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2차전지 김희제 avatar

2차전지 김희제

2차전지 섹터 커버 채널(과거 리튬 추노꾼)입니다. 매수•매도 추천 채널이 아니며 운영자의 기록 및 스터디 목적으로 운영하는 채널임을 밝힙니다. 업계•유관 산업 종사자분들의 연락은 언제나 환영이며 하단의 주소로 편히 연락 부탁 드리겠습니다.
텔레그램 주소: @heuijekim
메일 문의: heuije99@naver.com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
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
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May 25, 2023
Дадана ў TGlist
Sep 19, 2024

Папулярныя публікацыі 2차전지 김희제

18.02.202509:06
📩 LG에너지솔루션, 올해 북미 ESS LFP 생산 본격화…2조 투자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 공장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산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ESS 생산설비 투자를 위한 2조319억원 규모 채무보증을 진행했다고 18일 공시했다. 올해 상반기 중 가동 준비를 마치고 하반기부터 양산을 본격화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29/0000365785?rc=N&ntype=RANKING&sid=001
21.02.202500:53
[Tesla Equity Research Report]

안녕하세요, 김희제입니다. Tesla 및 간략한 연내, 중장기 EV 시장 전망 리포트 업데이트 드립니다. 본 리포트는 매수 혹은 매도 추천 리포트가 아님을 밝힙니다. 감사합니다.

[Investment Point]

-Model Y Juniper & Q 출시
2025년 02월 18일부로 상하이 공장에서 새로운 버전의 Model Y Juniper를 대량 양산하기 시작했고 5seats, 7seats 등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동시에 저가형 모델인 Model Q(2)를 상반기 내로 출시할 예정이다. Model Q는 약 3만 달러 미만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미국 현지 세액공제를 받을 경우 실제 구매 가격이 3만 달러를 하회하게 된다. 이는 2024년 북미 내 평균 전기차 판매 가격 대비 -46.0% 하락한 수치로 내연기관과 비교해도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Energy 사업부 매출액 및 수익성 증가 기대감 존재
에너지 사업부의 급격한 성장이 기대된다. 동사의 주력 제품인 Powerwall 및 Megapack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저장 솔루션이 글로벌 시장에서 호응을 얻으며 매출과 수익성 모두 크게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Powerwall은 가정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으로, 13.5kWh의 용량을 갖추고 있으며 태양광 패널과 연계하여 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는 제품이다. 전기차 충전이나 가정용 전력 공급에 활용되며,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5년 Powerwall 3 출시를 계획하고 있어 경쟁력 강화 및 매출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2024년 Powerwall과 Megapack의 합계 설치량은 +113.6% 증가한 바 있다. 특히 주목할만한 점은 에너지 사업의 마진이 15.1%에 달했다는 점으로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기록하는 동시에 고수익 사업으로 현금흐름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정된 동 사업부의 2025년 및 026년 매출액은 각 +18.5% YoY, +30.6% YoY 증가할 전망이다.

-FSD 중국 출시 및 Robotaxi, Optimus 등 본격적인 시장 진입 예정
FSD 허가 및 Robotaxi 진출에 따른 1) 기존 모델 판매량 증가, 2) FSD 구독료 수입 증가가 기대된다. Tesla는 FSD를 연내 1분기 중 중국과 유럽에서 판매할 계획을 밝혔는데, 규제 승인 절차 등의 문제 해결이 관건이다. FSD의 월 구독료는 $99으로 북미 시장 운행 수 약 255만 명, 추정 가입자 수 37.5만 명 기준 구독률은 약 15%로 추정된다. 때문에 중국과 유럽 내 판매가 개시된다면 구독료 수입과 FSD 활용을 위한 모델 판매가 두드러지게 증가할 전망이다. Robotaxi에 따른 부가적인 수입 또한 예상되며 UBS는 2030년 Robotaxi 시장 규모를 최대 2조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기업가치 평가 시 기관들의 자율주행 사업 가치 최저치인 $800,000M을 반영해 주었다.

감사합니다.

t.me/EvAtZchuno
05.02.202507:13
엘앤에프가 1분기부터 4분기 누적 순손실을 기록했음에도 불구 영업활동현금이 (+)개선된 이유는 매출채권과 기타채권 그리고 재고자산이 두드러지게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비현금 항목 조정과 운전자본 변화로 현금 관리 능력이 개선된 것은 사실이나 '긍정적 현금 Trend 지속 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29.01.202511:34
영국, 전기차 구매자 대상 대출 보조금 패키지 관련 계획 수립 중

https://www.afr.com/companies/transport/uk-to-subsidise-buyers-ev-loans-to-boost-sales-20250129-p5l85l
12.02.202509:30
📩SK가스, 4번째 신성장동력 美ESS사업 본격 가동

LPG사업을 주력하고 하고 있는 SK가스가 4번째 신성장사업인 미국 에너지저장장치(ESS)사업의 상업 가동에 들어갔다. 석유화학사업이 극심한 부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발전사업에 이어 ESS사업이 캐시카우가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SK가스는 SK이터닉스와의 미국 합작법인인 그리드플랙스를 통해 현지 재생에너지 기업인 에이펙스 클린에너지와 합작법인 SA 그리드솔루션을 설립하고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50207028013365
31.01.202502:33
📩 [단독]덕산테코피아, 美 테네시에 전해질 신공장 완공...'1370억 투자'

덕산테코피아 자회사 '덕산일렉테라'가 미국 테네시주에 전해액 신공장을 완공하고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간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덕산일렉테라는 29일(현지시간) 테네시주 셸비빌시에서 연간 6만t 규모 전해액 공장 준공식을 개최했다. 

https://www.newswave.kr/news/articleView.html?idxno=516137
05.02.202504:08
📩[단독] '한국판 IRA' 군불떼기…정부, 투자세액공제 직접 환급 검토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말 국내 한 로펌에 연구용역을 의뢰하고, 기업에 투자세액공제를 직접 환급하는 방식에 대한 법리적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현행 우리나라 투자세액공제 현황 평가와 해외 주요국의 투자세액공제 직접 환급 제도 조사, 또 국내 산업과 조세 환경을 감안한 한국형 직접 환급 제도화 방안 도출 등인데요.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에서 어떻게 하고 있는지, 적용 분야나 방법 등을 보고 어떻게 벤치마킹할 수 있을지가 목적"이라면서 "배터리나 반도체, 바이오 등 어떤 산업이 적용 대상이 될지는 미정"이라고 밝혔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23783?sid=101
삼성SDI, 이전 기사화됐던 ESS 공급 건은 고객과 다수의 프로젝트로 나누어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며, 공급 규모는 체결되는 계약에 따라 결정될 예정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131800672
#주식고수들이더좋아하는대체투자

메자닌, 사모펀드 등 누군가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대체투자에 대한 개념서라고 볼 수 있다.

본래 특정 시장에 대한 구조 서술 중심의 책은 인공지능 발달로 인기가 없어지는 추세이나 불필요한 설명 없이 깔끔하게 서술되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었다.

아쉬웠던 점은 막바지 특례 상장 조건을 초석으로 일부 IT 기업 내지 콘텐츠 시장에 대해 설명하는 대목이 있는데 조금 부자연스러웠다. 오히려 시장이나 개별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닌 소수의 기업을 기반으로 대체투자 구조를 보다 세세히 설명해 줬다면 더 만족스러웠을 것 같다.
05.02.202502:54
📩폴스타4, SK온 배터리 탑재 유력

올 하반기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에서 생산될 폴스타4의 배터리셀 제조사에 대한 관심이 커질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상품 전체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시행한 만큼 폴스타4 국내 생산분 배터리셀 제조사는 중국이 아닌 우리나라 업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 따르면 폴스타4 국내 생산분의 배터리셀 제조사는 5일 기준으로 SK온이 유력하다.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30765
Nevada Giga Factory 출하량 증가에도 불구 EV용 배터리 매출액은 원재료 가격 하락에 따른 하향 조정. 생산량은 약 10GWh로 기재됐는데, Nevada의 연환산 CAPA가 38~39GWh임을 감안 시 Full-Capa에 근접한 수치

산업 및 데이터 센터 향 ESS 매출액은 상승. 생성형 AI 수요에 힘입어 데이터 센터 매출액은 지속 상승 추세
04.02.202522:50
📩 삼성SDI의 미국 정부 관세정책 대응 외신 주목, "ESS용 LFP 배터리 전환"

삼성SDI는 북미 ESS 수요 성장세를 예상하고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전환하는 전략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서려 하는데 미국 정부의 중국 대상 관세를 계기로 이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SDI가 한국 ESS용 배터리 공장에 일부 라인을 기존 3원계에서 LFP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는 내용도 언급됐다. 

중국산 ESS 배터리 가격은 킬로와트시(kWh)당 101달러로 미국이나 유럽산과 비교해 3분의 2 가량 저렴하다고 알려졌다.

https://m.businesspost.co.kr/BP?command=mobile_view&idxno=382059
04.02.202509:25
2025.02.04 18:21:31
기업명: 에코프로머티(시가총액: 4조 6,864억)
보고서명: 매출액또는손익구조30%(대규모법인은15%)이상변경

재무제표 종류 : 개별

매출액 : 880억(예상치 : 771억)
영업익 : -78억(예상치 : -115억)
순이익 : -38억(예상치 : -113억)

**최근 실적 추이**
2024.4Q 880억/ -78억/ -38억
2024.3Q 659억/ -385억/ -277억
2024.2Q 667억/ -37억/ -8억
2024.1Q 792억/ -130억/ -85억
2023.4Q 1,884억/ 1억/ 44억

* 변동요인
1. 전방시장인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에 따른 판매량 감소 2. 주요 원재료인 니켈 국제 시세하락에 따른 판매단가 하락 및 재고평가손실 인식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04801181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50080
04.02.202512:08
📩LG에너지솔루션, 8000억 규모 회사채 발행

조달 자금은 양극재 구매, 채무상환, 글로벌 생산시설 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앞서 두 차례 원화 회사채를 발행했다. 2023년 1조원 규모 첫 회사채를 발행한 데 이어 작년에는 1조6000억원의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432546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