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도리의 코인메모 avatar
도리의 코인메모
도리의 코인메모 avatar
도리의 코인메모
$SUI TVL도 상당히 많이 올라왔네요.. 아비트럼 다음이라니...
03.04.202507:17
흑인믿고 갑니다.
01.04.202519:25
암튼 스테이블 코인의 대중화는 통화량을 더욱 늘릴 것이며, 결국 자산 가격이 더 급격히 올라갈 것...
Reposted from:
The ticker is ETH avatar
The ticker is ETH
📶아비트럼, 거버넌스 공격 발생?

아비트럼 거버넌스에 참여 중인 KOL 올림피오(Olimpio)는 토요일에 다음과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아비트럼은 현재 OAT 위원회 멤버 3명을 선출 중
⁃멤버로 선출되면 연간 100k ARB(약 $125k)를 보상으로 수령
⁃후보자는 Lobbify를 통해 20m ARB의 투표권을 단 $10k에 구매, 탑 3 후보로 진입 가능

OAT 위원회 멤버들은 실제 업무량이 많고, 마지막 스냅샷 투표 기준으로 정족수가 180m ARB이기 때문에 이런 방식이 반드시 승리로 이어진다고 보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올림피오가 해당 문제를 제기한 지 하루도 되지 않아, 실제로 Lobbify에서 20m ARB 투표권을 구매한 후보자가 등장했습니다.

이후 커뮤니티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투표권 구매가 허용되어야 하는가
–이 방식이 거버넌스 공격에 해당하는가

일각에서는 이런 상황도 거버넌스를 성숙시켜가는 과정이라 보고 있으며, 만약 커뮤니티가 해당 방식에 대해 부정적이라면 향후에는 이 같은 투표권 구매 유인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출처1 출처2
Reposted from:
bite the bullet avatar
bite the bullet
흑형 극대노
Reposted from:
취미생활방📮 avatar
취미생활방📮
😄 아서헤이즈는 상방을 보고있군요.

#BTC
06.04.202518:05
역시 흑인 말은 믿어선 안됩니다
Reposted from:
불개미 CRYPTO avatar
불개미 CRYPTO
📌 아서헤이즈 : 고비 넘겼다! 꽉 잡아!


* 4월 15일까지 흔들리지 말아라
01.04.202519:23
여기서 '국채 매입 통화' + '스테이블 코인 통화'에서 'Defi 통화'가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듦.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디파이 시장도 감안한다면... 저 영상의 연구원이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발행량이 늘어날 수 있다는 생각이 듦.
27.03.202506:08
https://x.com/NathanYJLee/status/1905118531341230308?s=19

하리 HLP의 구조에 대해 잘 설명해주셨네요~
😥"옛날의 그 크립토 사이클, 끝났습니다" source

1. 4년 주기? 안 통해요
- 이제 더 이상 “4년마다 벌써 불장 온다!”는 공식은 끝. 알트 시즌도 전처럼 ‘전부다 10배!’ 이런 식은 없음

2. 미니 사이클로 찔끔?
- 2024년에도 알트들 90% 폭락 → 잠깐 반등 → 또 폭락… 이런 미니 사이클이 연쇄적으로 생기지만, 사실상 점점 참가자들이 지쳐서 길어지고 힘빠지는 흐름

3. 자금은 계속 유출
- 새로 유입되는 자금보단, 이 공간에서 수익 낸 큰손들이 그냥 빼가고 끝. 프로젝트도, 리테일도 “이제 재미없다” 하며 돈이 안 돎

4. 비트코인만 따로 간다
- 기관들이 BTC에 집중 투자. 알트는 물리는데, 과거처럼 ‘비트 따라 모든 알트도 무조건 펌핑’은 안 보임. 알트는 늘 후순위, 유의미한 펌핑도 어려움

5. 결국 펀더멘털이 살 길
- 가치 없는 밈코인, 장난질 토큰으론 답 없음. 시장은 더 이상 펌핑 장난에 호응 안 함. 진짜로 프로토콜이 수익 내고, 토큰이 거기에 연결돼야 장기 생존 가능

✍️투자자 관점
- 시장 비효율로 쉽게 재미보는 시절은 끝났고, 창업자나 투자자도 진지하게 ‘어떻게 생존?’ 고민해야
- 반등도 느리게, 상승 폭도 얕아질 것. 텐 베거 환상 사라지고, 소수의 진짜 유틸 있는 프로젝트만 평가받을 듯
- 이젠 “정해진 비트·알트 불장 사이클”은 끝. 길고 지루한 장세에서, 펀더멘털로 증명 못 하면 탈락. 신념 생길 만한 진짜 가치를 갖춘 프로젝트 찾아야
카르다노 관련 내용만 공유하는 채널인 'The ticker is ADA'를 새로 하나 만들었습니다.

카르다노 생태계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엔 너무 딥하거나, 맥시같은 내용이라 아쉽게 넘겼던 모든 정보들, 그리고 에이다에 대한 평소 제 짧은 생각들을 이 채널에 공유하려고 합니다 ㅎㅎ

제 채널에 에이다 홀더분들이 생각보다 많이 계시고 다양한 정보를 나눠주시더라구요 ㅎㅎ 그래서 이 채널과 그룹채팅방에서 더 자유롭게 정보와 의견을 나누면 좋을 것같습니다.

에이다에 관한 재밌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들을 많이 공유하겠습니다.

많이 들어와주시길...ㅎ

https://t.me/dori_ada
03.04.202507:14
재밌게 잘 정리했네요 ㅎㅎ
01.04.202518:14
트럼프는 스테이블코인으로 달러를 마구 뿌려댈 것임

-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기존 통화정책의 통제를 벗어난 화폐 공급이 일어남.

- 스테이블 코인 발행 시 법정화폐를 담보로 받는데, 국채를 매입하면 '국채 매도자에게 현금이 지급' + '스테이블 코인 발행'이 되어 통화가 늘어나게 되는 것임.

- 즉,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100% 현금만 보유하고 있지 않고 다른 자산을 매입하는 순간 통화량은 늘어나게 되는 구조임.

-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는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주로 국채를 매입하기 때문에 은행보다 훨씬 안전함.

- CBDC는 중앙은행과 리테일이 연결되는 것임. 그럼 민간은행이 예금통화를 창출할 지불 준비금이 없어지는 것임. 이는 현재의 민간은행 시스템이 무너지는 것임

- 그래서 홀세일 CBDC라고 하는 중앙은행과 시중은행간의 CBDC가 나오고 있는 것임.

- 민간 통화창출권을 부여받은 업자는 통화를 많이 발행할 수록 이익이 많이 생기게됨. 기존 은행이 늘리는 통화량 +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의 통화량 에 의해서 결국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됨.

-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는 미국 달러의 통화가 굉장히 늘어날 것임. 국채 수요는 늘어나지만 달러 가치가 떨어질 것임.

-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는 국채를 주로 비축하는 새로운 은행이라고 보면 되는 것임.

-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는 자금 유입 없이도 자산 매입이 가능함. 엄청난 특권인 것임.

- 달러 패권은 스테이블 코인 덕분에 유지할 수 있다고 보진않음.

- 고립주의와 무리한 관세정책으로 인하여 자유무역의 통로가 줄고 달러의 수요가 줄어들 수 밖에 없으며, 스테이블코인으로 인한 달러 가치의 급락으로 달러의 기축통화 유지는 어려울 것임.

출처
27.03.202503:24
차라리 털리는게 장기적으로 나은 선택이었을지도...
26.03.202519:05
Hyperliquid 사태 정리

1. 하리 공격자는 초 저시총 밈코인 젤리젤리 현물을 펌핑 준비를 하면서, 숏을 누적시킴

2.준비가 끝나자 현물을 들어올려서 숏 잡은건 셀프 청산시키고 하리 볼트가 이걸 숏포지션으로 인수. (천만불 상당이 담보금)

3.인수해버린 하리는 젤리젤리 자체가 유동성이 너무 적어서 아무고토 못함

4.바이럴된 상황에 유저들이 찾아와서 젤리젤리를 상승 시켜버리니 하리 볼트 손실이 계속 증가

5.그러다가 온갖 트위터에서 허이(바낸)를 소환해서 "온체인 바낸 타이틀 가진 경쟁업체 하리를 공격할 좋은 기회"라고 이간질

6.그러더니 갑자기 OKX와 바낸이 젤리젤리 선물상장해버림

7.상장 공지뜨기 바로직전에 하리는 젤리젤리 호가창 없애버리고 상폐시킴 (사용자들 수익금과 손실금 훔쳐가서 볼트 복구함)

결과.
하리는 온체인 MEXC라는 타이틀과 함께 명성에 금이가고, 바낸은 FTX 담군 실력 어디안갔다는 지저분한 이미지 누적.
Reposted from:
The ticker is ETH avatar
The ticker is ETH
📈L2를 위한 대시보드, Growthepie

링크

Growthepie(파이를키우자)는 레이어 2들을 위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입니다.
레이어 2에 대한 교육과 투명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더리움, 옵티미즘, 깃코인 등에서 공공 펀딩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지표
⁃액티비티: 활성 주소, 트랜잭션, 처리량, L2Beat
-가치: 스테이블코인 시총, TVS
⁃사업성: 이익, 비용, 수익
⁃토큰: FDV, 시가총액

이 외에도 디앱, 체인, 블록스페이스, 컨트랙트, DA 레이어 분석도 확인할 수 있으며, 공공재 펀딩 현황도 파악 가능합니다.

L2Beat와 함께 레이어 2를 분석하기 가장 좋은 툴이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Reposted from:
불개미 CRYPTO avatar
불개미 CRYPTO
🇺🇸 빌 에크먼 - 월요일이 매우 흥미로운 날이 될 것

트럼프가 월요일 - 화요일에 관세시행을 연기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트위터 링크
비유로 이해하는 ZKsync 트랜잭션 라이프사이클

https://x.com/MoneyMonkeycC8/status/1907632021176025472
ℹ️ Celo는 왜 L1에서 L2로 전환했을까? - x

지난주 Celo는 자체 Layer 1 체인을 접고 이더리움 기반 L2로 전환을 공식 발표함. 표면적으론 기술적 이슈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크립토 생태계의 경제 구조 전환을 시사하는 전략적 선택


1. 왜 L1은 지속 불가능한 구조인가?

🔹 L1 수익 구조 문제


- 트랜잭션 수수료 = 전부 스테이커 보상
- 프로토콜 자체는 잔여 수익이 없음 → R&D, 성장 예산 확보 불가

🔹운영비용이 과도함

- Celo 기준 연간 $15M~$25M 수준이 보안·합의 유지비로 소모됨
- 작은 체인일수록 이 비용이 부담으로 작용

2. 반면, L2는 '수익+유연성'을 모두 잡을 수 있다

🔹L2는 수익을 재투자할 수 있음


- 시퀀서 수수료, MEV, 블록 공간 수수료 등 → 개발, 생태계, 퍼블릭 굿즈 재투자 가능

🔹보안은 이더리움에 위임

- 자체 합의 불필요 → 보안 비용 획기적 절감
- Celo는 이 과정에서 아이겐레이어 기반 DA(eigenDA)도 선택함

🔹L1의 메인프레임 vs. L2의 호스팅 서버

→ L2는 "보안 아웃소싱 + UX 커스터마이징"이라는 효율적 구조

3. 이더리움의 장기 전략과 시사점


- 이더리움은 더 이상 '모든 걸 처리하는 단일 체인'을 지향하지 않음
- 대신, 보안과 합의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베이스 레이어로 진화 (Web2 클라우드 모델)

✔️ 결과적으로 이더리움의 직접 사용량이 줄더라도, 더 많은 체인들이 자신의 보안 인프라로 선택하면서 간접 지배력을 확보하는 구조


✍️ 결론: 앞으로 더 많은 프로젝트가 독립적 L1 유지보다, 이더리움 기반 L2로 전환할 가능성 높음
27.03.202503:23
이번 하이퍼리퀴드 사태는 탈중앙성이 없었다고 봐도 무방함.

DEX계의 바이낸스가 아니라, 그냥 CEX같음...

이제 하이퍼리퀴드는 에어드랍에 이어 두번째 시험대에 올랐음.
: : [리포트] 원화스테이블코인 필요성과 법제화 제안
작성자: 해시드오픈리서치, 포필러스, 법무법인 태평양

-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은 더 이상 블록체인 시장의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2024년 들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량과 사용자 기반은 가파르게 성장해 200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1억개 이상의 지갑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대 규모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의 미 국채 보유량은 19위에 달하며, 2025년 내 대한민국의 국채 보유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 스테이블코인의 영향력의 확장, 그리고 국내 거래소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는 현상은 한국의 규제 대응과 통화 주도권 확보에 있어 어려움을 안겨주고 있다. 달러가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하고 있는 상황에서, 만약 스테이블코인과 실물 경제와의 접점이 점차 늘어난다면 디지털 경제 내에서 원화의 사용성이 약화하는 것은 불가피할 것이다.

- 이번 해시드오픈리서치, 포필러스, 그리고 법무법인 태평양이 공동 집필한 보고서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동향부터 국내 적용 가능한 법제화 방안에 이르는 종합적인 시각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Stablecoin: Future of Money (김용범, 해시드오픈리서치)
▫️국내 스테이블코인 현황 (변주웅, 포필러스)
▫️국내 스테이블코인 법안 제안 (김효봉, 법무법인 태평양)

트위터 링크
국문 레포트 링크

FP Website | Telegram (EN / KR) | Twitter (EN / KR)
18.03.202513:52
어느 비트맥시라고 부르기 민망하신 분이 탈중앙화와 보상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하는데...

난 이 시장에선 인센티브가 핵심이라 생각함...

풀노드가 탈중앙화에 기여한다고 해서, 인센티브가 상관없다고 보는 것은 아주 일차원적인 접근이라고 봄... 보상이 있기에, 마이너가 존재하고 마이너에 의해서 트랜잭션이 처리되고, 블록이 생성되어 네트워크가 운영됨.

사실상 네트워크의 존속이 인간의 욕망에 의해 이뤄지고 있는 것임.

반대로, 보상없인 마이너가 존재하지 않으며, 비트코인 트랜잭션 처리는 물론 블록도 생성되지 않은,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그저 새로운 기록이 발생할 수 없는 멈춰진 장부가 될 것임...

결국, 거래가 불가능한 $BTC 의 가치는 떨어질 것이며, 탈중앙화를 위한 풀노드 운영도 그들에겐 불필요한 것이 되지 않을까...

비트맥시라 불리기 민망하신분들이 풀노드를 운영하는 이유도, 보상 매커니즘 위에서 이루어진 자발적인 참여이자 결과임...

난 '보상'은 이 시장과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강력한 동기이며 핵심이라 생각함... 그래서 재밌음...

https://x.com/dori_coin/status/1901994671754412323
Shown 1 - 24 of 80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