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Инсайдер UA
Инсайдер UA
[한투 선진국] 최보원 avatar

[한투 선진국] 최보원

*주의* 새벽에도 알림이 울릴 수 있습니다.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Лип 08, 2019
添加到 TGlist 的日期
Вер 17, 2024

"[한투 선진국] 최보원" 群组最新帖子

[한투증권 최보원] 주간 데이터/일정

이어서 주간 수익률 데이터와 미국 주요 일정을 송부 드립니다.

----------
★ 주간 수익률(지수)

나스닥 +7.2%
S&P500 +5.3%
러셀2000 +4.5%
MSCI 선진국 +4.1%
다우 +3.4%
유로스톡스50 +2.2%
영국 +1.5%
닛케이 +0.7%

----------
★ 주간 수익률(S&P500 업종)

IT +8.1%
경기소비재 +7.7%
커뮤니케이션 +6.6%
산업재 +5.5%
금융 +3.5%
에너지 +3.1%
소재 +2.5%
유틸리티 +2.3%
필수소비재 +1.5%
부동산 +0.9%
헬스케어 +0.3%

----------
★ 주간 수익률 Top5/Bottom5

Top5: 슈퍼마이크로컴퓨터(+44.3%), NRG 에너지(+33.4%), 퍼스트 솔라(+26.9%), 델 테크놀로지스(+19.1%), 테슬라(+17.3%)

Bottom5: 유나이티드헬스 그룹(-23.3%), 파이서브(-9.5%), 허쉬(-7.3%), 뉴몬트(-7.2%), CVS 헬스(-6.6%)

----------
★ 주간 52주 최고/최저 종목 Top5 (S&P500, 시가총액순)

52주 신고가 종목: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LTR), 모자이크(MOS), EQT(EQT), 몬스터 베버리지(MNST), CORTEVA INC(CTVA) 등

52주 신저가 종목: 헬스피크 프로퍼티스(DOC), 콘아그라 브랜즈(CAG), 크래프트 하인즈(KHC), 캠벨수프(CPB), 제너럴 밀즈(GIS) 등

----------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미국]

*5/19 (월) : 4월 경기선행지수 등

*5/21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 등

*5/22 (목)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5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 4월 기존주택판매 등

*5/23 (금) : 4월 건축허가건수, 4월 신규주택매매 등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5/20 (화) : 홈디포(HD), 팔로 알토 네트웍스(PANW),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 등

*5/21 (수) : TJX 컴퍼니스(TJX), 로우스 컴퍼니스(LOW), 메드트로닉(MDT), 타겟(TGT), 스노우플레이크(SNOW), 줌(ZM) 등

*5/22 (목) :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인튜이트(INTU), 워크데이(WDAY), 오토데스크(ADSK), 로스 스토어스(ROST)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美-EU, '트럼프 관세' 피하려 본격 무역협상 돌입"

미국과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추진한 관세 조치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본격적인 무역협상에 착수. 미국 측과의 협상에서 상대적으로 후순위에 밀려있던 EU가 교착 상태를 깨고 미국에 손을 내민 것으로 해석

그리어는 “EU가 선제 조치를 내놓지 않는다면 트럼프가 지난 4월 2일 부과했던 관세를 전면 재적용할 것”이라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짐. EU는 미국산 제품에 부과 중이던 20% 보복관세를 7월 8일까지 절반으로 낮추고 협상의 문을 열어둔 상태

미국 측은 EU의 부가가치세(VAT), 디지털 서비스 규제, 식품 안전 기준,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 등에 강한 불만을 제기

https://m.news.nate.com/view/20250517n03706
옵션 만기일에 대한 경계도 높아진 날이나 VIX 지수는 오히려 낮아졌고 안전자산 선호심리도 약화. 추가 관세 협상 방향성 및 기존 관세 영향 경계 지속되며 미국 주요 지수는 가파른 반등 후 상승세 둔화
고물가 경계 지속에도 경기둔화 우려 이어지며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동반 하락. VIX 지수도 낮아지며 장기화되는 경기 불확실성 영향이 제한적으로 반영. 금, 은 가격 모두 하락한 반면 원유, 천연가스 가격 모두 상승
수출, 수입 물가지수 모두 전월대비 높아지며 예상치 상회. 건축허가건수는 141.2만건으로 예상치 하회했으나, 주택착공건수가 136.1만건으로 예상치와 이전치를 모두 상회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7.3%로 높아졌고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4.6%까지 높아지며 향후 물가 상승 경계 지속되는 양상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는 50.8pt로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 그침. 기대지수와 경제 상황지수 모두 예상치 하회했기 때문. 향후 미국 경기에 대한 불안 이어지는 양상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5/19 (월)
- 4월 경기선행지수(23:00)

*5/21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5/22 (목)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21:30)
- 5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22:45)
- 4월 기존주택판매(23:00)

*5/23 (금)
- 4월 건축허가건수(21:30)
- 4월 신규주택매매(23:00)

-----------------
★ 유로존

*5/19 (월)
- 4월 CPI/근원 CPI 확정치(18:00)

*5/20 (화)
- 3월 경상수지(17:00)
- 3월 건설생산(18:00)
- 5월 소비자기대지수 예비치(23:00)

*5/22 (목)
- 5월 HCOB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17:00)

-----------------
★ 영국

*5/19 (월)
- 5월 라이트무브 주택가격지수(08:01)

*5/21 (수)
- 4월 CPI/근원 CPI(15:00)

*5/22 (목)
- 5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18:00)

*5/23 (금)
- 5월 GfK 소비자 기대지수(08:01)
- 4월 소매판매(15:00)

-----------------
★ 일본

*5/19 (월)
- 3월 3차산업활동지수(13:30)

*5/21 (수)
- 4월 무역수지(08:50)
- 4월 수출(08:50)

*5/22 (목)
- 3월 핵심기계수주(08:50)
- 5월 au지분은행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09:30)

*5/23 (금)
- 4월 전국 CPI(08: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5/20 (화)
- 개장 전: 홈디포(HD) 등
- 장마감 후: 팔로 알토 네트웍스(PANW),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 등

*5/21 (수)
- 개장 전: TJX 컴퍼니스(TJX), 로우스 컴퍼니스(LOW), 메드트로닉(MDT), 타겟(TGT) 등
- 장마감 후: 스노우플레이크(SNOW), 줌(ZM) 등

*5/22 (목)
- 개장 전: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등
- 장마감 후: 인튜이트(INTU), 워크데이(WDAY), 오토데스크(ADSK), 로스 스토어스(ROST)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5/20 (화)
- 동경해상 홀딩스(8766), MS&AD 인슈어런스 그룹 홀딩스(8725), 솜포 홀딩스(8630)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는 전주대비 4.5% 상승. IT와 경기소비재 업종이 8.0%, 7.5% 상승. 미국과 중국 관세 협상이 기대보다 빠르게 진행되며 관세 부담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완화됐기 때문

- 헬스케어 업종은 2.7% 하락. 의료 장비/시설 업체는 상대적으로 양호했으나, 약가 인하 정책 구체화되며 제약/보험 업체들이 부진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2.3%, 2.1% 상승. 미국과 동조화 기조 이어졌고, 미국과 타 국가간의 관세 협상 기대감 반영됐기 때문

- 미국 관세발 경기 불확실성 부담 완화되며 대표 소비재 기업들이 반등. 제조업체들도 상승세 지속

- 일본: 닛케이 지수는 전주대비 2.2% 상승. 엔달러환율은 145엔 선을 넘어서며 엔화 약세 전환

- 미국과 타 국가간의 협상 기대감 지속되며 수출주/경기 민감주 반등.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도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 차주 전망

- 미국, 유럽, 일본 주요 지수는 미국과 중국 협상 진행되며 경기민감주 중심의 반등 컸으나, 4월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 높아진 점이 단기 지수 상승 제한 예상

- 금주 주말~차주는 대형 소비재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예정되어 있고, 실물지표와 격차 큰 심리지표도 공개될 예정

- 단기적으로는 가파른 상승세 이어지기 보다 해당 기업들의 보수적인 가이던스 발표 여부가 투자심리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 예상

- IT 기업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제한적인 소프트웨어, 소비재 기업 중에서도 경기 부담 제한적인 업체 등 동일 업종 내에서도 주가 차별화 심화에 대응 필요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기존/신규 주택매매
②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PMI
③ 유로존, 영국, 일본 CPI
④ 미국 실적 발표 - 팔로알토 네트웍스, 타겟, TJX, 홈디포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동경해상, MS&AD 등
⑥ 미시간대 지표(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달러인덱스 상승세 둔화되며 약세 전환됐던 유로화, 파운드화, 엔화 모두 강세 전환

관세/경기 불확실성 재차 부각되며 2년물, 10년물 국채금리 하락. 원유 가격도 재차 하락. 반면 안전자산 선호심리 반영되며 금 가격은 반등
미국과 중국의 협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며 단기 반발 매수세 유입된 미국 대표 지수 모두 장초반 하락. 미ㅡ중 협상에도 추가 관세 발표 및 기본 관세 경계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대표 지수 밸류에이션 부담 커졌기 때문

단기 반등컸던 경기소비재, IT 기업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 반면 미국 매출 비중 높고 여전히 밸류에이션 부담 낮게 평가되는 유틸리티 업종은 상승세 지속. 대표 기업 반등으로 산업재 업종도 상승
대표 유통/소비재 기업인 월마트는 예상치 상회 실적에도 관세 부담을 이유로 보수적인 전망 발표 이어간 점이 주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 반면 제조업/소재 관련 업체들은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 발표 후 주가 상승. 물가 상승 압력과 관세 부담 제한적인 업체 주가 상대적으로 양호
산업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49%, 전월대비 0.0% 에 그쳤으나 이전치 대비로는 개선. 재고는 우려보다도 제한적인 수준으로 늘며 예상치 하회한 산업생산 증가율 부담 상쇄
30년물 모기지금리는 6.86%로 3주만에 소폭 반등하며 높은 수준 이어가고 있으나, 지연된 수요 반영되며 모기지신청건수는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증가세 지속
美 보험청, IRA 3차 약가 협상 지침 초안 공개…메디케어 파트B 약물 첫 포함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는 12일(현지시간) 2028년부터 적용될 3차 약가 협상 대상 약물 선정 및 협상 절차에 대한 초안 지침을 공개

CMS는 이번 지침에 대해 협상 프로그램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공보험인 메디케어 예산 부담이 큰 처방약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며, 협상된 최대 공정 가격(Maximum Fair Price, MFP)이 미국 내 제약 혁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정책들이 포함. 특히 이번 지침에는 메디케어 파트B 약물이 처음으로 협상 대상에 포함

CMS는 이번 지침에서 2026년 2월 1일까지 파트B 또는 파트D 약물 중 최대 15개를 선정해 협상을 진행하고, 이들 약물에 대한 MFP는 오는 2028년 1월 1일부터 적용될 예정. 또 2026년이나 2027년에 이미 협상이 이뤄진 약물 중에서도 적응증 추가나 독점권 변경 등 시장 환경에 변화가 생긴 경우, 재협상을 통해 가격 조정은 가능하게 할 계획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5031

记录

18.05.202523:59
3.7K订阅者
13.09.202423:59
0引用指数
18.05.202517:46
4.3K每帖平均覆盖率
18.05.202517:46
4.3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
22.03.202523:59
4.32%ER
31.12.202423:59
125.26%ERR
订阅者
引用指数
每篇帖子的浏览量
每个广告帖子的浏览量
ER
ERR
ЖОВТ '24СІЧ '25КВІТ '25

[한투 선진국] 최보원 热门帖子

16.05.202508:59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5/19 (월)
- 4월 경기선행지수(23:00)

*5/21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5/22 (목)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21:30)
- 5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22:45)
- 4월 기존주택판매(23:00)

*5/23 (금)
- 4월 건축허가건수(21:30)
- 4월 신규주택매매(23:00)

-----------------
★ 유로존

*5/19 (월)
- 4월 CPI/근원 CPI 확정치(18:00)

*5/20 (화)
- 3월 경상수지(17:00)
- 3월 건설생산(18:00)
- 5월 소비자기대지수 예비치(23:00)

*5/22 (목)
- 5월 HCOB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17:00)

-----------------
★ 영국

*5/19 (월)
- 5월 라이트무브 주택가격지수(08:01)

*5/21 (수)
- 4월 CPI/근원 CPI(15:00)

*5/22 (목)
- 5월 S&P 글로벌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18:00)

*5/23 (금)
- 5월 GfK 소비자 기대지수(08:01)
- 4월 소매판매(15:00)

-----------------
★ 일본

*5/19 (월)
- 3월 3차산업활동지수(13:30)

*5/21 (수)
- 4월 무역수지(08:50)
- 4월 수출(08:50)

*5/22 (목)
- 3월 핵심기계수주(08:50)
- 5월 au지분은행 제조업/서비스업/종합 PMI 예비치(09:30)

*5/23 (금)
- 4월 전국 CPI(08:30)

----------------
● 미국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5/20 (화)
- 개장 전: 홈디포(HD) 등
- 장마감 후: 팔로 알토 네트웍스(PANW),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KEYS) 등

*5/21 (수)
- 개장 전: TJX 컴퍼니스(TJX), 로우스 컴퍼니스(LOW), 메드트로닉(MDT), 타겟(TGT) 등
- 장마감 후: 스노우플레이크(SNOW), 줌(ZM) 등

*5/22 (목)
- 개장 전: 애널로그 디바이시스(ADI) 등
- 장마감 후: 인튜이트(INTU), 워크데이(WDAY), 오토데스크(ADSK), 로스 스토어스(ROST) 등

-----------------
● 일본 예상 실적발표 일정 (현지시간)

*5/20 (화)
- 동경해상 홀딩스(8766), MS&AD 인슈어런스 그룹 홀딩스(8725), 솜포 홀딩스(8630)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08.05.202515:47
유럽연합, 러시아산 가스·원유·원자력 3년 내 전부 퇴출 선언

유럽연합(EU)이 올해 연말부터 러시아산 가스의 신규 및 기존 계약을 전면 중단하고, 3년 내로 러시아산 화석연료(가스·원유)와 원자력(우라늄)을 모두 퇴출하겠다고 선언.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와 에너지 갈등을 벌여온 유럽연합은 “신뢰 불가능한 공급국과 에너지 거래 완전히 끊어야 할 때”라며 이 같은 방침을 발표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96153.html#cb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은 7.3%로 높아졌고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4.6%까지 높아지며 향후 물가 상승 경계 지속되는 양상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는 50.8pt로 예상보다 낮은 수준에 그침. 기대지수와 경제 상황지수 모두 예상치 하회했기 때문. 향후 미국 경기에 대한 불안 이어지는 양상
수출, 수입 물가지수 모두 전월대비 높아지며 예상치 상회. 건축허가건수는 141.2만건으로 예상치 하회했으나, 주택착공건수가 136.1만건으로 예상치와 이전치를 모두 상회
09.05.202506:16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5/13 (화)
- 4월 CPI/근원 CPI(21:30)

[헤드라인 CPI]
(YoY) 예상치 2.4%, 이전치 2.4%
(MoM) 예상치 0.3%, 이전치 -0.1%

[근원 CPI]
(YoY) 예상치 2.8%, 이전치 2.8%
(MoM) 예상치 0.3%, 이전치 0.1%

*5/14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5/15 (목)
- 4월 PPI/근원 PPI(21:30)
- 5월 뉴욕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 지수(21:30)
- 4월 소매판매(21:30)
- 5월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활동지수(21:30)

*5/16 (금)
- 4월 주택착공건수(21:30)
- 4월 건축허가건수 예비치(21:30)
- 5월 미시간대 소비자신뢰/기대지수 예비치(23:00)
- 5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예비치(23:00)

-----------------
★ 유로존

*5/13 (화)
- 5월 ZEW 경기전망지수(18:00)

*5/15 (목)
- 1분기 GDP 예비치(18:00)
- 3월 산업생산(18:00)

*5/16 (금)
- 3월 무역수지(18:00)

-----------------
★ 영국

*5/13 (화)
- 3월 실업률(15:00)

*5/15 (목)
- 1분기 GDP 예비치(15:00)
- 3월 광공업생산(15:00)
- 3월 제조업생산(15:00)
- 3월 건설생산(15:00)
- 3월 무역수지(15:00)

-----------------
★ 일본

*5/12 (월)
- 3월 경상수지(08:50)

*5/14 (수)
- 4월 PPI(08:50)

*5/16 (금)
- 1분기 GDP 예비치(08:50)
- 3월 광공업생산 확정치(13:30)
- 3월 설비가동률(13:30)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08.05.202515:44
트럼프, 영국과 무역 협상 타결 발표 … ‘관세 전쟁’ 첫 사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영국과 포괄적인 무역 협정을 타결. 트럼프 정부가 지난달 2일 전 세계를 상대로 최대 145% 수준의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약 한 달 만에 타국과 합의에 도달한 첫 사례. 영국은 미국 입장에서 보면 11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로, 미국은 영국을 상대로 무역 흑자를 기록

트럼프는 “이번 합의로 미국 수출업자들, 특히 농업·에너지 분야에서 영국 시장에 대한 큰 접근권을 갖게 된다”며 “두 나라에 위대한 합의(great deal)가 될 것”이라고 강조. 영국이 미국에 대해 비(非)관세 장벽을 줄이고, 세관 당국이 화학·기계류를 포함한 미국산 제품에 대한 패스트트랙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언급. 구체적인 결과는 앞으로 몇 주 안에 확정이 될 것임을 시사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us/2025/05/08/OOC6RRIJBJF5BEL3WO5JMFCSEM/
02.05.202508:12
[한투증권 최보원] 차주 주목 지표/일정 요약

이어서 금일 저녁~다음 주에 최소한 확인해야 하는 일정들을 송부 드립니다.

● 지표 발표 일정 (한국시간)

★ 미국

*5/5 (월)
- 4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PMI 확정치(22:45)
- 4월 S&P 글로벌 종합 PMI 확정치(22:45)
- 4월 ISM 비제조업 PMI (23:00)

*5/6 (화)
- 3월 무역수지(21:30)

*5/7 (수)
- MBA 모기지 신청건수(20:00)

*5/8 (목)
- FOMC 회의(03:00)
-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21:30)

-----------------
★ 유로존

*5/6 (화)
- 4월 HCOB 서비스업 PMI 확정치(17:00)
- 4월 HCOB 종합 PMI 확정치(17:00)
- 3월 PPI(18:00)

*5/7 (수)
- 3월 소매판매(18:00)

-----------------
★ 영국

*5/6 (화)
- 4월 자동차 신규 등록(17:00)
- 4월 S&P 글로벌 종합 PMI 확정치(17:30)
- 4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PMI 확정치(17:30)

*5/8 (목)
- 4월 RICS 주택가격수지(15:00)
- BOE 회의(20:00)

-----------------
★ 일본

*5/5 (월)
- 어린이 날 휴장

*5/6 (화)
- 녹색의 날 휴장

*5/7 (수)
- 4월 au지분은행 종합 PMI 확정치(09:30)
- 4월 au지분은행 서비스업 PMI 확정치(09:30)

*5/9 (금)
- 3월 가계지출(08:30)
- 3월 실질임금(08:30)
- 3월 경기선행지수 예비치(14:00)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옵션 만기일에 대한 경계도 높아진 날이나 VIX 지수는 오히려 낮아졌고 안전자산 선호심리도 약화. 추가 관세 협상 방향성 및 기존 관세 영향 경계 지속되며 미국 주요 지수는 가파른 반등 후 상승세 둔화
11.05.202523:11
트럼프, 약값 최대 80% 인하 행정명령 서명 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처방약과 의약품 가격을 최대 80%까지 낮추는 행정명령에 12일 서명할 예정

트럼프는 1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내일 오전 9시 백악관에서 우리 역사상 가장 중대한 행정명령 중 하나에 서명할 것”이라며 “처방약 가격이 거의 즉시 30%에서 80%까지 인하될 것”이라고 발언

그는 “전 세계적으로 약값이 오르고, 미국은 처음으로 공정한 대우를 받게 될 것”이라며 “가장 유리한 국가 정책을 도입해, 미국은 세계 어느 나라든 가장 낮은 가격을 지불하는 국가와 같은 금액만 지불할 것”이라고 강조

https://m.news.nate.com/view/20250512n03953
15.05.202514:34
미국과 중국의 협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며 단기 반발 매수세 유입된 미국 대표 지수 모두 장초반 하락. 미ㅡ중 협상에도 추가 관세 발표 및 기본 관세 경계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대표 지수 밸류에이션 부담 커졌기 때문

단기 반등컸던 경기소비재, IT 기업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 출회. 반면 미국 매출 비중 높고 여전히 밸류에이션 부담 낮게 평가되는 유틸리티 업종은 상승세 지속. 대표 기업 반등으로 산업재 업종도 상승
16.05.202507:40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지수는 전주대비 4.5% 상승. IT와 경기소비재 업종이 8.0%, 7.5% 상승. 미국과 중국 관세 협상이 기대보다 빠르게 진행되며 관세 부담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 완화됐기 때문

- 헬스케어 업종은 2.7% 하락. 의료 장비/시설 업체는 상대적으로 양호했으나, 약가 인하 정책 구체화되며 제약/보험 업체들이 부진

- 유럽: 유로스톡스50, 600 지수는 전주대비 2.3%, 2.1% 상승. 미국과 동조화 기조 이어졌고, 미국과 타 국가간의 관세 협상 기대감 반영됐기 때문

- 미국 관세발 경기 불확실성 부담 완화되며 대표 소비재 기업들이 반등. 제조업체들도 상승세 지속

- 일본: 닛케이 지수는 전주대비 2.2% 상승. 엔달러환율은 145엔 선을 넘어서며 엔화 약세 전환

- 미국과 타 국가간의 협상 기대감 지속되며 수출주/경기 민감주 반등. 우려보다 양호한 실적도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 차주 전망

- 미국, 유럽, 일본 주요 지수는 미국과 중국 협상 진행되며 경기민감주 중심의 반등 컸으나, 4월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 높아진 점이 단기 지수 상승 제한 예상

- 금주 주말~차주는 대형 소비재 기업들의 실적 발표 예정되어 있고, 실물지표와 격차 큰 심리지표도 공개될 예정

- 단기적으로는 가파른 상승세 이어지기 보다 해당 기업들의 보수적인 가이던스 발표 여부가 투자심리 좌우하는 요인으로 작용 예상

- IT 기업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제한적인 소프트웨어, 소비재 기업 중에서도 경기 부담 제한적인 업체 등 동일 업종 내에서도 주가 차별화 심화에 대응 필요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기존/신규 주택매매
② 미국, 유로존, 영국, 일본 제조업 PMI
③ 유로존, 영국, 일본 CPI
④ 미국 실적 발표 - 팔로알토 네트웍스, 타겟, TJX, 홈디포 등
⑤ 일본 실적 발표 - 동경해상, MS&AD 등
⑥ 미시간대 지표(금일 저녁)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07.05.202522:17
전체 요약)

FOMC 회의가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발표된 점 긍정적이었으나, 관세 영향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지속된 점이 장후반 지수 상승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연준 정책 및 관세 발표 이외에도 실적 발표에 따른 주가 차별화도 심화

4월 초~중순 조정 폭을 대부분 회복한 가운데 추가 상승을 위한 발표/숫자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 강해진 환경. 주말 관세 협상 방향성 및 5월 중~후반 밀집된 AI 관련주 실적 발표 확인 우선적으로 필요
09.05.202506:16
[한투증권 최보원] 넥스트

■What's Next?(금일 저녁~다음 주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한국투자증권 최보원입니다.

● 선진국 금주 업데이트

- 미국: S&P500, 나스닥 지수는 전주대비 1.1%, 1.2% 상승. FOMC 회의가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마무리됐고, 미-중 관세 협상 기대감 반영됐기 때문

- S&P500 지수 내에서도 대형주 실적 양호했던 산업재 업종이 전주대비 2.8% 상승. 금융, IT 업종도 2.2%, 1.4% 상승. 대표 기업이 보수적인 가이던스 발표했고, 추가 관세 부담 크게 반영되며 헬스케어 업종은 1.8% 하락

- 유럽: 유로스톡스50, 유로스톡스600 지수는 전주대비 2.5%, 1.5% 상승. 관세 협상 기대감 반영되며 단기 조정 컸던 제조업체들이 반등. DAX 지수가 전주대비 3.8% 상승

- 일본: 닛케이 지수는 전주대비 1.3% 상승. 미국과 관세 협상 가능성 부각됐고, 미국 IT 기업과 동조화 기조 이어진 점이 지수 반등 동력으로 작용. 140엔 초반까지 낮아졌던 엔달러환율이 145엔선 회복한 점도 투자심리 개선 요인으로 작용

● 차주 전망

- 금주는 미-중 관세 협상 타결 가능성 및 연준 정책 발표 앞두고 장중 등락 반복되는 국면 지속

- 차주는 미국 주요 물가 지표 공개될 예정. 대형 유통/제조업체 실적 발표도 진행

- 주말 미-중 협상 결과 및 중국외 국가와의 협상 방향성 우선적 확인 필요

- 단기적으로는 가파른 상승세 지속되기 보다 5월 중후반 밀집된 대형 IT 기업 실적 앞두고 관세/매크로 지표 발표에 민감도 높은 국면 이어질 전망

- 동일 업종 내에서도 여전히 저평가된 업체 중심의 선별적 대응 필요한 구간

-----------------
● 금일 저녁~다음 주 주목 포인트

① 미국 CPI, PPI
② 미국 소매판매
③ 미국 미시간대 지표
④ 유로존, 영국, 일본 GDP
⑤ 미국 실적 발표 - 월마트, 시스코 등
⑥ 일본 실적 발표 -대형 은행, 소프트뱅크 그룹, 덴츠그룹, 넥슨 등

감사합니다.
최보원 드림
02.05.202509:43
"대만이 이럴 줄은"…세계 1위 보유국 '신의 한수'에 美 '발 동동'

대만 경제부는 최근 입법원(국회)을 통과한 ‘산업혁신조례’의 하위 규정을 수정해 TSMC의 미국 투자에 제한을 두는 방안을 검토

이는 미국이 반도체 패권을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상황에서 대만이 던진 강력한 견제구로 해석

개정된 산업혁신조례에 따라 하위 규정에 ‘일정 금액’ 이상의 투자 외에도 특정 국가나 지역, 특정 산업 혹은 기술의 투자 등 항목이 추가. 이 가운데 하나라도 포함될 경우 사전에 정부 승인을 강제하는 방안

특히 주목할 점은 대만 정부가 ‘N-1’ 규정을 TSMC의 미국 투자에도 적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 이는 첨단 공정(N)은 대만에서만 생산하고, 한 세대 낮은 공정(N-1)만 해외 공장에서 운영하도록 하는 규정

대만의 다른 소식통은 “최근 입법원을 통과한 산업혁신조례에 따르면 ‘국가 안보에 영향을 끼칠 경우’ 혹은 ‘국가 경제 발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경우’ 해외 투자를 허가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힘. 이 조항을 근거로 TSMC의 미국 투자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

https://car.withnews.kr/economy/regulates-tsmcs-u-s-investment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