Пераслаў з: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21.04.202522:44
【LNG】 곧 40~65척 발주
# 향후 발주되는 LNG선은 한국 조선소가 전체 수주 가능할 전망
# 향후 발주되는 LNG선은 한국 조선소가 전체 수주 가능할 전망
21.04.202522:27
DS투자증권 재생에너지/미드스몰캡 Analyst 안주원, 연구원 김진형
[재생에너지] LS일렉트릭 - 실적은 성장, 주가 상승 위한 트리거 필요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70,000원(유지)
현재주가 : 176,600원(04/21)
Upside : 52.9%
▶️ 1Q25 Review: 추정치 부합한 실적
- 1분기 매출액 1.0조원(-0.6% YoY), 영업이익 873억원(-6.9% YoY) 시현
- 1) 전력 인프라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9%, +41% YoY, 2) 자동화 부문 영업이익이 대폭 개선
▶️ 데이터센터 향 매출 발생, 추가 수주 확보가 중요
- 미국 빅테크 데이터센터에 배전반과 전력기기 공급 계약(2,500억원 규모) 체결
- 해당 매출액은 올해 3월~11월에 걸쳐 모두 반영될 전망이며 영업이익률은 15% 내외로 추정
- 3월 수주는 관세 이슈 전 나온 이벤트인 만큼 진행 중인 공급 건들에 대한 추가 수주 확보가 주가 상승 트리거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70,000원 유지
- 3조원이 넘는 전력인프라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실적은 분기별로 갈수록 좋아질 전망
- 실적보다는 AI에 대한 모멘텀이 다시 살아나는 것이 중요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재생에너지] LS일렉트릭 - 실적은 성장, 주가 상승 위한 트리거 필요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70,000원(유지)
현재주가 : 176,600원(04/21)
Upside : 52.9%
▶️ 1Q25 Review: 추정치 부합한 실적
- 1분기 매출액 1.0조원(-0.6% YoY), 영업이익 873억원(-6.9% YoY) 시현
- 1) 전력 인프라 부문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9%, +41% YoY, 2) 자동화 부문 영업이익이 대폭 개선
▶️ 데이터센터 향 매출 발생, 추가 수주 확보가 중요
- 미국 빅테크 데이터센터에 배전반과 전력기기 공급 계약(2,500억원 규모) 체결
- 해당 매출액은 올해 3월~11월에 걸쳐 모두 반영될 전망이며 영업이익률은 15% 내외로 추정
- 3월 수주는 관세 이슈 전 나온 이벤트인 만큼 진행 중인 공급 건들에 대한 추가 수주 확보가 주가 상승 트리거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70,000원 유지
- 3조원이 넘는 전력인프라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실적은 분기별로 갈수록 좋아질 전망
- 실적보다는 AI에 대한 모멘텀이 다시 살아나는 것이 중요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21.04.202500:06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2032211
다분히 의도적인 기사
외국인 매출이 50% 이상 성장 중입니다. 그 수치는 빠져 있네요
외국인, 온라인, 간편결제 등 전부 빠져 있습니다.
현재 가장 고성장 분야는 외국인 오프라인, 온라인 국내 및 역직구입니다
참고로 올리브영 1분기 매출은 경상적 성장 20% 내외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분히 의도적인 기사
외국인 매출이 50% 이상 성장 중입니다. 그 수치는 빠져 있네요
외국인, 온라인, 간편결제 등 전부 빠져 있습니다.
현재 가장 고성장 분야는 외국인 오프라인, 온라인 국내 및 역직구입니다
참고로 올리브영 1분기 매출은 경상적 성장 20% 내외로 알려져 있습니다.
17.04.202522:18
[DS 글로벌전략/시황 우지연] 우글스(Woogles) 04/18(금)
■ 미-중 갈등 시리즈 1. 트럼프 팀의 우선 과제와 조건
- 트럼프 팀의 우선 과제, 낮은 수준의 금리 유지하기
- 90일 협상 마라톤에서의 우선 조건, 미 국채 매입(=부채 떠넘기기)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 미-중 갈등 시리즈 1. 트럼프 팀의 우선 과제와 조건
- 트럼프 팀의 우선 과제, 낮은 수준의 금리 유지하기
- 90일 협상 마라톤에서의 우선 조건, 미 국채 매입(=부채 떠넘기기)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15.04.202522:35
[양해정의 전략코멘트] 미중 성장경쟁과 한국의 기회
DS투자증권 투자전략 양해정
요약
■ 변화의 신호는 위안화 절상과 중국 성장률 전환
- 성장경쟁 성격이 짙은 미중 무역분쟁
- 미국은 최대 소비국, 중국은 최대 생산국으로 상호 간 과잉되는 부분은 합의 가능
■ 미국 3%룰 vs. 중국 5% 성장률
- 미국의 GDP 대비 재정적자 3% 수준, 중국의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 → 성장
- 반복 게임인 만큼 상호 간 견제 하에서 성장을 위한 협조는 불가피
■ 한국에게 기회가 될 것인가
- 과거 미국과 일본의 플라자 합의 이후 한국은 3저 호황을 경험
(일본의 수출에서 내수 중심의 경제구조로 전환, 엔화 강세 → 수출 경쟁국 한국시장 수혜)
- 이번 관세 협상에서도 플라자 합의 때와 비슷한 협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과잉 생산과 위안화 절상, 미국의 공급망 재조정 과정은 한국에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투자전략 양해정
요약
■ 변화의 신호는 위안화 절상과 중국 성장률 전환
- 성장경쟁 성격이 짙은 미중 무역분쟁
- 미국은 최대 소비국, 중국은 최대 생산국으로 상호 간 과잉되는 부분은 합의 가능
■ 미국 3%룰 vs. 중국 5% 성장률
- 미국의 GDP 대비 재정적자 3% 수준, 중국의 체제 유지를 위한 수단 → 성장
- 반복 게임인 만큼 상호 간 견제 하에서 성장을 위한 협조는 불가피
■ 한국에게 기회가 될 것인가
- 과거 미국과 일본의 플라자 합의 이후 한국은 3저 호황을 경험
(일본의 수출에서 내수 중심의 경제구조로 전환, 엔화 강세 → 수출 경쟁국 한국시장 수혜)
- 이번 관세 협상에서도 플라자 합의 때와 비슷한 협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과잉 생산과 위안화 절상, 미국의 공급망 재조정 과정은 한국에 기회가 될 것으로 판단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14.04.202522:38
[DS Defense Daily] 2025-04-15
글로벌 뉴스 체크
- 나토, 팔란티어로부터 AI 군사 시스템 도입 (NATO 팔란티어 AI 도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 WB그룹과 '천무 유도탄' 생산 합작법인 설립 계약 (유럽 현지 생산시설 구축)
- 록히드 마틴, 포병 시스템에 대한 전 세계적인 수요 속에서 HIMARS 생산량 두 배로 늘려 (HIMARS CAPA 증가)
국내외 방산 기업 주요 지표
국내 방신 기업 수주 공시 정리(2Q25)
국내 방산 기업 주요 수출 모멘텀
컨센서스 트렌드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글로벌 뉴스 체크
- 나토, 팔란티어로부터 AI 군사 시스템 도입 (NATO 팔란티어 AI 도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 WB그룹과 '천무 유도탄' 생산 합작법인 설립 계약 (유럽 현지 생산시설 구축)
- 록히드 마틴, 포병 시스템에 대한 전 세계적인 수요 속에서 HIMARS 생산량 두 배로 늘려 (HIMARS CAPA 증가)
국내외 방산 기업 주요 지표
국내 방신 기업 수주 공시 정리(2Q25)
국내 방산 기업 주요 수출 모멘텀
컨센서스 트렌드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Пераслаў з: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21.04.202522:36
【US Bottom up】 2025년 4월 22일
-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주가 20월봉 하향 돌파
- 마켓 리더는 넷플릭스, 음식료/담배(코카콜라 등), 통신(AT&T 등), 금(Harmony Gold Mining)
(1) 마이크로소프트
- City 목표주가 하향(PC시장 보수적 전망, 경기침체, 코파일럿 수요 감소, 데이터센터 우려)
- 마이크로소프트 30월봉 하향 돌파 시도 중으로 만약 하향 돌파 시 2022년의 경우 회복까지 4~5달 소요
(2) 아마존
- 아마존 1차 상품의 30% 중국 조달 -> 1차에서만 마진 10% 하락, 총 마진 2% 하락 예상
- 중국 기반 광고주가 전체 매출 14% 차지
- 아마존 20월봉 하향 돌파됨. 2022년 경우 회복까지 1년 이상 소요
(3) 넷플릭스
- 가격 인상에도 구독자 이탈 없음
- 경기 침체 방어주(강한 스트리밍 수요와 오히려 광고 사업 성장)
-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주가 20월봉 하향 돌파
- 마켓 리더는 넷플릭스, 음식료/담배(코카콜라 등), 통신(AT&T 등), 금(Harmony Gold Mining)
(1) 마이크로소프트
- City 목표주가 하향(PC시장 보수적 전망, 경기침체, 코파일럿 수요 감소, 데이터센터 우려)
- 마이크로소프트 30월봉 하향 돌파 시도 중으로 만약 하향 돌파 시 2022년의 경우 회복까지 4~5달 소요
(2) 아마존
- 아마존 1차 상품의 30% 중국 조달 -> 1차에서만 마진 10% 하락, 총 마진 2% 하락 예상
- 중국 기반 광고주가 전체 매출 14% 차지
- 아마존 20월봉 하향 돌파됨. 2022년 경우 회복까지 1년 이상 소요
(3) 넷플릭스
- 가격 인상에도 구독자 이탈 없음
- 경기 침체 방어주(강한 스트리밍 수요와 오히려 광고 사업 성장)
21.04.202522:01
DS투자증권 엔터·미디어·음식료 Analyst 장지혜, 연구원 김대성
[엔터·미디어·음식료] K Knows Z, Z Likes K
■ Global Gen Z의 취향을 저격하며 성장 중인 K-Contents
- Gen Z(1997~2012년 출생)는 25년 전 세계 인구 25%로 최대 인구 집단
- Gen Z가 경제 활동을 시작하며 소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커질 것
- 한국의 아이돌, 드라마, 화장품, 음식료품과 같은 K-Contents가 Gen Z 취향을 저격하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중
■ 엔터(Initiation): 글로벌 점유율 확대 + 엔터 기획사 역할 확대
- 1)음악 소비 시장 내 글로벌 Gen Z 비중 확대, 2)K-pop 주요 소비 시장인 동남아 경제 성장과 일본 점유율 상승, 미국/유럽/남미 진출 확대로 K-pop점유율 상승
- 주요 엔터 기획사는 메가 IP의 활발한 글로벌 활동을 기반으로 국내외 K-pop 신규 IP를 발굴하고 MD, 팬플랫폼 등 밸류체인 확장을 통해 IP 레버리지 효과 확대
-당사 엔터 신규 커버리지 4곳의 25년 합산 실적은 매출액 4.9조원(+16% YoY), 영업이익 6,238억원(+64% YoY, OPM 12.8%)으로 전망
■ 차이나[China]는 업사이드 분석
-여전히 불확실성은 높지만 한한령 해제 시 미디어는 구작 판매 및 신작 선판매로 리쿱율 상승, 엔터는 중국 공연 및 활동 증가에 따른 IP레버리지 확대로 수익성장
-최근 중국 관련 소비재(오리온, 건기식 ODM)도 중국 실적 개선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
■ 최선호주: 하이브, 스튜디오드래곤, 삼양식품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엔터·미디어·음식료] K Knows Z, Z Likes K
■ Global Gen Z의 취향을 저격하며 성장 중인 K-Contents
- Gen Z(1997~2012년 출생)는 25년 전 세계 인구 25%로 최대 인구 집단
- Gen Z가 경제 활동을 시작하며 소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점점 커질 것
- 한국의 아이돌, 드라마, 화장품, 음식료품과 같은 K-Contents가 Gen Z 취향을 저격하며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중
■ 엔터(Initiation): 글로벌 점유율 확대 + 엔터 기획사 역할 확대
- 1)음악 소비 시장 내 글로벌 Gen Z 비중 확대, 2)K-pop 주요 소비 시장인 동남아 경제 성장과 일본 점유율 상승, 미국/유럽/남미 진출 확대로 K-pop점유율 상승
- 주요 엔터 기획사는 메가 IP의 활발한 글로벌 활동을 기반으로 국내외 K-pop 신규 IP를 발굴하고 MD, 팬플랫폼 등 밸류체인 확장을 통해 IP 레버리지 효과 확대
-당사 엔터 신규 커버리지 4곳의 25년 합산 실적은 매출액 4.9조원(+16% YoY), 영업이익 6,238억원(+64% YoY, OPM 12.8%)으로 전망
■ 차이나[China]는 업사이드 분석
-여전히 불확실성은 높지만 한한령 해제 시 미디어는 구작 판매 및 신작 선판매로 리쿱율 상승, 엔터는 중국 공연 및 활동 증가에 따른 IP레버리지 확대로 수익성장
-최근 중국 관련 소비재(오리온, 건기식 ODM)도 중국 실적 개선이 나타나고 있어 주목
■ 최선호주: 하이브, 스튜디오드래곤, 삼양식품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20.04.202522:34
DS와 함께하는 Weekly TalkTalk Vol. 213
[주요 뉴스 및 코멘트]
(1) 조선: 중국 조선업 제재, LNG선 발주 증가, 미국 해양 방산 및 해양 플랜트 발주 증가 예상
(2) 제약/바이오: AACR LBA 초록 발표
(3) 자동차: 부품 관세 축소 시 긍정적 주가 흐름 기대
(4) 2차전지: 관세 불확실성 상존 중으로 주가 변동성 확대 구간 지속
(5) IT/전기전자: 관세 불확실성 해소. 직접적인 영향을 피해간 스마트폰 밸류체인들에 대한 실적 중심 선별적 접근 유효
(6) 반도체: 4/24 SK하이닉스 실적발표 전망, 컨센서스 상회하는 호실적 발표할 것으로 기대
(7) 대체투자 이슈
(8) 기업 및 산업 뉴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주요 뉴스 및 코멘트]
(1) 조선: 중국 조선업 제재, LNG선 발주 증가, 미국 해양 방산 및 해양 플랜트 발주 증가 예상
(2) 제약/바이오: AACR LBA 초록 발표
(3) 자동차: 부품 관세 축소 시 긍정적 주가 흐름 기대
(4) 2차전지: 관세 불확실성 상존 중으로 주가 변동성 확대 구간 지속
(5) IT/전기전자: 관세 불확실성 해소. 직접적인 영향을 피해간 스마트폰 밸류체인들에 대한 실적 중심 선별적 접근 유효
(6) 반도체: 4/24 SK하이닉스 실적발표 전망, 컨센서스 상회하는 호실적 발표할 것으로 기대
(7) 대체투자 이슈
(8) 기업 및 산업 뉴스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16.04.202522:55
Пераслаў з:
DS 경제 김준영

15.04.202522:23
[DS 경제 김준영] Chart That Matters Vol.6
■ Chart That Matters
- 미국 고용, 균열이 커져가는 중
- 대출 시장 축소 (공급 & 수요 모두 감소)
- 미국 주택시장 센티는 나쁨
- 관세에도 소비가 좋을 수 없음 (2023~24년 H4L과 다름)
- 2018~19년과 유사한 GDP 경로
- 변동성 확대, 달러 약세
- 채권 시장에서 반응하는 경기 펀더멘탈 둔화
- 트럼프에게는 2가지 선택지가 있음, 관세 or 감세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 Chart That Matters
- 미국 고용, 균열이 커져가는 중
- 대출 시장 축소 (공급 & 수요 모두 감소)
- 미국 주택시장 센티는 나쁨
- 관세에도 소비가 좋을 수 없음 (2023~24년 H4L과 다름)
- 2018~19년과 유사한 GDP 경로
- 변동성 확대, 달러 약세
- 채권 시장에서 반응하는 경기 펀더멘탈 둔화
- 트럼프에게는 2가지 선택지가 있음, 관세 or 감세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Пераслаў з:
DS Tech 이수림, 김진형

14.04.202522:10
DS투자증권 반도체 Analyst 이수림, 연구원 김진형
[반도체] SK하이닉스 - 1Q25 Pre: 고성능 포트폴리오가 더욱 부각될 것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0원(유지)
현재주가 : 180,200원(04/14)
Upside : 60.9%
1. 1Q25 Preview: 컨센서스 5% 상회 전망
- SK하이닉스 1Q25 영업이익 6.9조원으로 컨센서스 6.5조원 5% 상회 전망
- DRAM B/G 전분기 대비 -10%, ASP -3% 감소
- NAND B/G -18% 감소와 ASP -6% 감소 추정
- 고객사 일정으로 인해 HBM 매출은 전분기 대비 -21% 감소, 2Q25부터 회복하여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110% 성장할 것
2. 빨라진 메모리 가격 반등 시점
- DDR5 가격이 2Q25부터 반등할 것으로 추정, 이에 따라 2분기 DRAM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7.4조원에서 8조원으로 상향 조정
- 하반기 세트 수요의 지속 증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나 상반기는 확실히 가격 상승 흐름이 이어진다는 판단
3. 실적 감안 시 현재 주가는 저평가
-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35조원에서 36.4조원으로 상향 조정
- 관세 리스크가 부각될수록 고성능 메모리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동사의 실적 안정성이 두각을 나타낼 것
- HBM은 장기 공급계약으로 가격 변동성이 낮고 서버용 DDR5 역시 수요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
- HBM의 이익 기여도가 2025년 기준 45% 이상으로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반도체] SK하이닉스 - 1Q25 Pre: 고성능 포트폴리오가 더욱 부각될 것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290,000원(유지)
현재주가 : 180,200원(04/14)
Upside : 60.9%
1. 1Q25 Preview: 컨센서스 5% 상회 전망
- SK하이닉스 1Q25 영업이익 6.9조원으로 컨센서스 6.5조원 5% 상회 전망
- DRAM B/G 전분기 대비 -10%, ASP -3% 감소
- NAND B/G -18% 감소와 ASP -6% 감소 추정
- 고객사 일정으로 인해 HBM 매출은 전분기 대비 -21% 감소, 2Q25부터 회복하여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110% 성장할 것
2. 빨라진 메모리 가격 반등 시점
- DDR5 가격이 2Q25부터 반등할 것으로 추정, 이에 따라 2분기 DRAM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7.4조원에서 8조원으로 상향 조정
- 하반기 세트 수요의 지속 증가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나 상반기는 확실히 가격 상승 흐름이 이어진다는 판단
3. 실적 감안 시 현재 주가는 저평가
- 2025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35조원에서 36.4조원으로 상향 조정
- 관세 리스크가 부각될수록 고성능 메모리 위주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한 동사의 실적 안정성이 두각을 나타낼 것
- HBM은 장기 공급계약으로 가격 변동성이 낮고 서버용 DDR5 역시 수요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을 것
- HBM의 이익 기여도가 2025년 기준 45% 이상으로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반도체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semicon
21.04.202522:30
[DS 투자증권 재생에너지/미드스몰캡 안주원]
미국, 동남아시아 우회 태양광 수입품 관세 확정
중국 태양광 기업들 대상으로 제재
이미 동남아시아로부터 수입되는 물량 급감 중이나 최종 쐐기를 박음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us-commerce-dept-finalizes-tariff-rates-solar-goods-southeast-asia-2025-04-21/
미국, 동남아시아 우회 태양광 수입품 관세 확정
중국 태양광 기업들 대상으로 제재
이미 동남아시아로부터 수입되는 물량 급감 중이나 최종 쐐기를 박음
https://www.reuters.com/sustainability/climate-energy/us-commerce-dept-finalizes-tariff-rates-solar-goods-southeast-asia-2025-04-21/
21.04.202522:00
DS투자증권 연구원 김진형, 미드스몰캡/재생에너지 Analyst 안주원
[미드스몰캡] 아스테라시스 - 도약을 위한 한 걸음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원(유지)
현재주가 : 9,860원(04/21)
Upside : 21.7%
1) 1Q25 Pre: 성장을 위한 발판
- 1Q25F 매출액 69억원(+95.8% YoY), 영업이익 2억원(흑자전환 YoY, OPM 3.6%) 전망
- 1) 상장 관련 일회성 비용과, 2) 미용의료기기 전시회와 관련하여 지출된 비용의 반영에 기인
- 1분기 집중되는 전시회 이후 2분기부터 구매결정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하반기로 갈수록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전망
2) 신규 장비 붐은 계속된다
- 쿨페이즈가 포함된 RF 장비군의 2025년 매출 비중은 46%로 예상
- 쿨페이즈 이후의 신규 장비들의 인증 절차도 순조롭게 진행 중
- 쿨소닉의 연내 미국 FDA 승인은 기존 울쎄라가 특허를 가지고 있는 라인타입이 아닌 펜타입을 채용한 만큼 가시성이 높다는 판단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000원 유지
- 1분기에 예상되는 실적 부진은 계절적 요인과 일회성 비용들의 반영에서 비롯
- 2분기 이후의 실적에서 동사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미드스몰캡] 아스테라시스 - 도약을 위한 한 걸음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2,000원(유지)
현재주가 : 9,860원(04/21)
Upside : 21.7%
1) 1Q25 Pre: 성장을 위한 발판
- 1Q25F 매출액 69억원(+95.8% YoY), 영업이익 2억원(흑자전환 YoY, OPM 3.6%) 전망
- 1) 상장 관련 일회성 비용과, 2) 미용의료기기 전시회와 관련하여 지출된 비용의 반영에 기인
- 1분기 집중되는 전시회 이후 2분기부터 구매결정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하반기로 갈수록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전망
2) 신규 장비 붐은 계속된다
- 쿨페이즈가 포함된 RF 장비군의 2025년 매출 비중은 46%로 예상
- 쿨페이즈 이후의 신규 장비들의 인증 절차도 순조롭게 진행 중
- 쿨소닉의 연내 미국 FDA 승인은 기존 울쎄라가 특허를 가지고 있는 라인타입이 아닌 펜타입을 채용한 만큼 가시성이 높다는 판단
3)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000원 유지
- 1분기에 예상되는 실적 부진은 계절적 요인과 일회성 비용들의 반영에서 비롯
- 2분기 이후의 실적에서 동사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Пераслаў з:
DS 경제 김준영

20.04.202522:18
[DS 경제 김준영] 준클리 04/21(월)
무역수지를 줄이면 채권 수급은?
■ 트럼프의 정책은 채권 수급에 비우호적
- 트럼프는 무역수지를 줄이고 제조업 강화 계획. 글로벌 시장에 달러 공급 감소 가능성
- 달러 공급 감소 → 미국 국채 수요 감소 가능성 : 외국인 투자자는 채권 수급
- 미국 기업과 가계는 채권보다 주식 선호 경향
- 경상수지 적자 축소 → 외국인의 미국 국채 매수 약화 예상 → 정부는 관세·제조업 강화로 세수 보완 필요
- DOGE의 예산 절감 목표 계획은 순조롭지 않음
- 내년 중간선거 전 감세 추진 가능성 → 과도한 관세율 설정은 제한적일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무역수지를 줄이면 채권 수급은?
■ 트럼프의 정책은 채권 수급에 비우호적
- 트럼프는 무역수지를 줄이고 제조업 강화 계획. 글로벌 시장에 달러 공급 감소 가능성
- 달러 공급 감소 → 미국 국채 수요 감소 가능성 : 외국인 투자자는 채권 수급
- 미국 기업과 가계는 채권보다 주식 선호 경향
- 경상수지 적자 축소 → 외국인의 미국 국채 매수 약화 예상 → 정부는 관세·제조업 강화로 세수 보완 필요
- DOGE의 예산 절감 목표 계획은 순조롭지 않음
- 내년 중간선거 전 감세 추진 가능성 → 과도한 관세율 설정은 제한적일 전망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16.04.202522:53
두산 실트론 인수설 사실 무근이라고 합니다
Пераслаў з:
DS 인터넷/게임 최승호

15.04.202522:20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최승호, RA 김대성
[인터넷/AI산업] 국내 AI 반격의 서막: AGENT로 승부
투자의견:비중확대(신규)
▶️국내 AI 기술: 기술격차는 더 깊어질 전망
-국내 AI 적절한 평가법으로 LMSYS(유저평가)을 제시
- 벤치마크를 세워 국내오픈소스 AI(카카오/LG)와 글로벌 오픈소스AI를 직접 사용해보며 비교함.
-국내AI: Llama3와는 비교할 수 있는 수준, DEEPSEEK와 비교는 무리.
-국내 AI 절대적 수준은 많이 올라왔으나, 자본투입 격차로 글로벌 AI와 격차 못 좁힐 것으로 전망
▶️국내 AI 서비스: 외부 LLM을 차용한 서비스화에 집중한다면 승산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양태는 다를 수 있음
-원천기술인 LLM을 빌려오고, 서비스에 집중하는 우월전략 존재
-국내/글로벌 AI 기술격차는 LLM을 빌려오며 해결됨
-글로벌 TOP20 AI서비스, 외부모델 활용케이스가 60%
-AI 서비스 주도권은 플랫폼 과점하고 있는 국내에게 있음
-AI Agent에서는 데이터와 기존 버티컬 서비스의 유기적 연결이 더 중요할 것
-이미 국내 생성형 AI 서비스 국내사 점유율 30%를 상회
-28년까지 AI 챗봇/AGENT 시장 4.4조원까지 CAGR 110%성장 전망, 국내 과점 예상
▶️국내 AI 수익화: 비용감소/MCP, A2A/초개인화 광고커머스로 수익 본격화
-3가지 이유로 올해부터 AI 서비스 본격적인 수익화 전망
1)AI 서비스 비용 감소, 장기적으로 매출에서 API원가 10%하회 전망
2)MCP/A2A 확산으로 AI AGENT 상용화 시기 앞 당겨질 전망
3)초개인화된 AI 광고/커머스 등장으로 P/Q 동반 개선
▶️Top-pick: NAVER, 차선호주: 카카오
-AI 전략은 카카오가 네이버를 앞섬
-OPENAI와 협업선택, 하반기 AI AGENT 출시 등 전략 및 속도 우수
-그러나 세부정보 공개가 아직 없어 정밀평가 어려움
-반면 네이버는 온서비스 AI 전략을 통해 광고/커머스 성장 가시화
-퍼스트파티 데이터 풍부하고, 다목적형 플랫폼이기에 AI AGENT 서비스에 더 유리
-네이버 AI AGENT는 준비단계로 파악, 추후 구체화 시 가장 큰 시너지 발생 예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ssi_game
[인터넷/AI산업] 국내 AI 반격의 서막: AGENT로 승부
투자의견:비중확대(신규)
▶️국내 AI 기술: 기술격차는 더 깊어질 전망
-국내 AI 적절한 평가법으로 LMSYS(유저평가)을 제시
- 벤치마크를 세워 국내오픈소스 AI(카카오/LG)와 글로벌 오픈소스AI를 직접 사용해보며 비교함.
-국내AI: Llama3와는 비교할 수 있는 수준, DEEPSEEK와 비교는 무리.
-국내 AI 절대적 수준은 많이 올라왔으나, 자본투입 격차로 글로벌 AI와 격차 못 좁힐 것으로 전망
▶️국내 AI 서비스: 외부 LLM을 차용한 서비스화에 집중한다면 승산 있다
-그러나 서비스의 양태는 다를 수 있음
-원천기술인 LLM을 빌려오고, 서비스에 집중하는 우월전략 존재
-국내/글로벌 AI 기술격차는 LLM을 빌려오며 해결됨
-글로벌 TOP20 AI서비스, 외부모델 활용케이스가 60%
-AI 서비스 주도권은 플랫폼 과점하고 있는 국내에게 있음
-AI Agent에서는 데이터와 기존 버티컬 서비스의 유기적 연결이 더 중요할 것
-이미 국내 생성형 AI 서비스 국내사 점유율 30%를 상회
-28년까지 AI 챗봇/AGENT 시장 4.4조원까지 CAGR 110%성장 전망, 국내 과점 예상
▶️국내 AI 수익화: 비용감소/MCP, A2A/초개인화 광고커머스로 수익 본격화
-3가지 이유로 올해부터 AI 서비스 본격적인 수익화 전망
1)AI 서비스 비용 감소, 장기적으로 매출에서 API원가 10%하회 전망
2)MCP/A2A 확산으로 AI AGENT 상용화 시기 앞 당겨질 전망
3)초개인화된 AI 광고/커머스 등장으로 P/Q 동반 개선
▶️Top-pick: NAVER, 차선호주: 카카오
-AI 전략은 카카오가 네이버를 앞섬
-OPENAI와 협업선택, 하반기 AI AGENT 출시 등 전략 및 속도 우수
-그러나 세부정보 공개가 아직 없어 정밀평가 어려움
-반면 네이버는 온서비스 AI 전략을 통해 광고/커머스 성장 가시화
-퍼스트파티 데이터 풍부하고, 다목적형 플랫폼이기에 AI AGENT 서비스에 더 유리
-네이버 AI AGENT는 준비단계로 파악, 추후 구체화 시 가장 큰 시너지 발생 예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인터넷/게임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ssi_game
Пераслаў з: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14.04.202500:01
https://energynews.pro/en/ge-vernova-partners-with-iraq-on-24000-mw-natural-gas-power-project/
【AI, LNG, 가스발전】 GE Vernova
24기가와트(엄청난 규모) 가스발전 계약 체결. 이라크는 이란에서 가스 수입하고 있으나 최근 가스 공급이 불안정하고, 미국은 이란 가스 수입 중단 압박. 이라크는 LNG 수입 터미널 건설 중
# 현재 가스터빈 캐파 부족으로 미국/유럽의 전력 이슈가 AI 산업 성장의 허들로 작용 중
# 젠슨 황이 발표한 Rubin Ultra는 NVL576랙에 576개의 GPU 탑재하기 때문에 전력 5배 이상 소모(전력 이슈 해소 필요)
# 시클리컬 특성 상 가스터빈 대규모 증설은 반드시 나올 것 => AI 산업 성장 => LNG 성장
【AI, LNG, 가스발전】 GE Vernova
24기가와트(엄청난 규모) 가스발전 계약 체결. 이라크는 이란에서 가스 수입하고 있으나 최근 가스 공급이 불안정하고, 미국은 이란 가스 수입 중단 압박. 이라크는 LNG 수입 터미널 건설 중
# 현재 가스터빈 캐파 부족으로 미국/유럽의 전력 이슈가 AI 산업 성장의 허들로 작용 중
# 젠슨 황이 발표한 Rubin Ultra는 NVL576랙에 576개의 GPU 탑재하기 때문에 전력 5배 이상 소모(전력 이슈 해소 필요)
# 시클리컬 특성 상 가스터빈 대규모 증설은 반드시 나올 것 => AI 산업 성장 => LNG 성장
21.04.202522:28
[DS 글로벌전략/시황 우지연] 우글스(Woogles) 04/22(화)
■ 미-중 갈등 시리즈 2. 중국의 미국채 매도 카드, 실효성은?
- 중국의 미국채 매도 관련 논란에 대한 Fact Check
- 중국의 미국채 점유율 축소로 파급력 또한 약화
- 경기 구조적 제약으로 공격적(단기간 +대규모)인 매도 여력도 크지 않음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 미-중 갈등 시리즈 2. 중국의 미국채 매도 카드, 실효성은?
- 중국의 미국채 매도 관련 논란에 대한 Fact Check
- 중국의 미국채 점유율 축소로 파급력 또한 약화
- 경기 구조적 제약으로 공격적(단기간 +대규모)인 매도 여력도 크지 않음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 https://t.me/DSInvResearch
21.04.202500:15
만약 CJ주가가 많이 빠진 상태로 올리브영 합병 시도시 대부분 주주들이 반대할겁니다.
17.04.202522:25
[양해정의 전략코멘트] 미국의 달러화 재조정 시기 주가 흐름
DS투자증권 투자전략 양해정
요약
- 과거 글로벌 재조정 시기(1971년, 1985년) 공통점 = 재정적자 규모가 컸음
- 지금도 코로나 팬데믹으로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재정적자 규모가 큼
- 재정적자 축소 이행은 달러화 자산의 신뢰와 연결된 문제
- 이번에도 관세라는 수단은 결국 재정적자를 보충하는 데에 더 중점을 둔 것
- 이러한 달러화 재조정 시기 주식시장은 초반에는 변동성, 중기적으로는 괜찮은 성과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DS투자증권 투자전략 양해정
요약
- 과거 글로벌 재조정 시기(1971년, 1985년) 공통점 = 재정적자 규모가 컸음
- 지금도 코로나 팬데믹으로 대규모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재정적자 규모가 큼
- 재정적자 축소 이행은 달러화 자산의 신뢰와 연결된 문제
- 이번에도 관세라는 수단은 결국 재정적자를 보충하는 데에 더 중점을 둔 것
- 이러한 달러화 재조정 시기 주식시장은 초반에는 변동성, 중기적으로는 괜찮은 성과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16.04.202522:36
[DS Defense Daily] 2025-04-17
글로벌 뉴스 체크
- 벨기에, NATO 국방비 목표 달성 위해 힘써 (벨기에 국방비 증가)
- 유럽 F-35 운용국들, 미국이 킬 스위치 불안을 일축함에 따라 예비 부품 계약 체결 (F-35 예비 부품 계약)
- 안두릴, 군으로부터 MS의 IVAS 프로젝트 인수 승인 (안두릴 미 군사 시장 진출 가속화)
국내외 방산 기업 주요 지표
국내 방신 기업 수주 공시 정리(2Q25)
국내 방산 기업 주요 수출 모멘텀
컨센서스 트렌드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글로벌 뉴스 체크
- 벨기에, NATO 국방비 목표 달성 위해 힘써 (벨기에 국방비 증가)
- 유럽 F-35 운용국들, 미국이 킬 스위치 불안을 일축함에 따라 예비 부품 계약 체결 (F-35 예비 부품 계약)
- 안두릴, 군으로부터 MS의 IVAS 프로젝트 인수 승인 (안두릴 미 군사 시장 진출 가속화)
국내외 방산 기업 주요 지표
국내 방신 기업 수주 공시 정리(2Q25)
국내 방산 기업 주요 수출 모멘텀
컨센서스 트렌드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15.04.202522:09
DS투자증권 미드스몰캡/재생에너지 Analyst 안주원, 연구원 김진형
[미드스몰캡] CJ대한통운 - 실망보다는 다가오는 성장에 기대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30,000원(유지)
현재주가 : 82,600원(04/15)
Upside : 57.4%
▶️ 1Q25 Preview: 택배 부문 부진 영향 커
- 1Q25 매출액 2.9조원(+0.1% YoY)과 영업이익 901억원(-17.7% YoY) 추정
- 1) 내소 소비 악화에 따른 물동량 감소, 2) 주7일 프로모션 영향으로 인한 택배 부문의 실적 부진이 전사 이익 감소에 가장 큰 영향
▶️ 택배 물동량 2분기부터 증가할 것
- 2분기부터 주7일 배송 서비스에 의한 본격적인 물동량 증대 + 택배비 인상 효과 기대 가능
- 전국 택배망 확보, 빠른 서비스 다변화,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비용 절감 등 경쟁사 대비 우월한 역량으로 M/S 확대 기대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30,000원 유지
- 3PL 시장이 커지면서 동사는 시장 둔화에도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입지 높여가는 중
- 또한 최근 국내 경쟁사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중단
- 동사와 같이 대규모 자금의 지속적 투자가 가능한 소수 업체만이 기회 누릴 것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미드스몰캡] CJ대한통운 - 실망보다는 다가오는 성장에 기대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30,000원(유지)
현재주가 : 82,600원(04/15)
Upside : 57.4%
▶️ 1Q25 Preview: 택배 부문 부진 영향 커
- 1Q25 매출액 2.9조원(+0.1% YoY)과 영업이익 901억원(-17.7% YoY) 추정
- 1) 내소 소비 악화에 따른 물동량 감소, 2) 주7일 프로모션 영향으로 인한 택배 부문의 실적 부진이 전사 이익 감소에 가장 큰 영향
▶️ 택배 물동량 2분기부터 증가할 것
- 2분기부터 주7일 배송 서비스에 의한 본격적인 물동량 증대 + 택배비 인상 효과 기대 가능
- 전국 택배망 확보, 빠른 서비스 다변화,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한 비용 절감 등 경쟁사 대비 우월한 역량으로 M/S 확대 기대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30,000원 유지
- 3PL 시장이 커지면서 동사는 시장 둔화에도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입지 높여가는 중
- 또한 최근 국내 경쟁사는 새벽배송 서비스를 중단
- 동사와 같이 대규모 자금의 지속적 투자가 가능한 소수 업체만이 기회 누릴 것
DS투자증권 리서치 텔레그램 링크: https://t.me/DSInvResearch
Пераслаў з:
DS 양형모의 중공업/미국

13.04.202523:37
https://www.rigzone.com/news/us_doe_eases_restrictions_on_requests_for_lng_export_start_date_extensions-07-apr-2025-180158-article/?rss=true
【LNG】 미국 에너지부 이미 수출 개시가 지나간 프로젝트에 대해 바이든 정부에서 제한하던 기한 연장 정책을 다시 되살리며 유연성 제공. 모든 미국 LNG 프로젝트 되살아날 전망
【LNG】 미국 에너지부 이미 수출 개시가 지나간 프로젝트에 대해 바이든 정부에서 제한하던 기한 연장 정책을 다시 되살리며 유연성 제공. 모든 미국 LNG 프로젝트 되살아날 전망
Паказана 1 - 24 з 663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