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6.05.202523:44
gm
05.05.202506:32
Cursor는 Thrive, a16z 및 Accel으로부터 90억 달러 가치로 자금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s://techcrunch.com/2025/05/04/cursor-is-reportedly-raising-funds-at-9-billion-valuation-from-thrive-a16z-and-accel/
https://techcrunch.com/2025/05/04/cursor-is-reportedly-raising-funds-at-9-billion-valuation-from-thrive-a16z-and-accel/


04.05.202518:02
이더리움이 괜히 근본이 아니다


04.05.202517:48
진짜 이렇게까지 하는데도....?


03.05.202510:37
끝났다
03.05.202506:20
유튜브 프리미엄 구독료를 44퍼나 할인해준다는 공동구독 플랫폼의 정체
https://x.com/hyunbinseo97/status/1918524766652113212
https://x.com/hyunbinseo97/status/1918524766652113212
05.05.202523:00
아이폰에서 꼭 설정해야할 거


04.05.202518:36
우리 모두의 이야기


04.05.202517:59
에휴씹 ㅋㅋ
03.05.202514:44
이렇게까지 하는데도 안오른다면 그만 놔줘야지 뭐...


03.05.202510:15
휴..
转发自:
돌비콩의 코인정복

02.05.202512:12
🇰🇷한국 프로젝트, 왜 ‘김치 스캠’ 프레임 못 벗어나나
1. 빌더보다 토큰쟁이 많다?
- 사실 문제는 빌더 부족이 아니라 GTM 부재. 시장 트랙션 만들 플레이북 없음
- 유동성·가격 메커니즘 이해 부족 → TGE가 ‘자폭 버튼’으로 전락
- “제품 잘 뽑으면 토큰도 자연스레 오르겠지”란 착각, 반대로 토큰 유동성 → 제품 생존이 현실
2. 정식 루트 ‘싫어서’가 아니라 ‘막혀서’
- 중계 거래소+오프쇼어 OTC 네트워크… 한국 팀은 꽌시 경쟁력 제로
- 국내 거래소도 김치 공포증 → 상장·온오프램프 난도 ↑
3. 하드웨어급 사업비 + 매출집착 = 괴상한 토큰 설계
- 법인계좌·온체인 수익화 제약 → 토큰 회계 리스크 피하려다 ‘양념 반 근본 반’ 모델 양산
- 주력 IP = 전통 매출 파이프라인이라 토큰·NFT 올인 불가 → 반쪽짜리 웹3 제품
4. ‘김치 프로젝트=스캠’ 레거시
- 과거 러그 선배들이 만든 불신 → 후발 legit 팀도 동일 취급 선입견
- 결과적으로 한국 팀은 해외 프로젝트로 위장, 해외 팀은 한 유동성 노리는 아이러니 발생
5. 문제는 ‘유동성 플레이’를 못한다는 것
- 금융위 리스크로 MM·인센티브 집행 주저
- 초기 가격 붕괴 → 자금 고갈 → 제품도 동반 추락
- 플레이북 갖춘 후, 제품 스몰-런치 → 지표 → 토큰 유동성 순서로 해결
한국 프로젝트가 힘든 이유에 대하여...
18년부터 한국 web3 업계에서 계속 일한 입장에서 느끼는 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슴다.
일단 저는 계속 무엇인가 제품을 만드는(=토큰을 발행하는) 회사에서 일을하고 싶었습니다. 해외 프로젝트에 취업했을때 대부분의 선택지는 regional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렇게되면 저희 시야가 하나의 시장으로 좁아지는게 싫었거든요.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한국 프로젝트에 몸을 담게되었죠.
https://t.me/wise_degen_house/286
1. 빌더보다 토큰쟁이 많다?
- 사실 문제는 빌더 부족이 아니라 GTM 부재. 시장 트랙션 만들 플레이북 없음
- 유동성·가격 메커니즘 이해 부족 → TGE가 ‘자폭 버튼’으로 전락
- “제품 잘 뽑으면 토큰도 자연스레 오르겠지”란 착각, 반대로 토큰 유동성 → 제품 생존이 현실
2. 정식 루트 ‘싫어서’가 아니라 ‘막혀서’
- 중계 거래소+오프쇼어 OTC 네트워크… 한국 팀은 꽌시 경쟁력 제로
- 국내 거래소도 김치 공포증 → 상장·온오프램프 난도 ↑
3. 하드웨어급 사업비 + 매출집착 = 괴상한 토큰 설계
- 법인계좌·온체인 수익화 제약 → 토큰 회계 리스크 피하려다 ‘양념 반 근본 반’ 모델 양산
- 주력 IP = 전통 매출 파이프라인이라 토큰·NFT 올인 불가 → 반쪽짜리 웹3 제품
4. ‘김치 프로젝트=스캠’ 레거시
- 과거 러그 선배들이 만든 불신 → 후발 legit 팀도 동일 취급 선입견
- 결과적으로 한국 팀은 해외 프로젝트로 위장, 해외 팀은 한 유동성 노리는 아이러니 발생
5. 문제는 ‘유동성 플레이’를 못한다는 것
- 금융위 리스크로 MM·인센티브 집행 주저
- 초기 가격 붕괴 → 자금 고갈 → 제품도 동반 추락
- 플레이북 갖춘 후, 제품 스몰-런치 → 지표 → 토큰 유동성 순서로 해결


05.05.202514:21
트럼프는 이미지를 저장해서 올리는것 조차 귀찮아서 스샷을 찍어서 그냥 올립니다. 자기가 뭘 올리는지 알고는 있을까요?


04.05.202518:11
씨발새끼들아 이상한거 그만사고 GORK좀


04.05.202517:52
mexc 기준 100m 다녀왔다고 치자 그냥 지친다
03.05.202514:36
감사합니다 일론


03.05.202510:12
orca가 밈코인을 만들었다고 orca도 오르고 pope도 오르는게 대체 무슨 원리임


02.05.202505:21
SXT 신규 상장 소식에 쳐박는 STX


05.05.202513:43
CZ: 바이낸스에는 CEO, CTO, CMO, CCO, CFO, COO 외에 C가 없습니다.
딩가링: 저는 바이낸스의 CRO였습니다.
딩가링: 저는 바이낸스의 CRO였습니다.


04.05.202518:07
일론 이름 변경


04.05.202517:49
일론머스크 프사 gork 로 변경


03.05.202514:34
try gork


03.05.202510:09
잘못된 건 나였고...
显示 1 - 24 共 1 418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