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Лачен пише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Лачен пише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avatar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avatar
🗽엄브렐라(Umbrella Research) 리서치+ 유튭 옆집부자형 since 2020
08.05.202507:23
ㄴ 마포에 위치해 있으며 여의도까지 차로 10분 거리에 2층 회의실 공간, 1층 바, 3층 업무공간 등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에스엠 1Q25P Review
마포 엄브니엘에 MZ매니저 출신 두분이 오셨습니다. 주식 동아리 출신 분들이라 포스가 남다릅니다.

평균 연령이 확 낮아졌네요. 이로써 엄브니엘 오피스에는 전직 매니저, 애널리스트, IB, 프랍매니저,PB등 여러업계 관계자들이 함께 커뮤니티를 형성 하고 있습니다. 요즘 어찌보면 힘든 장세인데도 저희끼리 넘 웃으면서 지내는 것 같기도 하네요.

(입주에는 인성 레퍼런스체크가 있습니다.한분이라도 반대하면 안됨)

사람이 북적되니 좀 어색하기도 합니다만 자리가 아직 많습니다. 애널리스트 초청 세미나도 진행 중입니다 ^^

IR서울 사무소 필요하신분들도 한번 내방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미팅할 수 있는 회의실도 남습니다.

항상 많은 관심 감사합니다.

by Danny 250306
08.05.202503:20
2025.05.08 11:29:37
기업명: LIG넥스원(시가총액: 7조 8,87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9,076억(예상치 : 8,122억+/ 12%)
영업익 : 1,136억(예상치 : 654억/ +74%)
순이익 : 842억(예상치 : 565억+/ 4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9,076억/ 1,136억/ 842억
2024.4Q 11,678억/ 617억/ 697억
2024.3Q 7,403억/ 519억/ 407억
2024.2Q 6,047억/ 491억/ 457억
2024.1Q 7,635억/ 670억/ 60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17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79550
■ 화장품 Weekly: 올해 화장품 업종이 투자하기 좋은 이유 - (中) 4월 화장품 수출 증가 세가지 의미 (메리츠증권 박종대 위원)

[요약]
- 4월 화장품 수출액 YoY 19% 증가
1) 대미국 수출이 관세 부과에도 불구 YoY 6% 증가했다는 데 의미가 있음

: 금액 기준으로도 1.5억 달러로 역대 두번째 규모
: 4월 하순 증가율이 오히려 더 높아 수요 당김 효과 설명력 오히려 떨어짐. 반대로 관세 분담 조정이 빠르게 정리되어 밀렸던 선적이 재개되었다는 게 더 설득력 있음
: 초저가 중국산 화장품 관세 부담이 크게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K뷰티 가격 경쟁력은 높아졌을 것
: 5월 대미국 화장품 수출 정상화가 더 기대

2) 유럽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
: 4월 대유럽 수출 YoY 42% 높은 성장세. 특히 실리콘투의 물류센터가 위치한 폴란드로는 매월 YoY 100% 내외 고성장 지속중
: 이에 한국 유럽 수출 비중 처음으로 10%를 넘으면서 일본을 넘어섬
: 서유럽 국가들로의 수출 역시 큰 폭 증가중이라는 점에 주목. 서유럽 4개국 수출액 합산은 거의 폴란드 수준

3) 중국 시장 회복 가시성이 높아지는 중
: 대중국 화장품 수출 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2개월 연속 YoY 증가세 시현
: 중국 소비는 물론 중국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 입지 역시 회복중. 막연한 한류 기반이 아닌 제품 자체의 실용성과 성분 안정성, 기능성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음
: 중국 소비자들이 2010년대 '과시형 소비'에서 '가치형 합리적 소비'로 전환할 경우 한류와 결합한 K뷰티 중저가 브랜드의 침투율은 생각보다 빠르게 올라갈 수 있음

[첨언]
K뷰티의 수출이 빠르게 역대급 수준으로 돌아왔고 재차 역사상 최고치를 노리고 있습니다.

연초부터 언급한 것과 같이 1) 북미 오프라인 채널 확대, 2) 유럽 등 새로운 지역 확장, 3) 중국 회복 삼박자가 모두 맞아 떨어지는 모습입니다.

여전히 트랜드 지표도 견고하게 역사상 최고치를 경신중입니다. K뷰티 내 밸류체인에 지속 주목할 필요가 분명히 있다는 판단입니다.
07.05.202503:46
ㄴ 바이오 제약 업종 투자자분들은 비나이프라사드 박사의 정책 동향을 잘 봐야할 듯 합니다.
08.05.202507:22
[ 공지 ] 엄브렐라리서치 x 옆집부자형 퀀트로 시장읽기 채널 안내 250418 🚓

- 이 채널은 엄브렐라리서치앱(정기구독자, 월 17.5만원)과 옆집부자형 (월 5만원)을 정기 구독하시는 분들에게만 제공되는 비공개 채널입니다.

- 두 플랫폼의 차이점은 개별종목 분석자료 제공 여부입니다. 네프콘 구독자님께 개별로 제공해 드린 1인 링크를 다른데 돌리시고 채널 입장 승인 요청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다시 안내 드립니다. 이러헌 형태가 계속 나올 경우 방폭한 이후에 다시 개별적으로 채널 정리하겠습니다.

- 한달만 구독하시고 취소하시는 분들이나 그 외 분들은 정중히 채널에서 나가기 누르시면 됩니다. 세상에는 공짜 리서치와 아이디어는 없습니다. 누군가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여한 내용을 정당하게 컨텐츠로 상품화 해서 파는 부분을 꼭 기억해주시길 바랍니다.

- 제휴 채널 (상장고객사, 기타 업계 선후배)를 제외하고는 유료구독자분들은 내용을 꼭 참조하여 주십시오
转发自:
루팡 avatar
루팡
도널드 트럼프

내일 오전 10시,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중대 기자회견이 열립니다.
매우 크고 존경받는 나라의 대표들과의 ‘대규모 무역 협정’에 관한 내용입니다.
이것은 많은 협정 중 첫 번째입니다!!!

(한국 시간 5월 9일 오후 11시)
08.05.202501:35
[Web발신]
[NH/임지용] 해외기업분석

■ NH 해외주식 이슈 - 빅테크 실적 시사점: AI 투자 전략

▶빅테크는 선별적 접근, AI HW는 저점 매수 기회로 활용

- AI 수익화 경로가 명확한 빅테크 기업의 주가 모멘텀이 가장 강할 것으로 판단. 우선순위는 1) 마이크로소프트, 2) 알파벳, 3) 메타로 제시. 관세 영향은 테슬라, 애플, 아마존처럼 제조·소매 비중이 큰 기업에 집중돼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메타·알파벳은 간접적 영향에 그침. 밸류에이션 관점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 메타는 여전히 5년 평균 대비 밸류에이션 정당화 가능한 수준

- 2025년 AI Capex 확대 기조는 유효. 지금은 3~4월 빅테크 Capex 축소 우려로 인해 과도하게 조정받았던 AI HW 밸류체인에 재진입할 수 있는 기회. AI 네트워크 병목현상이 본격화되며 Broadcom, Arista Networks, Vertiv, Coherent, Credo가 수혜폭이 커질 것으로 기대

▶AI 수익화 진척: 실적에서 드러난 모멘텀 차이

- 2025년 1분기, 빅테크 모두 AI 수익화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성을 제시. 마이크로소프트는 Azure OpenAI와 Copilot 수익화로 클라우드 수익성을 대폭 끌어올렸고, 구글도 Google Cloud 흑자로 클라우드 기반 AI 경쟁력을 입증. 광고에서는 메타와 알파벳이 AI 추천 알고리즘 고도화를 통해 광고 효율을 개선하며 직접적인 매출 성장을 보여줌. 반면 애플·테슬라는 제품 차별화 중심으로 AI를 활용 중이나, 단기 실적 기여는 제한적. 지금까지 AI를 통해 가시적 실적을 만든 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메타로 확인

▶AI Capex와 HW 밸류체인: 병목현상의 이동과 수혜의 중심

- 하이퍼스케일러의 Capex는 여전히 사상 최대이며, 증가율 둔화는 수요보다는 Capa 부족에 따른 투자 속도 영향. 하반기에는 다시 빨라질 수 있다고 판단. 2025년 들어서는 서버 조립, 전력 공급, 네트워크 연결 등이 더욱 중요해지는 양상. GPU에서 전력·네트워크로 병목현상 이동 중, 진입 장벽이 높은 High-Tech 기업일수록 실적 레버리지가 큼. 하반기 공급 정상화에 따라 AI HW 밸류체인 전반적 주가 회복 가능할 것


■ 링크: https://m.nhqv.com/c/xpin5

■ [NH/임지용(글로벌IT) 02-768-7350]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转发自:
[ IT는 SK ] avatar
[ IT는 SK ]
07.05.202523:57
[SK증권 반도체/한동희, 박제민]

펀더멘탈을 보자

거시경제 불확실성에도 AI CapEx 지속 재확인
빅테크들 호실적에 AI가 기여
-> AI CapEx 정당성 부여 국면

26년 AI CapEx에 대한 지표: 2Q25 공급 계약
2Q25 HBM 계약 확인
-> 26년 메모리 실적 가시성 제고 시작
TSMC CoWoS 생산 능력 확대 계획 유지. 미국의 H/W 차별화를 통한 성능 우위 노력
-> 2026년 AI CaEx 견조한 성장
HBM 공급 부족 단기 해소 가능성 제한적
-> 2025년 12H 주력화 및 2026년 HBM4 12, 16H로의 고단화, 다이페널티 15~18% 수준 발생

최선호주 SK하이닉스 유지, HBM 경쟁 우위 지속 전망
Tech transition 속 수율, 생산 능력 경쟁 우위 지속
관세 영향 등으로 하반기 B2C 수요 둔화 불가피하지만, 공급자 재고 건전 (DRAM 6~7주, D5 3주 추정)
-> Discipline 지속으로 대응. 이는 AI 사이클 기반으로 가능한 전략
-> AI CapEx 재신뢰: 반도체 업종 센티먼트 반등 근거

▶️ URL: https://buly.kr/GP2g2Az

* 위 내용은 공개 실적발표 내용으로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공합니다.
* SK증권 리서치 IT팀 채널 : https://t.me/skitteam
转发自:
AWAKE 플러스 avatar
AWAKE 플러스
07.05.202507:13
📌 바이오솔루션(시가총액: 2,233억)
📁 투자판단관련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결과) (카티라이프(바솔자가연골유래연골세포치료제)의 미국 2상 임상시험 최종결과보고서 수령)
2025.05.07 15:29:33 (현재가 : 27,350원, 0%)

* 임상명칭 : 관절연골이 결손된 대상자에 대한 자가유래연골세포치료제(카티라이프) 이식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공개 제2상 임상시험
* 대상질환 : 무릎 관절연골의 결손이 있는 대상자
* 임상단계 : 2상

* 승인기관 : 미국 식품의약국(FDA)
* 임상국가 : 미국

* 시험목적 : 외상 또는 무릎 퇴행으로 인한 관절 연골 결손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카티라이프 이식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
* 임상방법 : KOOS(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 점수 및 결손 부피 충전율 분석

* 임상결과
1. 48주 경과 시점에 KOOS 기능 중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 하위척도 점수는 ITT 및 PP 집단 모두에서 기저치 대비 평균 34.7점 증가하여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2.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19명 중 10명)이 48주 경과 시점에 연골 결손 부위 충전 점수 20점(전체 결손 부피의 100~150%가 채워진 상태를 의미하는 최고 점수)을 기록했다.

* 기타투자판단 관련사항

-상기 '4. 사실발생(확인)일은 당사가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한 날짜(한국시각)입니다.

-본 공시 이후 임상시험결과에 대한 내용이 당사 IR자료 및 보도자료 등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790039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86820
08.05.202500:55
2025.05.08 09:53:30
기업명: 에이피알(시가총액: 2조 9,236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2,660억(예상치 : 2,265억+/ 17%)
영업익 : 546억(예상치 : 416억/ +31%)
순이익 : 499억(예상치 : 330억+/ 5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2,660억/ 546억/ 499억
2024.4Q 2,442억/ 397억/ 434억
2024.3Q 1,741억/ 272억/ 160억
2024.2Q 1,555억/ 280억/ 241억
2024.1Q 1,489억/ 278억/ 241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508800069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78470
✅[산업보고서] 인간의 한계를 넘다. 로봇 수술이 그리는 의료의 미래

🔥그로쓰리서치 로봇수술 산업보고서
- Part 1. 다빈치의 등장과 수술실의 기계화
- Part 2. 로봇수술 시장의 미래
- Part 3. 글로벌 개발 상황

🔥기업분석
- 고영(098460)
- 큐렉소(060280)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 산업보고서 보기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owthresearch/growth

📌 산업 구조 변화: 수술로봇의 ‘플랫폼화·자율화’ 진입
- 기존 기계 성능 중심(다빈치)에서 데이터 수집·활용 중심 구조로 전환 중
- AI 기반 수술 알고리즘, 클라우드 연동, 구독형 소프트웨어(SaaS) 도입 확산
- 뉴럴링크 등은 수술 데이터 실시간 업로드와 자율 최적화 기능 탑재

📌 글로벌 경쟁 심화: 후발주자들의 플랫폼 전략 부상
- 메드트로닉(휴고), J&J(오타바), CMR(버시우스) 등은 모듈형 설계·비용경쟁력·데이터 개방성 기반으로 시장 진입
- 국제 표준 포맷(DICOM 등)을 활용해 병원 간 협진, AI 학습 데이터 공유 가능
- 단순 하드웨어 경쟁에서 의료 데이터 생태계 주도권 경쟁으로 전환

📌 국내 기업 진출 본격화: 제품 고도화 및 글로벌 인허가 확대
- 고영: 뇌수술로봇 'KYMERO' 美 FDA 승인, 실제 수술 누적 500례 이상… 미국 병원 공급 확대 중
- 큐렉소: 정형외과 로봇 '큐비스' 시리즈로 미국·일본 인허가 진행, 고관절 적응증 확대 및 SaaS 기반 수익 모델 가능성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
https://t.me/growthresearch
07.05.202505:38
에스엠 1Q25 실적 컨콜_한화증권 박수영

#요약
연결매출 2314억원, 영업이익 326억원
일회성 매출 포함 음원 및 콘서트 증가 영향으로 매출 호조.
연결 영업이익은 매출 믹스 변화 및 음원 매출 증가 영향으로 이익도 개선.
연결당기순이익 디어유 지분 인수 영향 반영

#별도
매출 1655억원, 영업이익 413억원
음원 및 콘서트 매출 증가 주효
음반/원: 신보 판매량 전년동비 감소 but 일회성 음원 매출 증가. 678억원 기록. 신보 총 92만장 등
콘서트: 글로벌 공연 규모 확대에 따라 전년동비 58% 증가. 127 네번째 월드투어 미국 캐나다 인니 태국 등 18회 진행. 에스파 월드투어 미국 및 유럽 총 16회 전석 매진 기록. 동방신기 일본 데뷔 20주년 투어 오사카 후쿠오카 등 전역 10회 진행. 예성 민호 태연 웨이브이 등 솔로 및 그룹 활동도 주효
엠디 라이선싱: 다양한 브랜드 협업 등으로 호조
영업이익: 콘서트 및 엠디라이센싱 매출 증가 및 일회성 음원 매출 반영 등으로 이익 개선

#종속법인
C&C: 광고 매출 지속 감소. 적자폭 확대
SMC: 일본 공연 규모 축소 영향으로 매출 감소. 적자 전환
키이스트: 드라마 방영 편수 감소로 매출 감소. 적자 전환
SMBM: 엠디 및 앨범 판매 감소로 매출 감소. 전년동비 유사한 수준의 적자 기록
SMDM: 에셈타운라이브 등 공연 규모 확대로 전년 동비 대비 매출액 큰 폭 증가. 영업이익 13억 기록
기타법인: 전년동비 매출 증가. 적자 32억원 감소

#라인업 앨범
4월: 마크 정규, 위시 미니, 카이 미니
2Q: 라이즈 정규, 아이린슬기유닛 미니, 에스파 싱글앨범, 하츠투하츠 싱글앨범, 도영 정규, 텐 미니, 샤이니 싱글앨범
3Q: 드림 정규, 에스파 미니, 위시 미니, 하츠투하츠 미니 등

#라인업 공연
2Q: 위시 아시아 투어 10회, 127 투어 6회, 태연 솔로콘 8회, 동방신기 3회, 에셈타운 멕시코 미국 영국 총 3회, 샤이니 단독콘 3회
3Q: 아이린 슬기 유닛 9회, 라이즈 월드투어 19회, 유타, 카이 등의 공연도 있음

#CEO 메세지
하츠투하츠 데뷔 성과: 데뷔 초동 40.8만장, 데뷔 초동 1위. 15일만에 음방 1위. 인니 등 글로벌 스트리밍 차트 상위권 안착. 스포티파이 누적 3천만회, 415만명의 글로벌 sns 팔로워 구축. 코어팬덤 및 글로벌 대중성 확보. 인니/미국/일본/한국/필리핀 등 전통적인 케이팝 강세 지역 중심으로 리스닝 고르게 분포.

☆SMTR25: 데뷔 전임에도 높은 화제성 빠른 팬덤 성장 속도 확인 중. SM타운 공연으로 첫 공개 이후 트레이닝 멤버 관심 증가. 선공개 멤버들은 팬커뮤 중심 인지도 확보 중. 현재까지 다양한 국적 개성 가진 11인 멤버 공개. 콘텐츠 제작 및 사전 프로모션 진행 중. 26년 정식 데뷔 목표. 이전까지 콘텐츠 공개는 지속될 것

☆디어유 연결 편입: 2분기부터 연결 종속 회사로 편입. 연결 실적 개선효과 및 디어유 지분 가치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상승 기대. 텐센트와의 전략적 제휴 체결. 중국 내 버블 서비스 곧 출시할 것. 라이즈 위시 등도 버블 입점. ai펫버블 신규 서비스 론칭. 아티스트 ip 기반의 콘텐츠 구독형 모델로 발전할 것. md, 굿즈 연계 서비스 등 ip 활용 신규 수익 모델 지속 확장할 것. 디지털 ip 사업 모델 견고해질 것

☆엠디 및 라이센싱: 2차 ip 사업 고도화 적극 추진 중. 20-24년 연평균성장률 40% 기록. 신성장 동력. 20년 1분기 93억원 엠디라이센싱매출 24년 4분기 기준 512억원 기록. 팬덤 브랜드 기반 지속적인 외형 성장 달성.
-브랜딩 및 팬 경험 강화: 팝업스토어, 전시, 브랜드협업 등 팬덤 기반 소비 확대시키고, 소프트팬덤 유입 긍정적 영향
-글로벌 유통 수출 확대: 마크 중국 팝업 스토어 개최 등. 중국 최대 음원 플랫폼 큐큐 뮤직과의 협업으로 진행. 앨범 콘셉 전시, 포토존, 팬메세지 공간 등 체험 요소 제공. 단순 상품 판매 넘어 아티스트 아이피 중심 글로벌 팬 경험 확장, 브랜드 가치 제고 긍정적 영향
-프로젝트 다각화: 아티스트 맞춤형 브랜드와의 협업. 미디어 콘텐츠 연계 등
-IP 기반 사업 확장: 캐릭터 ip 개발 및 파트너사 협업 등. 하츠투할츠-하츄핑 콜라보 등
-구체 사례1: 4월초 라이즈 캐릭터 팝업스토어 we little riize 테마카프 콘셉 17일간 1.2만명 방문객 기록
-구체 사례2: 키 - 헬로키티 콜라보. 더현대 서울 2주간 진행. FINCA 협업 및 콜라보 제품 출시. 이후 일본 팝업스토어 확장 계획

QnA
Q. 음반/원 매출 break down. 일회성 음원 매출 규모 및 사유
A. 음반 166억원, 음원 512억원. 일회성 음원 매출은 계약 관계상 세부 내용 공유 어려움

Q. 자회사 손익 개선 관련, 드림메이커 공연 매출 증가 불구 수익성은 낮아졌는데.. 전략은?
A. 전년 대비 공연 횟수 많아짐. 이익이 매출 증가 못 따라온 부분은, sm town 공연 제작비 많이 들어가는 공연. 이런 쪽에서 매출은 관객 동원 비례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이익은 좀 못 미침. 그래도 전년 대비로는 개선될 것. 다른 자회사도 비핵심 자산으로 분류된 것들은 이미 정리가 완료된 곳들도 있고, 본업과의 관련성 높은 자회사들은 지속적인 체질 개선 작업 중. 전년 대비 자회사 개선 볼 수 있을 것.

Q. JYP도 4분기 텐센트 관련 회계적으로 일시 인식했는데 유사한 내용인지
A. ㅇㅇ. 매 분기 음원 매출은 성장 중

Q.매출 증가 대비 판관비 통제 너무 잘 됐는데 인건비 얼마나 축소됐는지
A. 인건비에서의 감소라기 보다는, 앨범에 대한 제작비 중 판관비로 분류되는 것들 있음. 1분기 전년 동비 앨범 제작 회차가 적었음. 이에 따라 판관비도 감소한 것

Q. 디어유 영업외 회계적 이익 얼마나 반영됐는지
A. 정확하게 말하기 어려움

Q. 1분기 중화권 매출 증가
A. 음원의 일회성 매출 관련해 중화권 매출 증가

Q. 텐센트 실적 내용 중 음원 재계약 이야기가 있던데, 매니지먼트까지 확장인지 등 중국 전략
A. 마크 팝업 큐큐 협업 한정. 아티스트 매니지먼트나 팝업 관련해 별도의 계약을 맺은 상황은 아님. 텐센트 뮤직과는 전반적으로 좋은 프로젝트 있다면 협력 강화해나가는 추세, 방향성
테슬라 한국모델 Y 가격 생각하면 진짜 미국 외에서도 싸게 파는 셈...
显示 1 - 24 1 774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