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움 반도체,이차전지 PRIME☀️
"키움 반도체,이차전지 PRIME☀️" 群组最新帖子
28.04.202506:49
[4월 28일, 대만 반도체 밸류 체인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Nanya 0%, Winbond -1%, Macronix -2%
♠ 비메모리: Mediatek -2%, Novatek +2%, Realtek 0%
◆ 파운드리: TSMC +1%, UMC +1%, VIS +1%
◆ 후공정: ASE 0%, Chipbond 0%, PTI 0%, ChipMOS +1%, KYEC +4%
♥ 반도체 유통: Adata -1%, Transcend 0%, Phison -2%
♥ Apple Vendor: Hon Hai +3%, Pegatron +2%, Largan -1%, Genius +1%, Catcher +1%
♣ 서버: Aspeed 0%, Nuvoton 0%, Quanta +4%, Inspur 0%, Wiwynn 0%, Inventec +1%, Mitac +1%, Asrock +1%
♣ PC: Acer +1%, Asustek -1%, Lenovo -1%, Gigabyte 0%, Compal 0%, Wistron 0%
■ PCB: Unimicron +3%, Nanya PCB +1%, Kinsus +3%
■ EV(패키징): Simplo +3%, Dynapack +1%
● LCD 패널: AUO 0%, Innolux -1%, Hannstar +2%
● MLCC: Yageo 0%, Walsin +1%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Nanya 0%, Winbond -1%, Macronix -2%
♠ 비메모리: Mediatek -2%, Novatek +2%, Realtek 0%
◆ 파운드리: TSMC +1%, UMC +1%, VIS +1%
◆ 후공정: ASE 0%, Chipbond 0%, PTI 0%, ChipMOS +1%, KYEC +4%
♥ 반도체 유통: Adata -1%, Transcend 0%, Phison -2%
♥ Apple Vendor: Hon Hai +3%, Pegatron +2%, Largan -1%, Genius +1%, Catcher +1%
♣ 서버: Aspeed 0%, Nuvoton 0%, Quanta +4%, Inspur 0%, Wiwynn 0%, Inventec +1%, Mitac +1%, Asrock +1%
♣ PC: Acer +1%, Asustek -1%, Lenovo -1%, Gigabyte 0%, Compal 0%, Wistron 0%
■ PCB: Unimicron +3%, Nanya PCB +1%, Kinsus +3%
■ EV(패키징): Simplo +3%, Dynapack +1%
● LCD 패널: AUO 0%, Innolux -1%, Hannstar +2%
● MLCC: Yageo 0%, Walsin +1%
[박유악 키움 반도체]
28.04.202503:45
중국이 200개에 달하는 반도체 제조 업체들을 핵심 10개 기업으로 합병해 축소할 계획
뉴스: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23PD215/equipment-2024.html?chid=10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digitimes.com/news/a20250423PD215/equipment-2024.html?chid=10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8.04.202503:45
Nvidia가 5월부터 B300 생산 준비 시작. TSMC 5nm 및 CoWoS-L 가속화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8/news-nvidia-reportedly-kicks-off-b300-production-preparation-in-may-boosting-tsmcs-5nm-and-cowos-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8/news-nvidia-reportedly-kicks-off-b300-production-preparation-in-may-boosting-tsmcs-5nm-and-cowos-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8.04.202503:45
Huawei가 5월 초 신형 AI 칩 Ascend 910D를 테스트할 예정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8/news-huawei-reportedly-set-to-test-new-ascend-910d-ai-chip-as-early-as-may-aiming-to-challenge-nvidia/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trendforce.com/news/2025/04/28/news-huawei-reportedly-set-to-test-new-ascend-910d-ai-chip-as-early-as-may-aiming-to-challenge-nvidia/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8.04.202503:45
이재명 대선후보가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는 반도체에 최대 10% 생산세액공제를 적용하는 반도체특별법 제정을 제안
뉴스: https://zdnet.co.kr/view/?no=20250428111143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zdnet.co.kr/view/?no=20250428111143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8.04.202503:36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0.72% DDR5 16G (2Gx8) 4800/5600은 flat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0.72% DDR5 16G (2Gx8) 4800/5600은 flat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27.04.202522:46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삼성SDI (TP 26만원)
: 바닥을 지나가는 구간, 단기 저점 매수 유효
♠ 투자 포인트
1. 1Q25 실적은 매출액 3.2조원(-15%QoQ, -34%YoY), 영업이익 -4,341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전환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영업이익 컨센서스 -3,187억원)
중대형 전지의 경우 유럽 고객사들의(BMW, VW 등) 재고 조정으로 판매량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이며, 소형 전지도 EV 및 전동공구 고객사들의 재고 조정 영향 지속으로 판매량이 크게 감소. 또한, ESS 사업부문도 계절적 비수기 영향을 받으며, 전자재료 사업부를 제외한 전 사업부문에서 매출이 전분기비 감소한 것으로 파악
한편, ASP 래깅 영향 및 가동률 하락(고객사 재고조정 외 Capa Reallocation도 원인)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
2. 2Q25 실적은 매출액 3.6조원(+13%QoQ, -19%YoY), 영업이익 -1,171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전환 YoY)을 기록할 전망
중대형 전지의 경우 유럽 고객사를 중심으로 재고 Restocking 수요 발생이 예상되며, 출하량이 +11%QoQ 증가할 것으로 전망. 다만, 미국 SDI-Stellantis JV(SPE) 공장은 美 관세 영향에 따른 전방 고객사의 공장 가동 중단 여파로 2분기 미국 생산량이 당초 계획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AMPC 세액공제 금액 629억원 추정). 소형 전지의 경우도 전동공구 재고 Restocking 및 신규 어플리케이션(BBU 등) 확대로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수익성의 경우 중대형/소형 매출 증가로 손익은 개선되겠으나, 여전히 낮은 가동률로 인해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3.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4.9조원(-10%YoY), 영업이익 -1,360억원(적자전환 YoY)으로 전망
동사는 최근 1) 유상증자 발표, 2) 1Q25 실적 대규모 적자 인식으로 단기적으로 주가 하방 압력을 가중시켜왔던 불확실성이 모두 공개된 상황. 현재 분기 실적 바닥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하반기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당사는 유럽 CO2 배출 규제 유예 및 美 관세 영향 감안 시 실제 고객사들의 수요 회복 속도가 회사측 가이던스보다 더딜 것으로 예상하나, 최근까지 주가가 불확실성을 선반영해온 점(25년 P/B 0.68배) 고려할 때 현 주가에서는 단기 반등이 유효하다고 판단
실적 추정치 변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260,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나, 중장기 성장성 감안하여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함.
♠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27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삼성SDI (TP 26만원)
: 바닥을 지나가는 구간, 단기 저점 매수 유효
♠ 투자 포인트
1. 1Q25 실적은 매출액 3.2조원(-15%QoQ, -34%YoY), 영업이익 -4,341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전환 YoY)으로,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영업이익 컨센서스 -3,187억원)
중대형 전지의 경우 유럽 고객사들의(BMW, VW 등) 재고 조정으로 판매량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이며, 소형 전지도 EV 및 전동공구 고객사들의 재고 조정 영향 지속으로 판매량이 크게 감소. 또한, ESS 사업부문도 계절적 비수기 영향을 받으며, 전자재료 사업부를 제외한 전 사업부문에서 매출이 전분기비 감소한 것으로 파악
한편, ASP 래깅 영향 및 가동률 하락(고객사 재고조정 외 Capa Reallocation도 원인)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
2. 2Q25 실적은 매출액 3.6조원(+13%QoQ, -19%YoY), 영업이익 -1,171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전환 YoY)을 기록할 전망
중대형 전지의 경우 유럽 고객사를 중심으로 재고 Restocking 수요 발생이 예상되며, 출하량이 +11%QoQ 증가할 것으로 전망. 다만, 미국 SDI-Stellantis JV(SPE) 공장은 美 관세 영향에 따른 전방 고객사의 공장 가동 중단 여파로 2분기 미국 생산량이 당초 계획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AMPC 세액공제 금액 629억원 추정). 소형 전지의 경우도 전동공구 재고 Restocking 및 신규 어플리케이션(BBU 등) 확대로 판매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수익성의 경우 중대형/소형 매출 증가로 손익은 개선되겠으나, 여전히 낮은 가동률로 인해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3. 2025년 실적은 매출액 14.9조원(-10%YoY), 영업이익 -1,360억원(적자전환 YoY)으로 전망
동사는 최근 1) 유상증자 발표, 2) 1Q25 실적 대규모 적자 인식으로 단기적으로 주가 하방 압력을 가중시켜왔던 불확실성이 모두 공개된 상황. 현재 분기 실적 바닥을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하반기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당사는 유럽 CO2 배출 규제 유예 및 美 관세 영향 감안 시 실제 고객사들의 수요 회복 속도가 회사측 가이던스보다 더딜 것으로 예상하나, 최근까지 주가가 불확실성을 선반영해온 점(25년 P/B 0.68배) 고려할 때 현 주가에서는 단기 반등이 유효하다고 판단
실적 추정치 변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260,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나, 중장기 성장성 감안하여 투자의견은 ‘BUY’를 유지함.
♠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27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27.04.202522:39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SK하이닉스 [TP 26만원]
: 2Q25 영업이익 9.1조원 전망
♠ 투자 포인트
1) 2Q25 영업이익 9.1조원, 시장 컨센서스 상회 전망
HBM3e 12hi 판매 확대 및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 효과
2)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인한 IT 제품의 수요 감소가 현실화될 수 있지만,
이는 수 개월의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주가 조정을 충분히 받은 현 시점에서는 단기 호재에 더욱 집중해야 함
3) '시장 기대치를 넘어설 HBM 실적과 범용 메모리의 가격 상승'이 SK하이닉스의 단기 주가 반등을 이끌 것으로 판단
단기적인 매수 접근이 유효하다고 판단함.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R11326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SK하이닉스 [TP 26만원]
: 2Q25 영업이익 9.1조원 전망
♠ 투자 포인트
1) 2Q25 영업이익 9.1조원, 시장 컨센서스 상회 전망
HBM3e 12hi 판매 확대 및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 효과
2) 트럼프 관세 영향으로 인한 IT 제품의 수요 감소가 현실화될 수 있지만,
이는 수 개월의 시차를 두고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주가 조정을 충분히 받은 현 시점에서는 단기 호재에 더욱 집중해야 함
3) '시장 기대치를 넘어설 HBM 실적과 범용 메모리의 가격 상승'이 SK하이닉스의 단기 주가 반등을 이끌 것으로 판단
단기적인 매수 접근이 유효하다고 판단함.
♠ 리포트: https://bbn.kiwoom.com/rfCR11326
[박유악, 키움 반도체]
*컴플라이언스 검필
27.04.202522:25
[4월 25일, 필라델피아 반도체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0%, 4,252p 마감
다우 +0.1%, 나스닥 +1.3%, S&P +0.7%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0% 상승. Google이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고, $75.0B 규모에 달하는 강한 CapEx를 유지하면서 AI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영향으로 Nvidia(+4.3%)를 비롯한 AI 업종 주가 상승. Morgan Stanley에서도 관세 문제에도 불구하고 추론용 칩 공급이 부족하고, GPU 수요가 견조하다며 낙관적 전망 유지. 이에 Broadcom(+2.2%)과 AMD(+2.3%), Marvell(+2.8%) 등도 상승 마감. 그러나 Intel(-6.7%)은 제시한 가이던스가 시장 눈높이를 만족하는데 실패하며 급락. Google(+1.7%)은 좋은 실적으로 장중 +4% 넘게 상승하기도 했으나, CapEx 증가로 인한 감가상각비 확대 등으로 인해 마진율에 대한 우려가 더해지며 상승폭 축소. 실적 발표를 앞둔 Meta(+2.6%)와 Amazon(+1.3%) 등은 Google의 호실적에 힘입어 기대감으로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개 종목 중 22개 상승
♠ 상승/하락률 상위 종목
1) Nvidia: +4.3%. Google이 강한 CapEx 규모를 유지하면서 AI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영향으로 주가 상승
2) Intel: -6.7%. 실적 발표 이후 제시한 가이던스가 투자자들의 실망을 불러오며 주가 하락
♠ 메모리 업종
Micron +3.0%, SanDisk +1.7%%, Kioxia +3.1%. 관세 뉴스에 대한 민감도 완화와 빅테크 호실적에 힘입어 반도체 업종 주가 상승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1.0%, 4,252p 마감
다우 +0.1%, 나스닥 +1.3%, S&P +0.7%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0% 상승. Google이 견고한 실적을 발표하고, $75.0B 규모에 달하는 강한 CapEx를 유지하면서 AI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영향으로 Nvidia(+4.3%)를 비롯한 AI 업종 주가 상승. Morgan Stanley에서도 관세 문제에도 불구하고 추론용 칩 공급이 부족하고, GPU 수요가 견조하다며 낙관적 전망 유지. 이에 Broadcom(+2.2%)과 AMD(+2.3%), Marvell(+2.8%) 등도 상승 마감. 그러나 Intel(-6.7%)은 제시한 가이던스가 시장 눈높이를 만족하는데 실패하며 급락. Google(+1.7%)은 좋은 실적으로 장중 +4% 넘게 상승하기도 했으나, CapEx 증가로 인한 감가상각비 확대 등으로 인해 마진율에 대한 우려가 더해지며 상승폭 축소. 실적 발표를 앞둔 Meta(+2.6%)와 Amazon(+1.3%) 등은 Google의 호실적에 힘입어 기대감으로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0개 종목 중 22개 상승
♠ 상승/하락률 상위 종목
1) Nvidia: +4.3%. Google이 강한 CapEx 규모를 유지하면서 AI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화된 영향으로 주가 상승
2) Intel: -6.7%. 실적 발표 이후 제시한 가이던스가 투자자들의 실망을 불러오며 주가 하락
♠ 메모리 업종
Micron +3.0%, SanDisk +1.7%%, Kioxia +3.1%. 관세 뉴스에 대한 민감도 완화와 빅테크 호실적에 힘입어 반도체 업종 주가 상승
[박유악 키움 반도체]
27.04.202522:24
[4월 25일, 전세계 반도체 밸류 체인 주가]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Micron +3%, Sandisk +2%, Kioxia +3%, Seagate 0%, WDC +2%
♠ 비메모리: Nanya -1%, Intel -7%, Nvidia +4%, AMD +2%, Broadcom +2%, Marvell +3%, Qualcomm +1%, Arm +1%, Skyworks 0%
TI 0%, ADI 0%, NXP 0%, STMicro 0%, Microchip 0%, On Semi -1%, Silicon Motion +2%, Mediatek +4%, Renesas +6%, Novatek +4%
◆ 파운드리: TSMC +1%, SMIC -3%, UMC 0%, GFS +1%, VIS 0%
◆ 후공정: ASE +1%, Amkor +1%, Agilent -1%, Chipbond 0%
♥ 장비: ASML 0%, AMAT +1%, LAM +1%, TEL +4%, KLA +1%, AMEC 0%, Naura -1%
♥ 소재: Linde 0%, Air Liquid 0%, Air Products -1%, Merck +1%, ADEKA +2%, Resonac +3%, Siltronic 0%, Sumco +4%
♣ 서버: Dell +1%, HPE 0%, Lenovo +3%
♣ 클라우드: Amazon +1%, Microsoft +1%, Alphabet +2%, Apple 0%, Meta +3%, Netflix 0%, Alibaba +1%, Tencent +2%, Baidu +1%
♣ EDA/SW: Oracle +1%, Salesforce +1%, Synopsys +2%, Cadence +3%
♣ Quantum: IBM +1%, IonQ +2%, Rigetti Comp. +1%, D Wave +2%, Quantum Comp. +3%
[박유악 키움 반도체]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메모리: Micron +3%, Sandisk +2%, Kioxia +3%, Seagate 0%, WDC +2%
♠ 비메모리: Nanya -1%, Intel -7%, Nvidia +4%, AMD +2%, Broadcom +2%, Marvell +3%, Qualcomm +1%, Arm +1%, Skyworks 0%
TI 0%, ADI 0%, NXP 0%, STMicro 0%, Microchip 0%, On Semi -1%, Silicon Motion +2%, Mediatek +4%, Renesas +6%, Novatek +4%
◆ 파운드리: TSMC +1%, SMIC -3%, UMC 0%, GFS +1%, VIS 0%
◆ 후공정: ASE +1%, Amkor +1%, Agilent -1%, Chipbond 0%
♥ 장비: ASML 0%, AMAT +1%, LAM +1%, TEL +4%, KLA +1%, AMEC 0%, Naura -1%
♥ 소재: Linde 0%, Air Liquid 0%, Air Products -1%, Merck +1%, ADEKA +2%, Resonac +3%, Siltronic 0%, Sumco +4%
♣ 서버: Dell +1%, HPE 0%, Lenovo +3%
♣ 클라우드: Amazon +1%, Microsoft +1%, Alphabet +2%, Apple 0%, Meta +3%, Netflix 0%, Alibaba +1%, Tencent +2%, Baidu +1%
♣ EDA/SW: Oracle +1%, Salesforce +1%, Synopsys +2%, Cadence +3%
♣ Quantum: IBM +1%, IonQ +2%, Rigetti Comp. +1%, D Wave +2%, Quantum Comp. +3%
[박유악 키움 반도체]
27.04.202522:11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EU의 3월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1,029,519대(-0.2%YoY)로 감소. 주요 자동차 시장 중 프랑스(-15%YoY), 덴마크(-11%YoY), 독일(-4%YoY) 시장 모두 감소
3월 EU 순수 전기차(BEV) 신차 등록 대수는 157,505대(+17%YoY)로 증가. 스페인(+93%YoY), 이탈리아(+75%YoY), 독일(+36%YoY), 벨기에(+17%YoY) 시장이 모두 증가한 반면, 프랑스 시장(-14%YoY)은 감소. BEV 침투율은 15.3%를 기록
Hybrid 차량의 3월 등록 대수는 370,121대(+24%YoY)로 증가(침투율 36%). 주요 시장인 스페인(+45%YoY), 프랑스(+42%YoY), 이탈리아(+24%YoY)와 독일(+12%YoY)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며 수요를 견인. PHEV 판매량도 82,111대(+12%YoY)로 증가(침투율 8%). 독일(+66%YoY), 스페인(+51%YoY) 시장이 성장을 주도
1Q25 EU의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2,715,008대로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 반면 1Q25 BEV 침투율은 15.2%(전년 동기 대비 +3.2%p 상승)를 보였으며, 주요 BEV 시장(판매 대수 기준)인 독일(+39%YoY), 벨기에(+30%YoY), 네덜란드(+8%YoY) 시장 모두 큰 폭으로 증가. HEV 침투율의 경우 35.5%로 고 성장세를 지속했으며, 1Q25 EU 파워트레인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
<3월 EU 자동차 데이터>
• 전체 1,029,519대(-0.2%YoY)
• BEV 157,505대(+17%YoY)
• PLUG-IN 82,111대(+12%YoY)
• Hybrid Electric 370,121대(+24%YoY)
• Petrol 290,396대(-21%YoY)
• Diesel 95,315대(-26%YoY)
• Others 34,072대(+8%YoY)
<3월 EU+EFTA+UK 자동차 데이터>
• 전체 1,422,628대(+3%YoY)
• BEV 242,913대(+24%YoY)
• PLUG-IN 119,398대(+20%YoY)
• Hybrid Electric 527,091대(+25%YoY)
• Petrol 393,455대(-20%YoY)
• Diesel 105,699대(-24%YoY)
• Others 34,073대(+8%YoY)
Source: ACEA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EU의 3월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1,029,519대(-0.2%YoY)로 감소. 주요 자동차 시장 중 프랑스(-15%YoY), 덴마크(-11%YoY), 독일(-4%YoY) 시장 모두 감소
3월 EU 순수 전기차(BEV) 신차 등록 대수는 157,505대(+17%YoY)로 증가. 스페인(+93%YoY), 이탈리아(+75%YoY), 독일(+36%YoY), 벨기에(+17%YoY) 시장이 모두 증가한 반면, 프랑스 시장(-14%YoY)은 감소. BEV 침투율은 15.3%를 기록
Hybrid 차량의 3월 등록 대수는 370,121대(+24%YoY)로 증가(침투율 36%). 주요 시장인 스페인(+45%YoY), 프랑스(+42%YoY), 이탈리아(+24%YoY)와 독일(+12%YoY)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며 수요를 견인. PHEV 판매량도 82,111대(+12%YoY)로 증가(침투율 8%). 독일(+66%YoY), 스페인(+51%YoY) 시장이 성장을 주도
1Q25 EU의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2,715,008대로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 반면 1Q25 BEV 침투율은 15.2%(전년 동기 대비 +3.2%p 상승)를 보였으며, 주요 BEV 시장(판매 대수 기준)인 독일(+39%YoY), 벨기에(+30%YoY), 네덜란드(+8%YoY) 시장 모두 큰 폭으로 증가. HEV 침투율의 경우 35.5%로 고 성장세를 지속했으며, 1Q25 EU 파워트레인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
<3월 EU 자동차 데이터>
• 전체 1,029,519대(-0.2%YoY)
• BEV 157,505대(+17%YoY)
• PLUG-IN 82,111대(+12%YoY)
• Hybrid Electric 370,121대(+24%YoY)
• Petrol 290,396대(-21%YoY)
• Diesel 95,315대(-26%YoY)
• Others 34,072대(+8%YoY)
<3월 EU+EFTA+UK 자동차 데이터>
• 전체 1,422,628대(+3%YoY)
• BEV 242,913대(+24%YoY)
• PLUG-IN 119,398대(+20%YoY)
• Hybrid Electric 527,091대(+25%YoY)
• Petrol 393,455대(-20%YoY)
• Diesel 105,699대(-24%YoY)
• Others 34,073대(+8%YoY)
Source: ACEA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25.04.202504:18
키움 반도체 박유악입니다.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1.04%, DDR5 16G (2Gx8) 4800/5600은 flat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오늘 오전 DRAM 스팟 시장에선 일부 제품이 가격 상승세를 보임. 주요 제품 중 고용량 제품인 DDR4 16G (1Gx16) 3200은 +1.04%, DDR5 16G (2Gx8) 4800/5600은 flat
♠ 출처: DRAMeXchange
[박유악 키움 반도체]
无法访问
媒体内容
媒体内容
25.04.202500:37
Amazon과 Nvidia가 데이터센터 수요 둔화 우려를 일축
뉴스: https://www.cnbc.com/amp/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뉴스: https://www.cnbc.com/amp/2025/04/24/amazon-and-nvidia-say-ai-data-center-demand-is-not-slowing-down-.html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24.04.202522:36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포스코퓨처엠 (TP 17만원)
: 양극재 판매량 증가 유효하나, 다소 높은 연간 기대치
♠ 투자 포인트
1)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8,454억원(+17%QoQ, -26%YoY), 영업이익 172억원(흑자전환 QoQ, -55%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59억원) 상회
양극재의 경우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연말 재고 조정 종료에 따른 Restocking 수요 및 라인 전환 후 신규 공장 가동(절강포화)으로 인한 하이니켈 양극재(N86/N87/NCA) 중심의 판매량 증가로, 전분기비 매출이 증가(+33%QoQ)
수익성의 경우 전분기 불용재고 평가손실 소멸(298억원), 양극재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및 기초소재 부문의 마진 개선 등으로 흑자전환 달성
2) 2Q25 실적은 매출액 8,899억원(+5%QoQ, -3%YoY), 영업이익 116억원(-32%QoQ, +325%YoY)을 기록할 전망
양극재의 경우 전방 고객사의 신차 출시 효과 및 IRA 적격 전구체 양산 시작에 따라 N87/N86 제품 중심으로 판매량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한편, 음극재는 중국산 저가 음극재 수요 증가로 올해까지는 큰 폭의 판매량 증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
손익의 경우 가동률 개선이 일부 예상되나, 음극재 적자 지속 및 전구체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가동 비용 발생으로 수익성은 전분기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
3)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9조원(+5%YoY), 영업이익 810억원(+8,000%YoY)으로 전망. 금번 실적발표 시 회사측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는 기존대로 +30%YoY를 유지했으나, 당사는 최근 관세 영향 및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에 따라 고객사의 라인 가동 시점(SOP)이 지연될 가능성을 반영해 올해 판매량이 +13%YoY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
동사는 양극재 업체 중 북미 향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향후 관세 정책, IRA 법안 변화 가능성 등 미국 정책 변수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나, 만약 정책 변수들이 시장 기대치 정도로만 구체화 된다면, 하반기 이차전지 섹터 주가 반등 시 양/음극 소재의 전체 밸류체인을 보유한 동사의 주가도 반등이 유효하다고 판단
실적 추정치 변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170,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나, 중장기 성장성 관점에서 투자의견은 ‘BUY’ 유지함.
♠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17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포스코퓨처엠 (TP 17만원)
: 양극재 판매량 증가 유효하나, 다소 높은 연간 기대치
♠ 투자 포인트
1) 1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8,454억원(+17%QoQ, -26%YoY), 영업이익 172억원(흑자전환 QoQ, -55%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59억원) 상회
양극재의 경우 리튬 가격 하락에 따른 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연말 재고 조정 종료에 따른 Restocking 수요 및 라인 전환 후 신규 공장 가동(절강포화)으로 인한 하이니켈 양극재(N86/N87/NCA) 중심의 판매량 증가로, 전분기비 매출이 증가(+33%QoQ)
수익성의 경우 전분기 불용재고 평가손실 소멸(298억원), 양극재 가동률 상승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및 기초소재 부문의 마진 개선 등으로 흑자전환 달성
2) 2Q25 실적은 매출액 8,899억원(+5%QoQ, -3%YoY), 영업이익 116억원(-32%QoQ, +325%YoY)을 기록할 전망
양극재의 경우 전방 고객사의 신차 출시 효과 및 IRA 적격 전구체 양산 시작에 따라 N87/N86 제품 중심으로 판매량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 한편, 음극재는 중국산 저가 음극재 수요 증가로 올해까지는 큰 폭의 판매량 증가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
손익의 경우 가동률 개선이 일부 예상되나, 음극재 적자 지속 및 전구체 공장 가동에 따른 초기 가동 비용 발생으로 수익성은 전분기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
3) 2025년 실적은 매출액 3.9조원(+5%YoY), 영업이익 810억원(+8,000%YoY)으로 전망. 금번 실적발표 시 회사측 양극재 출하량 가이던스는 기존대로 +30%YoY를 유지했으나, 당사는 최근 관세 영향 및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에 따라 고객사의 라인 가동 시점(SOP)이 지연될 가능성을 반영해 올해 판매량이 +13%YoY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
동사는 양극재 업체 중 북미 향 매출 비중이 높은 만큼, 향후 관세 정책, IRA 법안 변화 가능성 등 미국 정책 변수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클 것으로 보이나, 만약 정책 변수들이 시장 기대치 정도로만 구체화 된다면, 하반기 이차전지 섹터 주가 반등 시 양/음극 소재의 전체 밸류체인을 보유한 동사의 주가도 반등이 유효하다고 판단
실적 추정치 변경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는 170,000원으로 하향 조정하나, 중장기 성장성 관점에서 투자의견은 ‘BUY’ 유지함.
♠ 리포트: bbn.kiwoom.com/rfCR11317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24.04.202522:30
안녕하세요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입니다.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퀀텀스케이프 (QS.US)
: 기대감은 높으나 아직은 이른 시점
♠ 투자 포인트
1) 1Q25 실적은 아직 매출이 전무한 상태로, 영업이익 $-123.6M(적자지속QoQ, 적자지속YoY)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 하회(영업이익 컨센서스 -$90.10M)
1분기 R&D 비용은 $95.6M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으며, CapEx의 경우 $5.8M으로 QSE-5 B1 샘플 생산 확대를 위한 장비 구매 및 설비 투자를 단행. 올해 당사 가이던스에 의하면 Adj. EBITDA는 기존대로 유지하고(-$250M ~ -$280M), 분기별 EPS도 flat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
1분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보유액($860.3M) 감안 시, 유동성도 2028년 하반기까지는 문제없을 것으로 전망
2) 동사는 주요 고객 및 협력사로 Volkswagen의 배터리 자회사인 PowerCo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동사와 기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비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을 발표(40GWh~80GWh 규모)
또한, 금번 실적 발표를 통해 일본의 전자부품 기업인 Murata와 세라믹 생산 관련 협력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Cobra 분리막 생산 공정 기술 강화로 전고체 전지의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
동사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올해 QSE-5 B1 샘플 출하 시작 및 2026년까지 도로주행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전고체 전지 양산을 위한 타임라인을 추진
3) 동사는 여전히 가시적인 매출 성과보다는,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단계에 있는 전고체 기술 스타트업으로 신중한 접근 필요
당사가 최근 발간한 ‘전고체 시장, 아직은 이르지만 주목할 때’(25/03/18)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고체 전지의 소량 생산 시점은 27~28년이겠으나, 시장이 본격 개화되는 시점은 2030년 이후로 전망
현재 시점은 전고체 관련 스타트업을 적극 매수하는 전략(Buy&Hold) 보다는, Event-Driven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유효한 전략이라고 판단
♠ 리포트: bbn.kiwoom.com/rfCC918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채널: https://t.me/kiwoom_semibat
♠ 퀀텀스케이프 (QS.US)
: 기대감은 높으나 아직은 이른 시점
♠ 투자 포인트
1) 1Q25 실적은 아직 매출이 전무한 상태로, 영업이익 $-123.6M(적자지속QoQ, 적자지속YoY)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 하회(영업이익 컨센서스 -$90.10M)
1분기 R&D 비용은 $95.6M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였으며, CapEx의 경우 $5.8M으로 QSE-5 B1 샘플 생산 확대를 위한 장비 구매 및 설비 투자를 단행. 올해 당사 가이던스에 의하면 Adj. EBITDA는 기존대로 유지하고(-$250M ~ -$280M), 분기별 EPS도 flat하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
1분기말 현금 및 현금성자산 보유액($860.3M) 감안 시, 유동성도 2028년 하반기까지는 문제없을 것으로 전망
2) 동사는 주요 고객 및 협력사로 Volkswagen의 배터리 자회사인 PowerCo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동사와 기술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비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체결을 발표(40GWh~80GWh 규모)
또한, 금번 실적 발표를 통해 일본의 전자부품 기업인 Murata와 세라믹 생산 관련 협력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통해 Cobra 분리막 생산 공정 기술 강화로 전고체 전지의 상업화를 추진할 계획
동사는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올해 QSE-5 B1 샘플 출하 시작 및 2026년까지 도로주행 테스트를 진행하는 등 전고체 전지 양산을 위한 타임라인을 추진
3) 동사는 여전히 가시적인 매출 성과보다는, 지속적인 R&D 투자가 필요한 단계에 있는 전고체 기술 스타트업으로 신중한 접근 필요
당사가 최근 발간한 ‘전고체 시장, 아직은 이르지만 주목할 때’(25/03/18)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고체 전지의 소량 생산 시점은 27~28년이겠으나, 시장이 본격 개화되는 시점은 2030년 이후로 전망
현재 시점은 전고체 관련 스타트업을 적극 매수하는 전략(Buy&Hold) 보다는, Event-Driven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유효한 전략이라고 판단
♠ 리포트: bbn.kiwoom.com/rfCC918
[키움 이차전지 권준수]
记录
28.04.202523:59
7.8K订阅者28.02.202523:59
320引用指数20.02.202502:30
10.4K每帖平均覆盖率20.02.202502:30
10.4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03.02.202502:41
2.31%ER19.02.202523:59
139.72%ERR频道变更历史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