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coin Community
Notcoin Community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Proxy MTProto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iRo Proxy | پروکسی
알파카 주식 목장 avatar
알파카 주식 목장
알파카 주식 목장 avatar
알파카 주식 목장
Перыяд
Колькасць праглядаў

Цытаванні

Пасты
Схаваць рэпосты
25.02.202500:36
📊 엠오티 : 전고체+4680+ESS용 LFP 진출 with 삼성SDI

동사는 삼성SDI향 유일 텝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 설비 독점 기업

🔋삼성SDI 전고체 27년 상용화 드라이브
- 삼성SDI가 가장 빠른 전고체 상업화 일정(27년), 스케쥴대로라면 올해 내로 전고체 양산 설비 수주 시작
- 전고체는 양극과 음극을 완전 밀착시켜 에너지 정밀도 높여야하는데, 동사는 고압력·초정밀 제어 용접 기술을 적용한 전고체 조립설비 파일럿 라인 3종을 개발 완료
- 삼성SDI향 전고체 이차전지 Pilot 라인에 전고체 조립 설비 납품까지 완료, 23년 포드에 전고체 배터리 반자동 조립 라인 납품도 완료

💰 삼성SDI 신규 사업 4680 원통형+ESS용 LFP 배터리도 함께
- 삼성SDI의 '50A급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와 'LFP+ 플랫폼 소재/극판 기술'이 인터배터리 어워즈 2025 수상작으로 선정
- 현재 삼성SDI는 원통형 배터리와 ESS용 LFP를 신규 먹거리로 삼고 있는데, 엠오티도 4680 원통형 배터리에 특화된 비딩 방식을 적용한 조립 라인 개발 성공, 최종 테스트 완료 후 양산 절차 협의중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22414015583872
- ESS용으로 필요한 초대면적 배터리 조립 라인 개발 완료, 삼성SDI와 퀄테스트까지 마치고 마더라인에 납품 완료

📈 실적 나오는 2차전지 장비주
- 동사 매출 22년 633억 → 23년 737억 → 24년 848억에, 영익 22년 12억→23년 43억→24년 65억으로 전기차 캐즘에도 불구하고 실적 성장중
- 최근 삼성SDI와 GM 합작사 현장설명회가 열렸는데, 1.3조 규모의 설비투자에서 동사는 텝 웰딩 조립공정 독점 수주 예상
- 상장 이후 60억+96억+124억 수주계약 3건 공시했는데, GM 합작사+전고체+4680원통+ESS용LFP 수주가 역대급으로 증가할 가능성 상당하지 않을까

📖 기타 수급적 요인
- 공모가 10,000원으로 아직까지 업사이드 많이 남았고, 유통금액도 적어 품절주 대열
- 지금까지 보호예수 물량이 풀리면서 하락했는데, 최근 3개월 보호예수 물량 풀리면서 오버행 물량 상당수 해소 완료
- 또한 전기차 섹터가 반도체나 로봇 대비 수급이 거의 빈집이라서, 큰 돈을 운영하는 주체 입장에선 조금만 매수해도 상승이 엄청 나오는 매우 매력적인 섹터
- 많은 사례에서 확인됐듯, 오버행 해소+좋은 모멘텀+수급 빈집 = 주가 상승

리스크 : 경쟁사의 등장, 품절주에 따른 주가 변동성, 전고체 일정 지연 등
18.02.202511:45
오늘 완전 뜬금포로 +21%까지 상승한 에이비엘바이오입니다. 관련된 뉴스나 공시가 없어서 좀 의아하긴 한데, 일단은 시장에서는 심포지움 학회에서 BBB 셔틀 플랫폼과 관련된 좋은 데이터를 발표했거나 BBB 플랫폼을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에 대한 긍정적인 코멘트가 있지 않았나 추정하고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상승하니 덩달아서 퓨쳐켐과 듀켐바이오가 상승했습니다. 이 두 기업은 파킨슨 병에서 진단제를 생산하고 있는 기업인데, 퓨쳐켐은 많이들 아실테고 새로운 내용이 없습니다.

다만 듀켐바이오는 최근 이전상장한 기업이기도 하고, 파킨슨병+치매치료제 진단제로 신선한 내용이 많고 소위 "끼"가 넘치는 기업이라 스터디 내용을 공유합니다.

https://m.blog.naver.com/foreconomy/223765186642
11.02.202506:34
이거 회계학에서는 종종(?) 있는 논란입니다. 용역을 '본인'이 수행하면 전체 매출을 반영하고, '대리'한다면 수수료만 매출로 반영하는 것이 IFRS 회계상 원칙입니다.

그런데 명확히 해당 매출이 '본인'으로서 수행하는 것인지, '대리인'으로서 수행하는 것인지 IFRS에서는 애매모호하게 규정했기에 종종 발생하는 회계 위반입니다.

아마도 SOOP 측에서는 광고 매출을 '본인'으로서 수행했다고 본것이고, 금감원에서는 '대리인'으로서 수행했다고 본 것 같네요.

보통은 이렇게 회계처리하면 회계법인 측에서 태클걸거나 할텐데, 회계법인이 문제없다 판단한거면 관련 자료 제출하고 주의 정도로 넘어갈 사안인 것 같습니다. 물론 회계법인이 분식회계에 가담되었다면 이슈가 좀 커지긴 하고요..

여하튼 주가가 참 좋다가 분식회계 가능성이 생긴 것이니, 단기적으론 조정이 불가피하지 않을까 보여집니다. 굳이 리스크 있는 투자는 안하시는게 나으니깐요...
11.02.202500:47
지난 12월 초 부자티비에 출현해서 제가 좋게 보고 있는 기업(섹터) 3곳인 알테오젠, 코오롱티슈진, 조선업을 이야기했습니다. 그 이후 조선업과 코오롱티슈진은 2배 가량의 상승을 보여줬고, 대형주인 알테오젠도 +3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물론 댓글에서는 코오롱티슈진 세력이 있다고 편견이 있는 분도 계셨지만, 결국 3개월이라는 짧은 기간에 2배 가량의 기업가치가 상승했습니다. 최근 하이젠알앤엠이나 온코크로스, 컴퍼스 테라퓨틱스도 그런 맥락의 기업들이고요. 편견 없이 산업의 흐름을 공부하셨을 분이라면 누리셨을 수익입니다.

물론 저도 인간이기에 여러 편견이 가득한 범부이지만, 최대한 다양한 정보를 편견 없는 시각에서 여러분들께 전해드리겠습니다.

주가 많이 올라서 했제 한번만...

알테오젠 : https://www.youtube.com/watch?v=edJOwIdyT4g&t=1s

코오롱티슈진 : https://www.youtube.com/watch?v=DJqPAJCZPSI

조선 : https://www.youtube.com/watch?v=Olz8gpCUYkc
10.02.202511:49
#SOOP
이 회사는 앞서 2021년 회계 감사 과정에서 이런 문제를 지적받았지만, 당시 일부 계약서를 새로 쓰는 식으로 문제를 덮고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가장 위험한 부분은 여기입니다. 21년도에 해당 문제를 지적받고도 덮고 넘어갔다고 기사는 전하고 있는데, 조사에 따라 충분히 고의로 결론내려질 수도 있는 부분이라서...
10.02.202505:34
📊 올릭스x일라이릴리 공동개발 포인트 & 펩트론 악재? & 바붐온

💊 #올릭스 는 일라이릴리와 OLX702A의 공동개발을 발표했습니다. OLX702A는 회사에서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과 비만치료제로 임상 1상 개발중인 품목입니다.

먼저 이번 계약은 당연히 회사 자체의 펀더멘탈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요소입니다. 동사는 지금까지 글로벌 빅파마와 협업이 없었는데, 이번 공동개발을 통해 글로벌 빅파마와 함께 협업하는 바이오텍으로 변모하게 됐습니다.

다만 업프론트가 오픈되지 않았기에 아쉽고, 최근 며칠간 주가가 급등한 점으로 미뤄볼 때 내부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 정도는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논리적으로는 계약상대방이 엄중하기에 비만/MASH 테마의 대장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일각에선 이번 공동개발이 비만치료제까지 타겟할 수 있기에 펩트론의 LO가 사실상 실패한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됩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살펴보건데 올릭스의 품목은 펩트론과 연관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올릭스의 품목이 Rna간섭제이기 때문입니다. RNA치료제는 고도의 기술력이 들어가 대량양산이 쉽지않습니다(= 높은 생산단가) 올릭스의 품목이 비만치료제에서 병용투여되면 비용이 상당히 많이 필요한 셈입니다.

RNA치료제의 블록버스터 렉비오도 1년에 1,300만원의 비용이 지출됩니다.비만치료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에 RNA치료제 병용요법은 환자 부담을 늘려 경쟁력을 하락시킵니다.  올릭스의 품목이 비만치료제 병용보다는 MASH에서만 처방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오히려 릴리가 MASH에서 병용요법을 위해 우리나라 소형 바이오텍과 계약할 정도로 진심인만큼, 펩트론의 서방형 제재를 통해 투약주기를 늘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내러티브가 더 강화되지 않을까 합니다. 펩트론과 올릭스를 대체적 관계로 보기보다는, 시장 자체가 성장하는 보완적 관계로 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연초부터 릴리라는 거물을 우리나라 바이오텍이 잡는데 성공했습니다. 이외에도 이번 한 주간 알테오젠의 RCPS, 지투지바이오의 베링거 계약, 에이비엘바이오의 증여 등 다양한 호재가 발생했습니다.

통상 이러한 호재는 바이오텍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작년에도 알테오젠x머크 계약, 리가켐의 얀센(23년말) 계약, 레이저티닙의 FDA 승인이 중요한 모멘텀이 됐습니다. 이번 올릭스의 공동개발을 계기로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섹터에 다시한번 훈풍이 불지 않을까 보입니다.
24.02.202501:25
삼성SDI가 전고체 상용화 타임라인도 가장 빠르기도 하고, GM과 합작사 투자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만큼 여러모로 선도적인 행보를 최근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삼성SDI 밸류체인이야 많이 알려져있는데요. 그런데 삼성SDI향 밸류체인 중에서 신규상장주이기도 하고 스몰캡이라서 많이 알려지지 않은 엠오티란 기업이 있네요.

신규상장주인 엠오티가 삼성SDI향 국내 유일의 탭 웰딩 및 패키징 조립 공정을 독점하고 있고, 최근에는 삼성SDI에 전고체 개발라인을 납품했고 ESS용 LFP 배터리 조립 공정에도 설비를 납품한만큼 주목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여기에 이번 삼성SDI와 GM합작사에 조립공정을 동사가 맡을 전망인만큼, 기존 사업에서 실적이 증가하는것은 덤인것 같고요. 실적 추이도 매출액 22년 633억 → 23년 737억 → 24년 848억에, 영업이익 22년 12억→23년 43억→24년 65억으로 전기차 캐즘에도 꾸준히 실적이 증가하는 기업이기에 스터디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장비 투자 규모는 전체 투자액의 20~30%를 차지한다. 1조3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합작사 공장은 5개 생산 라인으로 기획됐다.
(중략)
양극, 음극, 분리막을 적층한 소재 조합물인 젤리롤(Jelly roll)을 각형 배터리 캔(CAN)에 넣고 캡(CAP)을 용접하는 조립공정은 엠오티가 맡을 전망이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181
12.02.202505:13
현재 바이오 섹터 전반적으로 조정을 보이며 음봉을 기록하고 있네요ㅠ 이런 가운데서 하락이 적거나 상승을 기록하고 있는 기업은 바이오 반등이 나올 때 좋은 주가 흐름을 보일 수 있으니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 폐 특발성 섬유종 임상 2상 기대감

치매섹터(#에이비엘바이오 #듀켐바이오)
- 치매 치료제 시장 개화 기대감(에이비엘은 신규 LO, 듀켐바이오는 방사성 동위원소 진단제 수요)

이 정도가 앞으로 핫해질 주제가 아닌가 싶네요. 브릿지는 오늘 회사에서 공지문을 올려서 이해가 되긴 하는데, 에이비엘바이오가 진짜 최근 강하긴 하네요.
11.02.202505:12
2025.02.11 14:05:20
기업명: 신테카바이오(시가총액: 1,289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 Kymera Therapeutics, Inc.
계약내용 : 신약 유효물질 발굴
공급지역 : 미국
계약금액 :

계약시작 : 2025-02-10
계약종료 : 2025-07-10
계약기간 : 5개월
매출대비 : 270.62%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211900485
최근계약 : https://www.awakeplus.co.kr/board/contract/226330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26330
Пераслаў з:
IKIM Research avatar
IKIM Research
[IKIM 52주 신고가]
[2025-02-11 09:20:14]
▶종목명 : 코오롱티슈진(3.42%)
▶시총(천억)/순위 : 23.9 / 17.Q
▶현재가 : 33,250원
▶섹터 : 제약

▶회사정보 :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950160
10.02.202511:11
#SOOP 추가로 덧붙이자면 해당 분식회계에서 고의성이 없을 경우 상장폐지로까지 갈 가능성은 적습니다.

24년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에도 본인과 대리인 관련 분식회계로 중징계를 받았으나, 고의성이 없다는 이유로 과징금 41억과 임원 해임 정도로 끝났고요..

20년 KT&G의 경우에도 (본인과 대리인 관련 회계 이슈는 아니지만) 분식회계가 인정됐지만 고의성이 없다는 이유로 증권발행제한 2개월・감사인 지정 1년 조치로 마무리됐습니다.

만약에 SOOP이 고의성이 없다면 과징금 수십억 정도로 끝날 사안 같습니다. 물론 고의성이 있는 분식회계면 뭐... 상장폐지까지 직행일 것 같고요.

그런데 고의성 여부를 현 시점에서 판단하기도 어렵고, 떨어지는 칼날을 잡으려는 대기수요도 많이 없을거라서 조정 가능성이 매우 높긴 하겠죠ㅠ 아무쪼록 SOOP 주주 분들은 잘 대응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0.02.202503:13
알테오젠이 계약맺은 제약사 : 다이이찌산쿄(이름공개), 머크(이름공개), 산도즈(이름공개), 인타스(이름공개), 19년 사노피 추정(이름 미공개)

저 기사 말이 사실이라면, Top10 제약사이자 기업명을 밝히지 않은 계약사는 사노피밖에 없습니다. 그럼 듀피젠트 고용량일 가능성이 높겠죠?
23.02.202506:26
혹시 그거 아시나요..?

오늘(2025년 2월 23일)은 알테오젠이 머크와의 독점 계약을 체결한 24년 2월 22일에서 딱 1년하고 만 하루가 지난 날입니다.

그 날을 기억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제까지의 1년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1년을 프리뷰해보았습니다.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70572498
12.02.202503:03
📊 치매치료제 시장 스터디 : 25년은 치매치료제의 해?
- 알츠하이머 병은 이상 단백질(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AB, 타우 단백질 Tau)이 뇌 속에 쌓이면서 뇌 신경세포가 서서히 죽어가는 신경 질환
- 2023년 우리나라에서 사망 원인 순위 6위는 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 뇌질환 알츠하이머 병
- 학계에서 대부분 받아들이고 있는 가설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축적 → 타우 단백질 축적 → 뇌 세포 손상(신경염증) → 알츠하이머로 발전한다는 것
- 현재는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치료제(레켐비/키순라)만 FDA 허가를 받았고, 타우를 제거하는 치료제는 모두 임상2상에서 실패하며 치매 치료제 개발 난이도 상당

💊 레켐비 임상3상 결과
- CDR-SB 점수 변화(점수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 심각) : 레켐비 : 1.21 vs 위약 1.66 (인지기능약화 27% 감소)
- PET으로 측정한 아밀로이드(감소가 많이 될수록 알츠하이머 완화) : 레켐비 -55.48 센틸로이드 vs 위약 +3.64 센틸로이드

💊 키순라 임상3상 결과
- CDR-SB 점수 변화 : 위약 대비 0.70 감소 (인지기능약화 28.9% 감소)
- PET으로 측정한 아밀로이드 : 도나네맙 -87.0 센틸로이드 vs 위약 -0.67 센틸로이드

유효성 : 레켐비 < 키순라
부작용 : 레켐비 < 키순라
투약편리성 : 레켐비 < 키순라(키순라가 더 편리)
가격 : 레켐비 < 키순라(키순라가 더 비쌈)
투약종료: 레켐비 < 키순라(아밀로이드 단백질이 PET/CT 촬영 결과 없어질 경우 투약 중단 가능)

- 중요한 점은 베타 아밀로이드를 타겟할 수 있는 치료제가 생겨 직접적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제가 2개(레켐비와 키순라)나 시판됐다는 점
- 두 개의 치료제가 올해부터 본격 판매되므로 치매 치료제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는 전환점일 가능성 UP
- EP에 따르면 2030년에 키순라 매출 약 $24억(한화 약 3.5조)과 레켐비 매출 약 $37억(한화 약 5.4조)으로 추정
- 2024년은 비만 치료제의 해였으나, 2025년은 치매 치료제의 해가 될 가능성이 충분하지 않을까..?

#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아리바이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 참조 :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57188806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전문의 인터뷰 :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63
Пераслаў з:
탐방봇 avatar
탐방봇
11.02.202504:33
🤖 탐방봇 탐방노트 : 듀켐바이오

[배경]

1.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레켐비와 키순라는 기존 치료제와는 달리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직접 제거하는 기전으로 알츠하이머 진행을 늦추는 최초의 치료제

2. 2024년 11월 레켐비 국내 출시하였으며, 2026년 키순라 국내 출시 예정

3. 알츠하이머 진단/투약/경과를 지켜보기 위해서는 PET/CT를 통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촬영이 필요

4. PET/CT 촬영시 Fluorine-18(방사성동위원소)로 만들어진 조영제가 사용되는데, 반감기 110분으로 매우 짧아 생산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병원 내 생산시설 필요

6. 듀켐바이오는 신촌세브란스 / 삼성서울 / 강남세브란스 / 아주대 / 대전성모 / 강원대 / 한양대 / 영남대 / 경북대 / 인제대 / 동아대 등 다수 병원에 생산시설 확보하여 국내 PET/CT 촬영용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 시장 94% 독점


[P*Q]
1. 판매가격 : 듀켐바이오는 현재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를 1dose 당 50만원에 판매하고 있으며, 중기적으로 레켐비 판매호조 및 키순라 출시시 가격 인상 가능(독점 및 신규진입 불가로 P 인상 가능)

2. 환자수요 : 대한치매학회 조사 결과 국내 알츠하이머 환자 338만명 중 21만명(7%)은 레켐비를 보험 적용되지 않더라도 사용하겠다고 응답

3. PET/CT 캐파 : 국내 PET/CT는 121개 병원이 141대를 보유, 日 15회 촬영 캐파 중 8.3회 촬영되고 있어, 日 6.7회의 여유가 있음
141대 * 日 6.7회 * 264일(月 22일) = 22.7만회 촬영 가능

4. 듀켐바이오 캐파 : 2025년 알츠하이머 진단제(조영제) 年 9만dose 캐파
2H25 다른 제품 라인을 알츠하이머 진단제 라인으로 생산 전환 후 2H26 20만dose 추가
2027년 6만dose 추가 증설 완료
2028년 6만dose 추가 증설 완료
2028년 이후 유휴시설에 20만dose 추가 증설 가능


[성장성]
1. 듀켐바이오는 레켐비 출시 이전에도 암진단제/파킨슨진단제 등 방사성의약품을 판매하며 연 매출액 350억/영업이익 50억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2. 알츠하이머 진단제 매출은 2025년 450억(9만dose * 50만원), 2026년 950억(2H26 증설분 반영하여 19만dose * 50만원), 2027년 1750억(증설분 반영 35만dose * 50만원) 매출 add

3. 동사 BEP는 2025년 300억/2026년 350억 정도이며, 고정비가 83% 차지하여 매출 증가시 강력한 영업 레버리지 발생

4. 당장 2025년만 보더라도 동사의 알츠하이머 진단제 풀캐파 9만dose가 다 팔려도, 전국 PET/CT 잔여 캐파의 1/3, 전국 치매환자의 2.6% 밖에 되지 않음

5. 반면 기존 사업 350억 + 알츠하이머 진단제 9만dose 450억 = 2025년 매출액 800억, BEP 300억의 실적 기대 가능

6. 현재 시총은 3200억


[요약]
- 블록버스터 급으로 성장 기대되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가 작년 말 출시 됨
- 알츠하이머 진단/투약을 위해서는 동사의 진단제(조영제) 필요
- 진단제는 방사성의약품이라 신규 진입이 제한되며 동사는 국내 알츠하이머 진단제 94% 독점
- 레켐비의 약진과 경쟁 약물인 키순라의 내년 출시시 치료제를 맞고 싶어도 진단제가 부족해 못 맞는 상황 발생(국내 치매환자 수의 2.7% 캐파)
- 타임라인 2024년 11월 레켐비 국내 출시 -> 2025년 1월 전국 43개 병원 레켐비 사용 승인 후 환자들 PET/CT 예약 -> 2025년 3월부터 예약된 PET/CT 촬영 시작(동사 본격적인 매출 발생 시작) -> 이후 각 대학병원에 PET/CT 예약 대기기간 문의 대기기간이 얼마나 늘어나느냐에 따라 레켐비 투약을 위한 PET/CT 촬영이 늘어난다고 보면 됨


🤖탐방봇 텔레그램 : https://t.me/TambangVot
10.02.202518:53
📊 HL홀딩스 긍정적인 주주환원책 발표, 품절주 대열 시작?

#HL홀딩스 가 2월 7일 장 종료 이후 매우 긍정적인 주주환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배당 2,000원(시가배당률 5.8%), 47만 주 주식소각(총 주식수의 4.8%), 130억 자사주 취득(취득기한 내년 1월)을 진행합니다.

이론적으로 약 10.6%(시가배당 5.8%+주식소각 4.8%)의 주주가치가 하루만에 증가됐습니다. 여기에 앞으로 26~27년도 최소 2,000원 이상 배당 유지와 총 200억 자사주 매입 및 소각하는 주주환원책까지도 발표됐습니다.

현재 동사의 소액주주 소유주식은 약 51%(약 1,700억)인데, 회사 계획대로 올해 130억+26~27년 최소 200억이 자사주 취득으로 사용되면 유통물량수는 크게 감소하게 됩니다.

24년도는 영업이익은 23년과 비슷했지만 일부 사업 자산 평가 손상에 따라서 당기순이익이 하락했습니다. 따라서 25년도에 예년과 비슷한 당기순이익(500억)을 기록할 경우 현재 PER은 6.6에 불과합니다.

물론 지주사이기에 높은 밸류에이션이 불가하겠지만, 최근 긍정적인 주주환원책을 다수 발표한만큼 밸류 리레이팅이 장기적으로 기대됩니다. 높은 주주환원 정책으로 PER이 10배까지만 올라도 +50%의 업사이드가 열려있을 수 있겠습니다.
10.02.202510:51
예전에 본인과 대리인 회계처리 관련 내용으로 글 한번 쓴 적 있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2871537815
10.02.202502:59
치매치료 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치매의 원인이 되는 아밀로이드-베타를 제거할 수 있는 치료제 레켐비가 우리나라에서 지난 12월 출시됐기 때문인데요.

이 시장이 열린다면 수혜를 볼 수 있는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이 어딜지 고민해볼 시점이라 판단됩니다. 아래 두 기업 공부해볼 시기라고 생각되네요.

#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663
#알테오젠 1,550억 기관 완납~~
11.02.202513:37
치매(알츠하이머) 치료 시장에 관한 스터디입니다. 레켐비와 키순라라는 치매 치료제 시장이 왜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는 신약인지, 치매치료와 관련된 임상3상에서의 유효성은 어떠한지, 어떤 기업이 치매치료제 시장 개화에 따라 수혜를 받을 수 있는지 스터디해보았습니다.

EP에서 제시한 자료에 따르면 2030년에 키순라는 매출 약 $24억(한화 약 3.5조)과 레켐비는 매출 약 $37억(한화 약 5.4조)에 달하는 블록버스터 약품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위의 추정 매출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하는 해가 바로 올해인 2025년입니다.

2024년은 비만 치료제의 해였습니다. 그러나 2025년은 치매 치료제의 해가 될 가능성이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하며 글을 마칩니다.

https://blog.naver.com/foreconomy/223757188806
11.02.202502:28
최근 듀켐바이오의 주가가 정말 좋았습니다. 텔레나 블로그에서 언급이 없는 기업이지만 소위 '끼'가 보이는 기업입니다. 거의 처음으로 듀켐바이오라는 기업을 다뤄보는 것 같네요.

우리나라에서 치매(키순라)와 전립선암(플루빅토) 치료제가 작년에 승인된 이후로, 올해부터 처방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이렇듯 치매와 전립선암 치료제 시장이 개화할수록, 치매와 전립선암의 방사성 동위원소 진단제를 생산하는 동사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듀켐바이오가 어떤 기업이고, 앞으로 매출이 왜 폭발적으로 증가할 예정인지 아래 네프콘에서 함께 공부해보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startale0517/startale/contents/250211112153025rk
#에이비엘바이오 파트너사 컴퍼스 테라퓨틱스 +12% 기록하며 직전 꼬리 돌파.

현재 컴퍼스 테라퓨틱스 대표가 미국 전역 돌면서 IR 중이라던데 버거 형님에게도 반응이 꽤 잘 먹히는 중인듯
10.02.202510:35
[단독]숲(SOOP), 수백억원대 분식회계 의혹으로 금감원 감리

• 아프리카TV에서 사명을 변경한 숲(SOOP)이 게임 콘텐츠 광고 매출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수백억 원대 분식회계 의혹을 받아 금융감독원의 회계 감리를 받고 있다.

• 숲은 스트리머에게 지급되는 광고비를 자사 매출에 포함시켜 매출을 부풀린 혐의를 받고 있으며, 2021년에도 유사한 문제로 지적받았으나 미흡하게 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 고의적인 분식회계가 확인될 경우 숲 경영진은 형사처벌까지 받을 수 있으며, 숲 측은 금감원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https://www.chosun.com/economy/tech_it/2025/02/10/SKWDYG5XXBARHD3QXF64757NX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2019년 계약사
Паказана 1 - 24 з 299
Увайдзіце, каб разблакаваць больш функц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