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ачен пише

Реальний Київ | Украина

Реальна Війна

Україна Online: Новини | Політика

Телеграмна служба новин - Україна

Резидент

뭘 좋아할지 몰라 다 준비 했어
记录
20.04.202523:59
12.5K订阅者10.09.202423:59
0引用指数08.11.202423:59
20.5K每帖平均覆盖率27.12.202423:59
13.3K广告帖子的平均覆盖率16.04.202502:29
6.32%ER09.11.202423:59
165.33%ERR14.04.202511:29
RS (상대강도) 에 대해서
RS = Relative Strength 으로 윌리엄 오닐의 IBD (Investor’s Business Daily)에서 개발한 지표
주가의 상승률 기준으로 해당 종목이 시장 대비해서 얼마나 강했는지를 백분위(1~99) 점수로 표현한 것이다.
상대 강도라고도 하고 상보 강도라고도 한다.
예)
RS 90 = 전체 종목 중에서 상위 10%의 상승률이라는 말과 같음.
이때 기간에 따라 다름
12개월, 6개월, 3개월, 1개월 등 다양한 기간 동안의 주가 상승률을 체크함
일반적인 RS는 12개월 동안의 상승률을 백분위로 표시함
하지만 IBD에서도 정확한 공식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최근 기준으로 가중 평균을 계산해서 RS을 계산함
RS 1M (최근 1개월) 기준을 가중평균으로 * 2 해서 두 배로 줄 수도 있고
RS(가중치) = (12M*0.2)+(6M*0.3)+(3M*0.5)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가중치를 두는 이유는 과거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RS 지표의 숫자만 보더라도 주가의 차트의 흐름이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RS 12M 이 90이고 RS 6M이 50 다시 RS 1M이 90이라는 말은
주가가 과거에 시장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을 했다가 조정을 거치고 최근 다시 상승하고 있다는 것과 같다.
중요한 것은 RS 지표를 볼 때 지금 당장 높은 숫자가 더 좋다
이런 것이 아니라 시장보다 강했나?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평균적으로 시장(코스피, 코스닥)의 RS을 살펴보면 약 60~67 정도를 왔다 갔다 한다.
그래서 최소한 RS가 70 이상인 것들만 매매를 한다. (최소한의 조건)
추세추종 돌파 매매의 경우 시장보다 더 강할수록 (아웃포펌) 할수록 추세가 좋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기간의 짧은 RS만 살펴보면 추세의 일관성을 볼 수가 없다.
추세란 길수록 판별하기 쉽고 대응하기 편리하다.
짧은 추세보다 긴 추세를 보는 긴~ 시계열을 가져야 한다. (주봉을 항상 보는 습관)
주의할 점은 RS와 RSI는 전혀 다른 지표이다.
RSI는 기술적 보조지표로 과매수/과매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RS와 RSI 구별 못하는 블로그나 유튜브는 믿고 거르시는 것을 추천드린다.
특히 HTS에 RS를 수식화했다는 것도 거짓이다
트레이딩을 할 때 RS를 보는 것이 필수는 아니지만 매우 좋은 지표인 것은 확실하다.
나는 매매를 할 때 단 한 번도 RS를 체크를 안 한 적이 없을 만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RS를 숫자를 본다는 것보다 지수 대비 얼마나 더 강한 종목이지 꼭 체크한다는 것이다.
복합적이지만 높은 종목이 주도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쉽게도 국내 증권사에서는 RS 지표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서
HTS에서 종목 차트 밑에 지수 차트를 같이 뛰어서 직관적으로 살펴보거나
트레이딩 뷰 혹은 파이썬을 이용해서 개별적으로 추출해서 사용했다.
그러다가 최근 주식 AI 어시스턴트인 스탁이지를 개발하면서 RS를 추가하는 게 편할 것 같아서 기능을 추가했다.
이제는 스탁이지(StockEasy)에서 매일 가중평균 RS를 계산해서 보여준다.
고기 맛집을 찾아다니다가 직접 고깃집을 차린 느낌?
RS = Relative Strength 으로 윌리엄 오닐의 IBD (Investor’s Business Daily)에서 개발한 지표
주가의 상승률 기준으로 해당 종목이 시장 대비해서 얼마나 강했는지를 백분위(1~99) 점수로 표현한 것이다.
상대 강도라고도 하고 상보 강도라고도 한다.
예)
RS 90 = 전체 종목 중에서 상위 10%의 상승률이라는 말과 같음.
이때 기간에 따라 다름
12개월, 6개월, 3개월, 1개월 등 다양한 기간 동안의 주가 상승률을 체크함
일반적인 RS는 12개월 동안의 상승률을 백분위로 표시함
하지만 IBD에서도 정확한 공식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최근 기준으로 가중 평균을 계산해서 RS을 계산함
RS 1M (최근 1개월) 기준을 가중평균으로 * 2 해서 두 배로 줄 수도 있고
RS(가중치) = (12M*0.2)+(6M*0.3)+(3M*0.5) 이런 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가중치를 두는 이유는 과거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RS 지표의 숫자만 보더라도 주가의 차트의 흐름이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RS 12M 이 90이고 RS 6M이 50 다시 RS 1M이 90이라는 말은
주가가 과거에 시장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을 했다가 조정을 거치고 최근 다시 상승하고 있다는 것과 같다.
중요한 것은 RS 지표를 볼 때 지금 당장 높은 숫자가 더 좋다
이런 것이 아니라 시장보다 강했나?를 판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평균적으로 시장(코스피, 코스닥)의 RS을 살펴보면 약 60~67 정도를 왔다 갔다 한다.
그래서 최소한 RS가 70 이상인 것들만 매매를 한다. (최소한의 조건)
추세추종 돌파 매매의 경우 시장보다 더 강할수록 (아웃포펌) 할수록 추세가 좋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기간의 짧은 RS만 살펴보면 추세의 일관성을 볼 수가 없다.
추세란 길수록 판별하기 쉽고 대응하기 편리하다.
짧은 추세보다 긴 추세를 보는 긴~ 시계열을 가져야 한다. (주봉을 항상 보는 습관)
주의할 점은 RS와 RSI는 전혀 다른 지표이다.
RSI는 기술적 보조지표로 과매수/과매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RS와 RSI 구별 못하는 블로그나 유튜브는 믿고 거르시는 것을 추천드린다.
특히 HTS에 RS를 수식화했다는 것도 거짓이다
트레이딩을 할 때 RS를 보는 것이 필수는 아니지만 매우 좋은 지표인 것은 확실하다.
나는 매매를 할 때 단 한 번도 RS를 체크를 안 한 적이 없을 만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RS를 숫자를 본다는 것보다 지수 대비 얼마나 더 강한 종목이지 꼭 체크한다는 것이다.
복합적이지만 높은 종목이 주도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쉽게도 국내 증권사에서는 RS 지표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서
HTS에서 종목 차트 밑에 지수 차트를 같이 뛰어서 직관적으로 살펴보거나
트레이딩 뷰 혹은 파이썬을 이용해서 개별적으로 추출해서 사용했다.
그러다가 최근 주식 AI 어시스턴트인 스탁이지를 개발하면서 RS를 추가하는 게 편할 것 같아서 기능을 추가했다.
이제는 스탁이지(StockEasy)에서 매일 가중평균 RS를 계산해서 보여준다.
고기 맛집을 찾아다니다가 직접 고깃집을 차린 느낌?
09.04.202510:48
25년 1분기 호실적 예상 종목 리스트
HDC - 자회사 통영에코파워 실적 온기반영
HD현대일렉트릭 - 북미호조, 이연물량반영.
HK이노엔 - 케이캡처방증가, 중국적응증보험추가, 컨디션매출회복
ISC - 매출이연물량. 비메모리향 매출 상승
SAMG엔터 - 티니핑. 아티스트협업통한 소비연령층 확대, 기대 이하란 소식도 있음
가온전선 - LS USA, 지앤피 양수. 실적붙음
감성코퍼레이션 - 날씨추워서 1월부터 잘팔림
글로벌텍스프리 - 외국인관광객증가
노머스 - 태민, 온유, 아이엠 국내투어 전석매진. 1q반영
데브시스터즈 - 구조조정 실적개선
동방메디칼 - yoy10% 성장
동성화인텍 - 증설효과, 환율, 판가인상효과
두산 - ccl매출 크게 증가
듀켐바이오 - 레켐비 시판허가 직수혜
마이크로컨텍솔 - 전사업부 좋음
메카로 - 수출데이터ath, 재고자산증가
메타바이오메드 - 수출실적좋음
바디텍메드 - 1분기 실적개선
바이넥스 - 1분기부터 흑전
바이오플러스 - 필러수출 빠른 성장, 유통구조개편
삼양식품 - 해외매출증가 마진서프 기대
실리콘투 - 관세물량 땡겨갈거 같음
에이피알 - 메디큐브잘됨. 메가와리, 아마존 잘됨
원텍 - 태국법인 고성장, 국내개원증가
유니드 - 염화칼륨가격상승, 4분기 이연있음
이마트 - 온라인채널침투 끝. 이익턴어라운드. 홈플반사수혜
이수페타시스 - asp, 제품믹스 증가로 수익성 개선
잉글우드랩 - qoq증가. 점진적 증가 하반기부터 본격
조광페인트 - 조광요턴실적 잘나옴. 조선끝단
케이엔제이 - 반도체가동률 상승
크래프톤 - 배그 접속최고
클래시스 - 피부미용관광 굿
태광 - 작년 이연물량살짝. 25년연간수주 3000억초반
티앤엘 - 수출실적 좋음. 수주잔고도 좋음
티에스이 - 프로브카드 매출확대
티에프이 - 주총. 실적좋음. 지금까지 트렌드와 다르게 높은 매출기대
파마리서치 - 리쥬란 내수, 해외 고성장
한국카본 - 서프썰
한국콜마 - 선케어좋음. 고객사 추가
한화오션 - 경영 정상화, 환율 효과, 저선가 건조 비중 감소
효성중공업 - 수주증가, 매출이 아직 못따라오는중
카페24 - 판관비 감소, 쇼핑
https://youtu.be/GqkpKhBH3kQ?si=5P_9ry1nnoGD2MkS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27731972
HDC - 자회사 통영에코파워 실적 온기반영
HD현대일렉트릭 - 북미호조, 이연물량반영.
HK이노엔 - 케이캡처방증가, 중국적응증보험추가, 컨디션매출회복
ISC - 매출이연물량. 비메모리향 매출 상승
SAMG엔터 - 티니핑. 아티스트협업통한 소비연령층 확대, 기대 이하란 소식도 있음
가온전선 - LS USA, 지앤피 양수. 실적붙음
감성코퍼레이션 - 날씨추워서 1월부터 잘팔림
글로벌텍스프리 - 외국인관광객증가
노머스 - 태민, 온유, 아이엠 국내투어 전석매진. 1q반영
데브시스터즈 - 구조조정 실적개선
동방메디칼 - yoy10% 성장
동성화인텍 - 증설효과, 환율, 판가인상효과
두산 - ccl매출 크게 증가
듀켐바이오 - 레켐비 시판허가 직수혜
마이크로컨텍솔 - 전사업부 좋음
메카로 - 수출데이터ath, 재고자산증가
메타바이오메드 - 수출실적좋음
바디텍메드 - 1분기 실적개선
바이넥스 - 1분기부터 흑전
바이오플러스 - 필러수출 빠른 성장, 유통구조개편
삼양식품 - 해외매출증가 마진서프 기대
실리콘투 - 관세물량 땡겨갈거 같음
에이피알 - 메디큐브잘됨. 메가와리, 아마존 잘됨
원텍 - 태국법인 고성장, 국내개원증가
유니드 - 염화칼륨가격상승, 4분기 이연있음
이마트 - 온라인채널침투 끝. 이익턴어라운드. 홈플반사수혜
이수페타시스 - asp, 제품믹스 증가로 수익성 개선
잉글우드랩 - qoq증가. 점진적 증가 하반기부터 본격
조광페인트 - 조광요턴실적 잘나옴. 조선끝단
케이엔제이 - 반도체가동률 상승
크래프톤 - 배그 접속최고
클래시스 - 피부미용관광 굿
태광 - 작년 이연물량살짝. 25년연간수주 3000억초반
티앤엘 - 수출실적 좋음. 수주잔고도 좋음
티에스이 - 프로브카드 매출확대
티에프이 - 주총. 실적좋음. 지금까지 트렌드와 다르게 높은 매출기대
파마리서치 - 리쥬란 내수, 해외 고성장
한국카본 - 서프썰
한국콜마 - 선케어좋음. 고객사 추가
한화오션 - 경영 정상화, 환율 효과, 저선가 건조 비중 감소
효성중공업 - 수주증가, 매출이 아직 못따라오는중
카페24 - 판관비 감소, 쇼핑
https://youtu.be/GqkpKhBH3kQ?si=5P_9ry1nnoGD2MkS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27731972
11.04.202510:56
안녕하세요.
깡토 입니다.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책이 출간이 되었습니다.
오랜기간이 걸렸는데요 ㅠ.ㅠ
그만큼 노력해서 많이 담고 싶었지만 많이 담지 못했습니다.
그동안 투자를 하면서 경험했던것과
가치투자 + 추세추종 = 하이브리드 투자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구매 링크
●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276282
●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5124304
● 알라딘
http://aladin.kr/p/WRIfW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30057416
깡토 입니다.
<손실은 짧게 수익은 길게> 책이 출간이 되었습니다.
오랜기간이 걸렸는데요 ㅠ.ㅠ
그만큼 노력해서 많이 담고 싶었지만 많이 담지 못했습니다.
그동안 투자를 하면서 경험했던것과
가치투자 + 추세추종 = 하이브리드 투자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구매 링크
●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276282
●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5124304
● 알라딘
http://aladin.kr/p/WRIfW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30057416
24.03.202511:18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08330635
추세란?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이다.
결국 추세추종은 추세(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것을 추종하는 매매이다.
그게 상승일 수도 있고 하락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일정한 방향으로 나가가야지 추세가 있다고 표현할 수 있을까?
그게 바로 정답이 없다.
투자하는 사람의 뷰에 따라 달라진다.
분봉 매매 등의 짧게 매매하는 사람들은 분봉의 흐름으로도 추세가 있다 없다를 판별할 수 있고
일봉 매매를 기준으로 하는 사람들은 일봉 기준으로 추세의 유무를 판단하며
주봉 매매를 기준으로 하는 사람은 주봉 기준으로 추세의 유무를 판단한다.
사실상 추세가 있다 없다는 투자자의 뷰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다만 투자의 기준이 짧을수록 변동성의 노출이 커지기 때문에 트레이딩 하는데 난이도는 올라간다.
케이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봉 매매하는 사람들에게는 1~2% 이상만 하락해도 이미 추세가 무너짐을 느낀다.
기민하게 대응해야 하며 의도와는 다르게 시장의 흐름에 따라 종목이나 상품의 변동성이 커지기도 한다.
당연히 순간 판단력이 높아야 하며 많은 매매를 하게 되고 모니터링을 자주 해야 한다 ㅠ.ㅠ
그만큼 회전률이 높아서 실력이 좋다면 빠르게 수익을 낼 수도 있겠지만
반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안 된다는 것이 아니라 매매가 더 어려울 뿐이다.
나는 주로 주봉을 먼저 보고 일봉을 보면서 추세에 대해서 고민을 한다
항상 이야기하는 추세의 일관성이다.
주봉으로도 추세가 있어야 하고 일봉으로 추세가 있어야 한다.
중간에 조정의 베이스 기간을 거쳐도 주봉의 추세가 무너지거는 하는 형태는 없는 종목을 선호한다.
그게 바로 건전한 조정이라고 보통 이야기한다.
차트를 보고 판단을 해도 되고 RS(상보강도)등을 보고 파악을 해도 된다.
그런 추세가 있는 종목(상품)에서 티핑포인트가 있을 때 진입하는 매매가 내가 좋아하는 추세추종 매매이다.
이때 티핑포인트는 (돌파,신고가,거래량,인더스트리 등등 다양한) 지점이 있고
이왕이면 추세가 있는 종목이 성장(실적)이 나오는 종목을 선호한다. (내러티브 + 넘버스)
하이브리드 매매로써 성장 가치주가 종목POOL 이다. (최고의 주식 최적이 타이밍)
나머지는 승률과 손익비를 따져서 반복했을 때 수익이 날수 있는 매매인가를 따져서 고민한다.
승률이 높을수록 좋겠지만 처음부터 승률 개선이 힘들다고 가정하고 최소한 30%는 지키자는 마인드로
나머지는 손익비로~ 수익은 길게 손실은 짧게를 반복할 뿐이다.
그리고 파산할 수 있는 리스크를 방지하고나 자금관리등의 리스크 관리를 타이트하게 한다.
처음부터 이길 수 있는 게임의 구조를 만들어 놓고 시작하는 것이 추세추종 매매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내가 이렇게 매매한다는 거지 이게 정답인 것도 아니며 추세추종 매매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래도 매매 방법론의 테크니컬 한 차이는 있겠지만 원리 자체는 사실 비슷비슷하다.
내가 보고 있는 추세가 과연 무엇인지 한번 고민해 보자.
추세추종 매매를 한다고 하면서 추세를 추종한건지~
추세를 예상한건지~
추세란?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이다.
결국 추세추종은 추세(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것을 추종하는 매매이다.
그게 상승일 수도 있고 하락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일정한 방향으로 나가가야지 추세가 있다고 표현할 수 있을까?
그게 바로 정답이 없다.
투자하는 사람의 뷰에 따라 달라진다.
분봉 매매 등의 짧게 매매하는 사람들은 분봉의 흐름으로도 추세가 있다 없다를 판별할 수 있고
일봉 매매를 기준으로 하는 사람들은 일봉 기준으로 추세의 유무를 판단하며
주봉 매매를 기준으로 하는 사람은 주봉 기준으로 추세의 유무를 판단한다.
사실상 추세가 있다 없다는 투자자의 뷰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다만 투자의 기준이 짧을수록 변동성의 노출이 커지기 때문에 트레이딩 하는데 난이도는 올라간다.
케이스에 따라 다르겠지만 분봉 매매하는 사람들에게는 1~2% 이상만 하락해도 이미 추세가 무너짐을 느낀다.
기민하게 대응해야 하며 의도와는 다르게 시장의 흐름에 따라 종목이나 상품의 변동성이 커지기도 한다.
당연히 순간 판단력이 높아야 하며 많은 매매를 하게 되고 모니터링을 자주 해야 한다 ㅠ.ㅠ
그만큼 회전률이 높아서 실력이 좋다면 빠르게 수익을 낼 수도 있겠지만
반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안 된다는 것이 아니라 매매가 더 어려울 뿐이다.
나는 주로 주봉을 먼저 보고 일봉을 보면서 추세에 대해서 고민을 한다
항상 이야기하는 추세의 일관성이다.
주봉으로도 추세가 있어야 하고 일봉으로 추세가 있어야 한다.
중간에 조정의 베이스 기간을 거쳐도 주봉의 추세가 무너지거는 하는 형태는 없는 종목을 선호한다.
그게 바로 건전한 조정이라고 보통 이야기한다.
차트를 보고 판단을 해도 되고 RS(상보강도)등을 보고 파악을 해도 된다.
그런 추세가 있는 종목(상품)에서 티핑포인트가 있을 때 진입하는 매매가 내가 좋아하는 추세추종 매매이다.
이때 티핑포인트는 (돌파,신고가,거래량,인더스트리 등등 다양한) 지점이 있고
이왕이면 추세가 있는 종목이 성장(실적)이 나오는 종목을 선호한다. (내러티브 + 넘버스)
하이브리드 매매로써 성장 가치주가 종목POOL 이다. (최고의 주식 최적이 타이밍)
나머지는 승률과 손익비를 따져서 반복했을 때 수익이 날수 있는 매매인가를 따져서 고민한다.
승률이 높을수록 좋겠지만 처음부터 승률 개선이 힘들다고 가정하고 최소한 30%는 지키자는 마인드로
나머지는 손익비로~ 수익은 길게 손실은 짧게를 반복할 뿐이다.
그리고 파산할 수 있는 리스크를 방지하고나 자금관리등의 리스크 관리를 타이트하게 한다.
처음부터 이길 수 있는 게임의 구조를 만들어 놓고 시작하는 것이 추세추종 매매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내가 이렇게 매매한다는 거지 이게 정답인 것도 아니며 추세추종 매매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래도 매매 방법론의 테크니컬 한 차이는 있겠지만 원리 자체는 사실 비슷비슷하다.
내가 보고 있는 추세가 과연 무엇인지 한번 고민해 보자.
추세추종 매매를 한다고 하면서 추세를 추종한건지~
추세를 예상한건지~
04.04.202502:23
탄핵 인용
22.03.202514:31
알바트로스님 강의 후기 by 제주바람
https://blog.naver.com/onejejuwave/223806312288
https://blog.naver.com/onejejuwave/223806312288
转发自:
BZCF | 비즈까페

27.03.202513:03
난이도가 정말 높습니다. 하지만 배우는 게 정말 많습니다. 테리 스미스의 펀드, 펀드 스미스의 2025년 연간 주주총회 영상입니다. 중간중간 멈추면서 노트테이킹 하면서 들었습니다. 어떤 관점으로 투자를 하는지, 무엇을 보는지, 펀더멘탈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기업의 외부적인 변수가 아니라 내부적인 변수에 집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많이 어렵지만 소화한다면 정말로 많은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시간 두고 보시길 꼭 추천합니다. 비가 오는데 좋은 저녁 되시길 바랍니다. https://youtu.be/u7CVyL4xX9w?si=pCVbmRP_blNr-raq
30.03.202506:46
https://blog.naver.com/rock2580/223814490967
TnBFolio 3월 티 타임 후기
TnBFolio 3월 티 타임 후기
03.04.202500:52
키움 증권 API (시스템매매) 먹통으로 오늘 봇은 가동 안되고 있습니다.
22.03.202517:45
오늘날짜 추세추종 매매에 필수인 RS
(스탁이지 AI 버젼)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06437038
(스탁이지 AI 버젼)
https://blog.naver.com/love392722/223806437038
01.04.202523:16
추노(추세추종 스터디) 3월 결산
https://blog.naver.com/onejejuwave/223817724826
(제주바람)
https://blog.naver.com/jenblack/223816263378
(젠블랙)
https://blog.naver.com/bohemia2/223817075244
(바람처럼)
https://blog.naver.com/investor76/223817932598
(커피)
https://eastluck.tistory.com/240
(이스트럭)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818613546
(너쟁이)
https://blog.naver.com/rock2580/223819228830
(코난)
https://blog.naver.com/onejejuwave/223817724826
(제주바람)
https://blog.naver.com/jenblack/223816263378
(젠블랙)
https://blog.naver.com/bohemia2/223817075244
(바람처럼)
https://blog.naver.com/investor76/223817932598
(커피)
https://eastluck.tistory.com/240
(이스트럭)
https://m.blog.naver.com/chcmg2022/223818613546
(너쟁이)
https://blog.naver.com/rock2580/223819228830
(코난)
01.04.202501:02
3월 잠정 수출입 통계
YoY 높은 수출
(조선: 선박) +51.71%
(변압기: 중대형) +42.58%
(화장품: 기초화장품) +30.26%
(가공식품: 라면) +25.80%
(화장품: 총계) +24.13%
(미용 의료기기: 레이저장비 및 부속품) +23.89%
(화장품: 색조화장품) +22.18%
YoY 높은 수출
(조선: 선박) +51.71%
(변압기: 중대형) +42.58%
(화장품: 기초화장품) +30.26%
(가공식품: 라면) +25.80%
(화장품: 총계) +24.13%
(미용 의료기기: 레이저장비 및 부속품) +23.89%
(화장품: 색조화장품) +22.18%
11.04.202503:12
https://youtube.com/shorts/JshsWtvx-r8
AI로 만들어본 숏츠
AI로 만들어본 숏츠
02.04.202515:12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