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이프릴바이오 IR채널 2025
에이프릴바이오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TGlist rating
0
0
TypePublic
Verification
Not verifiedTrust
Not trustedLocation
LanguageOther
Channel creation dateDec 30, 2023
Added to TGlist
Mar 06, 2025Latest posts in group "에이프릴바이오 IR채널 2025"
09.04.202502:40
APB-R3를 라이센스인한 에보뮨의 홈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벌써 두번째 적응증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임상이 순항중이지 않을까 유추할수 있는 대목입니다.
벌써 두번째 적응증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임상이 순항중이지 않을까 유추할수 있는 대목입니다.


09.04.202502:39
08.04.202501:53
18.03.202501:33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8900120
에보뮨의 아토피환자 대상 임상 2상의 환자투여가 개시되었습니다.
에보뮨의 아토피환자 대상 임상 2상의 환자투여가 개시되었습니다.
18.03.202501:12
16.03.202523:49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13.03.202505:22
2025.03.13 14:21:00
기업명: 에이프릴바이오(시가총액: 3,724억)
보고서명: 사업보고서 (2024.12)
매출액 : 275.14(누적)(예상치 : 0억)
영업익 : 35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65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75.14(누적)/ 35억/ 65억
2024.3Q -/ -24억/ -31억
2024.2Q 207억/ 182억/ 186억
2024.1Q -/ -25억/ -20억
2023.4Q -/ -27억/ -5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3000475
기업명: 에이프릴바이오(시가총액: 3,724억)
보고서명: 사업보고서 (2024.12)
매출액 : 275.14(누적)(예상치 : 0억)
영업익 : 35억(예상치 : 0억)
순이익 : 65억(예상치 : 0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275.14(누적)/ 35억/ 65억
2024.3Q -/ -24억/ -31억
2024.2Q 207억/ 182억/ 186억
2024.1Q -/ -25억/ -20억
2023.4Q -/ -27억/ -58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313000475
13.03.202505:22
2024년 2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영업흑자를 달성했습니다.
05.03.202523:16
[한투증권 위해주/이다용] 에이프릴바이오(397030): 돈 될 과학
보고서: https://vo.la/JfqIGp
이제는 임상 성공에 베팅할 때입니다. 이르면 올해 3분기 룬드벡이 APB-A1의 TED 환자 대상 임상 1b 상 중간 결과를 발표하는데, TED 발병 기전에 CD40/CD40L 신호전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 임상 적용 근거 등 정성 평가 결과 성공 가능성 높습니다.
CD40L 항체 시장성에 대한 의문은 과거 UCB가 다피로리주맙 임상 3상 성공 후 5영업일 동안 시총 5.5조원 증가한 사례로 해소 가능합니다.
목표주가를 35,000원으로 6% 상향합니다. APB-A1, APB-R3 신약 승인 확률(LOA)을 30%로 5%p 상향 조정했습니다. 좋은 밸류로 에이프릴 살 때입니다. 임상 2상 파이프라인의 일부 지역 권리를 보유 중인데 시총 2조원 기록한 경쟁사보다 밸류가 좋습니다.
보고서: https://vo.la/JfqIGp
이제는 임상 성공에 베팅할 때입니다. 이르면 올해 3분기 룬드벡이 APB-A1의 TED 환자 대상 임상 1b 상 중간 결과를 발표하는데, TED 발병 기전에 CD40/CD40L 신호전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 임상 적용 근거 등 정성 평가 결과 성공 가능성 높습니다.
CD40L 항체 시장성에 대한 의문은 과거 UCB가 다피로리주맙 임상 3상 성공 후 5영업일 동안 시총 5.5조원 증가한 사례로 해소 가능합니다.
목표주가를 35,000원으로 6% 상향합니다. APB-A1, APB-R3 신약 승인 확률(LOA)을 30%로 5%p 상향 조정했습니다. 좋은 밸류로 에이프릴 살 때입니다. 임상 2상 파이프라인의 일부 지역 권리를 보유 중인데 시총 2조원 기록한 경쟁사보다 밸류가 좋습니다.
28.02.202500:51
28.02.202500:29
[IV Research]
에이프릴바이오(397030)-모범적 바이오텍 기업의 표본
상장 2년만에 연간 흑자 달성한 바이오텍
동사는 2013년 설립, 2022년 7월 상장한 Immunology/Oncology 분야 항체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동사는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SAFA 플랫폼을 자체 기술로 보유하고 있다. 동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덴마크 룬드벡社에 기술이전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A1, 미국 바이오텍 기업 에보뮨社에 기술 수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R3 등이 있다. (2022년 12월 자료 참고)
임상 현황 업데이트
APB-A1: APB-A1은 CD40L을 타겟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이다. 2021년 10월 덴마크의 CNS 전문 기업 룬드벡社에 LO했고, 임상 1상을 통해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1상 종료 이후, 2024년 12월 TED(갑상선 안병증) 적응증을 대상으로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고(NCT06557850), 이에 따른 Milestone 약 70억원을 수령했다. 해당 임상은 3Q25 중에 중간 데이터를 확인 가능할 전망이다.
APB-R3: APB-R3는 IL-18을 중화하는 IL-18BP 융합단백질로, INF-감마를 억제하고 면역반응을 낮춰 염증질환을 치료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IL-18BP는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로, APB-R3는 이에 SAFA 플랫폼을 적용해 반감기를 14-15일로 연장한 약물이다. 2024년 6월 1상 CSR 발표 이후 미국 바이오텍인 Evommune에 LO되었다. 총 계약 규모는 6,558억원이고, 약 207억원을 Upfront로 수취하였다. Evommune은 아토피 치료제 lebrikizumab을 11억달러 규모로 Eli Lilly에 매각한 경력이 있는 Luis Pena에 의해 설립된 미국 바이오텍으로, APB-R3(현재 EVO301)에 높은 개발 의지를 보인 바 있다. 현재 아토피 환자를 대상으로 2상을 진행 중이다(NCT06723405).
2025년은 SAFA 플랫폼의 도약기
동사는 2024년 연간 기준 매출액 275억원, 영업이익 169억원, 순이익 200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상장 2년만에 기술이전에 따른 수입으로만 흑자전환을 달성한 기업으로, 국내 상장 바이오텍 기업으로서 가장 모범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주가 측면에서는 유한양행의 Exit 이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이에 따른 오버행은 해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기업가치는 APB-A1, R3만 반영해도 경쟁 기업 대비 저평가 상태에 있다는 판단이다. 동사에 있어 2023년은 SAFA 플랫폼의 PoC확인의 해, 2024년은 적응증 확장의 해였다면, 2025년은 SAFA 플랫폼의 본격적인 도약기가 될 전망이다. 현재 SAFA 플랫폼을 개량하여 최대 4개까지 약물 결합이 가능한 structure를 설계했으며, 이중 타겟 치료제로서 MASH, IBD 등 환자를 대상으로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단기적 모멘텀에 따른 주가 급등보다는 점진적인 주가 상승을 전망한다.
https://t.me/IVResearch
https://blog.naver.com/ivresearch/223777157161
에이프릴바이오(397030)-모범적 바이오텍 기업의 표본
상장 2년만에 연간 흑자 달성한 바이오텍
동사는 2013년 설립, 2022년 7월 상장한 Immunology/Oncology 분야 항체치료제 개발 기업이다. 동사는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SAFA 플랫폼을 자체 기술로 보유하고 있다. 동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으로는 덴마크 룬드벡社에 기술이전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A1, 미국 바이오텍 기업 에보뮨社에 기술 수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APB-R3 등이 있다. (2022년 12월 자료 참고)
임상 현황 업데이트
APB-A1: APB-A1은 CD40L을 타겟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이다. 2021년 10월 덴마크의 CNS 전문 기업 룬드벡社에 LO했고, 임상 1상을 통해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1상 종료 이후, 2024년 12월 TED(갑상선 안병증) 적응증을 대상으로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고(NCT06557850), 이에 따른 Milestone 약 70억원을 수령했다. 해당 임상은 3Q25 중에 중간 데이터를 확인 가능할 전망이다.
APB-R3: APB-R3는 IL-18을 중화하는 IL-18BP 융합단백질로, INF-감마를 억제하고 면역반응을 낮춰 염증질환을 치료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IL-18BP는 체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로, APB-R3는 이에 SAFA 플랫폼을 적용해 반감기를 14-15일로 연장한 약물이다. 2024년 6월 1상 CSR 발표 이후 미국 바이오텍인 Evommune에 LO되었다. 총 계약 규모는 6,558억원이고, 약 207억원을 Upfront로 수취하였다. Evommune은 아토피 치료제 lebrikizumab을 11억달러 규모로 Eli Lilly에 매각한 경력이 있는 Luis Pena에 의해 설립된 미국 바이오텍으로, APB-R3(현재 EVO301)에 높은 개발 의지를 보인 바 있다. 현재 아토피 환자를 대상으로 2상을 진행 중이다(NCT06723405).
2025년은 SAFA 플랫폼의 도약기
동사는 2024년 연간 기준 매출액 275억원, 영업이익 169억원, 순이익 200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 상장 2년만에 기술이전에 따른 수입으로만 흑자전환을 달성한 기업으로, 국내 상장 바이오텍 기업으로서 가장 모범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주가 측면에서는 유한양행의 Exit 이후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이에 따른 오버행은 해소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재 기업가치는 APB-A1, R3만 반영해도 경쟁 기업 대비 저평가 상태에 있다는 판단이다. 동사에 있어 2023년은 SAFA 플랫폼의 PoC확인의 해, 2024년은 적응증 확장의 해였다면, 2025년은 SAFA 플랫폼의 본격적인 도약기가 될 전망이다. 현재 SAFA 플랫폼을 개량하여 최대 4개까지 약물 결합이 가능한 structure를 설계했으며, 이중 타겟 치료제로서 MASH, IBD 등 환자를 대상으로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단기적 모멘텀에 따른 주가 급등보다는 점진적인 주가 상승을 전망한다.
https://t.me/IVResearch
https://blog.naver.com/ivresearch/223777157161
26.02.202502:16
Records
21.04.202523:59
1.8KSubscribers07.10.202423:59
0Citation index07.02.202500:30
11.6KAverage views per post28.02.202500:31
11.6KAverage views per ad post28.02.202504:10
2.11%ER12.03.202510:26
639.24%ERRGrowth
Subscribers
Citation index
Avg views per post
Avg views per ad post
ER
ERR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