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Всевидящее ОКО: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Лачен пише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Всевидящее ОКО: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Лачен пише

Анатолий Шарий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Україна Сейчас | УС: новини, політик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Всевидящее ОКО: Україна | Новини

리가켐바이오 IR/PR 공식 채널
리가켐바이오(141080) IR/PR 공식 채널입니다.
리가켐바이오 홈페이지: https://ligachembio.com/
리가켐바이오 홈페이지: https://ligachembio.com/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May 02, 2019
Added to TGlist
Sep 14, 2024Records
25.01.202523:59
10KSubscribers29.08.202423:59
0Citation index16.10.202423:59
13.6KAverage views per post03.12.202423:59
8.7KAverage views per ad post28.02.202500:10
2.69%ER09.04.202500:30
101.41%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Reposted from:
DS투자증권 리서치

12.05.202523:17
[제약/바이오] Oncology 개발 방향성 알아보기 (feat. AACR2025 참관기)
DS투자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김민정
1. 4/25~ 30, AACR2025 탐방기
- AACR은 Preclinical 및 Translational 연구 중심의 신약개발 초기 단계를 주로 다루는 학회로 향후 10년간 Oncology의 개발 방향성을 미리 탐색할 수 있음
- 다양한 전임상 및 임상 결과가 발표되었던 가운데 1) 향후 ADC의 개발 방향성, 2) HER2+ 암종의 경쟁 구도 변화 및 3) EGFR mut. NSCLC에서 국내 기업의 개발 현황을 자세히 분석
2. ADC 글로벌 개발 트렌드에 대한 이해
- 엔허투의 성공 이후 국내에도 다양한 기업이 각 사의 항체 개발 능력 혹은 linker, payload 강점을 필두로 ADC를 개발
- 이번 보고서에서는 antibody 및 payload 각각에서 글로벌리 개발 방향성과 초기 임상 결과에 대하여 정리하여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각 기업의 위치를 파악
3. 엔허투의 1L 진출 성공 ⇒ 엔허투 이후 2차 치료제 가치 확대
- 엔허투가 HER2+ 유방암에서 가장 우선되는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후의 2차 치료제 시장이 주목될 것으로 기대
- 엔허투 이후의 2차 치료제로서 유망한 HER2 ADC, HER2 TKI, HER2 TCE 등에 대하여 분석
- 리가켐바이오의 HER2 ADC LCB14가 엔허투 이후 2차 치료제 시장을 타겟하여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며 셀트리온이 기존 HER2 TCE의 부작용을 해결한 ABP-102를 개발하여 전임상 결과를 이번 AACR2025에서 발표
4. AACR2025 발표 기업
- 리가켐바이오는 LRRC15 ADC, Sting agonist를 포함하여 총 5건의 연구결과를 발표
- 셀트리온, 보로노이, 지놈앤컴퍼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유한양행/에이비엘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유한양행/오스코텍, 루닛, 큐리언트, 제이인츠 바이오 등이 각각 발표
[기업분석]
리가켐바이오(Top Pick)
셀트리온
DS투자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김민정
1. 4/25~ 30, AACR2025 탐방기
- AACR은 Preclinical 및 Translational 연구 중심의 신약개발 초기 단계를 주로 다루는 학회로 향후 10년간 Oncology의 개발 방향성을 미리 탐색할 수 있음
- 다양한 전임상 및 임상 결과가 발표되었던 가운데 1) 향후 ADC의 개발 방향성, 2) HER2+ 암종의 경쟁 구도 변화 및 3) EGFR mut. NSCLC에서 국내 기업의 개발 현황을 자세히 분석
2. ADC 글로벌 개발 트렌드에 대한 이해
- 엔허투의 성공 이후 국내에도 다양한 기업이 각 사의 항체 개발 능력 혹은 linker, payload 강점을 필두로 ADC를 개발
- 이번 보고서에서는 antibody 및 payload 각각에서 글로벌리 개발 방향성과 초기 임상 결과에 대하여 정리하여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각 기업의 위치를 파악
3. 엔허투의 1L 진출 성공 ⇒ 엔허투 이후 2차 치료제 가치 확대
- 엔허투가 HER2+ 유방암에서 가장 우선되는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후의 2차 치료제 시장이 주목될 것으로 기대
- 엔허투 이후의 2차 치료제로서 유망한 HER2 ADC, HER2 TKI, HER2 TCE 등에 대하여 분석
- 리가켐바이오의 HER2 ADC LCB14가 엔허투 이후 2차 치료제 시장을 타겟하여 임상을 개시할 예정이며 셀트리온이 기존 HER2 TCE의 부작용을 해결한 ABP-102를 개발하여 전임상 결과를 이번 AACR2025에서 발표
4. AACR2025 발표 기업
- 리가켐바이오는 LRRC15 ADC, Sting agonist를 포함하여 총 5건의 연구결과를 발표
- 셀트리온, 보로노이, 지놈앤컴퍼니,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유한양행/에이비엘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유한양행/오스코텍, 루닛, 큐리언트, 제이인츠 바이오 등이 각각 발표
[기업분석]
리가켐바이오(Top Pick)
셀트리온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3.05.202501:11
2025.05.13 10:10:52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7,013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계약상대방
: 주식회사 와이바이오로직스(한국)
: 2007년 설립
2.계약의 주요내용
-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도입항체: 비공개 타겟 항체
3) 계약체결일
- 2025년 05월 13일
4) 계약기간
- 계약일로부터 로열티 기간 만료일까지
5)계약금액
a. Upfront : 계약체결후 30일이내 지급
b. Near-term Milestone : 각 마일스톤 달성시점의 30일이내 지급
b. Milestone : 각 마일스톤 달성시점의 45일이내 지급
(임상/허가 및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로 지급하는 마일스톤)
c. Royalty 별도
=> 상기 금액은 계약서 비공개 조항에 따라 비공개됨.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390022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기업명: 리가켐바이오(시가총액: 3조 7,013억)
보고서명: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제목 : 신규 항체-약물 결합체(ADC) 연구개발을 위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주요내용
*투자유의사항
동 계약은 의약품규제기관의 허가가 완료되어야 이행되는 조건부 계약으로서, 본 계약을 통한 수익 인식은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등의 성공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약 조건에 따라, 규제기관에 의한 연구,개발의 중단, 품목허가 실패 등 발생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1.계약상대방
: 주식회사 와이바이오로직스(한국)
: 2007년 설립
2.계약의 주요내용
-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도입항체: 비공개 타겟 항체
3) 계약체결일
- 2025년 05월 13일
4) 계약기간
- 계약일로부터 로열티 기간 만료일까지
5)계약금액
a. Upfront : 계약체결후 30일이내 지급
b. Near-term Milestone : 각 마일스톤 달성시점의 30일이내 지급
b. Milestone : 각 마일스톤 달성시점의 45일이내 지급
(임상/허가 및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로 지급하는 마일스톤)
c. Royalty 별도
=> 상기 금액은 계약서 비공개 조항에 따라 비공개됨.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13900222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141080
Reposted from:
SK증권 Research

07.05.202508:52
[SK증권 제약/바이오] Analyst 이선경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제약/바이오 Monthly
이제는 개화를 기다릴 때
1. AACR에서 찾은 Game changer Top 3 : Zongertinib(HER2 TKI), Zoldonrasib(KRAS-G12D), LCB39(STING)
2. 미국 내 생산 시설 투자 확대로 의약품 관세 협상 가능성 존재
3. FDA의 동물실험 축소 계획 발표, 중장기적 접근 필요
4. 4월에도 지속된 글로벌 기술이전의 열기, 선택이 아닌 필수
5. Ivonescimab OS 결과 발표, 시장의 과도한 우려
6. Orforglipron 결과 발표, 경구용 비만 치료제 관심 집중
7. EASL(5/7~5/10) : 주요 발표 내용
8. ASCO(5/30~6/3) : 국내 참여 기업 현황
9. 주목해야 할 국내 제약/바이오 주요 일정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2fdZ9PI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seonkyoung.lee@sks.co.kr/3773-9089)
▶️ 제약/바이오 Monthly
이제는 개화를 기다릴 때
1. AACR에서 찾은 Game changer Top 3 : Zongertinib(HER2 TKI), Zoldonrasib(KRAS-G12D), LCB39(STING)
2. 미국 내 생산 시설 투자 확대로 의약품 관세 협상 가능성 존재
3. FDA의 동물실험 축소 계획 발표, 중장기적 접근 필요
4. 4월에도 지속된 글로벌 기술이전의 열기, 선택이 아닌 필수
5. Ivonescimab OS 결과 발표, 시장의 과도한 우려
6. Orforglipron 결과 발표, 경구용 비만 치료제 관심 집중
7. EASL(5/7~5/10) : 주요 발표 내용
8. ASCO(5/30~6/3) : 국내 참여 기업 현황
9. 주목해야 할 국내 제약/바이오 주요 일정
▶️ 보고서 원문 : https://buly.kr/2fdZ9PI
▶️ SK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채널 : https://t.me/sksresearch
당사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며 본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등록된 자료입니다


07.05.202501:48
금일 유진투자증권 권해순 애널리스트님께서 당사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LCB39: Cold to Hot"이라는 제목으로 당사 STING agonist인 LCB39를 포함해 이번 AACR 2025에서 발표됐던 포스터 및 구두발표 내용들에 대한 정리와 더불어서 당사 주요 파이프라인들인 Caxmo-E(HER2-ADC), LCB71(ROR1-ADC), LCB84(TROP2 ADC) 등에 대한 내용들도 다뤄졌습니다. 50페이지에 달하는 보고서네요. 첨부 파일 참고 부탁드립니다. 목표주가는 16만원, 투자의견 매수, 바이오 Top pick 유지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07.05.202501:48
13.05.202501:15
[보도자료] 리가켐바이오, 와이바이오로직스와 면역항암기전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 체결
-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 높은 적응증 대상 ADC 개발 예정
- 차별적인 항체 및 신규 면역항암기전 플랫폼 결합 ‘First-in-Class’ 가능성 확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5월 13일 와이바이오로직스(이하 ‘와이바이오’)와 ADC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리가켐바이오는 해당 항체의 글로벌 ADC 개발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는 선급금과 단기 마일스톤,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그리고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가 포함돼 있으며, 세부 계약조건은 영업상 비밀유지를 위해 비공개된다.
이번에 도입된 항체 타겟은 다양한 고형암에서 고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면역항암 타겟으로 현재까지 해당 타겟으로 상용화된 ADC는 없으나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해당 타겟 ADC 개발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 상용화된 해당 타겟의 단클론항체들의 경우 세포 내포화율이 낮아 ADC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와이바이오는 기승인 항체들 대비 현저히 높은 내화율을 보인 항체를 확보, ADC 적용 가능성을 높였으며 다수의 임상 프로그램들을 통해 임상적으로 경쟁사들 대비 차별성이 검증된 리가켐바이오의 자체 ADC 플랫폼 적용을 통해 해당 타겟 ADC 시장 내에서 ‘First-in-Class’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리가켐바이오는 이번에 도입한 항체 타겟을 활용해 기존 상용화된 ADC들에 적용된 세포독성 페이로드(cytotoxic payload)가 아닌 자체 개발한 STING agonist 등 면역조절제(immunomodulator)를 페이로드로 적용한 ‘AIC(Antibody Immunomodulator Conjugates)’를 개발할 계획이다. AIC는 페이로드로 적용된 면역조절제의 면역 활성 기전을 바탕으로 면역이 억제된 종양 미세환경(cold tumor)을 면역 활성 환경(hot tumor)으로 전환시켜 기존에 효능이 제한적이었던 ADC타겟들 혹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높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세포독성 페이로드를 결합한 듀얼 페이로드(Dual payload) ADC로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차세대 ADC 모달리티(modality)다.
리가켐바이오 김용주 대표이사는 “글로벌 최초의 AIC 개발을 위한 중요한 항체 타겟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VISION 2030 조기달성 전략에 따라 이번 계약을 비롯해 지속적인 신규 ADC 후보물질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며, ADC를 넘어서서 차세대 모달리티 항암제 개발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리가켐바이오는 하반기 초 예정된 ‘리가켐바이오 Global R&D Day 2025’를 통해 ADC 및 신규 면역항암제 등의 개발 전략과 더불어 이번에 도입한 항체 타겟을 통해 개발된 AIC의 차별화된 특성을 소개할 예정이다.
- 폐암, 대장암 등 미충족 의료수요 높은 적응증 대상 ADC 개발 예정
- 차별적인 항체 및 신규 면역항암기전 플랫폼 결합 ‘First-in-Class’ 가능성 확인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KS, 이하 ‘리가켐바이오’)는 5월 13일 와이바이오로직스(이하 ‘와이바이오’)와 ADC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신규 항체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리가켐바이오는 해당 항체의 글로벌 ADC 개발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는 선급금과 단기 마일스톤,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그리고 매출액에 따른 로열티가 포함돼 있으며, 세부 계약조건은 영업상 비밀유지를 위해 비공개된다.
이번에 도입된 항체 타겟은 다양한 고형암에서 고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진 면역항암 타겟으로 현재까지 해당 타겟으로 상용화된 ADC는 없으나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해당 타겟 ADC 개발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 상용화된 해당 타겟의 단클론항체들의 경우 세포 내포화율이 낮아 ADC 개발에 한계가 있었다. 와이바이오는 기승인 항체들 대비 현저히 높은 내화율을 보인 항체를 확보, ADC 적용 가능성을 높였으며 다수의 임상 프로그램들을 통해 임상적으로 경쟁사들 대비 차별성이 검증된 리가켐바이오의 자체 ADC 플랫폼 적용을 통해 해당 타겟 ADC 시장 내에서 ‘First-in-Class’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리가켐바이오는 이번에 도입한 항체 타겟을 활용해 기존 상용화된 ADC들에 적용된 세포독성 페이로드(cytotoxic payload)가 아닌 자체 개발한 STING agonist 등 면역조절제(immunomodulator)를 페이로드로 적용한 ‘AIC(Antibody Immunomodulator Conjugates)’를 개발할 계획이다. AIC는 페이로드로 적용된 면역조절제의 면역 활성 기전을 바탕으로 면역이 억제된 종양 미세환경(cold tumor)을 면역 활성 환경(hot tumor)으로 전환시켜 기존에 효능이 제한적이었던 ADC타겟들 혹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높여줄 것으로 예상되며, 세포독성 페이로드를 결합한 듀얼 페이로드(Dual payload) ADC로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차세대 ADC 모달리티(modality)다.
리가켐바이오 김용주 대표이사는 “글로벌 최초의 AIC 개발을 위한 중요한 항체 타겟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VISION 2030 조기달성 전략에 따라 이번 계약을 비롯해 지속적인 신규 ADC 후보물질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며, ADC를 넘어서서 차세대 모달리티 항암제 개발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편, 리가켐바이오는 하반기 초 예정된 ‘리가켐바이오 Global R&D Day 2025’를 통해 ADC 및 신규 면역항암제 등의 개발 전략과 더불어 이번에 도입한 항체 타겟을 통해 개발된 AIC의 차별화된 특성을 소개할 예정이다.


12.05.202523:51
금일 DS투자증권 김민정 애널리스트께서 AACR 2025 탐방기 및 당사 리포트를 작성했습니다. "Multi-asset이 가져오는 기업의 연속성"이라는 제목으로 Multi Asset 플랫폼을 보유한 리가켐바이오에 대하여 구조적인 프리미엄을 부여할 것을 제안한다는 취지의 리포트를 작성했습니다. 또한 LCB39에 대해서도 실패의 연속인 STING에 새로운 해답 제시했다는 내용으로 작성했습니다. 목표주가는 16만원을 유지, 당사를 업종 top pick으로 제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27.04.202521:35


13.05.202500:45
금일 하나증권 김선아 애널리스트께서 당사 리포트를 작성해주셨습니다. "올해도 새로운 기술이전을 기다리며"라는 제목으로 신규 커버리지 개시 리포트를 작성해주셨습니다. ADC 개발의 필요성과 함께 당사의 BD 전략 중 하나인 "Biobetter 전략"에 대해 자세히 다뤄주셨고, 주요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전반적인 리뷰도 다뤄주셨습니다. 목표주가는 15만원, 투자의견은 '매수' 신규 제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7.04.202521:32
13.05.202500:42
27.04.202521:05
SOTIO와 ADC 플랫폼 기술이전으로 도출된 후보물질인 LRRC15 ADC ‘SOT106’ 구두발표가 곧 시작될 예정입니다. AACR에 참석 중이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ttps://sotio.com/news-publications/news/sotio-to-present-preclinical-data-on-lead-antibody-drug-conjugates-sot106-and-sot109-at-2025-aacr-annual-meeting
- Oral Presentation Title: “SOT106, a novel best-in-class antibody-drug conjugate targeting LRRC15, to treat sarcomas and other advanced solid cancers”
- Abstract Number: 1164
- Session: Experimental and Molecular Therapeutics / Antibody-Based Cancer Therapeutic Agents
- Presenting Author: Michaela Fojtu
- Date & Time: April 27, 2025, 3:00 p.m. – 5:00 p.m. CT
- Location: Room S100 BC (Grand Ballroom BC) – McCormick Place South (Level 1)
https://sotio.com/news-publications/news/sotio-to-present-preclinical-data-on-lead-antibody-drug-conjugates-sot106-and-sot109-at-2025-aacr-annual-meeting
- Oral Presentation Title: “SOT106, a novel best-in-class antibody-drug conjugate targeting LRRC15, to treat sarcomas and other advanced solid cancers”
- Abstract Number: 1164
- Session: Experimental and Molecular Therapeutics / Antibody-Based Cancer Therapeutic Agents
- Presenting Author: Michaela Fojtu
- Date & Time: April 27, 2025, 3:00 p.m. – 5:00 p.m. CT
- Location: Room S100 BC (Grand Ballroom BC) – McCormick Place South (Level 1)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