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가치투자클럽 avatar

가치투자클럽

공표된 증권사 자료와 전자공시, 뉴스를 올려드리는 채널입니다. 기업분석 역시 확정 공시된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올려드릴 뿐 추정과 전망은 배제되어 있으며 주식매수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판단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가치투자클럽의 리서치 자료를 받아보시려면 텔레그램 또는 카톡으로 요청해주세요
텔레그램 ID @orbisasset 카카오톡ID orbisasset
카페 https://cafe.naver.com/orbisasset
Рэйтынг TGlist
0
0
ТыпПублічны
Вертыфікацыя
Не вертыфікаваны
Надзейнасць
Не надзейны
Размяшчэнне
МоваІншая
Дата стварэння каналаMar 20, 2018
Дадана ў TGlist
Jul 06, 2024

Статыстыка Тэлеграм-канала 가치투자클럽

Падпісчыкаў

60 312

24 гадз.
23
0%Тыдзень
64
-0.1%Месяц
53
0.1%

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0

Згадкі0Рэпостаў на каналах0Згадкі на каналах0

Сярэдняе ахоп 1 паста

8 669

12 гадз.7 254
47.7%
24 гадз.8 669
21%
48 гадз.10 995
24.9%

Узаемадзеянне (ER)

0.18%

Рэпостаў14Каментары0Рэакцыі34

Узаемадзеянне па ахопу (ERR)

11.87%

24 гадз.0%Тыдзень
0.14%
Месяц
1.24%

Ахоп 1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8 669

1 гадз.4 39750.72%1 – 4 гадз.3313.82%4 - 24 гадз.3 10035.76%
Падключыце нашага бота да канала і даведайцеся пол аўдыторыі гэтага канала.
Усяго пастоў за 24 гадзіны
10
Дынаміка
5

Апошнія публікацыі ў групе "가치투자클럽"

https://naver.me/x1VffAVp

만기이자율 8%임에도 전원조기상환 요구
https://naver.me/GfCzzpNR

현재 에스엘의 현기차 매출비중은 33%
현대모비스가 램프사업을 정리하면 점유율 확대 가능성
https://naver.me/FBeCCffr
공매도 중단 전 코스피 공매도 잔고는 10~12조원 밴드, 잔고율은 0.5~0.6%.
현재는 5.3조원, 0.26%
라파스의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형은 기존 피하주사(SC) 제형 대비 약 30%의 생체이용률을 보였다. 이는 현재 시판 중인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제제인 리벨서스(Rybelsus)의 생체이용률이 SC 제형 대비 0.5% 미만인 것과 비교할 때, 약 60배 이상 높은 흡수 효율을 나타내는 수치다.
https://naver.me/FeXfFLVW
https://naver.me/x4FrSVuJ
https://naver.me/xs3tatFE
[하나증권 유틸/상사/기계 유재선]

LS ELECTRIC

이제 다시 실적 성장 구간

□ 목표주가 260,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LS ELECTRIC 목표주가 260,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다. 전력기기 부문에서 일시적인 부진이 나타났으나 시차를 두고 회복이 예상된다. 전력인프라는 수주잔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마진 수주분이 실적에 인식됨에 따라 이익률은 지속적인 개선 흐름이 전망된다. 1분기 말 기준 수주잔고는 3.9조원을 기록하며 작년 연말 대비 0.5조원 증가했으며 배전반 잔고가 빠르게 상승하는 모습이다. 전력 산업의 북미 매출 비중은 24%로 전분기대비 7%p 상승했고 배전반, 초고압변압기 등 주요 제품 수주 비중도 50%를 초과하는 중이다. 2025년 기준 PER 14.9배, PBR 2.5배다.

□ 1Q25 영업이익 873억원(YoY -6.9%)으로 컨센서스 부합
1분기 매출액은 10,321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0.6% 감소했다. 전력기기 국내 매출이 이월되면서 전년대비 감소했으며 연결 조정 감소폭이 컸다. 전력기기 부진에도 전력인프라 호조로 전력 사업은 양호한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자동화는 회복 국면이며 자회사도 LS파워솔루션 연결 인식으로 외형 성장에 기여하는 중이다. 영업이익은 87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대비 6.9% 감소했다. 전력기기는 이연된 국내 배전기기 실적이 향후 반영되며 2분기 이후 회복이 예상된다. 전력인프라는 초고압변압기 및 배전반 성장으로 전년대비 이익률 개선이 확인되었다. 초고압 변압기와 차단기 수주가 증가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우상향 흐름이 기대된다. 자동화는 수익성 위주 사업 운영을 통해 전분기대비 흑자로 전환했다. 자회사는 중국 및 전기차 관련 법인 실적 회복이 다소 지연되는 모습이며 미국과 베트남에서는 개선 흐름이 확인된다. 신재생은 매출 감소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수주 증가 흐름 양호. 2분기부터 유의미한 이익 성장 가능
배전반 매출 감소에 대한 우려는 수주잔고 증가로 일정 부분 해소될 것으로 간주된다. 북미 데이터센터향 수주가 실적에 반영되는 2분기부터 성장 흐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내 추가 데이터센터향 수주 가시성이 높으며 두 자리 수 고마진으로 전사 이익에 기여할 전망이다. 초고압 제품 매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수요가 견조한 북미 중심으로 수주잔고 확대가 확인된다. 2026~2029년 초고압 변압기 생산분에 해당되는 수주가 이미 확보되었고 부산 공장 증설이 완료되는 10월 이후부터 가파른 외형 성장이 기대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배전기기 및 배전반 생산능력 확장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데이터센터향 수주가 증가하는 만큼 이익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다.

(유재선 3771-8011)

첨단소재 채널링크: https://t.me/joinchat/R5wiYmLh1nl43aOC

보고서 링크: https://buly.kr/FhNY6K5

[위 내용은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득하였음]
Пераслаў з:
텐렙 avatar
텐렙
https://v.daum.net/v/20250421114051876
https://naver.me/xoHpMl15
https://naver.me/FUhIgsh6

Рэкорды

16.04.202500:44
60.4KПадпісчыкаў
06.07.202423:59
0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02.02.202523:59
12.7KАхоп 1 паста
09.01.202523:59
14.8K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25.01.202523:59
6.47%ER
02.02.202523:59
21.48%ERR

Развіццё

Падпісчыкаў
Індэкс цытавання
Ахоп 1 паста
Ахоп рэкламнага паста
ER
ERR
OCT '24JAN '25APR '25

Папулярныя публікацыі 가치투자클럽

국가통계를 조작하니 나라정책이 엉뚱한 방향으로 감. 어떻게 하면 이 나라를 빨리 망하게 하나 고민한 것과 같으니 반역죄로 다스려야 함
낙폭과대 반도체/핸드셋
30.03.202522:38
안녕하세요, 다올 반도체 담당 고영민 입니다.

최근 레거시 수요 회복 기대감 극대화 구간에서 소부장들의 반등이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기존 각자의 Valuation Band의 중단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에 대한 배경은 아직 연간 수요 레벨 상향에 대한 구체적 단서를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기대감과 경계감이 공존해서라고 해석됩니다.

현 시점에서는 옥석 가리기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됩니다.
1) 실수요 개선이 이어지지 못하면 현재의 기대감과 하반기 소부장 실적 흐름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고,
2) 4월의 Top-Down 환경도 우호적이지 않으며,
3) 3/31 공매도 재개까지 고려했을 때
펀더멘털에 대한 집중이 더욱 중요합니다.

금번 자료를 통해 부정적 업황 시나리오(상/하반기 수요 교란)에서도 성장 가능한 소부장에 대한 선별 조건을 3가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관련 세부 내용, 자료 참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다올투자증권 반도체/소부장 고영민, 김연미]

반도체/소부장
- 진짜를 고를
시기

▶️ 부정적 시나리오에서도 성장 가능한 소부장 선별 조건 3가지
① SK하이닉스 Value-Chain 집중
② 신규 고객사 및 아이템 확대
- HBM: 고객사 및 M/S 확대, 신규 소재/장비(Fluxless Bonder) 수혜
- 유리기판: 25년부터 SKC를 필두로 시생산 시작 → 관련 소재 수혜 기대(PR/현상액/박리액 등)
- EUV: 1c nm로 갈수록 레이어 수 및 MOR PR 채택 확대 → 린스 및 MOR용 소재 성장 국면
- QLC/하이브리드 본딩: QLC의 High-K ALD 도입 & 하이브리드 본딩에서 정렬도 검사 장비 중요도 확대
③ 대형주 대비 낮은 Valuation Band 위치

- 최선호주: 와이씨켐(신규), 주성엔지니어링, 에스티아이
- 관심종목: 브이엠, 오로스테크놀로지


▶️ 목차
Ⅰ. Summary
Ⅱ. 1H25, 가속화된 회복세?

-1. 소부장 주가 흐름
-2. 소부장 실적/주가 양상 시나리오① 수요 교란(상반기↔️하반기)
-3. 소부장 실적/주가 양상 시나리오② 연간 수요 상향
Ⅲ. 부정적 시나리오에도 성장 가능한 소부장 선별
-1. 선별 조건① SK하이닉스 Value-Chain 집중
-2. 선별 조건② 신규 고객사 및 아이템 확대
Ⅳ. 투자전략 - 진짜를 찾을 시기
Ⅴ. 종목별 투자의견

- 와이씨켐: 차기 포토 소재 대장주
- 주성엔지니어링: ALD No.1
- 에스티아이: 풍성한 수확의 시기
- 브이엠: 확실한 성장 구간 진입


📑 자료: https://buly.kr/2fdLjNB

*컴플라이언스 승인이 이뤄진 내용입니다.
낙폭과대
대차잔고율 높은 종목
Пераслаў з:
서화백의 그림놀이 🚀 avatar
서화백의 그림놀이 🚀
#한화비전

① 핵심 투자 포인트

- 한화비전은 SK하이닉스로부터 TCB(thermal compression bonder) 공급 계약을 수주하며 고부가 반도체 장비 업체로 도약 중.
-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와 적층 수 증가에 따라 TCB 장비 수요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한화세미텍은 그간 R&D 중심으로 적자를 이어왔으나, 2025년부터 TCB 매출 본격화로 흑자 전환 예상.
- 미국의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고관세(최대 46%) 우려는 있지만, 경쟁사들(Avigilon, Axis 등)도 동일 조건에 놓여 있어 가격 전가 가능성 높음.
- 중국산 CCTV의 미국 내 입지 축소에 따라 한화비전의 점유율 확대 기회 존재.

② 실적 전망 및 이익 변화

- 2025년 매출 1.88조원, 영업이익 1,867억원, 순이익 1,421억원 전망.
- 2026년에는 매출 2.31조원, 영업이익 3,712억원, 순이익 2,877억원으로 고성장 지속.
- 조정 EPS 기준, 2025년 2,822원 → 2026년 5,711원 → 2027년 7,765원까지 성장 예상.
- ROE도 2024년 6.5%에서 2026년 25.9%, 2027년 27.2%로 대폭 개선.

③ TCB 장비 관련 전망

- SK하이닉스와의 계약으로 HBM3E 12단용 TCB 14대 납품 예정 (2025년 2분기부터).
- 2026년에는 HBM4용 신규 수주 가능성 있음.
- TCB는 초기 수익성은 낮을 수 있으나, 추후 영업이익률 개선 예상.
- SK하이닉스와는 공동개발(JDP)이 아닌 공동평가(JEP) 방식으로 계약 → 타 고객사 확보 가능성 확보.
- 삼성전자도 과거 다이본더, 플립칩 본더 채택 사례로 미루어 TCB 도입 가능성 있음.

④ 미국 관세 이슈 대응

-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 수행: 일부 CCTV 생산을 한국으로 이전.
- 미국 내 AI 기능 CCTV 수요 증가로 인해 가격 인상 수용 가능성 존재.
- 중국산 CCTV(하이크비전 등)의 미국 시장 점유율 하락(2023년 기준 5.2%)은 한화비전에게 기회.

⑤ 목표주가 상향 및 밸류에이션 근거

- 기존 목표주가 58,000원 → 86,000원으로 48% 상향 조정.
- 한화세미텍의 반도체 장비 사업 가치를 글로벌 후공정 장비 업체 평균 PER(16.5x) 기준으로 재평가.
- 한화비전 본업(감시카메라)은 성장률 둔화로 PER 13.8x 적용, 사업가치는 기존보다 축소.

⑥ 위험 요인

- 베트남산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 본격 시행 시 수익성 훼손 가능.
- 반도체 장비 시장 내 기술 경쟁 심화 및 점유율 확보 실패 시 리스크.
- 특허 소송 등의 법적 리스크.

==========

반면에 이쪽은 목표주가 48% 상향 !
Пераслаў з:
호그니엘 avatar
호그니엘
LNG플랜트 기자재 2024년 실적정리
17.04.202505:11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230468&ref=A

김현미 당시 국토부 장관은 2018년 10월 “마이너스가 언제쯤 나오느냐”고 물었고...
대차잔고율 증가 상위
22.04.202509:12
https://naver.me/GfCzzpNR

현재 에스엘의 현기차 매출비중은 33%
현대모비스가 램프사업을 정리하면 점유율 확대 가능성
Пераслаў з:
영리한 동물원 avatar
영리한 동물원
10.04.202504:00
#우양에이치씨

📌 3줄 요약
✅ 북미 LNG 육상·해상 수주 기대감으로 고성장 국면 진입
✅ 업계 대비 영업이익률 2배 이상 → 고마진 구조
✅ 현 밸류에이션 POR 8.2x 수준으로 상대적 저평가

📦 사업 개요
- 석유화학, 화공, 에너지 등 플랜트 설비 기자재 설계·제작·납품
- 대표 제품: 타워, 열교환기, 압력용기, 복수기 등
- 100% 주문형 비규격 생산, ASME 등 국제 인증 필수
- 고객은 장기 레퍼런스를 중시해 진입장벽 높음
- 원재료는 포스코 중심 + 일본·유럽 수입 일부

💸 수익성 및 실적
- 2024년 3분기 기준 매출총이익률 30.1%, 영업이익률 22.1%, 순이익률 17.8%
- 업종 평균 대비 전 항목 13~16%p 이상 높음
- 수익성 개선 배경: 원가율 하락 + 고부가 LNG 프로젝트 증가
- 해양 특수기기 매출 비중이 2021년 44.8% → 2024년 60.8%까지 증가

📈 수주와 성장성
- 2024년 매출 1,832억원 / 영업이익 310억원 / 순이익 274억원 예상
- 2025년 수주 목표: 2,420억원
→ 해양 플랜트 비중 40~60%로 고마진 지속 기대
- 마진 유지 시 2025년 영업이익 380억원 / POR 8.26x 수준
- 수주 후 3~6개월 내 매출 인식되는 구조

🔩 투자 활용 계획
- 공장 바닥 보수 및 야외 설비 보호를 위한 천막 설치
- 수직터닝선반, 벤딩로라 등 핵심 생산 설비 오버홀 및 개조
- 50톤 크레인 신규 도입으로 중량물 작업 역량 확대

🥇 경쟁사와 차별점
- 우양비에이치씨: 해양 특화, OPM 17% 수준, 사이클 민감도 높음
- SNT에너지: 육상 + 원전용 냉각기 특화, OPM 10~12%, 성장성은 한계
- 한텍: 표준화 중심 육상 납품, 안정적이나 OPM 5~8%로 낮음

🧠 투자 포인트 요약
- 해양 + 육상 동시 커버 가능한 고마진 구조
- 북미 LNG 시장 개화 → 전방 발주 확대 확실
- 업계 대비 낮은 PER/POR, 고성장 기대치 대비 상대적 저평가
- EPC 밸류체인 상단에 위치하며 진입장벽 존재
27.03.202521:47
MSD, 키트루다 SC 비열등성 입증 발표 및 보도자료 배포

alteogen
작성일
2025-03-28 00:25
안녕하세요 

알테오젠입니다 

오늘 ELCC 2025에서 당사의 히알루로니다제 ALT-B4를 사용한 MSD의 키트루다 SC에 대한 구두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해당 임상 결과 등에 대한 보도자료가 배포되어  주주 여러분께도 중요한 뉴스일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내용을 공유 드립니다. 또, 로이터 기사에서 추가된 내용도 공유드립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약동학(PK) 데이터에서 비열등성을 입증하였습니다

 효능과 안전성 측면에서도 일관성 있는 데이터를 보였습니다

 특히, 시간 측면에서 투약 시간은 49.7%감소, 전체 치료실에서의 시간도 47.4% 감소했습니다, 의료진의 시간도 45.7%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키트루다 SC는 FDA에 승인 신청 단계를 밟고 있으며,  승인허가목표일자는  2025년 9월 23일 입니다

키트루다 SC의 미국 시판 목표 일정은 오는 2025년 10월 1일 입니다


이를 통해 임상 시험에서 목표로 했던 데이터를 얻어, FDA 승인 단계에 있다는 점을 알 수 있고,

지난 JPMHC에서 공개한 연내 시판 타임라인이 더 구체화되어 제시되었습니다

현재 당사는 이러한 계획에 맞추어  ALT-B4가 사용된 첫 피하주사제형 치료제의 승인 및 시판 등을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투자를 위한 판단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링크: Merck’s Investigational Subcutaneous Pembrolizumab With Berahyaluronidase Alfa Demonstrates Noninferior Pharmacokinetics Compared to Intravenous (IV) KEYTRUDA® (pembrolizumab) in Pivotal 3475A-D77 Trial

참고링크: Merck plans to  launch US subcutaneous version of Keytruda on October 1 (로이터)

https://www.alteogen.com/ir_1/?uid=2467&mod=document
우양에이치씨/한텍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