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fb8e91c7-b45b-4cb4-83a3-08b92ce35d95.jpg%3Fw%3D240%26h%3D240&w=640&q=75)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Quant 김경훈 CAIA, FRM, CFA
aimhigh2027@daolfn.com
aimhigh2027@daolfn.com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Apr 09, 2017
Дадана ў TGlist
Sep 18, 2024Прыкрепленая група
Апошнія публікацыі ў групе "[DAOL퀀트 김경훈] 탑다운 전략"
22.04.202504:34
# 시장이 과매도 국면서 헤매는 시간 ⏰
상단 차트는 2005년 이후 KOSPI의 단기저점이 장지저점 레벨을 밑돌 때 (i.e. -2 Sig × 변동성 > -1 Sig × 변동성) 증시가 바닥에서 평균적으로 헤매는 기간을 도표화 한 차트입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기간은 약 368일 정도이며, 여기에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외 유럽발 재정위기와 같은 여러 국면들이 포함됩니다.
이번 KOSPI의 "과매도" 국면은 올해 2월부터 시작됐으며, 현재 60일차를 막 지난 상황입니다.
👉 증시가 여전히 장기간 답보라면, "NON-CYCLICAL DEFENSIVE!"
상단 차트는 2005년 이후 KOSPI의 단기저점이 장지저점 레벨을 밑돌 때 (i.e. -2 Sig × 변동성 > -1 Sig × 변동성) 증시가 바닥에서 평균적으로 헤매는 기간을 도표화 한 차트입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상태의 유지기간은 약 368일 정도이며, 여기에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외 유럽발 재정위기와 같은 여러 국면들이 포함됩니다.
이번 KOSPI의 "과매도" 국면은 올해 2월부터 시작됐으며, 현재 60일차를 막 지난 상황입니다.
👉 증시가 여전히 장기간 답보라면, "NON-CYCLICAL DEFENSIVE!"


21.04.202522:53
# 관세 업데이트: 비관세 부정행위 - 4월 22일
■ 트럼프 대통령, 전 세계가 미국을 상대로 ‘비관세 부정행위’를 하고 있다며 8가지 비관세장벽을 직접 언급
* 환율 조작
* 관세 및 수출 보조금 역할 하는 부가가치세
* 원가보다 낮은 덤핑
* 수출 보조금 및 정부 보조금
* 농업 기준 (ex. EU의 유전자 변형 옥수수 수입 금지)
* 기술 표준 (ex. 일본의 볼링공 테스트)
* 위조, 불법 복제 및 지식재산권(IP) 도용
* 관세 회피 위한 환적
* 지난 9일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당 위안화를 7.2066위안으로 절하 고시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6거래일 연속 내린 것으로 2010년 이후 위안화 가치가 최약세를 기록
* 볼링공 테스트는 약 6m 높이에서 볼링공을 자동차 후드에 떨어뜨리는 자동차 안전성 시험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미국산 자동차가 일본 소비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일본이 사용하는 술책이라고 비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24일 오후 9시 (KST)에 예고했던 한미 2+2 통상협의가 열릴 예정이라 밝히며 무역균형, 조선, LNG 등 3대 분야를 한미 상호 간의 관심 사항이라 구체적으로 언급
■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차그룹,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MOU'를 통해 현대제철이 미국에 짓기로 한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가 지분 투자를 통해 동업자가 된다는 내용을 공식화
■ 트럼프 대통령, 파월 연준 의장을 중대 실패자(a major loser)라 칭하며 금리 인하를 하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재차 경고
■ 중국, 작년 8월 이후 매달 미국산 대두와 옥수수 구매 계약을 여러 건 체결했지만 지난 1월부터 예약 구매를 중단
(자료 원본 ☞ https://buly.kr/BeK7joN)
■ 트럼프 대통령, 전 세계가 미국을 상대로 ‘비관세 부정행위’를 하고 있다며 8가지 비관세장벽을 직접 언급
* 환율 조작
* 관세 및 수출 보조금 역할 하는 부가가치세
* 원가보다 낮은 덤핑
* 수출 보조금 및 정부 보조금
* 농업 기준 (ex. EU의 유전자 변형 옥수수 수입 금지)
* 기술 표준 (ex. 일본의 볼링공 테스트)
* 위조, 불법 복제 및 지식재산권(IP) 도용
* 관세 회피 위한 환적
* 지난 9일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당 위안화를 7.2066위안으로 절하 고시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6거래일 연속 내린 것으로 2010년 이후 위안화 가치가 최약세를 기록
* 볼링공 테스트는 약 6m 높이에서 볼링공을 자동차 후드에 떨어뜨리는 자동차 안전성 시험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미국산 자동차가 일본 소비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일본이 사용하는 술책이라고 비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24일 오후 9시 (KST)에 예고했던 한미 2+2 통상협의가 열릴 예정이라 밝히며 무역균형, 조선, LNG 등 3대 분야를 한미 상호 간의 관심 사항이라 구체적으로 언급
■ 포스코홀딩스와 현대차그룹, '철강 및 이차전지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MOU'를 통해 현대제철이 미국에 짓기로 한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가 지분 투자를 통해 동업자가 된다는 내용을 공식화
■ 트럼프 대통령, 파월 연준 의장을 중대 실패자(a major loser)라 칭하며 금리 인하를 하지 않으면 경기 둔화가 있을 수 있다고 재차 경고
■ 중국, 작년 8월 이후 매달 미국산 대두와 옥수수 구매 계약을 여러 건 체결했지만 지난 1월부터 예약 구매를 중단
(자료 원본 ☞ https://buly.kr/BeK7joN)


20.04.202522:57
# 관세 업데이트: 곧 시작하는 한국과의 협상 - 4월 21일
■ 이번 주 워싱턴에서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가 양국 재무 장관과 통상 분야 수장이 함께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열릴 예정
*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하고, 미국 측에서는 베선트 재무장관과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참석 예정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9배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 미국 측은 관세에 방위비까지 포괄하는 '원스톱 쇼핑 협상'을 추구 할 예측이지만 대한민국은 통상과 안보를 분리하고, 우선 통상 주제에만 집중하겠다는 입장
* 안덕근 장관, 트럼프 대통령이 각별히 챙기는 한미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문제는 관세 최소화 목표 달성을 위한 협상 카드이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대한민국과 가까이에 있는 알래스카에 안정적인 LNG 공급처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카드라고 발언
* 최상목 경제부총리, 6월 3일 조기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현재는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상하고 장기 국익이 걸린 중요한 부분은 새 정부가 출범하면 최종 결정하는것이 옳다고 밝힘
■ 일본,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한 쌀 시장의 비관세 장벽과 미 자동차의 대일본 수출이 저조한 것을 수용해 미국산 쌀 수입 확대와 자동차 검사 간소화 등을 검토 중
■ EU, 대미 관세협상 개시 직전 애플과 메타의 디지털 규제 위반에 따른 제재 발표를 연기 발표. 이는 본격 관세 협상 개시 전 미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판단
■ 월스트리트저널, 중국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에 보복 조치로 포드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최대 150%까지 올라감에 따라 포드는 F-150 랩터, 머스탱, 브롱코 SUV, 링컨 내비게이터 등의 차량의 중국 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
(자료 원본 ☞ https://buly.kr/5q770QW)
■ 이번 주 워싱턴에서 한미 고위급 통상협의가 양국 재무 장관과 통상 분야 수장이 함께 참여하는 '2+2' 형식으로 열릴 예정
*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하고, 미국 측에서는 베선트 재무장관과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참석 예정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을 9배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 미국 측은 관세에 방위비까지 포괄하는 '원스톱 쇼핑 협상'을 추구 할 예측이지만 대한민국은 통상과 안보를 분리하고, 우선 통상 주제에만 집중하겠다는 입장
* 안덕근 장관, 트럼프 대통령이 각별히 챙기는 한미 조선 협력과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문제는 관세 최소화 목표 달성을 위한 협상 카드이며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대한민국과 가까이에 있는 알래스카에 안정적인 LNG 공급처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카드라고 발언
* 최상목 경제부총리, 6월 3일 조기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현재는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상하고 장기 국익이 걸린 중요한 부분은 새 정부가 출범하면 최종 결정하는것이 옳다고 밝힘
■ 일본,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한 쌀 시장의 비관세 장벽과 미 자동차의 대일본 수출이 저조한 것을 수용해 미국산 쌀 수입 확대와 자동차 검사 간소화 등을 검토 중
■ EU, 대미 관세협상 개시 직전 애플과 메타의 디지털 규제 위반에 따른 제재 발표를 연기 발표. 이는 본격 관세 협상 개시 전 미국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판단
■ 월스트리트저널, 중국 정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에 보복 조치로 포드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최대 150%까지 올라감에 따라 포드는 F-150 랩터, 머스탱, 브롱코 SUV, 링컨 내비게이터 등의 차량의 중국 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
(자료 원본 ☞ https://buly.kr/5q770QW)


19.04.202510:58
# 쉬어가는 코너 - "억만장자가 마이크 췍 하는 방법"
핫 둘이 아닌,
백만 이백만,,,우린 큰 숫자만 얘기하니까 🎵
핫 둘이 아닌,
백만 이백만,,,우린 큰 숫자만 얘기하니까 🎵


17.04.202522:55
# 관세 업데이트: 순조로운 관세 협상? - 4월 18일
■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방문한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를 EU 대표자로 간주하고 미국과 EU는 공정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100% 믿는다 강조
* 멜로니 총리는 유럽 내에서도 대표적인 친(親)트럼프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20%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만나는 유럽 정상
* EU 집행위원회, 모든 유럽 국가의 대미 접촉을 환영하지만 유럽의 무역 정책을 총괄하는 건 EU라고 강조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미국과 대화하고 싶어하고 미국과 중국은 매우 좋은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매일 중국을 언급 중
■ 트럼프 대통령,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인플레이션 우려 등 미 경제에 경고음을 울리자 파월 연준 의장의 해임은 빠를수록 좋다며 압박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대 중국 반도체 수출을 강화한 가운데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하여 계속 중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힘
■ 베선트 재무장관, 이른바 빅15이라 불리는 나라들과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며 다음주에 백악관 방문 예정인 한국을 언급
■ 작일 미국에서 개최된 미·일 첫 관세 협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의 방위비 확대를 공개적으로 요구
(자료 원본 ☞ https://buly.kr/9tAWTiH)
■ 트럼프 대통령, 미국을 방문한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를 EU 대표자로 간주하고 미국과 EU는 공정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고 100% 믿는다 강조
* 멜로니 총리는 유럽 내에서도 대표적인 친(親)트럼프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EU에 20%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처음으로 만나는 유럽 정상
* EU 집행위원회, 모든 유럽 국가의 대미 접촉을 환영하지만 유럽의 무역 정책을 총괄하는 건 EU라고 강조
■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가 미국과 대화하고 싶어하고 미국과 중국은 매우 좋은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매일 중국을 언급 중
■ 트럼프 대통령,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인플레이션 우려 등 미 경제에 경고음을 울리자 파월 연준 의장의 해임은 빠를수록 좋다며 압박
■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대 중국 반도체 수출을 강화한 가운데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하여 계속 중국과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힘
■ 베선트 재무장관, 이른바 빅15이라 불리는 나라들과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며 다음주에 백악관 방문 예정인 한국을 언급
■ 작일 미국에서 개최된 미·일 첫 관세 협상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의 방위비 확대를 공개적으로 요구
(자료 원본 ☞ https://buly.kr/9tAWTiH)


17.04.202512:46
# 트럼프가 바꿔놓은 경제학 🤯
ECB는 예정대로 피봇 이후 7번째 금리인하
FED와 BOJ는 관세 불확실성으로 각각 추가 금리 인하 및 인상 속도조절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유로 초약세, 엔만 강세 나타나야 하겠으나 미국은 위안 절하한 중국과의 자존심 대결 심화로 유로만 나홀로 강세를 보이는 비정상 국면 (i.e. 2021년 이후 최고치)
👉 하반기 글로벌 침체 개연성 시각을 유지한다면, 향후 업사이드 가장 큰 환율은 엔 + 달러!🔥
ECB는 예정대로 피봇 이후 7번째 금리인하
FED와 BOJ는 관세 불확실성으로 각각 추가 금리 인하 및 인상 속도조절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유로 초약세, 엔만 강세 나타나야 하겠으나 미국은 위안 절하한 중국과의 자존심 대결 심화로 유로만 나홀로 강세를 보이는 비정상 국면 (i.e. 2021년 이후 최고치)
👉 하반기 글로벌 침체 개연성 시각을 유지한다면, 향후 업사이드 가장 큰 환율은 엔 + 달러!🔥
16.04.202522:55
# 관세 업데이트: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 4월 17일
■ 미국, 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 H20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을 상대로 부과한 첫 수출 제한 사례
* H20 칩은 그간 미국 정부의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중국에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최고급 사양의 AI 칩
* 엔비디아는 기업들에게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라고 압박해 온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미국에서 향후 4년간 최대 5천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를 피하지 못함
■ 로이터 통신,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과열되면서 사이버캡과 전기 트럭 '세미' 등 테슬라 모델 제조에 쓰이는 중국산 부품 운송 계획이 중단됐다고 보도
■ 트럼프 대통령, 미일 관세 협상이 끝난 후 큰 진전 (big progress)이였고 일본 무역 대표단과 만나서 큰 영광이라 밝힘
* 미국과 일본은 협상과정에서 관세, 군사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 등을 논의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직접 협상에 참여
* 내주 최상목 경제부총리의 미국 방문에 앞서 한국에도 의미 있는 참고자료가 될 예정
■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트럼프 행정부는 파괴적인 관세로 생애에서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을 일방적으로 부과할 권한이 없다며 관세 정책에 맞서 소송을 제기
■ 파월 연준의장,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 세계무역기구 (WTO), 트럼프발 관세 충격을 반영해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0.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해 10월 제시한 전망치인 3.0% 증가와 비교할 때 크게 후퇴한 수치
(자료 원본 ☞ https://buly.kr/1n3ezj3)
■ 미국, 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 H20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했으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반도체 산업을 상대로 부과한 첫 수출 제한 사례
* H20 칩은 그간 미국 정부의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중국에 제공할 수 있는 가장 최고급 사양의 AI 칩
* 엔비디아는 기업들에게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라고 압박해 온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에 발맞춰 미국에서 향후 4년간 최대 5천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으나 결과적으로는 미중 무역전쟁의 여파를 피하지 못함
■ 로이터 통신,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과열되면서 사이버캡과 전기 트럭 '세미' 등 테슬라 모델 제조에 쓰이는 중국산 부품 운송 계획이 중단됐다고 보도
■ 트럼프 대통령, 미일 관세 협상이 끝난 후 큰 진전 (big progress)이였고 일본 무역 대표단과 만나서 큰 영광이라 밝힘
* 미국과 일본은 협상과정에서 관세, 군사지원 비용, 그리고 무역 공정성 등을 논의 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직접 협상에 참여
* 내주 최상목 경제부총리의 미국 방문에 앞서 한국에도 의미 있는 참고자료가 될 예정
■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트럼프 행정부는 파괴적인 관세로 생애에서 최대 규모의 세금 인상을 일방적으로 부과할 권한이 없다며 관세 정책에 맞서 소송을 제기
■ 파월 연준의장,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이 있다고 밝힘
■ 세계무역기구 (WTO), 트럼프발 관세 충격을 반영해 올해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이 0.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해 10월 제시한 전망치인 3.0% 증가와 비교할 때 크게 후퇴한 수치
(자료 원본 ☞ https://buly.kr/1n3ezj3)


16.04.202513:58
└ 내부분열 시작 ㅋㅋㅋㅋㅋ 🤣
"캘리포니아 주가 무지막지한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대해 백악관을 상대로 첫 고소" 사례 발생
결국 트럼프가 꼬리를 내릴 수 밖에 없는 또다른 요인 추가
"캘리포니아 주가 무지막지한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대해 백악관을 상대로 첫 고소" 사례 발생
결국 트럼프가 꼬리를 내릴 수 밖에 없는 또다른 요인 추가


13.04.202523:08
# 관세 업데이트: 이랬다가 저랬다가 왔다 갔다 - 4월 14일
■ 중국 관세세칙위원회,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84%에서 125%로 조정한다 밝힘
* 중국은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율을 추가 인상하더라도 다시금 관세율을 재상향하는 '치킨게임'으로 맞대응하지 않겠다 밝힘
■ 로이터통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협상하는 것과 관련해 상호관세의 기본 세율인 10%가 국가별 상호관세의 하한선 수준이라 말했다 보도
■ 트럼프 행정부, 스마트폰과 일부 컴퓨터, 전자제품을 상호관세 및 보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
* 중국산을 포함한 주요 전자제품이 상호관세뿐 아니라 보편관세 10% 부과 대상에서도 제외된다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무역 정책 속에서도 유연성을 보인다는 신호로 해석되면서 향후 미·중 간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
■ 트럼프 대통령, 스마트폰 면제는 가짜뉴스이며 곧 구체적으로 발표 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 밝힘
*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트럼프 대통령은 스마트폰 등이 상호관세에서는 제외되지만 한두 달 뒤쯤 발표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는 것이라 설명
*트럼프 대통령, 현지시간 14일 (월요일)에 반도체 관세 문제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답하겠다고 예고
(자료 원본 ☞ https://buly.kr/FsIGNpA)
■ 중국 관세세칙위원회, 12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84%에서 125%로 조정한다 밝힘
* 중국은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율을 추가 인상하더라도 다시금 관세율을 재상향하는 '치킨게임'으로 맞대응하지 않겠다 밝힘
■ 로이터통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협상하는 것과 관련해 상호관세의 기본 세율인 10%가 국가별 상호관세의 하한선 수준이라 말했다 보도
■ 트럼프 행정부, 스마트폰과 일부 컴퓨터, 전자제품을 상호관세 및 보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결정
* 중국산을 포함한 주요 전자제품이 상호관세뿐 아니라 보편관세 10% 부과 대상에서도 제외된다고 밝힘
*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무역 정책 속에서도 유연성을 보인다는 신호로 해석되면서 향후 미·중 간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
■ 트럼프 대통령, 스마트폰 면제는 가짜뉴스이며 곧 구체적으로 발표 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 밝힘
*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트럼프 대통령은 스마트폰 등이 상호관세에서는 제외되지만 한두 달 뒤쯤 발표될 반도체 관세에 포함된다는 것이라 설명
*트럼프 대통령, 현지시간 14일 (월요일)에 반도체 관세 문제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답하겠다고 예고
(자료 원본 ☞ https://buly.kr/FsIGNpA)


13.04.202509:47
# 트럼프 원맨쇼 - "코로나 이후 최악의 금융환경"
그 누구도 시키지 않았던 관세를 들먹이며 전세계를 공포의 도가니에 몰아넣었던 트럼프가 이젠 또 알아서 꼬리를 내리는 모습입니다. 반복되는 패턴이겠으나 결국 상호관세를 90일 유예 (i.e. 금리상승으로 재정부담)했으며, 시간 끌어 온 품목별 관세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은 또 제외 (i.e. 애플 등 미국기업 보호)시켰습니다.
이걸 우리는 원맨쇼,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다 한다"라고 하죠. 🙈
물론 자국민들이 보기엔 취지야 좋습니다. 양질의 직업 (e.g. 노동?집약적)을 본국으로 송환하고, 그 끝엔 결국 "작은 정부"의 역할로 전환하기 위함이었으니까요.
여기엔 트럼프가 간과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trade balance를 챙겨야 하는 일반적인 국가가 아니라 미국은 이미 기축통화를 쓰는 국가라는 것이죠. 필요하면 돈을 찍어내면 되고,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막대한 소비가 미국의 위상을 높이며 강달러를 유지시켜 주는, 이미 곪을 대로 곪은 비이상적인 경제구조라는 것입니다.
헌데, 전세계를 협박하며 그 구조를 바꾸려 들면 무슨일이 벌어질까요?
상단 차트에서 보는 것처럼 금융시장은 바로 발작하며 이러한 행보를 저지한다는 것입니다.
4월 첫째주, 상호관세가 처음 공개됐을 땐 예상보다 더 광범위했던 조치가 저성장 우려를 낳으며 금리하락을 부추겼으나, 두번째 주 들어서는 이에 굴하지 않고 강경한 중국 정부의 보복 대응에 인플레에 대한 우려가 다시금 불거지며 금리의 급등을 야기했습니다.
동 구간 채권 헷지펀드의 손실 규모가 약 $150bn로 추정되며, 유동성이 20년 3월 이후 역대급으로 말라버리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앞으로도 이로한 기조가 지속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똥줄 탄 트럼프는 QT 종료와 금리인하를 부추길 것이며, 이에 대한 시장의 부침은 더 거세질 수 있습니다. 이는 7% 대를 이미 초과한 모기지 또한 잠재적 리스크 이며, 기업부채 중 CLO의 파산 동향 모니터링이 면밀히 필요합니다.
일희일비 할 필요 전혀 없는 장입니다.
그 누구도 시키지 않았던 관세를 들먹이며 전세계를 공포의 도가니에 몰아넣었던 트럼프가 이젠 또 알아서 꼬리를 내리는 모습입니다. 반복되는 패턴이겠으나 결국 상호관세를 90일 유예 (i.e. 금리상승으로 재정부담)했으며, 시간 끌어 온 품목별 관세에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은 또 제외 (i.e. 애플 등 미국기업 보호)시켰습니다.
이걸 우리는 원맨쇼, "혼자 북치고 장구치고 다 한다"라고 하죠. 🙈
물론 자국민들이 보기엔 취지야 좋습니다. 양질의 직업 (e.g. 노동?집약적)을 본국으로 송환하고, 그 끝엔 결국 "작은 정부"의 역할로 전환하기 위함이었으니까요.
여기엔 트럼프가 간과한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trade balance를 챙겨야 하는 일반적인 국가가 아니라 미국은 이미 기축통화를 쓰는 국가라는 것이죠. 필요하면 돈을 찍어내면 되고,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막대한 소비가 미국의 위상을 높이며 강달러를 유지시켜 주는, 이미 곪을 대로 곪은 비이상적인 경제구조라는 것입니다.
헌데, 전세계를 협박하며 그 구조를 바꾸려 들면 무슨일이 벌어질까요?
상단 차트에서 보는 것처럼 금융시장은 바로 발작하며 이러한 행보를 저지한다는 것입니다.
4월 첫째주, 상호관세가 처음 공개됐을 땐 예상보다 더 광범위했던 조치가 저성장 우려를 낳으며 금리하락을 부추겼으나, 두번째 주 들어서는 이에 굴하지 않고 강경한 중국 정부의 보복 대응에 인플레에 대한 우려가 다시금 불거지며 금리의 급등을 야기했습니다.
동 구간 채권 헷지펀드의 손실 규모가 약 $150bn로 추정되며, 유동성이 20년 3월 이후 역대급으로 말라버리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앞으로도 이로한 기조가 지속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똥줄 탄 트럼프는 QT 종료와 금리인하를 부추길 것이며, 이에 대한 시장의 부침은 더 거세질 수 있습니다. 이는 7% 대를 이미 초과한 모기지 또한 잠재적 리스크 이며, 기업부채 중 CLO의 파산 동향 모니터링이 면밀히 필요합니다.
일희일비 할 필요 전혀 없는 장입니다.


10.04.202522:47
# 관세 업데이트: 치킨게임 - 4월 11일
■ CNBC등 다수의 언론사,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 대응을 한 중국에 부과한 총 합계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 확인 해줬다 보도
* 작일 발표한 125% 관세는 기존의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 원료를 문제삼아 부과한 20%의 관세는 포함되지 않은 오로지 상호관세율로, 총 합산시 145%가 정확하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중국에 부과한 추가 관세율
■ 우르줄라 EU 집행위원장, 미국에게 협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다고 밝히며 내주 시행하려 했던 미국 철강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결정
■ 중국, 84%의 보복관세가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감으로써 중국은 미국에 절대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강하게 표출
* 다만 중국은 앞으로 추가 보복관세 조치는 자제하고, 미국 영화 수입을 줄이겠다는 등의 방침을 세우며 비관세 보복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도 합의를 할 수 있길 바란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김
■ 트럼프 대통령, 중국 이외의 상호관세 대상국들에 대한 유예기간인 90일이 끝난 뒤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며 열린 답변을 내놓으면서도, 상호관세 대상국과 유예기간 중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각국에 책정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 것이라 밝힘
■ 해싯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이미 15개국 이상으로부터 구체적인 제안을 받았으며 아직 거래가 성사됐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대화를 원한다고 요청하는 사람들의 수가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3u2iaZX)
■ CNBC등 다수의 언론사,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보복 대응을 한 중국에 부과한 총 합계 관세율이 125%가 아닌 145%라 확인 해줬다 보도
* 작일 발표한 125% 관세는 기존의 미국으로 유입되는 중국산 펜타닐 원료를 문제삼아 부과한 20%의 관세는 포함되지 않은 오로지 상호관세율로, 총 합산시 145%가 정확하게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중국에 부과한 추가 관세율
■ 우르줄라 EU 집행위원장, 미국에게 협상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다고 밝히며 내주 시행하려 했던 미국 철강관세에 대한 보복 조치를 90일간 보류하기로 결정
■ 중국, 84%의 보복관세가 10일 발효돼 시행에 들어감으로써 중국은 미국에 절대로 물러서지 않겠다는 뜻을 강하게 표출
* 다만 중국은 앞으로 추가 보복관세 조치는 자제하고, 미국 영화 수입을 줄이겠다는 등의 방침을 세우며 비관세 보복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
■ 트럼프 대통령, 중국과도 합의를 할 수 있길 바란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김
■ 트럼프 대통령, 중국 이외의 상호관세 대상국들에 대한 유예기간인 90일이 끝난 뒤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봐야 한다며 열린 답변을 내놓으면서도, 상호관세 대상국과 유예기간 중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각국에 책정한 상호관세율로 돌아갈 것이라 밝힘
■ 해싯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이미 15개국 이상으로부터 구체적인 제안을 받았으며 아직 거래가 성사됐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대화를 원한다고 요청하는 사람들의 수가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힘
(자료 원본 ☞ https://buly.kr/3u2iaZX)


10.04.202513:19
└└ 우리도 트럼프처럼 즐기는 방법 #2
트럼프가 관세전쟁에서 이긴 직후의 모습
왼쪽부터 트럼프, 머스크, 밴스,,,,ㅎㅎㅎㅎ
"UPSIDE DOWN ECON 101: THE UNCOMPETITIVE DISADVANTAGE OF NATIONS"
트럼프가 관세전쟁에서 이긴 직후의 모습
왼쪽부터 트럼프, 머스크, 밴스,,,,ㅎㅎㅎㅎ
"UPSIDE DOWN ECON 101: THE UNCOMPETITIVE DISADVANTAGE OF NATIONS"
Не змаглі атрымаць доступ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да медыяконтэнту
10.04.202512:53
# 미국 3월 물가 - "4월 부터가 중요"
▪︎ 일단 컨센 및 이전치 모두 하회
▪︎ HEADLINE은 에너지 상품 하락과 에너지 서비스 상승의 상반된 결과 특징적. 비중이 더 큰 푸드 쪽 점진적 상승추세 지속
▪︎ CORE 내 새차 급반등과 중고차 급반락 대조적 모습 특징적. 비중이 가장 큰 서비스 쪽 점진적 둔화세 고무적
▪︎ 아직까진 트럼프의 실제 관세 부과 직전달 데이터인 만큼, 어느정도 예상된 흐름. 관건은 관세 적용 이후인 다음 4월 부터
▪︎ 이를 반영하듯 발표 이후 미 선물 및 채권시장 반응 X
▪︎ 일단 컨센 및 이전치 모두 하회
▪︎ HEADLINE은 에너지 상품 하락과 에너지 서비스 상승의 상반된 결과 특징적. 비중이 더 큰 푸드 쪽 점진적 상승추세 지속
▪︎ CORE 내 새차 급반등과 중고차 급반락 대조적 모습 특징적. 비중이 가장 큰 서비스 쪽 점진적 둔화세 고무적
▪︎ 아직까진 트럼프의 실제 관세 부과 직전달 데이터인 만큼, 어느정도 예상된 흐름. 관건은 관세 적용 이후인 다음 4월 부터
▪︎ 이를 반영하듯 발표 이후 미 선물 및 채권시장 반응 X


10.04.202512:28
조금 후면 미국 CPI, Jobless, FED 보우먼 이사 연설 등이 발표됩니다.
이젠 데이터들이 어떻게 나와야 좋은건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습니다.
일단 2분 후 물가부터 확인해 보시죠!
이젠 데이터들이 어떻게 나와야 좋은건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습니다.
일단 2분 후 물가부터 확인해 보시죠!
10.04.202510:35
# 125% 맞고도 오르는 중국 🇨🇳
금일 글로벌 증시가 트럼프의 90일 유예 소식으로 다같이 올랐다고 할지언정, 중국은 보복관세에 대한 추가 괘씸죄를 물고도 강력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심지어 중국은 어제, 그제도 다 올랐습니다.
이게 뭘 시사하는 걸까요?
중국이 갖고 있는 카드는 미국보다 훨씬 많습니다.
1. 대표적으로 애플, 나이키, 테슬라 등만 봐도 관세로 인한 중국 내 수요 감소는 곧장 미국 기업들의 이익 감소(i.e. 평균 중국 비중 약 20%대)로 이어집니다.
2. 중국은 이미 바이든 정권 때부터 빠르게 미국채 보유량을 줄여 왔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정부 부채 중 상당수가 올해 리파이난싱이 필요한 상황이다보니, 중국의 매도세는 미국 재정에 압박을 가할 수밖에 없는 금리상승의 요인이 됩니다.
3. 중국과는 다르게 미국은 2년 후 중간선거가 있습니다. 괜한 관세전쟁으로 미국내 소비재 물가만 상승시키게 된다면, 트럼프 지지율 하락으로 현 레드스윕 상태는 끝을 보게됩니다.
4. 마지막으로 MAGA 본연의 취지인 미국 내 제조업 공장 설립은 최소 5년 이상이 걸리는 트럼프 임기 내 실질적으로 볼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최대한 시간끌기 작적에 돌입하려 하죠.
결국 시간은 중국 편에 서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를 알고있는 시장은 앞으로 미국을 더 압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트럼프 또한 더 과감한 행보를 보일 개연성이 높습니다. 트럼프 관세는 최소 올해 내내 증시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상수인 이유입니다.
금일 글로벌 증시가 트럼프의 90일 유예 소식으로 다같이 올랐다고 할지언정, 중국은 보복관세에 대한 추가 괘씸죄를 물고도 강력한 상승을 보였습니다. 심지어 중국은 어제, 그제도 다 올랐습니다.
이게 뭘 시사하는 걸까요?
중국이 갖고 있는 카드는 미국보다 훨씬 많습니다.
1. 대표적으로 애플, 나이키, 테슬라 등만 봐도 관세로 인한 중국 내 수요 감소는 곧장 미국 기업들의 이익 감소(i.e. 평균 중국 비중 약 20%대)로 이어집니다.
2. 중국은 이미 바이든 정권 때부터 빠르게 미국채 보유량을 줄여 왔습니다. 이러한 미국의 정부 부채 중 상당수가 올해 리파이난싱이 필요한 상황이다보니, 중국의 매도세는 미국 재정에 압박을 가할 수밖에 없는 금리상승의 요인이 됩니다.
3. 중국과는 다르게 미국은 2년 후 중간선거가 있습니다. 괜한 관세전쟁으로 미국내 소비재 물가만 상승시키게 된다면, 트럼프 지지율 하락으로 현 레드스윕 상태는 끝을 보게됩니다.
4. 마지막으로 MAGA 본연의 취지인 미국 내 제조업 공장 설립은 최소 5년 이상이 걸리는 트럼프 임기 내 실질적으로 볼 수 없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이에 글로벌 기업들은 최대한 시간끌기 작적에 돌입하려 하죠.
결국 시간은 중국 편에 서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를 알고있는 시장은 앞으로 미국을 더 압박할 수 밖에 없을 것이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트럼프 또한 더 과감한 행보를 보일 개연성이 높습니다. 트럼프 관세는 최소 올해 내내 증시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상수인 이유입니다.


Рэкорды
20.04.202523:59
9KПадпісчыкаў08.09.202423:59
0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16.04.202523:54
18.9KАхоп 1 паста17.04.202503:36
14K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11.03.202523:59
6.45%ER16.04.202523:54
210.81%ERRРазвіццё
Падпісчыкаў
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Ахоп 1 паста
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ER
ERR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