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04.202503:01
흐음.... 외국인 투자자들의 미국채 지속적인 매도세는 관찰되지않음
18.04.202501:02
Пераслаў з:
서화백의 그림놀이 🚀



17.04.202511:10
Eli Lilly(뉴욕증권거래소: LLY)는 최초의 경구용 소분자 GLP-1 수용체 작용제인 orforglipron의 3상 임상시험 결과가 긍정적이었다고 발표했습니다. ACHIEVE-1 연구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HbA1c 수치는 평균 8.0%에서 시작하여 용량에 따라 1.3%~1.6% 감소했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최고 용량(36mg) 투여군에서 참가자들은 평균 7.9%에 해당하는 16.0파운드(약 7.3kg)의 체중 감소를 경험
• 최고 용량 투여자 중 65% 이상이 HbA1c ≤ 6.5% 달성
•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 관련 증상으로, 설사(1926%) 및 오심(1318%)이 보고됨
Lilly는 orforglipron을 체중 조절 적응증으로 2025년 말까지 규제 승인 신청할 계획이며, 제2형 당뇨병 적응증 신청은 2026년으로 예정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글로벌 출시를 위한 공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최고 용량(36mg) 투여군에서 참가자들은 평균 7.9%에 해당하는 16.0파운드(약 7.3kg)의 체중 감소를 경험
• 최고 용량 투여자 중 65% 이상이 HbA1c ≤ 6.5% 달성
•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 관련 증상으로, 설사(1926%) 및 오심(1318%)이 보고됨
Lilly는 orforglipron을 체중 조절 적응증으로 2025년 말까지 규제 승인 신청할 계획이며, 제2형 당뇨병 적응증 신청은 2026년으로 예정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글로벌 출시를 위한 공급 준비가 완료되었다고 밝혔습니다.
Пераслаў з:
루팡

17.04.202507:14
TSMC
-CoWoS 수요 및 공급:
CoWoS 수요는 여전히 공급을 크게 초과
최근 들어 공급 제약은 다소 완화된 듯
2026년에야 수요-공급 균형 맞춰질 것으로 예상
-H20 칩 금지 관련:
2025년 연간 가이던스에는 H20 금지에 따른 영향도 포함
현재까지 고객 행동 변화는 관측되지 않음 → 기존 예측 유지
-TSMC의 글로벌 팹 확장 계획:
향후 수년 내 대만에 11개 웨이퍼 팹, 4개 고급 패키징 공장 건설 예정
일본 구마모토 공장 양산 시작
두 번째 일본 팹은 올해 말 착공 예정
독일 또는 일본에서의 투자 축소 계획 없음
-AI 가속기 부문: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약 40% 중반대 예상
-Foundry 2.0 성장 전망:
AI 수요가 성장 주도.
비(非)AI 분야도 완만한 회복세
→ TSMC의 2025년 전체 매출 성장률 20% 중반대 유지
-기술 로드맵:
N2(2nm)는 2025년 하반기 대량 생산 예정,
N3E 대비 밀도 15% 향상
N2P는 2026년,
A16은 2026년 이후, N2P 대비 밀도 7~10% 향상
-기타 사항:
현재 어떠한 기술이전 또는 라이선싱 관련 합작(JV) 논의 없음
미국 R&D 센터는 현재 생산성 향상 및 파생 노드 개발에 집중 중
→ 미국 내 첨단 R&D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아직 없음
관세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2025년 후반 해외 팹의 총이익률 희석은 3~4%로 확대될 것
-CoWoS 수요 및 공급:
CoWoS 수요는 여전히 공급을 크게 초과
최근 들어 공급 제약은 다소 완화된 듯
2026년에야 수요-공급 균형 맞춰질 것으로 예상
-H20 칩 금지 관련:
2025년 연간 가이던스에는 H20 금지에 따른 영향도 포함
현재까지 고객 행동 변화는 관측되지 않음 → 기존 예측 유지
-TSMC의 글로벌 팹 확장 계획:
향후 수년 내 대만에 11개 웨이퍼 팹, 4개 고급 패키징 공장 건설 예정
일본 구마모토 공장 양산 시작
두 번째 일본 팹은 올해 말 착공 예정
독일 또는 일본에서의 투자 축소 계획 없음
-AI 가속기 부문: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 약 40% 중반대 예상
-Foundry 2.0 성장 전망:
AI 수요가 성장 주도.
비(非)AI 분야도 완만한 회복세
→ TSMC의 2025년 전체 매출 성장률 20% 중반대 유지
-기술 로드맵:
N2(2nm)는 2025년 하반기 대량 생산 예정,
N3E 대비 밀도 15% 향상
N2P는 2026년,
A16은 2026년 이후, N2P 대비 밀도 7~10% 향상
-기타 사항:
현재 어떠한 기술이전 또는 라이선싱 관련 합작(JV) 논의 없음
미국 R&D 센터는 현재 생산성 향상 및 파생 노드 개발에 집중 중
→ 미국 내 첨단 R&D에 대한 구체적 계획은 아직 없음
관세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2025년 후반 해외 팹의 총이익률 희석은 3~4%로 확대될 것
17.04.202505:54
협상이 잘 되겠습니까? 미국이 스스로 원하는 것이 뚜렷하지 않고 도무지 트럼프를 신뢰할 수 없으니..... 자기네한테 관세 0%인 스위스한테도 상호관세를 물린 트럼프입니다. 일방적으로 돈 좀 내놔 라는 말은 할수도 없고 한다고 해도 무슨 기준으로 얼마를 달라고 할런지....
Пераслаў з:
신영증권/법인영업 해외주식 Inside

17.04.202504:43
골드만삭스: 관세로 인한 글로벌 경제 전망 수정
- 당사는 올해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약 16%p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2025년 미국 GDP 성장률 전망을 전년의 2.5%(전년 동기 대비 기준)에서 크게 낮춘 0.5%로 제시함. 미국이 촉발한 글로벌 무역전쟁은 미국뿐 아니라 주요 경제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유로존의 경우 최근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을 기존 0.8%에서 0.7%로 하향 조정하였으며, 이는 3분기 중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후 연말까지 사실상 제로 성장에 가까운 경기 흐름을 시사함. 이에 더해 인플레이션 둔화를 반영하여 ECB의 최종 금리 전망치를 기존 1.75%에서 1.5%로 낮추었으며, 특히 9월 중 25bp의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중국 경제 역시 미국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임. 중국 정부가 공격적인 경기부양책을 실시하겠지만 이러한 조치는 관세 충격을 일부만 상쇄할 것으로 판단됨. 이에 따라 2025년 중국 GDP 성장률 전망을 연초의 4.5%(전년 동기 대비 기준)에서 4.0%로 하향 조정함. 성장 둔화에 따라 MSCI 중국 및 CSI300 지수의 향후 12개월 목표치도 기존 81/4500에서 75/4300으로 낮추었으며, 유럽 TTF 천연가스 가격 전망 역시 기존 49 EUR/MWh에서 38 EUR/MWh로 하향 조정함.
- 라틴아메리카의 성장 전망도 전반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멕시코 경제는 올해 경기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함.
- 이러한 글로벌 성장 둔화 환경에서는 방어적 포지셔닝이 필수적이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최근 3개월 자산 배분 전략을 일부 조정함. 크레딧 비중을 기존의 비중축소에서 중립으로 상향하였으나, 미국과 유럽 모두 하이일드(HY)보다는 투자등급(IG) 중심의 고신용 등급 선호를 유지함. 반면, 글로벌 성장 둔화로 인해 주식 및 원자재는 기존의 중립에서 비중축소로 하향 조정함.
- 주식시장에서 방어적 성격이 강한 미국의 필수소비재,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유틸리티 업종에 지속적으로 투자 매력이 있다고 판단함. 또한 금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유지하며 최근 연말 목표 가격을 기존 온스당 3,300달러에서 3,700달러로 상향 조정하였음. 금은 일본 엔화(JPY) 및 스위스 프랑(CHF)과 함께 멀티에셋 포트폴리오에서 핵심적인 안전자산으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판단함.
- 이와 더불어 현재의 높은 시장 변동성 환경 속에서 채권에 대해서도 비중확대 전략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 주요국의 금리가 매력적인 투자기회를 제공한다고 보고 있음.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 당사는 올해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약 16%p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2025년 미국 GDP 성장률 전망을 전년의 2.5%(전년 동기 대비 기준)에서 크게 낮춘 0.5%로 제시함. 미국이 촉발한 글로벌 무역전쟁은 미국뿐 아니라 주요 경제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유로존의 경우 최근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을 기존 0.8%에서 0.7%로 하향 조정하였으며, 이는 3분기 중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후 연말까지 사실상 제로 성장에 가까운 경기 흐름을 시사함. 이에 더해 인플레이션 둔화를 반영하여 ECB의 최종 금리 전망치를 기존 1.75%에서 1.5%로 낮추었으며, 특히 9월 중 25bp의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중국 경제 역시 미국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보임. 중국 정부가 공격적인 경기부양책을 실시하겠지만 이러한 조치는 관세 충격을 일부만 상쇄할 것으로 판단됨. 이에 따라 2025년 중국 GDP 성장률 전망을 연초의 4.5%(전년 동기 대비 기준)에서 4.0%로 하향 조정함. 성장 둔화에 따라 MSCI 중국 및 CSI300 지수의 향후 12개월 목표치도 기존 81/4500에서 75/4300으로 낮추었으며, 유럽 TTF 천연가스 가격 전망 역시 기존 49 EUR/MWh에서 38 EUR/MWh로 하향 조정함.
- 라틴아메리카의 성장 전망도 전반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멕시코 경제는 올해 경기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함.
- 이러한 글로벌 성장 둔화 환경에서는 방어적 포지셔닝이 필수적이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최근 3개월 자산 배분 전략을 일부 조정함. 크레딧 비중을 기존의 비중축소에서 중립으로 상향하였으나, 미국과 유럽 모두 하이일드(HY)보다는 투자등급(IG) 중심의 고신용 등급 선호를 유지함. 반면, 글로벌 성장 둔화로 인해 주식 및 원자재는 기존의 중립에서 비중축소로 하향 조정함.
- 주식시장에서 방어적 성격이 강한 미국의 필수소비재,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유틸리티 업종에 지속적으로 투자 매력이 있다고 판단함. 또한 금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유지하며 최근 연말 목표 가격을 기존 온스당 3,300달러에서 3,700달러로 상향 조정하였음. 금은 일본 엔화(JPY) 및 스위스 프랑(CHF)과 함께 멀티에셋 포트폴리오에서 핵심적인 안전자산으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판단함.
- 이와 더불어 현재의 높은 시장 변동성 환경 속에서 채권에 대해서도 비중확대 전략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 주요국의 금리가 매력적인 투자기회를 제공한다고 보고 있음.
*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Пераслаў з:
루팡

21.04.202500:17
[속보]이재명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주가지수 5000' 시대 열겠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504213831b
[속보]이재명 "경제 성장 로드맵 발표…민간 전략에 예측가능성 더할 것"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42109105324723
[속보] 이재명 “상법 개정 재추진…코스피 5000시대 열겠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21일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 같은 주식시장 활성화 정책을 통해 코스피 지수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SNS에 “주식시장의 활성화가 국민의 건전한 자산 증식을 위한 가장 쉽고 빠른 길”이라며 이런 내용의 정책들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불투명한 기업지배구조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고질적인 원인 중 하나”라며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상법 개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소액주주를 대표하는 이사도 선임될 수 있도록 집중투표제를 활성화하고, 감사위원 분리 선출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경영 감시 기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쪼개기 상장’ 시 모회사의 일반주주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도입해 한 번이라도 주가조작에 가담하면, 다시는 주식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게 하겠다”고도 적었다.
그는 “(이 같은 정책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시대를 끝내고, ‘코리아 프리미엄’ 시대를 열겠다”라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업경영과 시장 질서가 확립되면, 우리 주식시장은 획기적인 도약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대한민국의 회복과 성장으로 코스피 5000시대를 실현하겠다”고도 덧붙였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504210910001
Пераслаў з:
인포마켓 infomarket

17.04.202512:13
한미반도체가 상대적으로 이익률이 높은 마이크론 장비 공급을 우선시하면서, SK하이닉스 측에 "장비 공급을 유지하려면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분석도 있다.
SK하이닉스는 한미반도체와의 갈등으로 장비 유지보수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생산성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반도체 장비 업계 관계자는 "HBM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공급사인 장비업체들의 협상력이 크게 높아졌다"면서 "고객사와 장비사 간 파워 밸런스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이에 SK하이닉스는 최근 관련 부서 임직원이 직접 한미반도체 본사를 방문해 공식 사과에 가까운 읍소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SK하이닉스는 한미반도체와의 갈등으로 장비 유지보수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생산성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반도체 장비 업계 관계자는 "HBM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공급사인 장비업체들의 협상력이 크게 높아졌다"면서 "고객사와 장비사 간 파워 밸런스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출처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http://www.thelec.kr)


17.04.202506:28
한미를 오늘 또 어디서 뽐삥했구먼..


17.04.202504:24
캬.... 파괴왕 트럼프.... 이대로 3개월 가면 탄핵당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예스맨들로 둘러싸여 준비 안된 관세계엄을 때리고....... 결국 강제 유예 당하고....정치에서도 K가 세상을 리드하는가...?


21.04.202500:10
이재명 각하!!!! 코스피 1만을 찢어주시옵소서!!!
Пераслаў з:
인포마켓 infomarket

17.04.202512:13
한미반도체, 마이크론 TC본더 50대 신규 수주… SK 대상 '초강경 대응' 뒷배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5090
Пераслаў з:
서화백의 그림놀이 🚀



17.04.202510:53
$UNH | UnitedHealth Group 2025년 1분기 실적 주요 내용:
🔹 조정 EPS: $7.20 (추정 $7.29) 🔴
🔹 매출: $1096억 (추정 $1115억) 🔴 ; 전년 대비 +9.8% 증가
🔹 영업 이익: 9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
🔹 순이익률: 5.7% (이전 -1 .4% YoY)
🔹 의료비 부담률 : 84.8% (전년 동기 84.3%)
🔹 영업비용률 : 12.4% (전년 동기 14.1%)
🔹 청구금 지급일수: 45.5일(이전 47.1일, 전년 동기 대비)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5억 달러
🔹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들에게 약 50억 달러를 반환했습니다.
🔹 자기자본이익률: 26.8%
2025 회계연도 지침(개정):
🔹 조정 EPS: $26.00–$26.50 (이전 $29.50–$30.00) 🔴
1분기 세그먼트 성과:
유나이티드헬스케어
🔹 매출: 846억 달러, 전년 대비 93억 달러 증가
🔹 영업 이익: $5. 2B ( 전년 동기 대비 $44억
🔹 영업이익률: 6.2% (전년 동기 대비 5.8%)
🔹 서비스 제공 회원 수(YTD): +780,000
🔹 노인 및 복합 치료 회원 증가: 1분기 +545,000명
🔹 자체 자금으로 운영되는 상업 회원: +700,000
🔹 메디케이드 회원 수: 760만 명
옵텀
🔹 수익: $639억(예상 670억)
🔹 영업 이익: 39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35억 달러)
🔹 영업이익률: 6.1% (전년 동기 대비 5.8%)
옵텀 헬스
🔹 매출: 253억 달러
🔹 2025년까지 65만 명 이상의 새로운 가치 기반 치료 환자를 목표로 함
옵텀 인사이트
🔹 매출: 46억 달러
🔹 백로그: 329억 달러
🔹 생산성이 20% 이상 향상된 AI 기반 클레임 도구 출시
옵텀 Rx
🔹 매출: 351억 달러
🔹 조정된 스크립트: 4억 800만(전년 동기 대비 3억 9500만)
회사 논평:
🔸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장기 EPS 성장률 목표인 13~16%로 복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과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 CEO 앤드류 위티
🔸 치료 활동 증가와 Medicare Advantage 회원 프로필 변화로 인해 전망이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 Optum Health는 2025 회계연도에 650,000명의 새로운 가치 기반 치료 환자를 예상합니다.
🔹 조정 EPS: $7.20 (추정 $7.29) 🔴
🔹 매출: $1096억 (추정 $1115억) 🔴 ; 전년 대비 +9.8% 증가
🔹 영업 이익: 91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
🔹 순이익률: 5.7% (이전 -1 .4% YoY)
🔹 의료비 부담률 : 84.8% (전년 동기 84.3%)
🔹 영업비용률 : 12.4% (전년 동기 14.1%)
🔹 청구금 지급일수: 45.5일(이전 47.1일, 전년 동기 대비)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5억 달러
🔹 배당금과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들에게 약 50억 달러를 반환했습니다.
🔹 자기자본이익률: 26.8%
2025 회계연도 지침(개정):
🔹 조정 EPS: $26.00–$26.50 (이전 $29.50–$30.00) 🔴
1분기 세그먼트 성과:
유나이티드헬스케어
🔹 매출: 846억 달러, 전년 대비 93억 달러 증가
🔹 영업 이익: $5. 2B ( 전년 동기 대비 $44억
🔹 영업이익률: 6.2% (전년 동기 대비 5.8%)
🔹 서비스 제공 회원 수(YTD): +780,000
🔹 노인 및 복합 치료 회원 증가: 1분기 +545,000명
🔹 자체 자금으로 운영되는 상업 회원: +700,000
🔹 메디케이드 회원 수: 760만 명
옵텀
🔹 수익: $639억(예상 670억)
🔹 영업 이익: 39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35억 달러)
🔹 영업이익률: 6.1% (전년 동기 대비 5.8%)
옵텀 헬스
🔹 매출: 253억 달러
🔹 2025년까지 65만 명 이상의 새로운 가치 기반 치료 환자를 목표로 함
옵텀 인사이트
🔹 매출: 46억 달러
🔹 백로그: 329억 달러
🔹 생산성이 20% 이상 향상된 AI 기반 클레임 도구 출시
옵텀 Rx
🔹 매출: 351억 달러
🔹 조정된 스크립트: 4억 800만(전년 동기 대비 3억 9500만)
회사 논평:
🔸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장기 EPS 성장률 목표인 13~16%로 복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과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 CEO 앤드류 위티
🔸 치료 활동 증가와 Medicare Advantage 회원 프로필 변화로 인해 전망이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 Optum Health는 2025 회계연도에 650,000명의 새로운 가치 기반 치료 환자를 예상합니다.
Пераслаў з:
루팡

17.04.202506:11
TSMC
2분기 매출 전망: 284억~292억 달러 (시장 예상치: 271.6억 달러)
2분기 영업이익률 전망: 47%~49% (시장 예상치: 48%)
2분기 총이익률 전망: 57%~59% (시장 예상치: 58.2%)
2분기 매출 전망: 284억~292억 달러 (시장 예상치: 271.6억 달러)
2분기 영업이익률 전망: 47%~49% (시장 예상치: 48%)
2분기 총이익률 전망: 57%~59% (시장 예상치: 58.2%)


17.04.202505:21
아무리 죽어도 수도요금 인상 못해요. 재정으로 땜빵하겠지.
17.04.202504:19
국힘은 찢어지나..... 탄핵찬성파와 탄핵반대파로..... 결국 이재명을 만나 찢어지려나...... 이재명이 찢어버린다!!!
Пераслаў з:
삼성증권 매크로 정성태


18.04.202503:18
중국측에 협상을 채근하는 발언. 어차피 지금도 관세율이 교역단절 수준까지 올라서… 트럼프가 점차 수세에 몰리는 형세군요. 그렇지만 워낙 volatile하고 unpredictable한 인물이라
Пераслаў з:
최선생네 반지하

17.04.202511:32
『김상조 전 정책실장은 “경실련 본부장이 날뛸 때 강하게 반박하라”고 국토부를 질책했다. 그 뒤 부동산원은 그해 8~10월 두 달간 서울 매매 변동률을 0.01%로 고정했다. 당시 민간 통계 상승률과 20배에서 최대 40배 이상 차이 나는 수치였다.』
→ 집값이 올라가는 현실은 못 본척 하고, 치솟은 숫자와 죽기살기로 싸운 사람들. 공직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이런 짓을 할 수가 있나.
#통계조작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34792?cds=news_edit
https://t.me/guroguru/6409
→ 집값이 올라가는 현실은 못 본척 하고, 치솟은 숫자와 죽기살기로 싸운 사람들. 공직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이런 짓을 할 수가 있나.
#통계조작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34792?cds=news_edit
https://t.me/guroguru/6409
Пераслаў з:
루팡



17.04.202506:11
TSMC 2025년 1분기 실적
1분기 순이익 3,616억 대만달러 (시장 예상치 3,546억 대만달러)
1분기 설비투자(Capex) 100.6억 달러 (2024년 1분기: 57.7억 달러)
1분기 순이익 전년 대비 60% 증가
매출: 8,392.5억 대만달러, 전년 대비 41.6% 증가
총이익률(GPM): 58.8% (예상치: 58.1%)
TSMC 2025년 1분기 vs 2024년 1분기 비교
매출: 255.26억 달러 (+35%)
총이익률: 58.8% (2024년 1분기: 53.1%)
영업이익률: 48.5% (2024년 1분기: 42%)
설비투자(CapEx): 101억 달러 (+74%)
웨이퍼 출하량: 325.9만 장 (+8%)
웨이퍼 평균판매단가(ASP): 6,806달러 (+25%)
1분기 순이익 3,616억 대만달러 (시장 예상치 3,546억 대만달러)
1분기 설비투자(Capex) 100.6억 달러 (2024년 1분기: 57.7억 달러)
1분기 순이익 전년 대비 60% 증가
매출: 8,392.5억 대만달러, 전년 대비 41.6% 증가
총이익률(GPM): 58.8% (예상치: 58.1%)
TSMC 2025년 1분기 vs 2024년 1분기 비교
매출: 255.26억 달러 (+35%)
총이익률: 58.8% (2024년 1분기: 53.1%)
영업이익률: 48.5% (2024년 1분기: 42%)
설비투자(CapEx): 101억 달러 (+74%)
웨이퍼 출하량: 325.9만 장 (+8%)
웨이퍼 평균판매단가(ASP): 6,806달러 (+25%)
17.04.202504:16
어제 전해 듣기는 했는데, 진짜 김재섭 의원도 돌아섰군요.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7090800001?input=1195m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7090800001?input=1195m
Паказана 1 - 24 з 1213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