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4.202523:30
포스코인터내셔널(047050)
실적에 비해 아쉬운 주가 흐름
1Q OP 2,702억원(+1.8% YoY), 당초 전망치 소폭 상회
1분기 연결 매출액 8.2조원(+5.1% YoY), 영업이익 2,702억원(+1.8% YoY)으로 매출액은 당초 예상치에 부합했고, 영업이익은 예상치를 소폭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함. 한편, 세전이익과 지배주주순이익도 당초 예상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수준을 기록함. 이는 에너지사업의 소폭 감익에도 소재 사업이 견조한 이익창출을 시현했기 때문임. [에너지사업] SMP(전력시장가격)의 약세로 발전 부문의 감익에도 E&P(미얀마와 SENEX 판매량과 단가 상승, 원화 약세)부문의 증익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비 소폭 감소한 1,350억원을 기록함. [소재사업] 철강(시황 하락에 따른 이익 감소)과 무역 법인의 감익에도 불구하고, 소재바이오(발전용탄 판매량 확대)와 투자법인
(인니팜 증익, 모터코어 흑전)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비 1.7% 증가한 1,306억원을 기록함.
실적에 비해 아쉬운 주가 흐름
1Q OP 2,702억원(+1.8% YoY), 당초 전망치 소폭 상회
1분기 연결 매출액 8.2조원(+5.1% YoY), 영업이익 2,702억원(+1.8% YoY)으로 매출액은 당초 예상치에 부합했고, 영업이익은 예상치를 소폭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함. 한편, 세전이익과 지배주주순이익도 당초 예상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수준을 기록함. 이는 에너지사업의 소폭 감익에도 소재 사업이 견조한 이익창출을 시현했기 때문임. [에너지사업] SMP(전력시장가격)의 약세로 발전 부문의 감익에도 E&P(미얀마와 SENEX 판매량과 단가 상승, 원화 약세)부문의 증익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비 소폭 감소한 1,350억원을 기록함. [소재사업] 철강(시황 하락에 따른 이익 감소)과 무역 법인의 감익에도 불구하고, 소재바이오(발전용탄 판매량 확대)와 투자법인
(인니팜 증익, 모터코어 흑전)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비 1.7% 증가한 1,306억원을 기록함.
转发自:
토브스탁 USA

22.04.202523:58
📌 테슬라 2025년 1분기 실적 부진에도 주가 상승
테슬라 (NASDAQ:TSLA) (TSL)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주당 순이익(EPS)과 매출 전망치를 하회. 테슬라는 EPS 0.27달러를 기록해 예상치인 0.42달러에 미치지 못했으며, 매출은 193억 4천만 달러로 예상치 214억 달러를 하회. 이러한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134% 급등하여 이전 마감가 223.97달러에서 250.18달러로 거래(한국시간 23일 오전 8시 50분 기준)
주요 내용
테슬라는 2025년 1분기 EPS와 매출 예상치를 모두 하회
자동차 마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저장 사업에서 기록적인 총이익을 달성. 자율 주행차 및 로봇 개발 이니셔티브에서 상당한 진전
회사 실적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은 에너지 저장 부문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지만 자동차 부문에서는 어려움. 자동차 인도 감소와 공장 업데이트로 인해 자동차 마진 감소. 그러나 테슬라의 혁신에 대한 노력은 여전히 강력하며, 자율 기술 및 로봇 개발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짐
재무 하이라이트
매출: 193억 4천만 달러, 예상치 214억 달러 하회
주당 순이익: 0.27달러, 예상치 0.42달러 하회
에너지 저장 사업에서 기록적인 총이익 달성
실적 vs. 전망
테슬라의 실제 EPS는 0.27달러로 예상치 0.42달러에 미치지 못해 상당한 차이. 매출 또한 20억 6천만 달러 부족하여 운영상의 어려움이나 시장 압력 시사
시장 반응
실적 기대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크게 상승하여 투자자들이 회사의 미래 전망에 대해 낙관적임. 주가는 실적 발표 전 마감가 237.97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250.73달러 거래중
전망 및 가이던스
테슬라는 6월에 오스틴에서 Robotaxi를 출시할 계획이며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미래에 대해 낙관적. 회사는 2025년 하반기까지 수백만 대의 자율 주행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9년까지 연간 100만 대의 Optimus 장치 생산을 목표
경영진 논평
일론 머스크 CEO는 대규모 자율 주행차와 로봇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회사의 미래는 근본적으로 대규모 자율 주행차와 대량의 자율 휴머노이드 로봇에 기반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함. Dev Ateneja CFO는 "우리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뿐만 아니라 자동차도 제조하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임
위험 및 과제
공장 변경 및 인도 감소로 인한 자동차 마진 감소
AI 및 차량 프로그램 이니셔티브로 인한 운영 비용 증가
EV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불확실성
특히 에너지 저장 부문에서 관세로 인한 잠재적인 과제
Q&A
실적 발표에서 분석가들은 테슬라의 완전 자율 주행(FSD) 기술의 가격 및 미래 기능, 공급망 복원력, 관세의 영향에 대해 질문. 회사는 혁신과 시장 확장에 대한 전략적 초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우려 사항을 해결할 계획
이 기사는 Investing.com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번역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약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토브스탁 USA: 테슬라 자료
https://us.tovstock.com/stock?ticker=TSLA
✅ https://t.me/tovstock_usa
테슬라 (NASDAQ:TSLA) (TSL)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주당 순이익(EPS)과 매출 전망치를 하회. 테슬라는 EPS 0.27달러를 기록해 예상치인 0.42달러에 미치지 못했으며, 매출은 193억 4천만 달러로 예상치 214억 달러를 하회. 이러한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134% 급등하여 이전 마감가 223.97달러에서 250.18달러로 거래(한국시간 23일 오전 8시 50분 기준)
주요 내용
테슬라는 2025년 1분기 EPS와 매출 예상치를 모두 하회
자동차 마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저장 사업에서 기록적인 총이익을 달성. 자율 주행차 및 로봇 개발 이니셔티브에서 상당한 진전
회사 실적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은 에너지 저장 부문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지만 자동차 부문에서는 어려움. 자동차 인도 감소와 공장 업데이트로 인해 자동차 마진 감소. 그러나 테슬라의 혁신에 대한 노력은 여전히 강력하며, 자율 기술 및 로봇 개발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짐
재무 하이라이트
매출: 193억 4천만 달러, 예상치 214억 달러 하회
주당 순이익: 0.27달러, 예상치 0.42달러 하회
에너지 저장 사업에서 기록적인 총이익 달성
실적 vs. 전망
테슬라의 실제 EPS는 0.27달러로 예상치 0.42달러에 미치지 못해 상당한 차이. 매출 또한 20억 6천만 달러 부족하여 운영상의 어려움이나 시장 압력 시사
시장 반응
실적 기대치를 밑돌았음에도 불구하고 테슬라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크게 상승하여 투자자들이 회사의 미래 전망에 대해 낙관적임. 주가는 실적 발표 전 마감가 237.97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250.73달러 거래중
전망 및 가이던스
테슬라는 6월에 오스틴에서 Robotaxi를 출시할 계획이며 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미래에 대해 낙관적. 회사는 2025년 하반기까지 수백만 대의 자율 주행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9년까지 연간 100만 대의 Optimus 장치 생산을 목표
경영진 논평
일론 머스크 CEO는 대규모 자율 주행차와 로봇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회사의 미래는 근본적으로 대규모 자율 주행차와 대량의 자율 휴머노이드 로봇에 기반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함. Dev Ateneja CFO는 "우리는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뿐만 아니라 자동차도 제조하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임
위험 및 과제
공장 변경 및 인도 감소로 인한 자동차 마진 감소
AI 및 차량 프로그램 이니셔티브로 인한 운영 비용 증가
EV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불확실성
특히 에너지 저장 부문에서 관세로 인한 잠재적인 과제
Q&A
실적 발표에서 분석가들은 테슬라의 완전 자율 주행(FSD) 기술의 가격 및 미래 기능, 공급망 복원력, 관세의 영향에 대해 질문. 회사는 혁신과 시장 확장에 대한 전략적 초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우려 사항을 해결할 계획
이 기사는 Investing.com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번역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용약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토브스탁 USA: 테슬라 자료
https://us.tovstock.com/stock?ticker=TSLA
✅ https://t.me/tovstock_usa
转发自:
토브스탁 USA

22.04.202523:23
📌 [뉴욕마감시황, 4/23 수 ]
"무역전쟁 끝나면 랠리 시작된다, 오늘 그 예고편!
—> 미중 해빙 기류, 증시는 바로 반응했다~"
관련자료보기:
https://us.tovstock.com/contents/analysis/183
1. 시장 개요 및 주요 지수 변동
- 4월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전일 급락세를 뒤로하고 강하게 반등. 미‧중 관세 전쟁 완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끌어올리며 다우지수는 1,000포인트 이상 상승했고, S&P500과 나스닥도 2.5% 이상 급등
- 다우지수: +2.66% (39,186.98pt) 상승
- S&P 500 지수: +2.51% (5,287.76pt) 상승
- 나스닥지수: +2.71% (16,300.42pt) 상승
- 러셀 2000: +2.71% 상승
2. 주요 이슈 및 시장 동향
1)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미‧중 관세 전쟁이 곧 완화될 것”이라고 밝히며 증시에 강한 훈풍을 제공. 그는 “지금 상태가 지속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은 없다”며 협상 전망에 대해 긍정적 견해
(2) 전일 트럼프發 파월 공격 쇼크 해소
-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파월 의장을 강하게 비난하며 증시를 뒤흔들었지만, 이번 발언으로 투자자들은 다시 무역 정책 변화에 주목하는 모습.
(3) 미‧인도 간 무역협상도 긍정적 신호
- 부통령 JD 밴스가 인도 모디 총리와 만나 무역 진전 언급, 글로벌 무역 리스크 완화 기대감 상승.
< 결론 >
- 전날의 쇼크를 씻어낸 뉴욕증시는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에 기반한 강한 기술적 반등 연출.
- 특히 트럼프-파월 충돌 이슈가 일단락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관세 정책으로 이동했고, 중국 노출도가 높은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시장 전체 견인.
- 다만 베센트 장관이 "협상은 시작조차 안 됐다"고 밝힌 만큼, 향후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의 리스크 요인
< 더 자세한 사항 정리 >
* 특징주, 상승 종목, 하락 종목 등
*11개 섹터지수 동향
*시가총액 Top 10 종목
* 필라델피아 반도체 종목
* 급등주 vs 급락주 종목
* 52주 신고가, 신저가 종목
- 투자 판단의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자료보기를 참고해주세요.
❤️ 공유는 맘껏~자유롭게~~
링크도 지인분들께 같이 공유해주시면 감사
✅ https://t.me/tovstock_korea1
✅ https://t.me/tovstock_usa
"무역전쟁 끝나면 랠리 시작된다, 오늘 그 예고편!
—> 미중 해빙 기류, 증시는 바로 반응했다~"
관련자료보기:
https://us.tovstock.com/contents/analysis/183
1. 시장 개요 및 주요 지수 변동
- 4월 2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전일 급락세를 뒤로하고 강하게 반등. 미‧중 관세 전쟁 완화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끌어올리며 다우지수는 1,000포인트 이상 상승했고, S&P500과 나스닥도 2.5% 이상 급등
- 다우지수: +2.66% (39,186.98pt) 상승
- S&P 500 지수: +2.51% (5,287.76pt) 상승
- 나스닥지수: +2.71% (16,300.42pt) 상승
- 러셀 2000: +2.71% 상승
2. 주요 이슈 및 시장 동향
1)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미‧중 관세 전쟁이 곧 완화될 것”이라고 밝히며 증시에 강한 훈풍을 제공. 그는 “지금 상태가 지속 가능하다고 보는 사람은 없다”며 협상 전망에 대해 긍정적 견해
(2) 전일 트럼프發 파월 공격 쇼크 해소
- 전날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 파월 의장을 강하게 비난하며 증시를 뒤흔들었지만, 이번 발언으로 투자자들은 다시 무역 정책 변화에 주목하는 모습.
(3) 미‧인도 간 무역협상도 긍정적 신호
- 부통령 JD 밴스가 인도 모디 총리와 만나 무역 진전 언급, 글로벌 무역 리스크 완화 기대감 상승.
< 결론 >
- 전날의 쇼크를 씻어낸 뉴욕증시는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에 기반한 강한 기술적 반등 연출.
- 특히 트럼프-파월 충돌 이슈가 일단락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관세 정책으로 이동했고, 중국 노출도가 높은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시장 전체 견인.
- 다만 베센트 장관이 "협상은 시작조차 안 됐다"고 밝힌 만큼, 향후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시장의 리스크 요인
< 더 자세한 사항 정리 >
* 특징주, 상승 종목, 하락 종목 등
*11개 섹터지수 동향
*시가총액 Top 10 종목
* 필라델피아 반도체 종목
* 급등주 vs 급락주 종목
* 52주 신고가, 신저가 종목
- 투자 판단의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관련자료보기를 참고해주세요.
❤️ 공유는 맘껏~자유롭게~~
링크도 지인분들께 같이 공유해주시면 감사
✅ https://t.me/tovstock_korea1
✅ https://t.me/tovstock_usa
22.04.202523:09
한전 KPS (051600)
1Q25 Pre: 원전 때문에 빠지면 사세요
1Q25 Pre: 외형은 컨센서스 부합, 이익은 하회 전망. 1Q는 비수기
[1분기 실적] 영업이익 483억원(-7.5%, 이하 YoY, OPM +13.7%) 전망.
매출 발생의 계절성으로 인해 전사 외형 3,527억원(+2.9%)으로 소폭 성장 예상. 화력 대비 고마진인 원자력이 포함된 원자력·양수 외형 4.8% 감소 전망. 지속 상승 추세에 있는 노무비 영향도 이익에 반영될 것으로 추정
[2025년 실적] 영업이익 2,030억원(-3.1%, OPM +12.9%) 전망. 직전 보고서 대비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 1) 원자력 부문 일감 증가(신한울 1·2호기, 새울 3·4호기, 제11차 전기본 상 신규 용량)는 명확하나 정비 주기, 과거 3개년 대비 많았던 정비 실적 고려해 원자력·양수 외형 하향 조정 (6,627억원 6,403억원). 2) 대외(광양 3발전 등 신규 수주 필요) 및 해외 (특히 원전 관련 신규 수주 필요) 외형 부진 예상. 금번 경영 평가 등급 A로 결정돼도 2024년만큼 노무비 증가는 없을 전망. 상기 요인에도 불구하고 2,000억원 내외의 견조한 이익 체력 보여줄 것으로 기대
1Q25 Pre: 원전 때문에 빠지면 사세요
1Q25 Pre: 외형은 컨센서스 부합, 이익은 하회 전망. 1Q는 비수기
[1분기 실적] 영업이익 483억원(-7.5%, 이하 YoY, OPM +13.7%) 전망.
매출 발생의 계절성으로 인해 전사 외형 3,527억원(+2.9%)으로 소폭 성장 예상. 화력 대비 고마진인 원자력이 포함된 원자력·양수 외형 4.8% 감소 전망. 지속 상승 추세에 있는 노무비 영향도 이익에 반영될 것으로 추정
[2025년 실적] 영업이익 2,030억원(-3.1%, OPM +12.9%) 전망. 직전 보고서 대비 이익 추정치 하향 조정. 1) 원자력 부문 일감 증가(신한울 1·2호기, 새울 3·4호기, 제11차 전기본 상 신규 용량)는 명확하나 정비 주기, 과거 3개년 대비 많았던 정비 실적 고려해 원자력·양수 외형 하향 조정 (6,627억원 6,403억원). 2) 대외(광양 3발전 등 신규 수주 필요) 및 해외 (특히 원전 관련 신규 수주 필요) 외형 부진 예상. 금번 경영 평가 등급 A로 결정돼도 2024년만큼 노무비 증가는 없을 전망. 상기 요인에도 불구하고 2,000억원 내외의 견조한 이익 체력 보여줄 것으로 기대
22.04.202523:04
SGC에너지 (005090)
예상보다 컸던 원가 상승
목표주가 38,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SGC에너지 목표주가 38,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예상보다 발전/에너지 부문 실적 둔화폭이 컸지만 건설/부동산 부문 흑자 기조가 명확해진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1분기 SMP는 평균 115.5원/kWh으로 전년대비 11.6% 하락했지만 4월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는 중이다. 2분기부터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증분을 매출 성장을 통해 만회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기준 PER 6.2배, PBR 4.9배이며 실적이 둔화되어도 유지되는 DPS 1,700원은 현재 주가 대비 매력적인 접근 포인트다.
예상보다 컸던 원가 상승
목표주가 38,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SGC에너지 목표주가 38,000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1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예상보다 발전/에너지 부문 실적 둔화폭이 컸지만 건설/부동산 부문 흑자 기조가 명확해진 점은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1분기 SMP는 평균 115.5원/kWh으로 전년대비 11.6% 하락했지만 4월부터 다시 상승세로 전환되는 중이다. 2분기부터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증분을 매출 성장을 통해 만회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기준 PER 6.2배, PBR 4.9배이며 실적이 둔화되어도 유지되는 DPS 1,700원은 현재 주가 대비 매력적인 접근 포인트다.
23.04.202504:23
22.04.202523:29
바이오플러스 (099430)
HA필러·화장품·마이크로니들 패치
세 개의 성장축이 움직인다
2025년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 전망
동사는 필러 중심의 기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반의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기존 필러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바탕으 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보툴리눔 톡신 및 GLP-1 비만 치료제 등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있 으며, 2025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직접 수출 체계를 강화하는 구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5년 실적은 총매출 1,089.9억 원(+65.5% YoY),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으로 추정된다. HA 필러 매출이 720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메디컬 디바이스 81억 원, 코스메틱 227.5억 원, 상품 및 용역 부문에서 70.5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HA필러·화장품·마이크로니들 패치
세 개의 성장축이 움직인다
2025년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 전망
동사는 필러 중심의 기존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반의 차세대 바이오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기존 필러 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바탕으 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보툴리눔 톡신 및 GLP-1 비만 치료제 등 파이프라인을 다각화하고 있 으며, 2025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및 직접 수출 체계를 강화하는 구조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2025년 실적은 총매출 1,089.9억 원(+65.5% YoY), 영업이익 483.2억 원(+107.2% YoY)으로 추정된다. HA 필러 매출이 720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며, 메디컬 디바이스 81억 원, 코스메틱 227.5억 원, 상품 및 용역 부문에서 70.5억 원의 매출이 예상된다
22.04.202523:19
금호석유(011780)
1Q25 Preview: 분위기 고무적
화학업종 내 진정한 의미의 실적 서프라이즈
1분기 실적은 기대 이상으로 양호할 전망이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0% 증가한 86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12% 상회할 것이다. 합성고무 스프레드 개선과 합성수지 흑자전환이 호실적을 견인했다. 사업부문별 영업이익은 합성고무 395억원(+57% YoY, OPM 5%), 합성수지 44억원(흑자전환, OPM 1%), 페놀유도체 -75억원(적자지속, OPM -2%), EPDM/TPV 176억원(-24%, OPM 10%)으로 추정된다. 합성고무 실적은 판가 인상과 긍정적 래깅 효과 덕분에 영업이익률이 5%로 반등할 전망이다. 합성수지는 어려운 시황 속에서도 ABS 판매 호조로 우려했던 것과 다르게 흑자전환한 것으로 예상된다. 금호피앤비의 경우 작년 4분기 정기보수가 일단락되면서 판매량 회복과 함께 적자폭이 기대 이상으로 축소될 것이다.
1Q25 Preview: 분위기 고무적
화학업종 내 진정한 의미의 실적 서프라이즈
1분기 실적은 기대 이상으로 양호할 전망이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0% 증가한 860억원으로 컨센서스를 12% 상회할 것이다. 합성고무 스프레드 개선과 합성수지 흑자전환이 호실적을 견인했다. 사업부문별 영업이익은 합성고무 395억원(+57% YoY, OPM 5%), 합성수지 44억원(흑자전환, OPM 1%), 페놀유도체 -75억원(적자지속, OPM -2%), EPDM/TPV 176억원(-24%, OPM 10%)으로 추정된다. 합성고무 실적은 판가 인상과 긍정적 래깅 효과 덕분에 영업이익률이 5%로 반등할 전망이다. 합성수지는 어려운 시황 속에서도 ABS 판매 호조로 우려했던 것과 다르게 흑자전환한 것으로 예상된다. 금호피앤비의 경우 작년 4분기 정기보수가 일단락되면서 판매량 회복과 함께 적자폭이 기대 이상으로 축소될 것이다.
22.04.202523:08
엘앤에프(066970)
고객 포트폴리오 확대가 가장 기대된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0원 제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0원을 제시하며 분석을 재개한다. 목표주가는 2026F EBITDA 2,398억원에 Target EV/EBITDA 21.5배를 적용했다. 2025년 매출액 2.39조원(+25.4 % YoY), EBITDA -53억원(적자지속), 2026년 매출액 3.73조원(+56.0 % YoY), EBITDA 2,398억원(흑자전환)를 전망한다. 메탈가 하향 안정화 및 리튬 장기계약이 2025년에 마무리되며 대규모 영업적자를 야기했던 재고자산평가손실이 올해 상반기 중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동률 상승으로 인해 2026년 영업이익 1,409억원(OPM 3.8%)으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추정한다.
고객 포트폴리오 확대가 가장 기대된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0원 제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95,000원을 제시하며 분석을 재개한다. 목표주가는 2026F EBITDA 2,398억원에 Target EV/EBITDA 21.5배를 적용했다. 2025년 매출액 2.39조원(+25.4 % YoY), EBITDA -53억원(적자지속), 2026년 매출액 3.73조원(+56.0 % YoY), EBITDA 2,398억원(흑자전환)를 전망한다. 메탈가 하향 안정화 및 리튬 장기계약이 2025년에 마무리되며 대규모 영업적자를 야기했던 재고자산평가손실이 올해 상반기 중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동률 상승으로 인해 2026년 영업이익 1,409억원(OPM 3.8%)으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추정한다.
22.04.202523:02
대덕전자 (353200)
1Q 부진하나 2Q 회복 예상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0,000원 하향(13%)
2025년 1Q 실적은 종전 추정대비 부진, 매출(2,149억원)과 영업이익(-43억원)은 각각 전년대비 0.1% 증가, 적자지속 추정. 종전의 영업이익은 -10억원에서 적자확대로 예상. 비수기이나 비메모리인 FC BGA 매출 부진 및 낮은 가동률의 지속으로 고정비 부담이 주요한 요인. 또한 메모리 계열의 반도체 기판에서 매출 부진, 고객사의 재고조정(낸드 중심) 영향으로 전체 매출이 부진하면서 추가적인 고정비 부담이 가중. 2025년 주당순이익을 종전대비 7.2% 하향
다만 1Q25에서 부진한 실적은 현 주가에 반영, 2Q에 영업이익이 흑자전환을 추정, MLB에서 신규 고객향(AI향) 매출 예상된 점이 긍정적인 요인, 중장기 관점에서 비중확대 유지. 투자의견은 매수(BUY)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20,000원(2025년 주당순자산 X 실적 회복기의 상단, 목표P/B 1.16배 적용)으로 13% 하향
1Q 부진하나 2Q 회복 예상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0,000원 하향(13%)
2025년 1Q 실적은 종전 추정대비 부진, 매출(2,149억원)과 영업이익(-43억원)은 각각 전년대비 0.1% 증가, 적자지속 추정. 종전의 영업이익은 -10억원에서 적자확대로 예상. 비수기이나 비메모리인 FC BGA 매출 부진 및 낮은 가동률의 지속으로 고정비 부담이 주요한 요인. 또한 메모리 계열의 반도체 기판에서 매출 부진, 고객사의 재고조정(낸드 중심) 영향으로 전체 매출이 부진하면서 추가적인 고정비 부담이 가중. 2025년 주당순이익을 종전대비 7.2% 하향
다만 1Q25에서 부진한 실적은 현 주가에 반영, 2Q에 영업이익이 흑자전환을 추정, MLB에서 신규 고객향(AI향) 매출 예상된 점이 긍정적인 요인, 중장기 관점에서 비중확대 유지. 투자의견은 매수(BUY)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20,000원(2025년 주당순자산
23.04.202504:21


23.04.202500:30
转发自:
토브스탁 USA



22.04.202523:29
테슬라 1분기 자동차 매출 20% 감소…순이익 71% 급감(종합)
—> 매출·주당 순이익 시장예상치 하회…"정치적 분위기에 단기적 영향"
분석자료:
https://us.tovstock.com/stock?ticker=TSLA
언론보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45756
—> 매출·주당 순이익 시장예상치 하회…"정치적 분위기에 단기적 영향"
분석자료:
https://us.tovstock.com/stock?ticker=TSLA
언론보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345756
22.04.202523:16
CJ대한통운 (000120)
1Q25 Preview: 물동량 감소로 이익 감소 예상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20,000원 유지
CJ대한통운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120,000원을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12개월 선행 BPS에 Target P/B 0.64배(최근 3년 평균)을 적용해 산출했다. 목표주가에 해당하는 Target P/E는 11.5배다. 4Q24에 이어 1Q25에도 택배 물동량이 YoY 감소했고, 2Q25에도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택배 물동량 감소로 2025년 택배 부문 영업이익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22% YoY). 하반기 갈수록 주7일 배송 안정화로 다시 택배 물동량 성장을 기대할 수 있고, CL 부문의 안정적인 매출 증가세는 긍정적이라 판단한다. 또한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기준 P/E 8.0배, P/B 0.45배에 해당하는데, 모두 역사적 하단에 위치해 있어 Valuation 부담은 없다
1Q25 Preview: 물동량 감소로 이익 감소 예상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20,000원 유지
CJ대한통운에 대해 투자의견 Buy와 목표주가 120,000원을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12개월 선행 BPS에 Target P/B 0.64배(최근 3년 평균)을 적용해 산출했다. 목표주가에 해당하는 Target P/E는 11.5배다. 4Q24에 이어 1Q25에도 택배 물동량이 YoY 감소했고, 2Q25에도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택배 물동량 감소로 2025년 택배 부문 영업이익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22% YoY). 하반기 갈수록 주7일 배송 안정화로 다시 택배 물동량 성장을 기대할 수 있고, CL 부문의 안정적인 매출 증가세는 긍정적이라 판단한다. 또한 현재 주가는 12개월 선행 기준 P/E 8.0배, P/B 0.45배에 해당하는데, 모두 역사적 하단에 위치해 있어 Valuation 부담은 없다
22.04.202523:07
대주전자재료(078600)
안정적인 성장이 돋보이는 소재주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0,000원 제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0,000원을 제시하며 분석을 재개한다. 목표주가는 2025~2026F 평균 EBITDA 676억원에 Target EV/EBITDA 31.5배를 적용했다. 2025년 매출액 2,665억(+21.5 % YoY), EBITDA 561억원(+36.9% YoY), 2026년 매출액 3,596억원(+34.9% YoY), EBITDA 791억원(+41.0 % YoY)를 전망한다. 2024년 역성장했던 여타 2차전지 소재 기업과 다르게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기업이다. 실리콘 소재의 경우 양극재 소재(니켈, 코발트 등)에 비해 가격 등락폭이 적어 안정적인 OPM을 유지하는 점이 특징이다. 실리콘 음극재 양산은 높은 기술적 난도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다. 현재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BTR(중국), 신에츠(일본), 대주전자재료(한국)에 불과하다. 기술적 난도와 다수의 양산 레퍼런스를 보유해 타 소재 기업대비 프리미엄이 부여된다.
안정적인 성장이 돋보이는 소재주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0,000원 제시: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20,000원을 제시하며 분석을 재개한다. 목표주가는 2025~2026F 평균 EBITDA 676억원에 Target EV/EBITDA 31.5배를 적용했다. 2025년 매출액 2,665억(+21.5 % YoY), EBITDA 561억원(+36.9% YoY), 2026년 매출액 3,596억원(+34.9% YoY), EBITDA 791억원(+41.0 % YoY)를 전망한다. 2024년 역성장했던 여타 2차전지 소재 기업과 다르게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기업이다. 실리콘 소재의 경우 양극재 소재(니켈, 코발트 등)에 비해 가격 등락폭이 적어 안정적인 OPM을 유지하는 점이 특징이다. 실리콘 음극재 양산은 높은 기술적 난도로 인해 진입 장벽이 높다. 현재 양산에 성공한 기업은 BTR(중국), 신에츠(일본), 대주전자재료(한국)에 불과하다. 기술적 난도와 다수의 양산 레퍼런스를 보유해 타 소재 기업대비 프리미엄이 부여된다.
22.04.202523:00
비에이치 (090460)
저평가는 심화, 2Q 흑자전환 전망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0,000원으로 하향(13%)
2025년 1Q 영업이익은 -142억원(적지 qoq/적전 yoy), 매출은 3,250억원(-33.4% qoq/8.8% yoy),으로 예상. 영업이익은 2개 분기 연속으로 컨센서스 하회한 부진한 실적. MLB(다층인쇄회로기판, HDI)의 낮은 가동률으로 고정비 부담 지속, 재고 관련한 비용의 추가적인 반영으로 분석. HDI 부문은 2024년 애플이 아이패드 프로(11인치/13인치)에서 디스플레이향 PCB를 연성에서 HDI(경성, MLB)로 교체 전환, 비에이치가 신규 투자를 진행. 아이패드 프로의 판매 부진과 경쟁사가 공급을 담당하면서 실적 부진으로 연결. 2025년 주당순이익(EPS)을 종전대비
18.5% 하향, 목표주가를 20,000원(2025년 목표 P/E 8.5배(평균하단 적용)으로 하향, 투자의견은 매수(BUY) 유지
2Q25 영업이익은 흑자전환(qoq) 추정, 밸류에이션 저평가
그러나 부진한 2025년 1Q 실적은 현 주가에 반영 판단, 2Q 실적 회복(영업이익 흑자전환) 및 밸류에이션 저평가에 초점을 맞춘 중장기적 관점에서 비중확대 유지.투자포인트는
1) 2Q25 영업이익은 282억원으로 흑자전환(qoq/-10% yoy), 매출은 4,484억원으로 38%(qoq/-4.3% yoy) 증가를 추정. 애플의 아이폰17향 선행 생산이 시작, R/F 매출 증가를 예상. 미국과 중국의 관세 갈등이 애플 아이폰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되나 초기 생산은 계획대로 2Q에 진행 전망
2) 현 주가의 밸류에이션은 2025년 기준으로 P/E 5.3배, P/B 0.5배로 역사적인 저점, 저평가로 판단. 2025년 성장(매출 -0.1%(yoy), 영업이익 0.6% yoy)이 과거 대비 낮으나 전장(차량용 무선충전기) 및 HDI(태블릿) 에서 점유율 확대, 2026년 이후에 차별화된 성장을 기대하면 밸류에이션 매력은 높고, 저평가로 판단. 중장기적 시각이 필요
저평가는 심화, 2Q 흑자전환 전망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0,000원으로 하향(13%)
2025년 1Q 영업이익은 -142억원(적지 qoq/적전 yoy), 매출은 3,250억원(-33.4% qoq/8.8% yoy),으로 예상. 영업이익은 2개 분기 연속으로 컨센서스 하회한 부진한 실적. MLB(다층인쇄회로기판, HDI)의 낮은 가동률으로 고정비 부담 지속, 재고 관련한 비용의 추가적인 반영으로 분석. HDI 부문은 2024년 애플이 아이패드 프로(11인치/13인치)에서 디스플레이향 PCB를 연성에서 HDI(경성, MLB)로 교체 전환, 비에이치가 신규 투자를 진행. 아이패드 프로의 판매 부진과 경쟁사가 공급을 담당하면서 실적 부진으로 연결. 2025년 주당순이익(EPS)을 종전대비
18.5% 하향, 목표주가를 20,000원(2025년 목표 P/E 8.5배(평균하단 적용)으로 하향, 투자의견은 매수(BUY) 유지
2Q25 영업이익은 흑자전환(qoq) 추정, 밸류에이션 저평가
그러나 부진한 2025년 1Q 실적은 현 주가에 반영 판단, 2Q 실적 회복(영업이익 흑자전환) 및 밸류에이션 저평가에 초점을 맞춘 중장기적 관점에서 비중확대 유지.투자포인트는
1) 2Q25 영업이익은 282억원으로 흑자전환(qoq/-10% yoy), 매출은 4,484억원으로 38%(qoq/-4.3% yoy) 증가를 추정. 애플의 아이폰17향 선행 생산이 시작, R/F 매출 증가를 예상. 미국과 중국의 관세 갈등이 애플 아이폰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되나 초기 생산은 계획대로 2Q에 진행 전망
2) 현 주가의 밸류에이션은 2025년 기준으로 P/E 5.3배, P/B 0.5배로 역사적인 저점, 저평가로 판단. 2025년 성장(매출 -0.1%(yoy), 영업이익 0.6% yoy)이 과거 대비 낮으나 전장(차량용 무선충전기) 및 HDI(태블릿) 에서 점유율 확대, 2026년 이후에 차별화된 성장을 기대하면 밸류에이션 매력은 높고, 저평가로 판단. 중장기적 시각이 필요
转发自:
토브스탁 실시간 종목 공시

23.04.202502:16
2025-04-23 10:34:00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년 1분기) 보고서
기업: 에스앤에스텍(101490)
시가총액: 7,550억원
매출액: 579억원
영업익: 119억원
순이익: 119억원
*** 전 분기 대비 ***
매출액: 452억원 -> 579억원 (28.0% 증가)
영업익: 40억원 -> 119억원 (198.4% 증가)
순이익: 66억원 -> 119억원 (80.6%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417억원 -> 579억원 (38.7% 증가)
영업익: 73억원 -> 119억원 (62.0% 증가)
순이익: 76억원 -> 119억원 (56.3% 증가)
토브스탁에서 에스앤에스텍의 정보를 보려면 여기로 !
https://kr.tovstock.com/stock?ticker=101490
공시링크:http://kind.krx.co.kr:80/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InitInfo&acptNo=20250423000095&docno=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025년 1분기) 보고서
기업: 에스앤에스텍(101490)
시가총액: 7,550억원
매출액: 579억원
영업익: 119억원
순이익: 119억원
*** 전 분기 대비 ***
매출액: 452억원 -> 579억원 (28.0% 증가)
영업익: 40억원 -> 119억원 (198.4% 증가)
순이익: 66억원 -> 119억원 (80.6%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417억원 -> 579억원 (38.7% 증가)
영업익: 73억원 -> 119억원 (62.0% 증가)
순이익: 76억원 -> 119억원 (56.3% 증가)
토브스탁에서 에스앤에스텍의 정보를 보려면 여기로 !
https://kr.tovstock.com/stock?ticker=101490
공시링크:http://kind.krx.co.kr:80/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InitInfo&acptNo=20250423000095&docno=
23.04.202500:29
(*) 스터닝밸류 리서치 기업탐방리포트 입니다.
동구바이오제약보고서(006020) - NOT RATED
- 3년내매출1조원목표가진 피부과처방1위
• “최대매출” 피부과처방1위, 비뇨기과5위 전문의약품마켓리더
• 내성없는항생제신약기술수출한“큐리언트“ 최대주주
• 차세대고기능필러업체“아름메딕스“ 최대주주
1) 피부과 처방 1위, 비뇨기과 5위 마켓 리더
2) M&A를 통해 3년내 매출 1조원 목표
3) 신약기술 수출한 ‘큐리언트’에 최대주주 등극
4) 큐리언트의 국내 및 동남아시아 판권 확보
5) 차세대 고기능성 필러업체 ‘아름메딕스’ 최대주주
(*) 개인 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스터디 노트입니다. 매수/매도의 추천이 아니며, 투자 판단의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동구바이오제약보고서(006020) - NOT RATED
- 3년내매출1조원목표가진 피부과처방1위
• “최대매출” 피부과처방1위, 비뇨기과5위 전문의약품마켓리더
• 내성없는항생제신약기술수출한“큐리언트“ 최대주주
• 차세대고기능필러업체“아름메딕스“ 최대주주
1) 피부과 처방 1위, 비뇨기과 5위 마켓 리더
2) M&A를 통해 3년내 매출 1조원 목표
3) 신약기술 수출한 ‘큐리언트’에 최대주주 등극
4) 큐리언트의 국내 및 동남아시아 판권 확보
5) 차세대 고기능성 필러업체 ‘아름메딕스’ 최대주주
(*) 개인 투자를 위한 개인적인 스터디 노트입니다. 매수/매도의 추천이 아니며, 투자 판단의 참고용으로만 보시면 됩니다.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转发自:
토브스탁 실시간 종목 공시

22.04.202523:24
2025-04-22 13:36:00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5년 1분기) 보고서
기업: HD현대일렉트릭(267260)
시가총액: 12조 217억원
매출액: 1조 147억원
영업익: 2,182억원
순이익: 1,534억원
*** 컨센서스 대비 ***
매출액: 9,676억원 -> 1조 147억원 (4.9% 증가)
영업익: 2,030억원 -> 2,182억원 (7.4% 증가)
순이익: 1,620억원 -> 1,534억원 (-5.3% 감소)
*** 전 분기 대비 ***
매출액: 8,157억원 -> 1조 147억원 (24.4% 증가)
영업익: 1,663억원 -> 2,182억원 (31.2% 증가)
순이익: 1,239억원 -> 1,534억원 (23.8%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8,010억원 -> 1조 147억원 (26.7% 증가)
영업익: 1,288억원 -> 2,182억원 (69.4% 증가)
순이익: 934억원 -> 1,534억원 (64.2% 증가)
토브스탁에서 HD현대일렉트릭의 정보를 보려면 여기로 !
https://kr.tovstock.com/stock?ticker=267260
공시링크:http://kind.krx.co.kr:80/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InitInfo&acptNo=20250422000173&docno=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25년 1분기) 보고서
기업: HD현대일렉트릭(267260)
시가총액: 12조 217억원
매출액: 1조 147억원
영업익: 2,182억원
순이익: 1,534억원
*** 컨센서스 대비 ***
매출액: 9,676억원 -> 1조 147억원 (4.9% 증가)
영업익: 2,030억원 -> 2,182억원 (7.4% 증가)
순이익: 1,620억원 -> 1,534억원 (-5.3% 감소)
*** 전 분기 대비 ***
매출액: 8,157억원 -> 1조 147억원 (24.4% 증가)
영업익: 1,663억원 -> 2,182억원 (31.2% 증가)
순이익: 1,239억원 -> 1,534억원 (23.8% 증가)
*** 전년 동기 대비 ***
매출액: 8,010억원 -> 1조 147억원 (26.7% 증가)
영업익: 1,288억원 -> 2,182억원 (69.4% 증가)
순이익: 934억원 -> 1,534억원 (64.2% 증가)
토브스탁에서 HD현대일렉트릭의 정보를 보려면 여기로 !
https://kr.tovstock.com/stock?ticker=267260
공시링크:http://kind.krx.co.kr:80/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InitInfo&acptNo=20250422000173&docno=
22.04.202523:13
HD현대일렉트릭 (267260)
양호한 실적에도 제기된 과도한 우려
1Q25 실적, 어쨌든 예상을 상회: 매출과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각각 6%, 11% 상회. 회사는 직전분기 미착 상품에 대한 회계상 매출 인식 기준을 강화. 이로 인해, 직전분기 매출은 시장 예상을 하회. 4분기의 미 인식 매출이 이번 분기에 반영되면서, 직전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이익이 24%, 31% 성장.
갑자기 등장한 이익률 피크아웃 우려: 어쨌든 1분기 실적은 예상을 상회. 그럼에도 주가는 실적 발표 후 9% 하락. ‘이익률 피크아웃’ 우려가 제기되었기 때문. 4분기의 미착 상품들이 대부분 매출로 인식되면서, 고마진 북미 매출이 전분기 대비 두 배로 증가. 하지만 1분기 전사 영업이익률 개선 폭은 1.1%pt에 불과. 이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은 향후 북미 매출 감소 시의 수익성 하락 리스크를 우려.
비관론은 시기상조: 매출 인식 기준 강화 효과는 다음 분기에도 지속. 즉, 1분기 북미 매출 증가는 일회성이 아니고, 이익률 하락 우려도 과도. ‘이익률’ 관점에서는 1분기가 부진한 것보다는 4분기가 우수했던 것. 대신, 4분기 실적 발표로 시장의 연간 이익률 추정치가 상향되지 않았던 것도 사실 (4분기 ‘절대 이익 규모’가 예상에 미달한 덕분). 미래 손익을 결정하는 수주와 잔고, 수주 단가도 여전히 상승 추세. 결국 시장 이익 추정치 하향 리스크는 제한적이고, 현재 추정치 기준 밸류에이션은 여전히 할인 상태. 한편 컨센서스 대비로는 높은 수준이던 당사 이익률 추정치는 소폭 하향. 이를 반영해도 목표주가는 47.4만원으로 6% 하향에 불과(블룸버그 컨센서스 기준 해외 경쟁사 P/E 26배 적용). 상승 여력은 여전히 57%. 2분기 양호한 실적이 우려를 해소할 것.
양호한 실적에도 제기된 과도한 우려
1Q25 실적, 어쨌든 예상을 상회: 매출과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각각 6%, 11% 상회. 회사는 직전분기 미착 상품에 대한 회계상 매출 인식 기준을 강화. 이로 인해, 직전분기 매출은 시장 예상을 하회. 4분기의 미 인식 매출이 이번 분기에 반영되면서, 직전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이익이 24%, 31% 성장.
갑자기 등장한 이익률 피크아웃 우려: 어쨌든 1분기 실적은 예상을 상회. 그럼에도 주가는 실적 발표 후 9% 하락. ‘이익률 피크아웃’ 우려가 제기되었기 때문. 4분기의 미착 상품들이 대부분 매출로 인식되면서, 고마진 북미 매출이 전분기 대비 두 배로 증가. 하지만 1분기 전사 영업이익률 개선 폭은 1.1%pt에 불과. 이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은 향후 북미 매출 감소 시의 수익성 하락 리스크를 우려.
비관론은 시기상조: 매출 인식 기준 강화 효과는 다음 분기에도 지속. 즉, 1분기 북미 매출 증가는 일회성이 아니고, 이익률 하락 우려도 과도. ‘이익률’ 관점에서는 1분기가 부진한 것보다는 4분기가 우수했던 것. 대신, 4분기 실적 발표로 시장의 연간 이익률 추정치가 상향되지 않았던 것도 사실 (4분기 ‘절대 이익 규모’가 예상에 미달한 덕분). 미래 손익을 결정하는 수주와 잔고, 수주 단가도 여전히 상승 추세. 결국 시장 이익 추정치 하향 리스크는 제한적이고, 현재 추정치 기준 밸류에이션은 여전히 할인 상태. 한편 컨센서스 대비로는 높은 수준이던 당사 이익률 추정치는 소폭 하향. 이를 반영해도 목표주가는 47.4만원으로 6% 하향에 불과(블룸버그 컨센서스 기준 해외 경쟁사 P/E 26배 적용). 상승 여력은 여전히 57%. 2분기 양호한 실적이 우려를 해소할 것.
22.04.202523:05
에코프로비엠 (247540)
악조건으로 지연될 회복 속도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지만, 목표주가는 140,000원으로 -18% 하향한다.
목표주가는 DCF 방식 (현금흐름방식)으로 산출되었고, WACC은 6.90% (COE 9.35%, 세후 COD 4.83%, 52주 조정 Beta 1.30)를 적용했다. 목표주가를 하향한 이유는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둔화와 미국발 관세전쟁 여파로 인한 차량 판매 감소 등을 고려해 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추정치 대비 -37% 하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목표주가에 대한 Implied 12M Fwd P/E는 417.1배, P/B는 7.83배이며, 4월 22일 종가 기준 상승여력은 48.0%다.
악조건으로 지연될 회복 속도
에코프로비엠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지만, 목표주가는 140,000원으로 -18% 하향한다.
목표주가는 DCF 방식 (현금흐름방식)으로 산출되었고, WACC은 6.90% (COE 9.35%, 세후 COD 4.83%, 52주 조정 Beta 1.30)를 적용했다. 목표주가를 하향한 이유는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둔화와 미국발 관세전쟁 여파로 인한 차량 판매 감소 등을 고려해 2026년 영업이익 추정치를 기존 추정치 대비 -37% 하향 조정했기 때문이다. 목표주가에 대한 Implied 12M Fwd P/E는 417.1배, P/B는 7.83배이며, 4월 22일 종가 기준 상승여력은 48.0%다.
22.04.202514:02
킵스바이오파마는 경구용 펩타이드 약물 전달기술을 가진 케이비바이오메드 인수를 통해 경구용 GLP-1 비만치료에 개발하고 있다. 케이비바이오메드는 2023년 진행한 설치류 대상 비임상시험에서 경구용 인슐린의 약 35% 수준의 흡수율(생체이용률)을 확인한 바 있다. 현재 영장류를 대상으로 인슐린 및 GLP-1의 SC 제형 대비 생체이용률을 평가하는 비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35511?sid=101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35511?sid=101
显示 1 - 24 共 1043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