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엇을 노려야 할까? : 혹시나 나올 메인넷을 대표하는 NFT WL : 디스코드에서 부여하고 있는 ROLE : 진행되고 있는 테스트넷 IrysArcade or Loffy
정리해본 거로는 이정도일 것 같습니다. POW와 함께 진행되는 L1이라 하드웨어 채굴도 기대했는데, 이건 기관 전용이라고 하네요. 😲 저는 또 제 역할대로 접촉해서 한국에 잘보이라고 농성하러 가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막 시작하는 단계같은데 디스코드 롤같은 경우 선점 느낌으로 다가가도 좋을 것 같아요!
한국 TG도 개설하라고 했고, 스토리처럼 안에서 이벤트 열고 롤 달라고 하려고 하니 미리 들어가실 분들은 들어오셔요!
지난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Succinct 팀은 한국에서 많은 커뮤니티 멤버들과 크립토 투자자들을 만나 큰 감동과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여러분 덕분에 파운더 Uma와 커뮤니티 매니저 Yinger는 한국에서 잊지 못할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었음에 진심으로 감사 드린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보답 하고자, Succinct 코드 기브어웨이 포토 이벤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매우간단합니다 안하면...알죠..?)
🔵이벤트 내용
🟢Succinct를 잘 나타낼 수 있는 창의적인 사진 한장을 찍어서 업로드 해주세요.
⚫️예시 • 일상 속에서의 Succinct와 함께한 순간들 • Succinct를 표현할 수 있는 한국의 풍경, 장소, 또는 사물 • 그 외에 재미있고 의미 있는 Succinct 표현이라면 무엇이든 환영합니다 • 정해진 형식은 없습니다. 재미있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이벤트 물량
• Succinct Testnet code 5개
🔵이벤트 참여 방법
• 트위터 @goatsmith12 팔로우 • 이벤트 트윗을 인용하여 사진을 업로드해주세요 • 트윗에 @SuccinctLabs, @0xCRASHOUT, @goatsmith12를 태그하고, 해시태그 #SuccinctLabs를 포함해주세요
🔵이벤트 참여 기간
현시간~04.26 22:00
감사하게도 두번째 코드 이벤트를 진행하게 됐네요.
Succinct 한국 커뮤니티 리저널 헬퍼를 하면서 매직님, 사이버트럭님, 코같투님 등 많은분들께서 도움을 주셔서 Succinct가 한국에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드립니다.
Seal은 Web3 앱을 위한 탈중앙화 보안 데이터 접근 솔루션 기존에는 데이터 암호화 및 접근 제어를 위해 Web2 솔루션(AWS KMS, GCP Cloud KMS) 또는 특정 Web3 제품을 사용해야 했지만, Seal은 어떤 앱에서도 사용 가능한 범용적인 보안 인프라를 제공함.
Seal의 핵심 기능
· 온체인 접근 제어 → Move 스마트 컨트랙트로 유연한 정책 설정 가능 · Threshold 암호화 → 여러 노드가 키를 분할 관리하여 단일 실패 지점 제거 · 클라이언트 측 암호화 → 데이터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서 암/복호화되어 프라이버시 보호 · 스토리지 연동 → 저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탈중앙화 스토리지(Walrus 등)와 호환
Seal이 중요한 이유
· 중앙화된 키 관리 없이 사용자 데이터 보호 · NFT 보유자, DAO, 크리에이터를 위한 컨텐츠 게이팅 · Web3 dApp을 위한 안전한 메시징 · 암호화 기반 시간 잠금 자산 전송 지원
Seal을 활용할 수 있는 예시
· 프리미엄 콘텐츠 게이팅 → NFT 보유자만 접근 가능한 컨텐츠 · 게임 로직 보호 → 게임 아이템 및 스토리 진행 조건 암호화 · Web3 메시징 → 종단간 암호화 채팅 · 보안 NFT 전송 → 시간 잠금 및 동적 접근 규칙 적용
해볼수 있는것 - seal example app 사용해보기
Seal Example Apps 홈페이지에서 두가지 예제를 사용해볼 수 있음. (예제 사이트다 보니 보안상의 문제로 메인지갑은 사용하지 않기를 권장하고 있음 + 테스트넷이여서 sui testnet faucet 필요)
1. Allowlist Example -특정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정의하는 사용자 목록 · 홈페이지에서 Allowlist Example의 try it을 눌러 Allowlist 페이지로 접속한다. · Allowlist Name을 작성하고 create Allowlist를 눌러 Allowlist를 생성한 후 멤버를 추가한다. · Walrus service 목록을 바꿔가면서 파일 업로드한다.
2. Subscription Example - 구독 기반 접근 제어 설정 · 홈페이지에서 Subscription Example의 try it을 눌러 Subscription 페이지로 접속한다. · 구독가격, 시간, 이름을 정하고 구독서비스를 만든다. · 어드민 뷰에서 Manage를 눌러 파일을 업로드한다. · Share this link를 눌러 접속된 링크를 공유해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 - 구독해서 이미지 등을 확인해본다. (예시링크)
모든 작업들에 1회당 0.01SUI가 발생함 파우셋은 https://faucet.sui.io/ 나 SUI 디스코드 등을 통해서 공수, 이전 게시물들 검색해보면 sui faucet 관련된 글도 있을 듯.
Walrus의 분산형 스토리지 서비스에 Seal의 보안 인프라는 괜찮은 시너지를 낼수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됨으로 시간날때 한두번은 꼭 써보기
런칭 2개월 만에 8조원 이상의 거래량, DEX Aggregator 글로벌 Top 3 진입! 지금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Web3 슈퍼앱, Defi.app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한국 커뮤니티 오픈을 기념하여 진행하는 커뮤니티 오픈 이벤트!
커피 100잔의 즐거움! ☕️ 그리고 하루에 랜덤으로 치킨 한마리씩! 🍗
간단한 입장 이벤트에 참여하시고 커피랑 치킨 받아가세요! 😍
❓ Defi.app이란?
Defi.app은 크로스체인 스왑, 가스비 없는 거래, 온/오프램프 지원, 디파이 이자 상품 접근까지, Web3 슈퍼앱을 지향하는 새로운 디파이 플랫폼입니다. 초보자도 쉽게! 경험자는 더 빠르고 편리하게! Web3의 로빈후드, Defi.app과 함께라면 디파이가 더 쉽고 가까워집니다.
한번 더 리마인드지만 초보자도 보기 편하게 최대한 만들어 봤습니다. 천천히 읽으면서 따라하시면 됩니다.
Fragmetric
백팩 지갑에 솔라나를 입금 최소 약 2.2sol가량 필요(백팩부스터 1.3배) Fragmetric 솔라나를 FragSol로 스왑 비율에 맞게 2 FragSol로 스왑 rate-x 에 리스테이킹을 해 4배 보너스를 받으시면 완료 (FragSol 2솔이하는 리스테이킹이 안됨!) 비상시에 스테이킹을 풀려면 공식사이트에선 1주일정도 걸리는 모습을 볼 수 있음 orca,jup 를 들어가 wfragsol을 sol로 바로 스왑 가능 본인이 리스테이킹을 안했을 경우 여기로 들어가서 래핑을 해주시면 됨 절대 Fragsol로하시면안됨 래핑되어있는 wfragsol로 스왑하셔야 함,교환비가 틀림
작업 Pyth 스테이킹 Pyth 약 1000개 다계 작업 (약 계정당 150불가량) Pyth스테이킹사이트에 들어가서 지갑 연결 후 왼쪽 위 Add tokens 클릭해 입금(언락시 2주 정도 걸림) Oracle Integrity Staking (OIS) 클릭 밑에 잘 보시면 스테이킹 할 수 있는 Publishers가 많이 보임 그 중에 저는 BLOCKSIZE 를 고름 이유는 딱히 없음 순위 사이트 팔로업하면 좋은 트윗 Momentum
수이를 원하시는 금액만큼 수이지갑에 송금 링크로 접속 후 Single token deposit을 클릭 -> Min Price / USDC per SUI , Max Price / USDC per SUI *Set Price Range를 설정(저는 최소 3 최대 4로 맞춰놨습니다.) -> Add Liquidity 클릭 링크로 접속 시빌 방지를 위해 반복적이지 않은 루트로 거래량을 어느정도 채우기 (현재 봇이 돌아가고 있기에 시빌 걸릴 확률 높음) *Set Price Range 설정 후 레인지를 이탈 할 경우 다시 설정해줘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기에 잘 설정 하셔야 함
• 유니온 스퀘어 벤쳐스(USV)와 코인펀드(CoinFund)가 주도한 7.6M$의 시드라운드 투자 • 프로토콜 러닝(Protocol Learning)을 통해 진정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프로젝트 • Pluralis의 파이프라인 병렬성 논문이 ICML에 채택되기도 함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은 머신러닝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고 경쟁이 치열한 학술 대회 중 하나)
프로토콜 모델
• 컴퓨팅 자원 제공자들은 오픈소스 AI 모델 훈련에 자신의 컴퓨팅 파워를 기여 • 대가로 해당 모델이 나중에 생성하는 추론 수익(모델 사용 수익)에 대한 소유권 지분을 획득 • 소유권 가치는 모델의 성능과 활용도에 따라 결정되므로, 참여자들은 자연스럽게 좋은 품질의 훈련을 제공할 동기가 생김
핵심 기술적 혁신: 모델 병렬 처리
• 일반적인 접근법과 달리, 전체 모델을 여러 참여자에게 나누어 분산 저장(샤딩) • 각 참여자는 전체 가중치의 아주 작은 부분만 볼 수 있어, 누구도 모델 전체를 추출할 수 없음 • 이를 통해 여러 참여자가 함께 대규모 모델을 훈련할 수 있으면서도, 누구도 모델을 훔칠 수 없음.
"추출 불가능한(Unmaterializable)" 모델의 개념
• 가장 혁신적인 부분은 모델이 "추출 불가능"하다는 점 • 모델은 훈련도 가능하고 사용도 가능하지만, 모델이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있어, 어느 누구도 전체 모델을 복사하거나 유출할 수 없음.. • 모델을 처음부터 다시 훈련하는 것보다 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기 때문
=> 이런 특성은 오픈소스 AI의 중요한 문제점인 대형 기업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성과물을 쉽게 가져가서 독점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방지
오픈소스 AI의 자원 문제 해결
위와 같은 접근법이 오픈소스 AI의 "자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 소유권(토큰)을 통한 인센티브 구조 제공 • 자원 기여자에게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여 지속 가능한 생태계 구축 • 개인도 대규모 AI 모델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길 제공
지금 할수 있는것
• compute allowlist (지금 단계에서는 개인으로 참여할수 있는지가 명확하지 않음. 확인 후 추가 예정) • Participate in the reading group : 리딩그룹에 참여하기
(중요) 디스코드롤 획득
커뮤니티 롤 • Early : 우리 커뮤니티의 개척자들. 초창기에 합류 • Content Creator : 글쓰기와 예술적 표현으로 커뮤니티에 생명과 개성을 불어넣는 창의적인 사람 • Citizen : 토론에 꾸준히 참여하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핵심 멤버 • Patron " 이벤트를 조직하고, 새 멤버를 환영하며, 긍정적인 분위기를 유지하는 모범적인 구성원 • Archon : 오랜 기간 커뮤니티의 가치에 헌신하고, 문화와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는 베테랑 리더들입니다.
Reading group 롤 • Student : 독서 모임에 새로 합류해 호기심과 배움의 의지를 보이는 신입 멤버 • Scholar : 독서 자료를 깊이 이해하고 토론에서 소중한 통찰을 제공하는 헌신적인 멤버 • Sage : 꾸준히 뛰어난 통찰을 보여주고, 토론을 이끌며 다른 멤버의 학습을 돕는 독서 모임의 베테랑
ℹ️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 (꼬꼬무생) 1. VC들은 이렇게 악조건에 투자하고 있었구나. VC가 생각보다 불리한 포지션이구나. - VC가 덤핑했다 어쨌다 하는데, VC 딜로 들어가면 상장후 2년간은 VC에서 큰 물량이 절대로 나올수가 없구나. - 그럼 대부분의 덤핑은 재단이 가져다 파는건데.... 재단은 맨날 MM 탓 하지만 결국 MM은 재단의 용역일뿐이니 재단이 던지는거구나 * 관련내용 포스팅 참고 2. 개인들이 기관딜에 엑세스하는건 정말 조심해야한다. 시장과 사람들은 단체에게는 가혹하고, 개인에게는 너그럽다. - VC가 투자해서 100배 벌어서 판건 잘못한거다. - 개인이 ico나 에드작으로 100배를 벌면 존경한다. 철저히 개인의 포지션을 활용하자.
3. 옛날(시장초기) 에는 VC라는게 없으니까 ICO로 개인들이 기관역할을 하기도 했는데 거기서 XRP, Tron, 스텔라루멘 등 다양한 100배거가 나왔다. 하지만 지금은 시장이 바뀌었다. - 그래서 크립토를 리테일의 시장이라고 부르는지도 모르겠다. 역설적으로 리테일이 많은 리스크를 졌기때문에 시장의 많은 포션을 차지했다. - Echo 같은것도 꼭 안좋게만 볼필요는 없다. 저기있는거 거의다 망하고 손해볼거다. 하지만 100배짜리도 저기서 나온다. 더이상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에서 100배짜리가 나오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