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거 메르님식 의식의 흐름 나열
뒤에 내용 안봐서 그냥 내 생각+영상 내용 짬뽕 ㅋㅋ
0. 미국은 국채를 계속 흡수해야 함.
1. 미국은 현재 재정적자가 상당히 큼. 이를 메우기 위해서 계속해서 국채를 발행하고, 그 국채를 사줄 수요가 필요.
2. 미국 국채가 전 세계 투자자와 중앙은행, 금융기관 등이 “안전자산”으로 간주하며 사들이는 구조가 이어져야, 달러가 기축 통화로 남을 수 있음.
3. 요새 나오는 스테이블 코인은 단기 국채(T-bills)나 미국 국채 기반 MMF 등을 백킹으로 하는 경우가 많음.
4. 지금은 USDe같이 재밌는 개념이 많지만 나중에는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말을 쓰려면 100% RWA T-bill 백킹만 해당 용어를 쓸 수도 있음.
5. 물론 USDe는 스테이블 코인 아니고 합성 달러라고 정확하게 이야기하고 있긴 함.
6. 일본은 미국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 중 하나임.
7. BOJ의 움직임이 요새 심상치 않음. 일국채/일본 기준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미국채와의 금리 격차가 줄어들게 됨.
8.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는 엔캐리 청산도 같은 맥락이고, 궁극적으로는 일본의 미국채 수요가 줄어듦.
9. 지금 일본이 미국채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처럼 외국의 미국채 의존도가 커지면 미국 입장에서 기분 나쁨.
10. 미국채 백킹으로 국채를 흡수해주는 민간 스테이블 업체가 많이 생길수록 외국(=특히 일본 같은) 중앙은행의 정책 변화에 따른 미국 국채 흔들림이 완화됨.
11. CBDC가 발행되면 중앙은행-시중은행-리테일의 근간이 무너지게 됨.
12. 전통 구조 : 중앙은행 -> 시중은행 -> 리테일.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지불준비금 예치하고, 시중은행은 리테일에게 예금 통화를 창출하고 있음.
13. CBDC 도입 : 중앙은행 <-> 리테일. 리테일이 CBDC를 보유하게 되면 시중 은행 스킵하고 중앙은행과 1:1 연결됨. 그러면 시중은행이 바보가 됨.
14. 우리나라도 CBDC 어쩌구 하는데 팔로업 안해서 잘모름
15. 그런 의미에서 트럼프는 다 알고 "CBDC NO" "Stable YES" 를 외친게 아닌가 싶음.
16.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되면 QE와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게 됨.
17. 현금 흐름 : 코인 구매자 -> 스테이블 업체 -> 국채 매도자
18. 국채 흐름 : 국채 매도자 -> 코인 발행업자 -> 코인 구매자
19. 스테이블 코인은 결국 Bond Reservoir 였던 것임.
20. (대충 파월이 장난감 총으로 달러 쏘는 짤)양적 완화 파티 하고 싶음. 불장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