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4.202502:07
[미래에셋 김철중] LG에너지솔루션 1Q25 실적 컨콜 요약
실적 Review
- 매출액 6조 2,650억원(-2.9% QoQ, +2.2% YoY), 영업이익 3,750억원(흑자전환 QoQ, +138.9 YoY)
실적 분석
- 매출: 북미 및 EV 신모델향 출하 견조하였으나 전반적인 OEM들의 보수적 재고 정책 기조 지속
- 영업이익: 재료비 감축, 비용 효율화를 통한 원가 절감 노력에 대해 전분기 반영된 일회성 요인 소거
25년 1분기 주요 성과
1) 북미 Capa Reallocation
- 미시간 공장: EV + ESS
- 애리조나 2공장: ESS 생산 Hold
- GM, JV 3공장: 당사 인수, EV Lansing
2) 신규 PJT 수주 지속
- 북미 고객사에 연간 10GWh 규모 공급
- 델타일렉트로닉스에 총 4GWh 주택용 ESS 25년부터 현지 공급
- 폴란드 최대 전력회사와 Turn Key 계약 체결, 26년부터 유럽 생산 ESS 최초 공급
25년 Action Plan
- 수요 환경 변화에 따라 선제적으로 캐파 대응, 증설 규모 및 속도 조정
- 25년 2분기 미국 미시간 ESS 캐파 조기구축 기반 대물량/장기공급 중심 수주 확대
- 46시리즈, 각형, LFP 등 신제품 기반 고객사 미래수요 확보 지속
- 원통형 기반 휴머노이드, 드론 등 신규 어플리케이션 개척
Q&A
Q) 2분기 실적 및 연간 실적 가이던스
A) 2분기 실적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예상, 주요 OEM들의 보수적 재고 감축으로 부정적 영향 지속될 수 있으나, 북미 ESS 조기 가동 및 유럽 신규 캐미스트리 양산 등 요인들이 매출 성장 지지할 것.
Q) 향후 Capex 집행 계획
A) 재무건전성 강화를 최우선으로 하여 올해 Caepx 전년 대비 30% 이상으로 축소 운영 예정, 이에 추가 공장 투자 진행하지 않을 것
Q) 수요 전망 및 대응 정책
A)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라 향후 2년간 미국산 자동차에 외국산 부품 사용 시 일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특히 중국산 부품에는 최대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어 원가 부담이 예상됨. 당사는 북미 지역에 선제적 현지화 및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추진해 온 기업으로, 이에 따른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또한 북미 내 8개 사업장을 기반으로 EV, ESS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대응 체계를 이미 구축하고 있으며, IRA 대응을 위한 공급망 체계도 준비된 상태. ESS 신규 수주 확대를 통해 북미 수요 감소 리스크를 완화하고, 우호적 정책 환경을 기회로 활용할 계획.
Q) 북미 ESS 확대 전략 및 중국 경쟁사 대응 방안
A) 미국 ESS 시장은 전력망 투자 및 신재생 에너지 수요 증가,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확대 등에 따라 연 20% 이상의 수요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당사에 추가 성장 기회로 작용 중임. 최근 관세 인상과 같은 대중국 제재 강화로 인해 미국 내 생산능력을 보유한 업체에 유리한 경쟁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당사도 미시간 법인에서 2분기부터 LFP 제품 양산을 본격화함. 해당 제품은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가 3배 이상 향상된 고성능 제품으로,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 ITC 투자 세액공제 등 세제 혜택도 활용 가능해 추가적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 미국 현지 고객들과의 협력 수요도 증가 중이며, 조기 양산을 통해 시장 선점 및 매출 극대화를 추진할 계획임.
Q) 46시리즈 개발 현황
A) 46시리즈 오창 공장 양산 준비 완료, 고객 및 공급 시점 확정 시점에 맞춰 양산 시작할 계획. 현재 기존 고객사 이외에도 다수의 고객사와 46시리즈 관련 공급 계약 논의 중.
Q) 올해 추가 자금조달 계획
A) 1분기 원화 1.6조, 외화 20억불 차입 완료, 해외법인의 경우 스텔란티스 JV는 캐나다 수출공사 13억불 한도 내 차입 예정, MI 법인 금융기관 통해 차입 예정. 이 외에 올해 추가적인 자금 조달 계획은 없음.
Q) BEP 달성을 위한 가동률 수준
A) 공장별 지역별 가동률 수준 상이함. 가동률 개선 방안 관련, 유럽 연내 자동차전지 신규 제품 생산 확대, 북미 ESS LFP 양산 진행하여 규모의 경제 달성할 것
Q) GM향 하반기 수요 전망
A) GM의 1분기 판매 실적은 Equinox, 블레이저, 리릭 등 주요 모델들이 월별 판매 증가세에 힘입어서 예상 대비 견조. 2분기부터 본격 판매 예정되어 있는 모델들에 힘입어 당사의 배터리 매출 또한 성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
실적 Review
- 매출액 6조 2,650억원(-2.9% QoQ, +2.2% YoY), 영업이익 3,750억원(흑자전환 QoQ, +138.9 YoY)
실적 분석
- 매출: 북미 및 EV 신모델향 출하 견조하였으나 전반적인 OEM들의 보수적 재고 정책 기조 지속
- 영업이익: 재료비 감축, 비용 효율화를 통한 원가 절감 노력에 대해 전분기 반영된 일회성 요인 소거
25년 1분기 주요 성과
1) 북미 Capa Reallocation
- 미시간 공장: EV + ESS
- 애리조나 2공장: ESS 생산 Hold
- GM, JV 3공장: 당사 인수, EV Lansing
2) 신규 PJT 수주 지속
- 북미 고객사에 연간 10GWh 규모 공급
- 델타일렉트로닉스에 총 4GWh 주택용 ESS 25년부터 현지 공급
- 폴란드 최대 전력회사와 Turn Key 계약 체결, 26년부터 유럽 생산 ESS 최초 공급
25년 Action Plan
- 수요 환경 변화에 따라 선제적으로 캐파 대응, 증설 규모 및 속도 조정
- 25년 2분기 미국 미시간 ESS 캐파 조기구축 기반 대물량/장기공급 중심 수주 확대
- 46시리즈, 각형, LFP 등 신제품 기반 고객사 미래수요 확보 지속
- 원통형 기반 휴머노이드, 드론 등 신규 어플리케이션 개척
Q&A
Q) 2분기 실적 및 연간 실적 가이던스
A) 2분기 실적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 예상, 주요 OEM들의 보수적 재고 감축으로 부정적 영향 지속될 수 있으나, 북미 ESS 조기 가동 및 유럽 신규 캐미스트리 양산 등 요인들이 매출 성장 지지할 것.
Q) 향후 Capex 집행 계획
A) 재무건전성 강화를 최우선으로 하여 올해 Caepx 전년 대비 30% 이상으로 축소 운영 예정, 이에 추가 공장 투자 진행하지 않을 것
Q) 수요 전망 및 대응 정책
A)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라 향후 2년간 미국산 자동차에 외국산 부품 사용 시 일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특히 중국산 부품에는 최대 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어 원가 부담이 예상됨. 당사는 북미 지역에 선제적 현지화 및 탈중국 공급망 구축을 추진해 온 기업으로, 이에 따른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또한 북미 내 8개 사업장을 기반으로 EV, ESS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대응 체계를 이미 구축하고 있으며, IRA 대응을 위한 공급망 체계도 준비된 상태. ESS 신규 수주 확대를 통해 북미 수요 감소 리스크를 완화하고, 우호적 정책 환경을 기회로 활용할 계획.
Q) 북미 ESS 확대 전략 및 중국 경쟁사 대응 방안
A) 미국 ESS 시장은 전력망 투자 및 신재생 에너지 수요 증가,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확대 등에 따라 연 20% 이상의 수요 성장이 예상되며, 이는 당사에 추가 성장 기회로 작용 중임. 최근 관세 인상과 같은 대중국 제재 강화로 인해 미국 내 생산능력을 보유한 업체에 유리한 경쟁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당사도 미시간 법인에서 2분기부터 LFP 제품 양산을 본격화함. 해당 제품은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가 3배 이상 향상된 고성능 제품으로,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 ITC 투자 세액공제 등 세제 혜택도 활용 가능해 추가적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 미국 현지 고객들과의 협력 수요도 증가 중이며, 조기 양산을 통해 시장 선점 및 매출 극대화를 추진할 계획임.
Q) 46시리즈 개발 현황
A) 46시리즈 오창 공장 양산 준비 완료, 고객 및 공급 시점 확정 시점에 맞춰 양산 시작할 계획. 현재 기존 고객사 이외에도 다수의 고객사와 46시리즈 관련 공급 계약 논의 중.
Q) 올해 추가 자금조달 계획
A) 1분기 원화 1.6조, 외화 20억불 차입 완료, 해외법인의 경우 스텔란티스 JV는 캐나다 수출공사 13억불 한도 내 차입 예정, MI 법인 금융기관 통해 차입 예정. 이 외에 올해 추가적인 자금 조달 계획은 없음.
Q) BEP 달성을 위한 가동률 수준
A) 공장별 지역별 가동률 수준 상이함. 가동률 개선 방안 관련, 유럽 연내 자동차전지 신규 제품 생산 확대, 북미 ESS LFP 양산 진행하여 규모의 경제 달성할 것
Q) GM향 하반기 수요 전망
A) GM의 1분기 판매 실적은 Equinox, 블레이저, 리릭 등 주요 모델들이 월별 판매 증가세에 힘입어서 예상 대비 견조. 2분기부터 본격 판매 예정되어 있는 모델들에 힘입어 당사의 배터리 매출 또한 성장 기회가 있을 것으로 전망.
转发自: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미래에셋 자동차 김진석] avatar](/_next/image?url=https%3A%2F%2Fstatic-storm.tglist.com%2Fda1b354b28a3cd215fbc5731e8fd06cb%2F997fd265-d0a9-4f3c-ba54-6fe3213892df.jpg%3Fw%3D24%26h%3D24&w=48&q=75)


29.04.202504:31
[테슬라 중국 보험등록]
2025년 주간 보험등록
- 4/21~4/27: 10,300대
- 4/14~4/20: 6,800대
- 4/07~4/13: 5,400대
- 3/31~4/06: 3,600대
- 3/24~3/30: 20,700대
- 3/17~3/23: 17,400대
- 3/10~3/16: 15,300대
- 3/03~3/09: 13,800대
- 2/24~3/02: 12,370대
- 2/17~2/23: 6,940대
- 2/10~2/16: 7,450대
2024년 주간 보험등록
- 4/22~4/28: 14,860대
- 4/15~4/21: 5,160대
- 4/08~4/14: 6,230대
- 4/01~4/07: 1,900대
- 3/25~3/31: 17,300대
- 3/18~3/24: 13,577대
- 3/11~3/17: 12,591대
- 3/04~3/10: 13,205대
- 2/26~3/03: 12,582대
- 2/19~2/25: 10,774대
Source: piloly (X/twitter)
2025년 주간 보험등록
- 4/21~4/27: 10,300대
- 4/14~4/20: 6,800대
- 4/07~4/13: 5,400대
- 3/31~4/06: 3,600대
- 3/24~3/30: 20,700대
- 3/17~3/23: 17,400대
- 3/10~3/16: 15,300대
- 3/03~3/09: 13,800대
- 2/24~3/02: 12,370대
- 2/17~2/23: 6,940대
- 2/10~2/16: 7,450대
2024년 주간 보험등록
- 4/22~4/28: 14,860대
- 4/15~4/21: 5,160대
- 4/08~4/14: 6,230대
- 4/01~4/07: 1,900대
- 3/25~3/31: 17,300대
- 3/18~3/24: 13,577대
- 3/11~3/17: 12,591대
- 3/04~3/10: 13,205대
- 2/26~3/03: 12,582대
- 2/19~2/25: 10,774대
Source: piloly (X/twitter)
29.04.202500:40
25.04.202506:26
[미래에셋 김철중] 삼성SDI 1Q25 실적 컨콜 요약
t.me/cjdbj
실적 Review
1) 재무 현황
- 1Q25 매출액 3조 1,768억원(-15.4% QoQ, -34.0% YoY), 영업이익-4,341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전환 YoY)
2) 사업별 실적
[배터리]
- 매출액 2조 9,809억원(-16.4% QoQ, -34.9% YoY), 영업이익 -4,524억원(적자지속)
- 전기차 및 전동공구 고객 재고조정 영향과 ESS 계절적 비수기 요인으로 매출 감소
- 가동률 하락 및 고정비 증가 부담으로 수익성 악화
[전자재료]
- 매출액 1,959억원(-3.1% QoQ, -16.4% YoY), 영업이익 183억원(+57.8% QoQ, -47.1% YoY)
- OLED 소재 중심 수요 개선
■ 2분기 시장 전망 및 전략
[EV]
- 전망: OEM들의 재고조정 마무리, CO2 규제 및 전기차 지원 정책으로 유럽 중심 수요 회복 기대, 관세 등 정책 불확실성으로 수요 변동 리스크 지속
- 전략: 유럽 및 미주 고객향 하이니켈·LFP·46파이 신규 수주 확보,HEV 원형 배터리 진입
[ESS]
- 전망: 전력용·UPS용 수요 성장 지속,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라 BBU 고성장 전망
- 전략: 비중국산 고출력 제품으로 전동공구용 및 BBU용 판매 확대, IT용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First-in 확보
[전자재료]
- 전망: AI용 고부가 제품 수요 증가로 주요 고객 웨이퍼 투입량 증가 전망, 하반기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준비에 따른 패널 생산 확대 전망
- 전략: 반도체 패터닝 소재, 폴더블 OLED 소재 등 고부가 제품 중심 판매 확대 및 신제품 진입
Q&A
Q) 사업부별 2분기 실적 전망
A) 2분기 실적은 1분기 대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
전기차: 미주 관세 영향 수요 변동성 큼, 유럽은 EV 정책 지원에 힘입어 점진적 수요 개선 기대
ESS: 신재생 에너지 확대, AI 수요 확대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등으로 SBB 및 UPS 판매 호조 지속.
소형전지: 전동공구, 마이크로 모빌리티용 배터리의 본격적인 수요 회복은 하반기, 2분기부터 고객 재고 수준 감소, 신규 애플맄이션 매출 확대로 전분기 대비 적자 축소 전망
Q) 사업부별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영향
A) 전기차 배터리 경우, 미국 현지 생산 중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이나, 다수의 배터리 소재 및 부품이 역외에서 수입되고 있어 부담 증가될 것.
또한 멕시코 및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부과된 관세로 자동차 가격 상승 및 수요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있음.
ESS 배터리는 미국 외에서 생산하여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부정적인 영향 있을 것.
Q) 유럽 Action Plan 등 정책 변화 영향
A) 유럽의 역내 산업 보호를 위한 배터리 생산 인센티브 도입 검토, 독일의 전기차 구매 세제 혜택 확대 및 인프라 확충 지원 정책 등에 힘입어 전기차 수요 회복 기대.
당사는 유럽 매출 비중이 높아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 줄 것으로 기대되며, 라인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우호적 정책 효과 누릴 예정.
Q) 스텔란티스 북미 J/V 판매 계획 변동 여부
A) 고객사의 멕시코 및 캐나다 공장 가동 일시 중단으로 당분간 수요 변동성 클 것, 이에 올해 판매 전망을 재조정 중, 현재 공급 중인 기존 모델 외 추가 모델 향으로 판매를 확대하여 가동률 향상시킬 것.
Q) 올해 및 향후 Capex 집행 계획
A) 생산거점 확대 및 케미스트리 폼펙터 다변화, 미래 기술 확보 위해 LFP배터리, 46파이 및 전고체 배터리 등 부분에 투자 진행 중. 최근 유상증자를 통해 선제적으로 자본 확충하여 안정적으로 투자 집행 예정.
Q) 헝가리 공장 추가 증설 배경
A) 현재 주력제품인 각형 배터리 뿐만 아니라 LFP 배터리, 46파이 등 신규 제품 양산 라인 확충에 중점을 두고 증설 중. 현재이 수요보다 향후 2~3년 후의 중장기적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증설 결정.
또한 기존 라인 및 설비 전환으로 신규 라인 증설 비용 감축 등 투자 효율 개선 노력도 병행 중.
Q) 원형배터리 적용처 확대 방향
A) 원형배터리의 대표적인 신규 응용처는 BBU, HEV, 로봇 영역. BBU용은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라 원형 배터리에 대한 수요 지속 확대 전망.
HEV용은 현재 다수의 고객사와 원형배터리 공급 논의 중으로 올해 상반기 내 유의미한 성과 도출할 것.
로봇용은 현대차 MOU 외 추가적인 파트너십 확대할 것.
Q) 올해 ESS 실적 전망
A) 올해 포함하여 단기적으로 미국 시장 중심으로 수요 증가 기대, 현재 올해 계획된 ESS 배터리 캐파의 90% 수주 확보, 작년 대비 20% 이상의 캐파 증가 및 20% 이상의 매출 성장률 달성 전망
Q) 전자재료 매출 전망
A) 반도체 및 OLED 제품 위주로 매출 성장 동력 확보 중.
반도체 소재 중 패터닝 소재 및 연마제 소재 중심으로 매출 확대 추진.
OLED 소재는 태블릿 모니터 등 IT 디바이스의 채용 확대에 따라 국내외 주요 고객사 OLED 라인 투자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 기대. 또한 OLED 증착제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할 예정.
Q) 전고체 양산 현황
A) 27년 양산 목표 달성 위해 셀 용량 확대, 제품 공정 안정화, 소재 공급망 수립 등 추진 중. 국내 마더라인 올해 일부 투자 진행 예정.
전기차 외에 로봇 UAM 등 시장에서도 적용 가능 할 것으로 기대.
t.me/cjdbj
실적 Review
1) 재무 현황
- 1Q25 매출액 3조 1,768억원(-15.4% QoQ, -34.0% YoY), 영업이익-4,341억원(적자지속 QoQ, 적자전환 YoY)
2) 사업별 실적
[배터리]
- 매출액 2조 9,809억원(-16.4% QoQ, -34.9% YoY), 영업이익 -4,524억원(적자지속)
- 전기차 및 전동공구 고객 재고조정 영향과 ESS 계절적 비수기 요인으로 매출 감소
- 가동률 하락 및 고정비 증가 부담으로 수익성 악화
[전자재료]
- 매출액 1,959억원(-3.1% QoQ, -16.4% YoY), 영업이익 183억원(+57.8% QoQ, -47.1% YoY)
- OLED 소재 중심 수요 개선
■ 2분기 시장 전망 및 전략
[EV]
- 전망: OEM들의 재고조정 마무리, CO2 규제 및 전기차 지원 정책으로 유럽 중심 수요 회복 기대, 관세 등 정책 불확실성으로 수요 변동 리스크 지속
- 전략: 유럽 및 미주 고객향 하이니켈·LFP·46파이 신규 수주 확보,HEV 원형 배터리 진입
[ESS]
- 전망: 전력용·UPS용 수요 성장 지속,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라 BBU 고성장 전망
- 전략: 비중국산 고출력 제품으로 전동공구용 및 BBU용 판매 확대, IT용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First-in 확보
[전자재료]
- 전망: AI용 고부가 제품 수요 증가로 주요 고객 웨이퍼 투입량 증가 전망, 하반기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준비에 따른 패널 생산 확대 전망
- 전략: 반도체 패터닝 소재, 폴더블 OLED 소재 등 고부가 제품 중심 판매 확대 및 신제품 진입
Q&A
Q) 사업부별 2분기 실적 전망
A) 2분기 실적은 1분기 대비 대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
전기차: 미주 관세 영향 수요 변동성 큼, 유럽은 EV 정책 지원에 힘입어 점진적 수요 개선 기대
ESS: 신재생 에너지 확대, AI 수요 확대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등으로 SBB 및 UPS 판매 호조 지속.
소형전지: 전동공구, 마이크로 모빌리티용 배터리의 본격적인 수요 회복은 하반기, 2분기부터 고객 재고 수준 감소, 신규 애플맄이션 매출 확대로 전분기 대비 적자 축소 전망
Q) 사업부별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영향
A) 전기차 배터리 경우, 미국 현지 생산 중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이나, 다수의 배터리 소재 및 부품이 역외에서 수입되고 있어 부담 증가될 것.
또한 멕시코 및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차량에 부과된 관세로 자동차 가격 상승 및 수요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있음.
ESS 배터리는 미국 외에서 생산하여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부정적인 영향 있을 것.
Q) 유럽 Action Plan 등 정책 변화 영향
A) 유럽의 역내 산업 보호를 위한 배터리 생산 인센티브 도입 검토, 독일의 전기차 구매 세제 혜택 확대 및 인프라 확충 지원 정책 등에 힘입어 전기차 수요 회복 기대.
당사는 유럽 매출 비중이 높아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 줄 것으로 기대되며, 라인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우호적 정책 효과 누릴 예정.
Q) 스텔란티스 북미 J/V 판매 계획 변동 여부
A) 고객사의 멕시코 및 캐나다 공장 가동 일시 중단으로 당분간 수요 변동성 클 것, 이에 올해 판매 전망을 재조정 중, 현재 공급 중인 기존 모델 외 추가 모델 향으로 판매를 확대하여 가동률 향상시킬 것.
Q) 올해 및 향후 Capex 집행 계획
A) 생산거점 확대 및 케미스트리 폼펙터 다변화, 미래 기술 확보 위해 LFP배터리, 46파이 및 전고체 배터리 등 부분에 투자 진행 중. 최근 유상증자를 통해 선제적으로 자본 확충하여 안정적으로 투자 집행 예정.
Q) 헝가리 공장 추가 증설 배경
A) 현재 주력제품인 각형 배터리 뿐만 아니라 LFP 배터리, 46파이 등 신규 제품 양산 라인 확충에 중점을 두고 증설 중. 현재이 수요보다 향후 2~3년 후의 중장기적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증설 결정.
또한 기존 라인 및 설비 전환으로 신규 라인 증설 비용 감축 등 투자 효율 개선 노력도 병행 중.
Q) 원형배터리 적용처 확대 방향
A) 원형배터리의 대표적인 신규 응용처는 BBU, HEV, 로봇 영역. BBU용은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라 원형 배터리에 대한 수요 지속 확대 전망.
HEV용은 현재 다수의 고객사와 원형배터리 공급 논의 중으로 올해 상반기 내 유의미한 성과 도출할 것.
로봇용은 현대차 MOU 외 추가적인 파트너십 확대할 것.
Q) 올해 ESS 실적 전망
A) 올해 포함하여 단기적으로 미국 시장 중심으로 수요 증가 기대, 현재 올해 계획된 ESS 배터리 캐파의 90% 수주 확보, 작년 대비 20% 이상의 캐파 증가 및 20% 이상의 매출 성장률 달성 전망
Q) 전자재료 매출 전망
A) 반도체 및 OLED 제품 위주로 매출 성장 동력 확보 중.
반도체 소재 중 패터닝 소재 및 연마제 소재 중심으로 매출 확대 추진.
OLED 소재는 태블릿 모니터 등 IT 디바이스의 채용 확대에 따라 국내외 주요 고객사 OLED 라인 투자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 성장 기대. 또한 OLED 증착제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할 예정.
Q) 전고체 양산 현황
A) 27년 양산 목표 달성 위해 셀 용량 확대, 제품 공정 안정화, 소재 공급망 수립 등 추진 중. 국내 마더라인 올해 일부 투자 진행 예정.
전기차 외에 로봇 UAM 등 시장에서도 적용 가능 할 것으로 기대.
30.04.202504:38
2025.04.30 13:37:15
기업명: 에코프로머티(시가총액: 3조 8,077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361억(예상치 : 1,407억/ -3%)
영업익 : -148억(예상치 : -239억/ +38%)
순이익 : -73억(예상치 : -181억+/ 6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361억/ -148억/ -73억
2024.4Q 881억/ -95억/ -56억
2024.3Q 659억/ -385억/ -277억
2024.2Q 667억/ -37억/ -8억
2024.1Q 792억/ -130억/ -8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37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50080
기업명: 에코프로머티(시가총액: 3조 8,077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361억(예상치 : 1,407억/ -3%)
영업익 : -148억(예상치 : -239억/ +38%)
순이익 : -73억(예상치 : -181억+/ 60%)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361억/ -148억/ -73억
2024.4Q 881억/ -95억/ -56억
2024.3Q 659억/ -385억/ -277억
2024.2Q 667억/ -37억/ -8억
2024.1Q 792억/ -130억/ -8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373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450080
30.04.202500:33
29.04.202500:33
2025.04.29 09:30:10
기업명: 에코프로비엠(시가총액: 10조 54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298억(예상치 : 5,729억+/ 10%)
영업익 : 23억(예상치 : -1억/ +2400%)
순이익 : -(예상치 : -152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6,298억/ 23억/ -
2024.4Q 4,649억/ -35억/ -110억
2024.3Q 5,219억/ -412억/ -495억
2024.2Q 8,095억/ 39억/ 69억
2024.1Q 9,705억/ 67억/ -4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1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47540
기업명: 에코프로비엠(시가총액: 10조 540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6,298억(예상치 : 5,729억+/ 10%)
영업익 : 23억(예상치 : -1억/ +2400%)
순이익 : -(예상치 : -152억)
**최근 실적 추이**
2025.1Q 6,298억/ 23억/ -
2024.4Q 4,649억/ -35억/ -110억
2024.3Q 5,219억/ -412억/ -495억
2024.2Q 8,095억/ 39억/ 69억
2024.1Q 9,705억/ 67억/ -49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11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247540
25.04.202505:03
2025.04.25 14:03:03
기업명: 코스모신소재(시가총액: 1조 3,411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139억(예상치 : 1,297억/ -12%)
영업익 : 10억(예상치 : 39억/ -74%)
순이익 : 1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139억/ 10억/ 19억
2024.4Q 1,429억/ 63억/ 11억
2024.3Q 1,193억/ 65억/ 76억
2024.2Q 1,854억/ 69억/ 43억
2024.1Q 1,221억/ 53억/ 4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80030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070
기업명: 코스모신소재(시가총액: 1조 3,411억)
보고서명: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139억(예상치 : 1,297억/ -12%)
영업익 : 10억(예상치 : 39억/ -74%)
순이익 : 19억(예상치 : -)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139억/ 10억/ 19억
2024.4Q 1,429억/ 63억/ 11억
2024.3Q 1,193억/ 65억/ 76억
2024.2Q 1,854억/ 69억/ 43억
2024.1Q 1,221억/ 53억/ 46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800305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5070
30.04.202504:25
29.04.202506:20
[미래에셋 김철중] 더블유씨피 1Q25 실적 컨콜 요약
실적 Review
- 매출액 163.1억원(-7.2% QoQ, -86.7% YoY), 영업이익 -304.3억원(+43.6 QoQ, 적자전환 YoY)
실적 분석
- 매출: Non-EV 및 EV 제품 공급 FCST 대비 감소
- 영업이익: 원가 절감 활동에 따른 비용 감소, 신규 고객 유치 활동으로 재료비 및 개발비 등 증가
2분기 전망
- 매출: 주요 고객 미국향 공급 증가로 매출 성장 기대
- 영업이익: 다양한 폼펙터용 제품 검증 및 셀 평가 지속
글로벌 사업장 운영
- 헝가리 공장: 신공법 2개 라인 설치 완료, 추가 2개 라인 진행 예정
- 북미 진출: 현지 진출 발표는 추가적 검토 후 발표 예정
2026~2030년 전망
- 매출: 다양한 고객 유치를 통한 단일 구조 탈ㅊ피
Q&A
Q) 신규 7, 8라인 가동률 업데이트
A)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한 제품 샘플 테스트 진행 중,
Q) 신규 수주 관련
A) 이르면 올해 4분기부터 신규 수주 발표 가능할 것, 현재 4개의 국내외 업체와 다양한 국가로의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며, 이중 북미 셀 업체와 승인 단계 중.
Q) 미국향 보편관세 10% 영향
A) 단기적으로 공급 계약상 구매 부담으로 이어지고, 공급 단가 압박 가중 전망. 중장기적으로 가격 경쟁력, 원가 구조, 고객 다변화로 대응이 필수적.
Q) 수익 개선 시기
A) 올해 연말부터 내년 초에 개선 가능 전망.
Q) 북미 진출 계획
A) 트럼프 행정부의 IRA 법안 확정 이후 결정할 것. 기본적으로 ‘선수주 후투자’ 기조 유지할 것. 북미는 코팅 라인만 진출할 예정이며 기존 원단 라인 대비 1/3 수준 규모로 진행할 예정.
Q) 올해 자금조달 및 북미 투자 계획
A) 지속적으로 차입을 통해 자금 조달 진행 예정, 국내외 PE 펀드 및 현지정부의 투자 프로그램으로 자금 충족 예정.
Q) 전환사채 발행 및 유상증자 계획
A) 검토하고 있지 않음
Q) 헝가리 연간 생산능력 및 양산 시기
A) 헝가리 공장의 캐파 12.4억 제곱미터, 신규 4개 라인 중 2개 라인 설치 완료. 26년 하반기부터 27년 상반기 중 양산 가능할 것. 현재 헝가리 라인은 90% 이상 투자 완료
Q) 신규 라인 신공법 적용 여부
A) 올해 4분기부터 신공법을 적용하여 매출 인식 예정
원단 생산 공법은 제조 원가 30~40% 절감 가능, 물류비 30% 절감 가능
Q) 분리막 경쟁업체 동향
A) 아사히카세이의 캐나다 온타리오주 투자는 결정 되었으나 투자 시기 조정 중인 상태.
Q) 1분기 및 연간 가동률
A) 1분기 20%대 중반, 연간 전체 가동률은 50%.
Q) 감가상각비 EV 및 Non-EV 비중
A) 올해 감가상각비 600억 예상, 26년부터 주요 고객 비중 분기 단위로 점진적 하락 예상.
Q) 46파이 공급 시점
A) 기존 고객사 포함 총 4개사와 검토 중. 파우치 중심으로 공급해온 국내 고객사에서도 46파이를 적극적으로 검토 중. 추가적으로 올해 4분기에 기대되는 신규 수주가 46파이가 될 것으로 예상.
Q) 자동차 OEM 논의 상황
A) 국내외 OEM사들과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3~6년 후 유의미한 결과 도출 가능할 것
Q) 이온교환막 지지체 관련 수주
A) P사와 26년까지 독점 공급 계약 체결하였고 이 외에 유럽 1개사와 양산 검토 계획 중, 일본 1개사와도 협업 검토 중.
Q) 차세대 전지 분리막 개발 현황
A) 나트륨전지용 분리막 개발 중, 유럽 고객사와 3차 샘플 테스트 중, 내년부터 나트륨전지가 시장에 빠르게 도입될 것으로 전망.
실적 Review
- 매출액 163.1억원(-7.2% QoQ, -86.7% YoY), 영업이익 -304.3억원(+43.6 QoQ, 적자전환 YoY)
실적 분석
- 매출: Non-EV 및 EV 제품 공급 FCST 대비 감소
- 영업이익: 원가 절감 활동에 따른 비용 감소, 신규 고객 유치 활동으로 재료비 및 개발비 등 증가
2분기 전망
- 매출: 주요 고객 미국향 공급 증가로 매출 성장 기대
- 영업이익: 다양한 폼펙터용 제품 검증 및 셀 평가 지속
글로벌 사업장 운영
- 헝가리 공장: 신공법 2개 라인 설치 완료, 추가 2개 라인 진행 예정
- 북미 진출: 현지 진출 발표는 추가적 검토 후 발표 예정
2026~2030년 전망
- 매출: 다양한 고객 유치를 통한 단일 구조 탈ㅊ피
Q&A
Q) 신규 7, 8라인 가동률 업데이트
A) 신규 고객 유치를 위한 제품 샘플 테스트 진행 중,
Q) 신규 수주 관련
A) 이르면 올해 4분기부터 신규 수주 발표 가능할 것, 현재 4개의 국내외 업체와 다양한 국가로의 공급 계약을 논의 중이며, 이중 북미 셀 업체와 승인 단계 중.
Q) 미국향 보편관세 10% 영향
A) 단기적으로 공급 계약상 구매 부담으로 이어지고, 공급 단가 압박 가중 전망. 중장기적으로 가격 경쟁력, 원가 구조, 고객 다변화로 대응이 필수적.
Q) 수익 개선 시기
A) 올해 연말부터 내년 초에 개선 가능 전망.
Q) 북미 진출 계획
A) 트럼프 행정부의 IRA 법안 확정 이후 결정할 것. 기본적으로 ‘선수주 후투자’ 기조 유지할 것. 북미는 코팅 라인만 진출할 예정이며 기존 원단 라인 대비 1/3 수준 규모로 진행할 예정.
Q) 올해 자금조달 및 북미 투자 계획
A) 지속적으로 차입을 통해 자금 조달 진행 예정, 국내외 PE 펀드 및 현지정부의 투자 프로그램으로 자금 충족 예정.
Q) 전환사채 발행 및 유상증자 계획
A) 검토하고 있지 않음
Q) 헝가리 연간 생산능력 및 양산 시기
A) 헝가리 공장의 캐파 12.4억 제곱미터, 신규 4개 라인 중 2개 라인 설치 완료. 26년 하반기부터 27년 상반기 중 양산 가능할 것. 현재 헝가리 라인은 90% 이상 투자 완료
Q) 신규 라인 신공법 적용 여부
A) 올해 4분기부터 신공법을 적용하여 매출 인식 예정
원단 생산 공법은 제조 원가 30~40% 절감 가능, 물류비 30% 절감 가능
Q) 분리막 경쟁업체 동향
A) 아사히카세이의 캐나다 온타리오주 투자는 결정 되었으나 투자 시기 조정 중인 상태.
Q) 1분기 및 연간 가동률
A) 1분기 20%대 중반, 연간 전체 가동률은 50%.
Q) 감가상각비 EV 및 Non-EV 비중
A) 올해 감가상각비 600억 예상, 26년부터 주요 고객 비중 분기 단위로 점진적 하락 예상.
Q) 46파이 공급 시점
A) 기존 고객사 포함 총 4개사와 검토 중. 파우치 중심으로 공급해온 국내 고객사에서도 46파이를 적극적으로 검토 중. 추가적으로 올해 4분기에 기대되는 신규 수주가 46파이가 될 것으로 예상.
Q) 자동차 OEM 논의 상황
A) 국내외 OEM사들과 논의 중에 있으며, 향후 3~6년 후 유의미한 결과 도출 가능할 것
Q) 이온교환막 지지체 관련 수주
A) P사와 26년까지 독점 공급 계약 체결하였고 이 외에 유럽 1개사와 양산 검토 계획 중, 일본 1개사와도 협업 검토 중.
Q) 차세대 전지 분리막 개발 현황
A) 나트륨전지용 분리막 개발 중, 유럽 고객사와 3차 샘플 테스트 중, 내년부터 나트륨전지가 시장에 빠르게 도입될 것으로 전망.
29.04.202503:21
2025.04.29 12:13:32
기업명: 더블유씨피(시가총액: 3,42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63억(예상치 : 215억/ -24%)
영업익 : -304억(예상치 : -434억/ +30%)
순이익 : -313억(예상치 : -388억+/ 1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63억/ -304억/ -313억
2024.4Q 176억/ -540억/ -580억
2024.3Q 655억/ -194억/ -210억
2024.2Q 1,166억/ 18억/ 34억
2024.1Q 1,224억/ 6억/ 3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26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93890
기업명: 더블유씨피(시가총액: 3,42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163억(예상치 : 215억/ -24%)
영업익 : -304억(예상치 : -434억/ +30%)
순이익 : -313억(예상치 : -388억+/ 1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163억/ -304억/ -313억
2024.4Q 176억/ -540억/ -580억
2024.3Q 655억/ -194억/ -210억
2024.2Q 1,166억/ 18억/ 34억
2024.1Q 1,224억/ 6억/ 34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9900264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93890
28.04.202523:52
[미래에셋 김철중]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4월 29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출시) 삼성SDI, '인터배터리 유럽 2025'서 고성능 ESS 배터리 공개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5'에 참가해 UPS용 신제품 배터리 'U8A1'과 고안전성 ESS 배터리 솔루션 'SBB 1.5'를 공개할 예정. 동사는 고출력 UPS 배터리(U8A1)와 열전파 차단 기술(No-TP)로 '더 스마터 E 어워드' 최종 후보에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림.
[4월 28일/연합뉴스]
https://han.gl/9Mz0h
(무역) 우크라이나, "과거 미국 지원금은 광물 협정에 포함되지 않아"
우크라이나 정부는 미국과 최근 체결한 광물 공급망 강화 협정에 과거 미국의 재정 지원금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함.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이번 협정이 새롭고 추가적인 투자 및 파트너십 기회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미국의 과거 원조와는 별개라고 밝힘. 이 협정은 리튬, 티타늄,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개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체결된 것임.
[4월 28일/Reuters]
https://han.gl/ZRwFT
■ EV
(정책) 美 하원 공화당, 대규모 예산조정법안 공개 예정
미국 하원 공화당은 4.5조 달러 규모의 예산조정법안(reconciliation bill) 초안을 이번 주부터 공개하고, 5월 말까지 최종 통과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힘. 법안에는 전기차·하이브리드 차량 추가 요금 부과 등이 포함될 예정이며,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폐지 등 환경 규제 완화 조항도 담길 예정. 공화당은 예산조정 절차를 통해 민주당의 필리버스터를 우회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4월 28일/E&E News]
https://han.gl/zRW8L
(기업) Slate, 2.5만 달러 전기차로 미국 모빌리티 변화 예고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지원하는 전기차 스타트업 Slate는 기본 가격 2만5,000달러(세제 혜택 후 약 2만 달러)의 소형 픽업·SUV를 공개함. 고급형 대신 최소한의 사양과 150마일(241km) 주행거리로 가격을 낮추고, 100개 이상의 옵션을 통해 맞춤형 구성을 지원하는 전략을 채택. Slate는 기존 고가 전기차 위주 시장에 변화를 일으킬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4월 28일/WardsAuto]
https://han.gl/mxC2y
(생산) 테슬라, 네바다주 세미 공장 25년 말 첫 생산 예정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세미트럭 전용 공장에서 2025년 말까지 첫 번째 전기 트럭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힘. 테슬라는 이 공장이 연간 약 5만 대의 세미트럭 생산 능력을 갖출 것이라고 설명했으며, 현재 부지 정비 및 기반 공사가 진행 중이라고 언급. 이번 네바다 공장은 테슬라가 트럭 시장 전동화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신호탄으로 해석됨.
[4월 28일/Reuters]
https://han.gl/miBbJ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4월 29일, 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출시) 삼성SDI, '인터배터리 유럽 2025'서 고성능 ESS 배터리 공개
삼성SDI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5'에 참가해 UPS용 신제품 배터리 'U8A1'과 고안전성 ESS 배터리 솔루션 'SBB 1.5'를 공개할 예정. 동사는 고출력 UPS 배터리(U8A1)와 열전파 차단 기술(No-TP)로 '더 스마터 E 어워드' 최종 후보에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림.
[4월 28일/연합뉴스]
https://han.gl/9Mz0h
(무역) 우크라이나, "과거 미국 지원금은 광물 협정에 포함되지 않아"
우크라이나 정부는 미국과 최근 체결한 광물 공급망 강화 협정에 과거 미국의 재정 지원금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설명함. 우크라이나 에너지부는 이번 협정이 새롭고 추가적인 투자 및 파트너십 기회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미국의 과거 원조와는 별개라고 밝힘. 이 협정은 리튬, 티타늄, 희토류 등 핵심 광물 개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체결된 것임.
[4월 28일/Reuters]
https://han.gl/ZRwFT
■ EV
(정책) 美 하원 공화당, 대규모 예산조정법안 공개 예정
미국 하원 공화당은 4.5조 달러 규모의 예산조정법안(reconciliation bill) 초안을 이번 주부터 공개하고, 5월 말까지 최종 통과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힘. 법안에는 전기차·하이브리드 차량 추가 요금 부과 등이 포함될 예정이며,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폐지 등 환경 규제 완화 조항도 담길 예정. 공화당은 예산조정 절차를 통해 민주당의 필리버스터를 우회해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4월 28일/E&E News]
https://han.gl/zRW8L
(기업) Slate, 2.5만 달러 전기차로 미국 모빌리티 변화 예고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지원하는 전기차 스타트업 Slate는 기본 가격 2만5,000달러(세제 혜택 후 약 2만 달러)의 소형 픽업·SUV를 공개함. 고급형 대신 최소한의 사양과 150마일(241km) 주행거리로 가격을 낮추고, 100개 이상의 옵션을 통해 맞춤형 구성을 지원하는 전략을 채택. Slate는 기존 고가 전기차 위주 시장에 변화를 일으킬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음.
[4월 28일/WardsAuto]
https://han.gl/mxC2y
(생산) 테슬라, 네바다주 세미 공장 25년 말 첫 생산 예정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건설 중인 세미트럭 전용 공장에서 2025년 말까지 첫 번째 전기 트럭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힘. 테슬라는 이 공장이 연간 약 5만 대의 세미트럭 생산 능력을 갖출 것이라고 설명했으며, 현재 부지 정비 및 기반 공사가 진행 중이라고 언급. 이번 네바다 공장은 테슬라가 트럭 시장 전동화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신호탄으로 해석됨.
[4월 28일/Reuters]
https://han.gl/miBbJ
25.04.202504:36
30.04.202504:21
2025.04.30 13:11:11
기업명: SK아이이테크놀로지(시가총액: 1조 6,07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82억(예상치 : 640억/ -9%)
영업익 : -696억(예상치 : -609억/ -14%)
순이익 : -216억(예상치 : -527억+/ 5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82억/ -696억/ -216억
2024.4Q 593억/ -919억/ -1,001억
2024.3Q 508억/ -730억/ -361억
2024.2Q 617억/ -587억/ -480억
2024.1Q 462억/ -674억/ -62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31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61610
기업명: SK아이이테크놀로지(시가총액: 1조 6,078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582억(예상치 : 640억/ -9%)
영업익 : -696억(예상치 : -609억/ -14%)
순이익 : -216억(예상치 : -527억+/ 59%)
**최근 실적 추이**
2025.1Q 582억/ -696억/ -216억
2024.4Q 593억/ -919억/ -1,001억
2024.3Q 508억/ -730억/ -361억
2024.2Q 617억/ -587억/ -480억
2024.1Q 462억/ -674억/ -625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30800317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361610
29.04.202504:54
29.04.202502:40
[미래에셋 김철중] 에코프로비엠 1Q25 실적 컨콜 요약
t.me/cjdbj
실적 Review
- 1Q25 매출액 6,297.9억원(+35% QoQ, -35% YoY), 영업이익 22.7억원(흑자전환 QoQ, -66% YoY)
- 1Q 분석: 주요 고객사 재고소진에 따른 EV, PT 양극재 판매량 증가
- 2Q 전망: 주요 고객사 재고 Rebuild 및 주요 OEM의 신차효과로 매출증가 및 이익개선 추세 지속 전망
품목별 판매현황
- EV 5,030억원 (+76% QoQ), PT 794억원(+13% QoQ), ESS 402억원(-61% QoQ)
품목별 시장현황
- EV: 고객사 재고확충효과, 신차 모멘텀 및 유럽시장 회복 흐름
- PT: 교체수요 및 가격 메리트 부각에 따른 고객사 생산 확대 흐름
- ESS: 1Q 계절적 비수기 영향, AI 등 수요증가에 따른 물량증가 추세
Q&A
Q) 2분기 및 연간 실적 가이던스
A) 전방 고객사 신차 출시 효과 및 판매 물량 확대에 따른 견조한 실적 흐름 지속 전망
Q) 미국 정책 변화 대응 방안
A) 미국 고객사 비중 보다 유럽이 높아, 미국 관세 영향은 단기적으로 제한적.
Q) 코스피 이전 상장 스케줄 업데이트
A) 올해 흑자 기조 유지를 통한 이전상장 재추진 예정.
Q) 전방 고객사 신규 수주 관련 진행 현황
A) 주요 고객사와 전략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협의 진행 중, 일부 프로젝트는 세밀한 공급 논의 진행 중. 또한 메이저 OEM사와도 복수의 공급 계약 논의 중.
Q) 헝가리 공장 가동 시기
A) 헝가리 공장은 총 3개 라인/ 캐파5.4만톤, 현재 건축물 사용 승인을 위한 절차 및 설비 시운전 준비 중. 올해 중 고객사에 샘플 제출 후 내년 1개 라인 상업 생산 예정.
Q) 유럽 수요 전망
A) 유럽 금리 인하 등으로 올해 전기차 시장 전년 대비 15% 성장 전망, 26년 이후 전기차 시장 활성화 전망, 향후 CO2 탄소 규제, 소비자 지원 정책 등으로 수요 증가 전망.
Q) 오창 LFP 파일럿 라인 진행 상황
A) 현재 전구체 사용방법 및 무전구체 합성 방법 동시 개발 중. 현재 중국 LFP 양극재 대비 우세 성능 달성, 특히 무전구체 합성 방법은 완전한 탈중국화 실현함.
현재 LFP 양극재 캐파 연간 3천톤 수준 구축 완료, 하반기 연간 5천톤까지 증량 예정이며 국내 LFP 라인 중 최대 규모.
현재 원가 경쟁력 확보를 최우선으로 진행.
Q) 손익 개선 전략
A) 4Q24부터 내부 체질 개선을 위한 원가 혁신 활동 진행 중. 향후에도 지속적인 원가 혁신 진행 예정.
Q) 시장 규제 정책 대응 방안
A) 미주 시장 대응 관련, 전기차 보조금 폐지 및 AMPC는 유지 전망.이에 고객사별 요구에 맞춰 대응 계획, 즉 IRA 적합 요구 고객 및 Non-FEOC 적합 고객 등에 맞춰 원재료 입고 단계부터 완제품 포장단계까지 구분 관리 시스템 구축 중.
유럽 시장 대응 관련, TCA 규정에 따라 27년 이후 EU산 양극재 사용 필수적, 자사 헝가리 공장으로 유럽 시장 선제적 지위 확보 예정.
Q) 유럽 CO2 규제 정책 변화 전망
A) 일시적으로 CO2 배출 규제가 완화되었지만 전기차 전환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
Q) 미국 정책 변화에 따른 캐나다 투자 전략 변화 여부
A) 현재 기초공사 완료, 외벽 및 지붕 설치 작업 진행 중. 건물 외관공사 완료 후 투자 속도 조절 예정. 미국향 물량 대응을 위해 현재로서 29년 가동 목표.
Q) R&D 비용 자산화 관련
A) R&D 자산화한 비용의 분기당 약 30억원 내외, 작년 1분기 대비 판관비는 물가 상승 및 해외 법인 준비 등으로 증가함.
Q) 유럽 시장 공급 전략
A) 유럽 고객사 즉납 관련, 국내 셀 업체들과 협의가 필요한 사항. 중국 CATL 등 기타 셀 업체들과도 최근 공급 관련 협의 추진 중.
t.me/cjdbj
실적 Review
- 1Q25 매출액 6,297.9억원(+35% QoQ, -35% YoY), 영업이익 22.7억원(흑자전환 QoQ, -66% YoY)
- 1Q 분석: 주요 고객사 재고소진에 따른 EV, PT 양극재 판매량 증가
- 2Q 전망: 주요 고객사 재고 Rebuild 및 주요 OEM의 신차효과로 매출증가 및 이익개선 추세 지속 전망
품목별 판매현황
- EV 5,030억원 (+76% QoQ), PT 794억원(+13% QoQ), ESS 402억원(-61% QoQ)
품목별 시장현황
- EV: 고객사 재고확충효과, 신차 모멘텀 및 유럽시장 회복 흐름
- PT: 교체수요 및 가격 메리트 부각에 따른 고객사 생산 확대 흐름
- ESS: 1Q 계절적 비수기 영향, AI 등 수요증가에 따른 물량증가 추세
Q&A
Q) 2분기 및 연간 실적 가이던스
A) 전방 고객사 신차 출시 효과 및 판매 물량 확대에 따른 견조한 실적 흐름 지속 전망
Q) 미국 정책 변화 대응 방안
A) 미국 고객사 비중 보다 유럽이 높아, 미국 관세 영향은 단기적으로 제한적.
Q) 코스피 이전 상장 스케줄 업데이트
A) 올해 흑자 기조 유지를 통한 이전상장 재추진 예정.
Q) 전방 고객사 신규 수주 관련 진행 현황
A) 주요 고객사와 전략적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협의 진행 중, 일부 프로젝트는 세밀한 공급 논의 진행 중. 또한 메이저 OEM사와도 복수의 공급 계약 논의 중.
Q) 헝가리 공장 가동 시기
A) 헝가리 공장은 총 3개 라인/ 캐파5.4만톤, 현재 건축물 사용 승인을 위한 절차 및 설비 시운전 준비 중. 올해 중 고객사에 샘플 제출 후 내년 1개 라인 상업 생산 예정.
Q) 유럽 수요 전망
A) 유럽 금리 인하 등으로 올해 전기차 시장 전년 대비 15% 성장 전망, 26년 이후 전기차 시장 활성화 전망, 향후 CO2 탄소 규제, 소비자 지원 정책 등으로 수요 증가 전망.
Q) 오창 LFP 파일럿 라인 진행 상황
A) 현재 전구체 사용방법 및 무전구체 합성 방법 동시 개발 중. 현재 중국 LFP 양극재 대비 우세 성능 달성, 특히 무전구체 합성 방법은 완전한 탈중국화 실현함.
현재 LFP 양극재 캐파 연간 3천톤 수준 구축 완료, 하반기 연간 5천톤까지 증량 예정이며 국내 LFP 라인 중 최대 규모.
현재 원가 경쟁력 확보를 최우선으로 진행.
Q) 손익 개선 전략
A) 4Q24부터 내부 체질 개선을 위한 원가 혁신 활동 진행 중. 향후에도 지속적인 원가 혁신 진행 예정.
Q) 시장 규제 정책 대응 방안
A) 미주 시장 대응 관련, 전기차 보조금 폐지 및 AMPC는 유지 전망.이에 고객사별 요구에 맞춰 대응 계획, 즉 IRA 적합 요구 고객 및 Non-FEOC 적합 고객 등에 맞춰 원재료 입고 단계부터 완제품 포장단계까지 구분 관리 시스템 구축 중.
유럽 시장 대응 관련, TCA 규정에 따라 27년 이후 EU산 양극재 사용 필수적, 자사 헝가리 공장으로 유럽 시장 선제적 지위 확보 예정.
Q) 유럽 CO2 규제 정책 변화 전망
A) 일시적으로 CO2 배출 규제가 완화되었지만 전기차 전환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
Q) 미국 정책 변화에 따른 캐나다 투자 전략 변화 여부
A) 현재 기초공사 완료, 외벽 및 지붕 설치 작업 진행 중. 건물 외관공사 완료 후 투자 속도 조절 예정. 미국향 물량 대응을 위해 현재로서 29년 가동 목표.
Q) R&D 비용 자산화 관련
A) R&D 자산화한 비용의 분기당 약 30억원 내외, 작년 1분기 대비 판관비는 물가 상승 및 해외 법인 준비 등으로 증가함.
Q) 유럽 시장 공급 전략
A) 유럽 고객사 즉납 관련, 국내 셀 업체들과 협의가 필요한 사항. 중국 CATL 등 기타 셀 업체들과도 최근 공급 관련 협의 추진 중.
28.04.202501:04
[미래에셋 김철중]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4월 28일, 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공급) 솔루스첨단소재, 해외 대형 배터리사와 전지박 공급 계약
솔루스첨단소재는 유럽에 거점을 둔 중화권 배터리 제조 대기업과 중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 A사는 스페인 등 유럽권역에 배터리 공급망 핵심 거점을 두고 사업을 확장 중인 글로벌 배터리 대기업으로,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 중. 국내에서 A사와 계약을 맺은 전지박 업체는 솔루스첨단소재가 유일함.
[4월 28일/이데일리]
https://han.gl/8r2fb
(공급) SK온, 美 전기차 스타트업에 30만대 배터리 공급
SK온은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슬레이트'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어 26년부터 31년까지 6년간 20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한다고 밝힘. 이는 준준형급 전기차 30만대에 탑재할 수 있는 규모로, 향후 상호 합의 하에 배터리 공급 물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
[4월 25일/뉴시스]
https://han.gl/zfGWo
■ EV
(출시) 테슬라, 中 모델 Y 신형 모델 'E80' 출시 전망
테슬라 차이나는 모델 Y 크로스오버의 저렴한 버전을 출시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 해당 모델은 내부적으로 'E80'으로 불리며, 일각에서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 'E80'은 기존 모델 Y와 외형적으로 상당 부분 다른 모습으로 출시될 것으로 알려짐.
[4월 27일/Teslarati]
https://han.gl/czjcC
(출시) 알파벳 웨이모, 로보택시 개인에게도 판매 전망
알파벳의 웨이모는 향후 개인에게도 로보택시를 판매하는 것으로 고려 중. 웨이모는 현재 미국에서 700대의 로보택시를 운영 중이며, 그중 300대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운영 중. 한편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웨이모의 가격의 20%밖에 안 된다고 밝힌 바 있으며, 올해 6월 출시 준비 중.
[4월 27일/Telsarati]
https://han.gl/l7fv1
(실적) BYD, 1Q25 순이익 전년 대비 100% 증가
BYD의 1분기 매출액은 1,703억 6,000만 위안(+36.4% YoY, -38% QoQ), 순이익은 91억 6,000만 위안(+100.4% YoY, -39% QoQ) 기록.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전 분기 대비 3.05%p 증가한 20.07% 기록. 동사는 최신 회계 기준을 적용하여 운영비를 상향 조정함.
[4월 25일/CNEVPOST]
https://han.gl/yOMgX
배터리/전기차 뉴스 업데이트
(4월 28일, 월요일)
■ 배터리 셀/소재/광물
(공급) 솔루스첨단소재, 해외 대형 배터리사와 전지박 공급 계약
솔루스첨단소재는 유럽에 거점을 둔 중화권 배터리 제조 대기업과 중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 A사는 스페인 등 유럽권역에 배터리 공급망 핵심 거점을 두고 사업을 확장 중인 글로벌 배터리 대기업으로, 주요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배터리를 공급 중. 국내에서 A사와 계약을 맺은 전지박 업체는 솔루스첨단소재가 유일함.
[4월 28일/이데일리]
https://han.gl/8r2fb
(공급) SK온, 美 전기차 스타트업에 30만대 배터리 공급
SK온은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슬레이트'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어 26년부터 31년까지 6년간 20GWh 규모의 배터리를 공급한다고 밝힘. 이는 준준형급 전기차 30만대에 탑재할 수 있는 규모로, 향후 상호 합의 하에 배터리 공급 물량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
[4월 25일/뉴시스]
https://han.gl/zfGWo
■ EV
(출시) 테슬라, 中 모델 Y 신형 모델 'E80' 출시 전망
테슬라 차이나는 모델 Y 크로스오버의 저렴한 버전을 출시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 해당 모델은 내부적으로 'E80'으로 불리며, 일각에서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 'E80'은 기존 모델 Y와 외형적으로 상당 부분 다른 모습으로 출시될 것으로 알려짐.
[4월 27일/Teslarati]
https://han.gl/czjcC
(출시) 알파벳 웨이모, 로보택시 개인에게도 판매 전망
알파벳의 웨이모는 향후 개인에게도 로보택시를 판매하는 것으로 고려 중. 웨이모는 현재 미국에서 700대의 로보택시를 운영 중이며, 그중 300대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운영 중. 한편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웨이모의 가격의 20%밖에 안 된다고 밝힌 바 있으며, 올해 6월 출시 준비 중.
[4월 27일/Telsarati]
https://han.gl/l7fv1
(실적) BYD, 1Q25 순이익 전년 대비 100% 증가
BYD의 1분기 매출액은 1,703억 6,000만 위안(+36.4% YoY, -38% QoQ), 순이익은 91억 6,000만 위안(+100.4% YoY, -39% QoQ) 기록. 1분기 매출총이익률은 전 분기 대비 3.05%p 증가한 20.07% 기록. 동사는 최신 회계 기준을 적용하여 운영비를 상향 조정함.
[4월 25일/CNEVPOST]
https://han.gl/yOMgX
25.04.202504:35
2025.04.25 13:25:11
기업명: 삼성SDI(시가총액: 12조 7,97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768억(예상치 : 28,301억+/ 12%)
영업익 : -4,341억(예상치 : -3,183억/ -36%)
순이익 : -2,205억(예상치 : -2,792억+/ 2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768억/ -4,341억/ -2,205억
2024.4Q 37,545억/ -2,567억/ -2,427억
2024.3Q 39,357억/ 1,299억/ 2,304억
2024.2Q 44,501억/ 2,802억/ 3,012억
2024.1Q 51,309억/ 2,674억/ 2,86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80025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6400
기업명: 삼성SDI(시가총액: 12조 7,971억)
보고서명: 연결재무제표기준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매출액 : 31,768억(예상치 : 28,301억+/ 12%)
영업익 : -4,341억(예상치 : -3,183억/ -36%)
순이익 : -2,205억(예상치 : -2,792억+/ 21%)
**최근 실적 추이**
2025.1Q 31,768억/ -4,341억/ -2,205억
2024.4Q 37,545억/ -2,567억/ -2,427억
2024.3Q 39,357억/ 1,299억/ 2,304억
2024.2Q 44,501억/ 2,802억/ 3,012억
2024.1Q 51,309억/ 2,674억/ 2,867억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50425800258
회사정보: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hn?code=006400
显示 1 - 24 共 633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