖에 없는 상황

(25.5.2 다올)
02.05.202514:44
GS's John Flood, "지옥을 통과 중이라면 계속 나아가라."

- "지옥을 통과 중이라면 계속 가라." 윈스턴 처칠의 이 말처럼, 우리는 지금 시장의 혼란을 뚫고 전진중. 4월 저점 이후 이어진 인덱스 랠리는 롱온리 투자자의 매도 압력 완화와 함께 헤지펀드의 매크로 상품 숏 커버링이 주된 동력이었음. 다만 여전히 주요 장기 투자자들의 단일 종목 매수는 제한적이었고, 시장은 여전히 ‘가격이 오르면 사자’는 관망적 자세가 우세했었음.

- 하지만 오늘 트레이딩 데스크에서 체감된 플로우는 달랐음. 분위기가 확실히 전향적으로 전환됨. 전일 실적 발표에서 MSFT와 META는 기대치를 완벽히 충족시켰고, 이것이 테크 섹터 회복의 전환점이 되었음.

- 이 두 종목의 실적은 최상의 시나리오였음. 매출 상회와 함께 마진 방어도 잘 되었고, AI 관련 투자 사이클에 대한 강한 확신도 재확인되면서, 단기적 매수세를 넘어, 섹터 전반에 자신감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었음.

-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들의 위탁으로 Mag 7 중심 테크주 매수에 적극 나섰음. 특히 MSFT, NVDA, META, AVGO, AMZN 등의 대형주 매수 티켓이 두드러졌음.

- 오늘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된 섹터는 방어주와 관세 무풍지대였음. T, VZ, TMUS 같은 통신주나 SPOT, NFLX, IBM 등은 ‘소스 오브 펀드(source of funds)’로 작용하고 있음. 이는 전형적인 로테이션 플레이로 보이며, 시장의 선호가 다시 리스크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시사.

- Mag 7을 중심으로 한 대형 기술주에 대해, 우리는 현재 헤지펀드의 롱/숏 비율이 역사상 최저 수준에 있다는 점에 주목중임. 따라서 이 포지션들이 되돌아온다면 “pain trade”는 시장이 계속해서 위로 가는 방향이 될 가능성이 큼.

- 기업들의 자사주 매수 금지 블랙아웃이 끝나가고 있고, CTA들도 전반적으로 매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됨. 트럼프의 UAE 방문을 앞두고 Nvidia 칩 수출 규제 완화 검토라는 뉴스도 매우 긍정적인 신호.

- 내일 시장의 시선은 AMZN과 AAPL 실적 발표에 집중될 것이지만, 전반적으로 시장이 ‘기대보다 나은 실적’과 ‘정책 완화 기대감’을 바탕으로 다시금 위험자산으로 회귀하는 전환점에 접어들고 있다고 봄.
01.05.202514:20
<🇺🇸 4월 ISM 제조업 컨센 상회>

헤드라인 48.7
- 예상 47.9 / 직전 49.0

신규주문 47.3
- 예상 45.0 / 직전 45.3

지불가격 69.8
- 예상 73.0 / 직전 69.4

고용 46.5
- 예상 44.6 / 직전 44.7

➡️ 직전치보다는 둔화됐지만 예상치보다 양호한 성적표. 지불가격은 직전치와 예상치를 모두 하회, 고용은 직전치와 예상치를 모두 상회
* 유가 급락, 사우디 점유율 확대정책으로 선회


사우디의 정책에서 이러한 전환 가능성은 생산량을 늘리고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는 OPEC+ 산유국 그룹의 리더로서 5년간 깊은 생산량을 통해 시장의 균형을 맞추는 데 주력해 온 나라에서 나타난 큰 변화입니다.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saudi-arabia-signals-it-can-live-with-lower-oil-prices-sources-say-2025-04-30/
Shown 1 - 24 of 990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