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5.202506:30
[다올 의료기기 박종현/이정우]
▶ 인터로조 1Q25P 실적
매출액: 231.3억원(YoY -31.2%, QoQ -2.8%)
영업이익: 21.8억원(YoY -60.6%, QoQ 흑자전환)
▶ 2025E 실적 전망
매출액: 1,350억원(YoY +16.5%)
영업이익: 260억원(YoY +347.0%)
① 기존, 신규 거래처 매출 증대 및 확대
- 유럽 신규 거래처 매출 확대 (G사 약 13억, S사 약 6억)
- 유럽 실리콘 제품 매출 확대 (약 57억)
- 일본 주요/신규 거래처 매출 확대 (F사 약 15억, T사 13억)
- 중동 실리콘 제품 매출 확대 (약 10억)
② 생산성 향상 및 비용 개선 효과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
- 인건비 절감 효과 (약 55억)
- 액상잉크 적용에 따른 개선 효과 (약 39억)
- 일반 구매 및 경비 절감 효과 (약 15억)
- 공장 수율에 따른 개선 효과 (약 30억)
[1Q25P 실적공시]: https://buly.kr/CsjULMF
[2025E 전망공시]: https://buly.kr/GZxOwUD
▶ 인터로조 1Q25P 실적
매출액: 231.3억원(YoY -31.2%, QoQ -2.8%)
영업이익: 21.8억원(YoY -60.6%, QoQ 흑자전환)
▶ 2025E 실적 전망
매출액: 1,350억원(YoY +16.5%)
영업이익: 260억원(YoY +347.0%)
① 기존, 신규 거래처 매출 증대 및 확대
- 유럽 신규 거래처 매출 확대 (G사 약 13억, S사 약 6억)
- 유럽 실리콘 제품 매출 확대 (약 57억)
- 일본 주요/신규 거래처 매출 확대 (F사 약 15억, T사 13억)
- 중동 실리콘 제품 매출 확대 (약 10억)
② 생산성 향상 및 비용 개선 효과에 따른 영업이익 증가
- 인건비 절감 효과 (약 55억)
- 액상잉크 적용에 따른 개선 효과 (약 39억)
- 일반 구매 및 경비 절감 효과 (약 15억)
- 공장 수율에 따른 개선 효과 (약 30억)
[1Q25P 실적공시]: https://buly.kr/CsjULMF
[2025E 전망공시]: https://buly.kr/GZxOwUD
01.05.202523:08
중국 노동절 연휴 국내외 여행 예약 급증
여행 플랫폼 취나알 플랫폼에 따르면 국제선 항공권 예약건수는 지난 15일 현재 노동절 연휴 기간 목적지는 일본 오사카와 도쿄, 태국 방콕, 서울,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싱가포르 순이었다.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063
[단독]中 CCTV, 韓아이돌 초청 대규모 순회공연 추진…한한령 해제 신호탄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4020080?sid=104
> 한한령 해제와 함께 방한 중국 인바운드 관광객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는 중
여행 플랫폼 취나알 플랫폼에 따르면 국제선 항공권 예약건수는 지난 15일 현재 노동절 연휴 기간 목적지는 일본 오사카와 도쿄, 태국 방콕, 서울,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싱가포르 순이었다.
https://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063
[단독]中 CCTV, 韓아이돌 초청 대규모 순회공연 추진…한한령 해제 신호탄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4020080?sid=104
> 한한령 해제와 함께 방한 중국 인바운드 관광객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지는 중


01.05.202522:50
[의료기기(Overweight) 다올 박종현/이정우]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톡신 40.1백만달러 (YoY +54%, MoM +42%)
> 미국/캐나다 14.4백만달러 (YoY +150.9%, MoM +66.4%)
> 중국 7.9백만달러 (YoY +117.3%, MoM +105.1%)
2. 미용 의료기기 87.1백만달러 (YoY +10.8%, MoM -12.5%)
> 미국 23.3백만달러 (YoY +108.2%, MoM +48.3%)
> 일본 10백만달러 (YoY -2.4%, MoM -16.9%)
> 브라질 2.3백만달러 (YoY -48.3%, MoM -73.7%)
> 러시아 4.4백만달러 (YoY +44.5%, MoM -9.5%)
> 태국 4.5백만달러 (YoY 0%, MoM -25%)
> 대만 2.7백만달러 (YoY -32.5%, MoM -27.4%)
3. 홈뷰티 12.4백만달러 (YoY -29.5%, MoM +15.8%)
> 미국 0.7백만달러 (YoY -92.9%, MoM -79.1%)
4. 임플란트 60백만달러 (YoY -25.4%, MoM -5.5%)
> 중국 18.5백만달러 (YoY -48.8%, MoM -16.1%)
> 미국 3.2백만달러 (YoY -60.2%, MoM +6%)
> 러시아 8.7백만달러 (YoY -16.9%, MoM +25.6%)
5. 치과영상장비 19.6백만달러 (YoY -10%, MoM -33.6%)
> 미국 2.6백만달러 (YoY -61.1%, MoM -77.1%)
6. 필러(기타 화장품) 263.9백만달러 (YoY +37.3%, MoM +12.2%)
7. 스텐트 11.8백만달러 (YoY +21%, MoM +1.4%)
8. 지혈제 0.8백만달러 (YoY -22.1%, MoM -16.5%)
9. 콘택트렌즈 16.6백만달러 (YoY +9.5%, MoM -14.2%)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톡신 40.1백만달러 (YoY +54%, MoM +42%)
> 미국/캐나다 14.4백만달러 (YoY +150.9%, MoM +66.4%)
> 중국 7.9백만달러 (YoY +117.3%, MoM +105.1%)
2. 미용 의료기기 87.1백만달러 (YoY +10.8%, MoM -12.5%)
> 미국 23.3백만달러 (YoY +108.2%, MoM +48.3%)
> 일본 10백만달러 (YoY -2.4%, MoM -16.9%)
> 브라질 2.3백만달러 (YoY -48.3%, MoM -73.7%)
> 러시아 4.4백만달러 (YoY +44.5%, MoM -9.5%)
> 태국 4.5백만달러 (YoY 0%, MoM -25%)
> 대만 2.7백만달러 (YoY -32.5%, MoM -27.4%)
3. 홈뷰티 12.4백만달러 (YoY -29.5%, MoM +15.8%)
> 미국 0.7백만달러 (YoY -92.9%, MoM -79.1%)
4. 임플란트 60백만달러 (YoY -25.4%, MoM -5.5%)
> 중국 18.5백만달러 (YoY -48.8%, MoM -16.1%)
> 미국 3.2백만달러 (YoY -60.2%, MoM +6%)
> 러시아 8.7백만달러 (YoY -16.9%, MoM +25.6%)
5. 치과영상장비 19.6백만달러 (YoY -10%, MoM -33.6%)
> 미국 2.6백만달러 (YoY -61.1%, MoM -77.1%)
6. 필러(기타 화장품) 263.9백만달러 (YoY +37.3%, MoM +12.2%)
7. 스텐트 11.8백만달러 (YoY +21%, MoM +1.4%)
8. 지혈제 0.8백만달러 (YoY -22.1%, MoM -16.5%)
9. 콘택트렌즈 16.6백만달러 (YoY +9.5%, MoM -14.2%)
29.04.202504:52
이게 된다고…?
29.04.202500:57
(유가)아모레퍼시픽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보고자:이상호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000055
2025-04-29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000055
2025-04-29
Reposted from:
더바이오 뉴스룸

28.04.202523:30
네덜란드 바이오기업인 아르젠엑스(Argenx)는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CIDP)’ 치료제인 ‘비브가르트(VYVGART, 성분 에프가티지모드 알파)’의 피하주사(SC) 제형이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허가 권고’를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CIPD 환자 중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글로불린으로 기존 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단독요법(monotherapy)’으로 승인이 권고됐는데요. 비브가르트의 승인 여부에 대한 유럽집행위원회(EC)의 최종 결정은 약 2달 이내에 나올 것으로 아르젠엑스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비브가르트는 신생 Fc 수용체(FcRn)에 결합해 체내 순환하는 ‘면역글로불린G(IgG)’ 항체를 감소시키는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약물입니다. 또 CIDP 치료를 위해 30년 만에 등장한 새로운 작용기전이라는 게 아르젠엑스의 설명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93
구체적으로 CIPD 환자 중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글로불린으로 기존 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단독요법(monotherapy)’으로 승인이 권고됐는데요. 비브가르트의 승인 여부에 대한 유럽집행위원회(EC)의 최종 결정은 약 2달 이내에 나올 것으로 아르젠엑스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비브가르트는 신생 Fc 수용체(FcRn)에 결합해 체내 순환하는 ‘면역글로불린G(IgG)’ 항체를 감소시키는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약물입니다. 또 CIDP 치료를 위해 30년 만에 등장한 새로운 작용기전이라는 게 아르젠엑스의 설명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693
02.05.202501:47
더파운더즈는 2024년 매출 427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299%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해외 매출액은 377%나 급증한 3644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의 90%에 육박하며 글로벌 뷰티 기업으로서의 진화를 공고히 했다. 영업이익은 1457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057억원 증가했다.
실제 아누아는 2024 아마존 Top Brand 선정, 2024년 1,2,3분기 연속 일본 큐텐 메가와리 종합 매출 1위, 일본 큐텐 화장수 부문 1위, 국내 올리브영 어워즈 수상 등 빠르게 성장하며 그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기사: http://www.bokuennews.com/m/m_article.html?no=259367
감사보고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317
실제 아누아는 2024 아마존 Top Brand 선정, 2024년 1,2,3분기 연속 일본 큐텐 메가와리 종합 매출 1위, 일본 큐텐 화장수 부문 1위, 국내 올리브영 어워즈 수상 등 빠르게 성장하며 그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기사: http://www.bokuennews.com/m/m_article.html?no=259367
감사보고서: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317
01.05.202522:53
대웅제약 리뷰 다시 참고
01.05.202522:25
[아모레퍼시픽(090430)/ BUY(유지) / TP 15만원(유지)/ 다올 화장품 박종현/이정우]
★ 1Q25 Review: 쌓이는 근거들
▶ 1Q25P 매출액 1.1조원(YoY +17%, QoQ -2%), 영업이익 1,177억원(YoY +62%, QoQ +50%)를 달성하며 컨센서스 상회. 중국 8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하며 100억원 영업어익 적자 대비 크게 상회하였으나, 국내 일회성 인센티브 충당금(인건비 YoY +29%) 인식 및 COSRX 매출액 YoY -35% 감소로 이익 증가 효과를 상쇄. COSRX 제외 서구권 매출액은 YoY +38% 성장세를 보이며 라네즈를 포함한 브랜드 성과는 여전히 고무적
▶ 2Q25E에도 중국 흑자 기조를 이어갈 전망으로 OPM 1.7% 수준 기대하나, 2025.03월 북미에 진출한 에스트라 및 신규 브랜드 출시로 인한 마케팅 비용 집행으로 중국/COSRX 제외 해외 OPM은 7.7%로 QoQ -7.0%p 추정. 동남아 지역 가격 방어 정책으로 COSRX 매출액은 전년 대비 20% 감소한 1,140억원 추정. 이에 따라 2Q25E 매출액 1.0조원(YoY +12%, QoQ -5%), 영업이익 730억원(YoY +1,658%, QoQ -38%)를 추정하며 추정치 하향
▶ 동사 기대 포인트는 1) 중국에서의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2H25E부터 매출 성장세를 보일 수 있는지 2) 2H25E COSRX의 매출액 성장세 회복, 3) 에스트라를 포함한 신규 브랜드 북미 진출 효과. 3가지에 대한 가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2Q25E보다는 2H25E에 기대 가능
▶ L’Oreal 주가 회복에 따라 글로벌 Peer 밸류에이션 상승에 따라 추정치 소폭 하향에도 적정주가 15만원 유지.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이나 면세 데이터 회복, 신규 브랜드 북미 트래픽에 대해 탄력적으로 주가 반응할 수 있는 구간 진입 판단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jUnweN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 1Q25 Review: 쌓이는 근거들
▶ 1Q25P 매출액 1.1조원(YoY +17%, QoQ -2%), 영업이익 1,177억원(YoY +62%, QoQ +50%)를 달성하며 컨센서스 상회. 중국 8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하며 100억원 영업어익 적자 대비 크게 상회하였으나, 국내 일회성 인센티브 충당금(인건비 YoY +29%) 인식 및 COSRX 매출액 YoY -35% 감소로 이익 증가 효과를 상쇄. COSRX 제외 서구권 매출액은 YoY +38% 성장세를 보이며 라네즈를 포함한 브랜드 성과는 여전히 고무적
▶ 2Q25E에도 중국 흑자 기조를 이어갈 전망으로 OPM 1.7% 수준 기대하나, 2025.03월 북미에 진출한 에스트라 및 신규 브랜드 출시로 인한 마케팅 비용 집행으로 중국/COSRX 제외 해외 OPM은 7.7%로 QoQ -7.0%p 추정. 동남아 지역 가격 방어 정책으로 COSRX 매출액은 전년 대비 20% 감소한 1,140억원 추정. 이에 따라 2Q25E 매출액 1.0조원(YoY +12%, QoQ -5%), 영업이익 730억원(YoY +1,658%, QoQ -38%)를 추정하며 추정치 하향
▶ 동사 기대 포인트는 1) 중국에서의 흑자 기조를 유지하며 2H25E부터 매출 성장세를 보일 수 있는지 2) 2H25E COSRX의 매출액 성장세 회복, 3) 에스트라를 포함한 신규 브랜드 북미 진출 효과. 3가지에 대한 가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2Q25E보다는 2H25E에 기대 가능
▶ L’Oreal 주가 회복에 따라 글로벌 Peer 밸류에이션 상승에 따라 추정치 소폭 하향에도 적정주가 15만원 유지. 중국 경기 회복 기대감이나 면세 데이터 회복, 신규 브랜드 북미 트래픽에 대해 탄력적으로 주가 반응할 수 있는 구간 진입 판단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jUnweN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Reposted from:
epic AI - 차원이 다른 투자 AI 어시스턴트 | 시황, 공시, 산업, 수출 데이터



29.04.202504:52
[1Q25 주요 미용기기 업체 합산 카드 결제 데이터]
- 6개사 합산 기준 1Q25 카드 결제 추정액 1,348억원으로 Y/Y +53.1%, Q/Q +6.4% 증가
- 내국인 신용카드 결제액 데이터로 주요 미용기기 업체들의 ① 온라인 직영몰, ② 각 사 의사전용몰 카드 결제액을 포함
- 포함된 기업: 파마리서치, 클래시스, 원텍, 제이시스메디칼, 한국애브비(엘러간), 제테마
※ 카드 데이터 유의점:
- 쿠팡과 네이버쇼핑 등 커머스 내에서의 카드 사용액은 미포함(예: 네이버나 쿠팡 안에서 판매된 제품은 포함되지 않음)
- 외국인 카드 결제액 미포함
- 카드 데이터 집계 패널: 인원 수 약 2,000만명, 신용 및 현금카드 약 5,000만장 기준으로 집계된 실결제액을 시장 보정치 값으로 산출(카드 점유율 보정, stable paneling 등)
- 6개사 합산 기준 1Q25 카드 결제 추정액 1,348억원으로 Y/Y +53.1%, Q/Q +6.4% 증가
- 내국인 신용카드 결제액 데이터로 주요 미용기기 업체들의 ① 온라인 직영몰, ② 각 사 의사전용몰 카드 결제액을 포함
- 포함된 기업: 파마리서치, 클래시스, 원텍, 제이시스메디칼, 한국애브비(엘러간), 제테마
※ 카드 데이터 유의점:
- 쿠팡과 네이버쇼핑 등 커머스 내에서의 카드 사용액은 미포함(예: 네이버나 쿠팡 안에서 판매된 제품은 포함되지 않음)
- 외국인 카드 결제액 미포함
- 카드 데이터 집계 패널: 인원 수 약 2,000만명, 신용 및 현금카드 약 5,000만장 기준으로 집계된 실결제액을 시장 보정치 값으로 산출(카드 점유율 보정, stable paneling 등)
Reposted from:
AWAKE - 실시간 주식 공시 정리채널

29.04.202500:56
2025.04.29 09:56:15
기업명: 아이센스(시가총액: 4,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63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2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63억/ 32억/ 25억
2024.4Q 813억/ -39억/ -23억
2024.3Q 715억/ 38억/ 7억
2024.2Q 699억/ 20억/ 0억
2024.1Q 684억/ 8억/ -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9190
기업명: 아이센스(시가총액: 4,334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763억(예상치 : -)
영업익 : 32억(예상치 : -)
순이익 : 25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763억/ 32억/ 25억
2024.4Q 813억/ -39억/ -23억
2024.3Q 715억/ 38억/ 7억
2024.2Q 699억/ 20억/ 0억
2024.1Q 684억/ 8억/ -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5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99190


28.04.202522:55
[다올투자증권 박종현/이정우]
★ 화장품(Overweight) - 지금 잘하는 브랜드를 사자
▶ 인디 브랜드 > ODM > 대형 브랜드 선호도 제시. 인디 업체들 대형 브랜드 화장품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으로 Upside 기대. 신규 상장하는 달바글로벌 또한 공모 밴드 상단 10.8배로 주목
▶ 인디 브랜드: 중장기적 OPM 목표는 20%. 반면 인디 브랜드 업체들 매출 확대를 통해 영업 레버리지 발생 중. 인디 브랜드 선호. 2024년 에이피알, 2025E 달바글로벌, 2026E 비나우 등 신규 상장으로 투자 대안 발생. 상장 이후에도 성장세 유지 기대. 에이피알 최선호(BUY, TP 9만원), 달바글로벌 상장 주목. 아모레퍼시픽 대비 밸류에이션 괴리 30% 수준으로 업사이드 기대
▶ ODM: ODM 양사는 이익 레버리지보다는 매출 확대를 통한 실적 성장이 목표로 판단. 수요 초과 구간이었던 2024년에도 연결 기준 OPM이 한국콜마 11.5%, 코스맥스 8.1%에 불과했음. 다만, 주요 해외 자회사들의 이익 개선이 또 다른 변곡점 제공 가능, 한국콜마 미국 2공장 및 코스맥스 중국 법인 주목.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선호 국면이나, 코스맥스(BUY, TP 21만원) 또한 밸류에이션 메리트 발생
▶ 대형 브랜드: 대형 화장품 기업들 턴어라운드 가능성 있으나, 중장기적 호흡 필요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3ShcTpP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 화장품(Overweight) - 지금 잘하는 브랜드를 사자
▶ 인디 브랜드 > ODM > 대형 브랜드 선호도 제시. 인디 업체들 대형 브랜드 화장품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저평가 국면으로 Upside 기대. 신규 상장하는 달바글로벌 또한 공모 밴드 상단 10.8배로 주목
▶ 인디 브랜드: 중장기적 OPM 목표는 20%. 반면 인디 브랜드 업체들 매출 확대를 통해 영업 레버리지 발생 중. 인디 브랜드 선호. 2024년 에이피알, 2025E 달바글로벌, 2026E 비나우 등 신규 상장으로 투자 대안 발생. 상장 이후에도 성장세 유지 기대. 에이피알 최선호(BUY, TP 9만원), 달바글로벌 상장 주목. 아모레퍼시픽 대비 밸류에이션 괴리 30% 수준으로 업사이드 기대
▶ ODM: ODM 양사는 이익 레버리지보다는 매출 확대를 통한 실적 성장이 목표로 판단. 수요 초과 구간이었던 2024년에도 연결 기준 OPM이 한국콜마 11.5%, 코스맥스 8.1%에 불과했음. 다만, 주요 해외 자회사들의 이익 개선이 또 다른 변곡점 제공 가능, 한국콜마 미국 2공장 및 코스맥스 중국 법인 주목. 한국콜마(BUY, TP 10만원) 선호 국면이나, 코스맥스(BUY, TP 21만원) 또한 밸류에이션 메리트 발생
▶ 대형 브랜드: 대형 화장품 기업들 턴어라운드 가능성 있으나, 중장기적 호흡 필요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3ShcTpP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01.05.202522:51
톡신 데이터 대박~
30.04.202506:06
장내매수~
29.04.202501:03
29.04.202500:04
27.04.202522:44
[다올 화장품 박종현/이정우]
★ 달바글로벌 IPO 수요예측 보고서: 승무원 미스트, 코스피에서 이륙 준비
▶ 공모 상단 기준 2025E PER은 10.8배로 대표 K뷰티 인디브랜드인 에이피알의 2025E PER 20배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 형성. 수요 예측 공모 상단 참여 권고. 2025E PER 20배 적용 시, 적정 시가총액 1.6조원
▶ 2016년에 설립된 동사는 d’Alba 화장품 브랜드 보유. ODM 통해 생산하여 제품기획, 마케팅, 유통 판매 전문. 임직원 중 해외 담당 인력 비중 36.4%로 해외 판매 내재화하여 B2C 위주 글로벌 확장 기반 구축
▶ 2024년 매출액 3.091억원(YoY +54%), 영업이익 598억원(YoY +84%)를 달성. 해외 매출액 1,410억원 기록하며 YoY +218% 성장하며, 해외 매출 비중 46% 달성. 특히나 선진 권역인 일본과 러시아, 북미 매출액 YoY +214%, +135%, +153% 성장
▶ 2025E 매출액 4,787억원(YoY +55%), 영업이익 972억원(YoY +63%) 달성 전망 해외 진출 전략 주목. Tier1 국가의 오프라인 확대 및 Tier 2 국가들의 인지도 확대 전략
▶ 동사는 국가별 선택적 K뷰티 전략을 시행하여 선진 권역에는 글로벌 브랜드로 포지셔닝하며, 동남아 및 인도 시장은 K뷰티 요소 활용하여 빠른 시장 침투. 기존 K뷰티 브랜드 대비 2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을 형성하며 연령대별 고른 매출 분포 보이는 중
▶ 상장일 출회 물량은 공모 주식 포함 32.73%이며, 상장 후 12개월 총 83.89% 물량이 시장 출회. 해당 물량 안정적으로 소화하며 유가 증권 시장 상장 전망. 지수 편입 이벤트는 1H26말까지 부재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2QYZjp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 달바글로벌 IPO 수요예측 보고서: 승무원 미스트, 코스피에서 이륙 준비
▶ 공모 상단 기준 2025E PER은 10.8배로 대표 K뷰티 인디브랜드인 에이피알의 2025E PER 20배 대비 낮은 밸류에이션 형성. 수요 예측 공모 상단 참여 권고. 2025E PER 20배 적용 시, 적정 시가총액 1.6조원
▶ 2016년에 설립된 동사는 d’Alba 화장품 브랜드 보유. ODM 통해 생산하여 제품기획, 마케팅, 유통 판매 전문. 임직원 중 해외 담당 인력 비중 36.4%로 해외 판매 내재화하여 B2C 위주 글로벌 확장 기반 구축
▶ 2024년 매출액 3.091억원(YoY +54%), 영업이익 598억원(YoY +84%)를 달성. 해외 매출액 1,410억원 기록하며 YoY +218% 성장하며, 해외 매출 비중 46% 달성. 특히나 선진 권역인 일본과 러시아, 북미 매출액 YoY +214%, +135%, +153% 성장
▶ 2025E 매출액 4,787억원(YoY +55%), 영업이익 972억원(YoY +63%) 달성 전망 해외 진출 전략 주목. Tier1 국가의 오프라인 확대 및 Tier 2 국가들의 인지도 확대 전략
▶ 동사는 국가별 선택적 K뷰티 전략을 시행하여 선진 권역에는 글로벌 브랜드로 포지셔닝하며, 동남아 및 인도 시장은 K뷰티 요소 활용하여 빠른 시장 침투. 기존 K뷰티 브랜드 대비 20% 이상의 가격 프리미엄을 형성하며 연령대별 고른 매출 분포 보이는 중
▶ 상장일 출회 물량은 공모 주식 포함 32.73%이며, 상장 후 12개월 총 83.89% 물량이 시장 출회. 해당 물량 안정적으로 소화하며 유가 증권 시장 상장 전망. 지수 편입 이벤트는 1H26말까지 부재
* 보고서 원문 및 컴플라이언스 < https://bit.ly/42QYZjp >
* 텔레그램 채널 링크 < https://t.me/alexppark >
01.05.202523:41


01.05.202522:50
[화장품(Overweight) 다올 박종현/이정우]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기초 화장품 432.1백만달러 (YoY +9.4%, MoM -0.8%)
> 중국 97.2백만달러 (YoY -6.1%, MoM -9.7%)
> 미국 81.7백만달러 (YoY -5.4%, MoM +23.8%)
2. 색조 화장품 76.7백만달러 (YoY +28.5%, MoM +15.8%)
> 중국 20.9백만달러 (YoY -3.6%, MoM +35.5%)
> 일본 16.2백만달러 (YoY +33%, MoM -5.4%)
> 미국 7.2백만달러 (YoY +0.9%, MoM +17.8%)
3. 마스크팩 25.9백만달러 (YoY +36.5%, MoM +26%)
> 미국 10.6백만달러 (YoY +23.4%, MoM +45.3%)
> 일본 3.3백만달러 (YoY +0.7%, MoM +10.5%)
★ 2025.04월 수출데이터 잠정치
1. 기초 화장품 432.1백만달러 (YoY +9.4%, MoM -0.8%)
> 중국 97.2백만달러 (YoY -6.1%, MoM -9.7%)
> 미국 81.7백만달러 (YoY -5.4%, MoM +23.8%)
2. 색조 화장품 76.7백만달러 (YoY +28.5%, MoM +15.8%)
> 중국 20.9백만달러 (YoY -3.6%, MoM +35.5%)
> 일본 16.2백만달러 (YoY +33%, MoM -5.4%)
> 미국 7.2백만달러 (YoY +0.9%, MoM +17.8%)
3. 마스크팩 25.9백만달러 (YoY +36.5%, MoM +26%)
> 미국 10.6백만달러 (YoY +23.4%, MoM +45.3%)
> 일본 3.3백만달러 (YoY +0.7%, MoM +10.5%)
30.04.202506:06
(코스닥)원텍 -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보고자:김종원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915
2025-04-30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000915
2025-04-30
29.04.202501:01
159주셨는데… 160주 채우시고 싶으셧나봄…
28.04.202523:54
25.04.202501:10
Shown 1 - 24 of 684
Log in to unlock more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