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Лёха в Short’ах Long’ует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avata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avatar
(사)바이오헬스케어협회
时间范围
浏览量

引用

帖子
隐藏转发
11.02.202522:36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2/12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Pfizer(PFE.US): 거세저항성 전립선암(CRPC) 치료에서 mevrometostat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가 ASCO 학회 웹사이트에 실수로 공개되었음. 1상 데이터에 따르면, 표준 호르몬 치료와 병용 시 질병 진행률을 절반으로 줄였으며, 사망 위험을 49% 감소시켰음.
https://han.gl/dVkJZ

▶ Pfizer, Alloy Therapeutics와 전략적 협력을 체결해 기존 기술로 접근이 어려운 표적을 위한 신규 항체 발굴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 화이자는 Alloy에 업프론트 및 마일스톤을 제공하며, Alloy는 자체 플랫폼인 ATX-Gx 및 ATX-CLC를 기반으로 협력을 확장할 계획.
https://han.gl/oEfft

Gilead(GILD.US): 4Q24 매출액 $7.6bn(+6% YoY) 및 Non-GAAP EPS $1.90 기록. HIV, 항암제, 간 질환 치료제의 매출 증가에 기인한 실적으로, Veklury 매출 감소가 일부 상쇄. 25년 연간 가이던스로 매출액 $28.2~28.6bn 및 Non-GAAP EPS $7.70~8.10 제시.
https://han.gl/aS0Jg

Novartis(NVS.US): 6년 전 분리했던 자산을 다시 확보하기 위해 Anthos Therapeutics를 업프론트 $925mn, 최대 $2.15bn 마일스톤 지급 조건으로 인수. 해당 자산인 abelacimab은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혈전 형성을 억제하도록 설계되었으며, 현재 임상3상 중.
https://han.gl/5sYOz

▶ SpringWorks Therapeutics, FDA로부터 신약 Gomekli를 신경섬유종증 1형(NF1)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발표. 이번 승인은 중기 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한 결정으로, 임상 결과 소아 환자의 52%, 성인 환자의 41%에서 종양 부피가 20% 이상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음.
https://han.gl/AZHO8

▶ Biohaven,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SCA) 치료제 troriluzole이 FDA 우선 심사를 받게 되었다 발표. SCA는 현재 승인된 치료제가 없는 희귀 유전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troriluzole은 3년 차에서 질환 진행 속도를 50~70% 늦췄음.
https://han.gl/8B0a6

<한국>
한미약품(128940.KS): '한미약품 경영권분쟁' 끝 보인다…형제측 이사 2명 사임
https://han.gl/NRWXU

▶ 지놈앤컴퍼니, 면역항암제 ‘GENA-104’ 글로벌 기술이전
https://han.gl/Kh5GB

▶ 강스템바이오텍 "아토피치료제 日허가 첫번째 문턱 넘었다"
https://han.gl/d2jPK

▶ HK이노엔 작년 영업익 882억원…"신약 호조로 33.8% 증가"
https://han.gl/Oha8v
11.02.202501:38
삼성서울병원과 경희대병원은 박준희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부 교수와 원장원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신형은 박사, 김미지 교수)이 노년 건강을 지키는 핵심으로 꼽히는 ‘근육적금’의 효과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한국노인노쇠코호트(Korean Frailty and Aging Cohort) 데이터를 활용해 70~84세 노인의 근육량 변화가 심혈관대사질환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최근 유럽 폐경 및 남성 갱년기 학회 공식 학술지인 ‘마투리타스(Maturitas)’에 게재됐습니다.

연구팀은 근감소증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근육적금을 쌓는 것이 중요하며, 남성은 근육량 증가에 집중하고, 여성은 유산소 운동과 병행해 근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습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3
10.02.202523:27
다국적 제약사가 보유한 매출 1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이들 중 상당수가 2025년부터 2028년 사이에 특허 만료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향후 수년간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및 제네릭(복제약)과의 시장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특허 만료를 앞둔 주요 품목으로는 노바티스(Novartis)의 심부전 치료제인 '엔트레스토(Entresto, 성분 사쿠비트릴·발사르탄)', 아스트라제네카(AZ)의 당뇨병 치료제인 '포시가(Farxiga, 성분 다파글리플로진)', 암젠(Amgen)의 골다공증 치료제인 '프롤리아(Prolia, 성분 데노수맙)' 등이 있습니다. 이들 3개 제품은 당장 올해부터 주요 특허가 만료될 예정입니다.

그밖에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와 화이자(Pfizer)의 항응고제인 '엘리퀴스(Eliquis, 성분 에픽사반)'의 특허 만료 시점은 2026년이고, 화이자의 경우 매출 2위 품목인 폐렴구균 백신인 '프리베나 제품군(Prevnar family)'도 2026년 특허가 만료됩니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특허 만료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약사들 특허 방어 전략으로 제형 변경과 적응증 확대
- 신약 개발·포트폴리오 확장, 바이오시밀러 직접 개발 나서기도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5
10.02.202522:41
★ 파마리서치(214450): 버스가 안 멈췄는데 내릴 필요가 있을까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4Q24 매출액은 1,026억(컨센서스 +9.4% 상회), 영업이익은 336억(컨센서스 부합)을 기록했습니다.

국내와 해외에서의 ‘리쥬란’ 트렌드가 꺾이지 않으며 각각 YoY +53.5%, +105.9%의 놀라운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24년 말 ‘리쥬란’ EU MDR 인증 획득을 통해 유럽 전역 출시 기반을 닦아두었고, 구체적인 진출 전략을 2Q25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현재 주가 수준에서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소비재 트렌드가 꺾이지 않았다는 점을 잊어선 안될 것입니다.

키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22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10.02.202522:01
데일리팜 모닝뉴스 02월 11일(화)
[Web발신]
[데일리팜 모닝뉴스 02월 11일(화)]

의원 진료과별 매출액을 지도로 검색하는 데일리팜맵-
대표님! 제약영업의 가이드맵을 영업본부와 꼭 공유하세요!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Event/dailyMap.html

1. 4~5년전 허가 받은 제네릭 왜 무더기로 사라졌나
http://m.dailypharm.com/News/320276

2. 트럼프 2.0, 한국 제약산업 수출 나아갈 방향은?
http://m.dailypharm.com/News/320223

3. 씨투스 제네릭 4품목 우판권 연장…시장 선점 유리
http://m.dailypharm.com/News/320281

4. 휴미라, 2년새 매출 60%↓...신약·시밀러 공세 속수무책
http://m.dailypharm.com/News/320278

5. '로비큐아', 약평위 조건 수용...다시 약가협상 간다
http://m.dailypharm.com/News/320277

6. 대웅제약, 4년 연속 실적 신기록...R&D 의약품 동반 선전
http://m.dailypharm.com/News/320274


※ 팜리쿠르트 바로가기
https://recruit.dailypharm.com/Mo/

※ 안드로이드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5lqs4b

※ 아이폰 어플 다운받기
https://url.kr/tjceud
11.02.202511:12
지놈앤컴퍼니, 영국 Ellipses에 CNTN4 타깃 항체 GENA-104 라이선스 아웃
 
Ellipses Pharma의 보도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50211036005/en/Ellipses-In-Licences-First-in-Class-Novel-Immuno-Oncology-Agent-With-Potential-as-a-Next-Generation-Checkpoint-Inhibitor
10.02.202522:56
화이자(Pfizer)의 항암제 부문에 대한 야망은 계속되며, 마침내 항암부문 책임자로 노바티스 출신의 제프리 레고스(Jeffrey Legos)가 영입됐습니다. 이같은 소식은 4분기 실적발표 바로 다음날인 나왔네요.

레고스 신임 COO는 보쇼프 CSO이자 연구개발 사장에게 직접 보고하게 되고, 종양학 연구개발을 이끌게 된다. 전임상 단계부터 후기 임상개발까지를 감독하게 된다.

화이자의 리더십은 계속해서 변화를 겪고 있고, 지난해 11월 화이자에서 15년동안 연구개발을 이끌었던 미카엘 돌스턴(Mikael Dolsten)이 은퇴했습니다. 항암제는 화이자에게 중요한 영역이고, 2년전 항암제의 키워드로 떠오른 ADC 대표주자 씨젠을 430억달러에 인수하는 베팅을 했기에 더욱 그렇습니다.

다만 여전히 어수선한 모습이며, 이번 4분기 실적발표에서만 B7-H4 ADC 중단과 함께 씨젠 인수로 확보한 에셋에서 잇따른 ADC 개발 차질을 공개했네요. 이번 발표자리에서도 에널리스트의 R&D 우선순위 및 변화, 전략, M&A 등에 대한 질문에 화이자는 여전히 속시원한 답을 하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249
10.02.202522:40
★ 대웅제약(069620): 아픈 손가락 확인 완료, 앞으로는 괜찮다

[키움 의료기기 / 신민수]

◆ 애널리스트 코멘트
4Q24 매출액 3,680억, 영업이익 388억으로 각각 동사 추정치에 부합, -9.1% 하회하는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미국 톡신 업체 투자 금액의 대부분을 영업외 손실로 처리하며 적자 전환하였으나, 향후 일회성 비용 이슈는 없을 전망입니다.

1H25 ‘펙수클루’ 저용량 제품 출시, ‘나보타’ 미국향 수출 성장 등에 힘입어 외형 성장과 마진 개선이 동시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나보타’와 ‘펙수클루’ 중국 업데이트, `26년 CAPA 증설 등의 포인트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키움 제약/바이오/의료기기 소식통 → https://t.me/huhpharm

★ 보고서 링크: https://bbn.kiwoom.com/rfCR11221

* 컴플라이언스 검필

* 본 정보는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에서 고객분들에게 발송하는 정보입니다.
트럼프,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부과 언급에도 불구하고 3대 지수 상승 마감(02/10/25)
https://www.vegastooza.com/post/02-10-25
11.02.202508:49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2024년 연결재무제표 기준 연간 매출 542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전년 251억원 대비 116% 증가한 수치네요.

4분기 매출은 20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로는 271.3% 증가, 직전분기 대비 19.5%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체의 88%인 478억원을 기록해, 전년 213억원 대비 124% 증가했습니다. 자회사로 편입된 볼파라헬스(Volpara Health) 인수를 통한 북미시장 진출과 암치료 분야 대표 제품인 ‘루닛 스코프(Lunit SCOPE)’의 빅파마 협업이 고성장을 이끌었습니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677억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매출액에 대비한 손실비율은 전년 1.7배에서 1.25배로 개선됐네요.

https://m.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24279
转发自:
히트뉴스
11.02.202501:52
[오늘의 HIT_2월 11일 화요일]
안녕하세요 히트뉴스 방혜림 기자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yo❤️‍🔥

🗣 SK 기대받은 AI기업 피닉스랩... "레퍼런스 검색 넘어 제약사 ERP도 겨냥"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63

🏢 '연구자 임상' 1년 새 36%나 감소… "의정갈등 전 회귀는 힘들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61

🏢 바이엘, 전문약은 종근당과 일반약은 유한양행과 손 잡아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55

💊 안티푸라민 파스 약국가 점령, 오로지 '손흥민' 덕분일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60

🖱 [HIT알공] 쓰리빌리언, 작년 매출 전년 대비 111.4% 증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56

👩‍💼 [경력채용] 대웅제약, 휴온스, 유영제약, 조아제약, 알테오젠, 인투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32

🍀 환자단체, 암질심 '키트루다' 급여확대건 통과 촉구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54

🍀 동아ST, 전년비 매출 5.9% 늘어난 6407억…영업익·당기순익 일부 감소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44

🍀 대웅제약, 2년 연속 '트리플 크라운'… 매출·영업익·이익률 '역대 최대'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48

🍀 케어젠, 2024년 매출 826억원…올해도 영업이익률 40% 넘었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46

🍀 파미셀, 2024년 매출 649억원…영업익·당기순익 '폭증'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50

🍀 의·치·한의·약대생들 축구 대회··· 1회 메디컬리그 5월 개최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553

--------------------------------------------

☞히트뉴스 http://www.hitnews.co.kr/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company/%ED%9E%88%ED%8A%B8%EB%89%B4%EC%8A%A4/posts/?feedView=all
☞엑스(X) https://x.com/hagisehit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healthcare_with_hi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ITNEWS2018/
☞포스트 https://post.naver.com/hitnews2018?isHome=1
☞블로그 https://blog.naver.com/hitnews2018
11.02.202500:04
IBK투자증권
소재/부품/장비
이건재 연구위원

[마이크로디지탈] 아직 실적을 논하기 이른 시점

https://shorturl.at/uuwRb


•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
작일 동사는 손익구조 30% 이상 변동 공시를 실시함. 2024년 잠정 실적은 매출액 115억 원(+6.3%, YoY), 영업이익 2억 원(-74.3%, YoY), 당기순이익 1.7억 원 (-70.3%, YoY)으로 전년 대비 매출액은 상승했으나 수익성이 감소한 모습 나타남.

2024년 잠정 결산에서 수익성이 하락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원인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첫째, 2023년에는 충당금으로 분류한 악성 매출채권 11억 원이 극적으로 회수되어 판관비로 환입된 효과가 있었지만, 올해는 이러한 일회성 효과가 없었다는 점. 둘째, 인도·미국향 매출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지만, 관련 계약 및 추가 계약을 위한 준비로 비용이 상승했다는 점.

• 기술특례 상장기업, 2년 연속 흑자 달성
잠정 실적이 다소 아쉬운 부분이 존재하지만, 기술특례 기업으로 2019년 상장해 2023년과 2024년 2년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판단됨. 국내 바이오 소부장 대표 기업으로 첫발을 뗀 동사는 올해 북미 글로벌 기업과의 L/O 계약 완료와 국내 대표 CDMO 기업향 부품 및 장비 공급 확대가 계획되어 있어, 2024년 잠정 실적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불필요한 것으로 보임.

•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7,000원 유지
트럼프 정부의 ‘America First’ 정책으로 국내 바이오 소부장 기업들은 미국 시장 내 파트너 확보 여부에 따라 글로벌 경쟁력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됨. 마이크로디지탈은 불모지나 다름없는 국내 시장에서 스스로 유의미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도출하고 있어, 국내 바이오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가 확실시되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 주가 27,000원을 유지함.

- 동 자료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준수하여 사전 공표된 자료이며, 고객의 증권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본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의 승인을 받아 발송되었습니다.
10.02.202522:42
[미래에셋 제약/바이오 김승민] 2/11 Daily

https://t.me/bioksm

<미국/유럽>
Eli Lilly(LLY.US): OliX 및 AdvanCell과 각각 MASH 치료제 및 방사성 의약품 개발 협력 체결. 1) OliX의 siRNA 후보물질(OLX75016)에 대한 글로벌 권리를 확보해 1상 지원 등 MASH 파이프라인 강화. 2) 기존 협력을 확장해 AdvanCell의 lead-212 표적 알파 치료제 개발 지원할 계획.
https://han.gl/UvUEd

▶ Eli Lilly, 지난 1월 발표한 $2.5bn 규모의 Scorpion Therapeutics 암 치료제 STX-478 인수를 지원하기 위해 $6.5bn 규모의 투자등급 채권 발행. 관계자에 따르면 조달 자금은 인수 자금 및 기타 운영 자금으로 활용될 예정.
https://han.gl/N4Spp

Bristol Myers Squibb(BMY.US): Breyanzi, 재발성 또는 불응성 변연대 림프종(MZL)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2상(TRANSCEND FL)에서 1차 평가변수인 ORR(전체 반응률) 및 2차 평가변수인 CRR(완전 관해율) 충족하며 긍정적 탑라인 결과 발표.
https://han.gl/YZGGr

▶ Boehringer Ingelheim, nerandomilast가 임상3상(FIBRONEER-ILD)에서 52주차에 위약 대비 강제 폐활량(FVC) 개선을 입증하며 1차 평가변수를 충족했다 발표. 2Q25 전체 데이터 공개 예정이며, 진행성 폐섬유증(PPF) 치료제로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할 계획.
https://han.gl/1HI9B

▶ Pliant Therapeutics, 독립 데이터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DSMB)의 권고에 따라 특발성 폐섬유증(IPF) 치료제 bexotegrast의 임상2b/3상(BEAON-IPF) 일시 중단 발표. DSMB의 공식적인 사유는 공개하지 않았으며, Pliant는 데이터를 검토해 권고 이유를 파악할 계획.
https://han.gl/8SY2m

▶ Merck kGaA, 관계자들에 따르면 美 암/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사 Springworks Therapeutics 인수를 위한 최종 협상 단계 진행 중.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몇 주 내에 계약 체결 가능성이 있는 상황. 구체적인 협상 조건은 미공개.
https://han.gl/7Jn9N

<한국>
GC녹십자(006280.KS): GC녹십자, 희귀질환 신약 후보 2개 비임상서 효능 확인
https://han.gl/BVhzR

대웅제약(069620.KS): 대웅제약, 지난해 매출 1조2654억·영업이익 1638억… “역대 최대 실적”
https://han.gl/AhS8o

▶ 대웅바이오 '글리아타민' 최대 실적 경신... SCIE급 저널 연구 게재
https://han.gl/eRXLK

유한양행(000100.KS): 유한양행-리센스메디컬, 반려동물 의료기기 업무협약 체결
https://han.gl/n6mQP

한미약품(128940.KS): 한미약품, "'로수젯', 뇌졸중 환자에도 적합한 치료 옵션"
https://han.gl/hY7fl

동아에스티(170900.KS): 동아에스티, 작년매출 5.9% 증가 6407억…영업익 0.8%↓
https://han.gl/qNEXc

▶ 보로노이, 미국암학회서 'VRN11' 임상 초기 데이터 조기 발표
https://han.gl/L0woS

▶ HLB테라퓨틱스, NK치료제 유럽임상 목표환자수 충족
https://han.gl/DlYO8

▶ 압타바이오, 면역항암제(APX-343A) 일본, 멕시코 특허 동시 취득
https://han.gl/t28K1
10.02.202521:53
*한국 증시 관련 수치

MSCI 한국 증시 ETF는 1.85%, MSCI 신흥지수 ETF는 1.20%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46% 상승한 가운데 러셀2000지수는 0.36%, 다우 운송지수는 1.03% 상승. KOSPI 야간 선물은 0.84% 상승. 전일 서울 환시에서 달러/원 환율은 1,451.20원을 기록한 가운데 야간 시장에서는 1,451.80원으로 마감.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449.30원을 기록.


*FICC: 국제유가, 천연가스 상승

국제유가는 관세 우려에 따른 경기 위축 부담에도 불구하고 상승. 러시아 1월 원유 생산량이 하루 896만 배럴로 OPEC+ 협정보다 낮은 수준을 기록한 점이 영향을 준 가운데 이란에 대한 압박 강화 소식도 상승 요인. 즉 수요보다 공급 이슈가 오늘 유가 상승 요인. 미국 천연가스는 LNG 수출 증가와 추운 날씨 예보 소식에 상승. 유럽 천연가스도 추운날씨로 저장량 감소 소식에 상승.

달러화는 뉴욕 연은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0%로 유지하자 지난 1월 발표된 소비자 심리지수내 1년 기대 인플레이션 급등과 달리 안정을 보였다는 점에 약세를 보이기도 했음. 그러나 트럼프의 관세 부과는 결국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자극하고 이를 통한 연준 통화정책의 불안을 반영하며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로 전환. 유로화는 라가르드 ECB 총재가 무역 분쟁으로 인플레이션 불안을 야기시킬 수 있다고 언급한 가운데 관련 변화로 유로존 경기 불안을 자극하자 달러 대비 약세. 파운드화, 엔화도 약세. 인도 루피아화는 미-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로 달러 대비 강세. 역외 위안화, 멕시코 페소 등은 약세를 보인 가운데 브라질 헤알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강세

국채 금리는 장 초반 뉴욕 연은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 안정을 바탕으로 하락하기도 했지만, 상승 전환. 시장은 관세 이슈가 결국은 연준의 통화정책 불안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반영. 한편, 파월 연준의장의 의회 청문회를 앞두고 되돌림이 유입된 점도 장 후반 반등에 영향. 더 나아가 식품과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이번 주 발표되는 소비자 물가지수에 대한 불안도 금리 반등 요인 중 하나. 결국 국채 금리는 파월과 물가지수 발표가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금은 달러 강세와 금리 반등에도 불구하고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 발표가 물가와 투자 심리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 영향.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니켈은 하락한 가운데 알루미늄의 상승이 뚜렷. 트럼프의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가 결국 미국 프리미엄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 알루미늄 상승 요인. 농작물은 옥수수가 멕시코의 구매 발표로 상승한 반면, 대두는 하락 전환. 밀은 달러 강세 여파로 하락.
11.02.202501:51
더바이오 2월 11일

https://www.thebionews.net/edit/webzine.html?idxno=312

●'P-CAB' 시장 더 커지나…1월 처방액 '케이캡' 13%, '펙수클루' 25% 쑤욱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4

●글로벌 제약사들 '매출 1위 제품' 상당수 3년 내 특허 만료 앞둬…향후 대책은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5

●메조블라스트, 줄기세포 치료제 '라이온실' 3수 끝 허가…적응증 확대 나선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3

●A형 혈우병 이중항체 '밈8', 소아 환자 74% 출혈 억제…노보, 올해 승인 신청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78

●젠바디, 병무청에 '마약류 6종' 동시 진단키트 15만개 공급한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1

●"레이저티닙‧아미반타맙, 비정형 EGFR 폐암의 기존 치료 한계 극복 가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1

●삼성서울병원·경희대병원 “노년 건강 지킴이 ‘근육적금’ 효과, 성별 차이 뚜렷”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3

●큐라클, FDA와 경구용 망막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CU06' Type C 미팅 완료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7

●클립스비엔씨,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과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5

●디지털헬스케어파트너스, 실리콘밸리 정신 건강 스타트업 ‘콰블’에 투자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4

●블루엠텍, 의사 초빙 플랫폼 ‘블루닥’ 프리미엄 헤드헌팅 서비스 시작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9

●강스템바이오텍, 日 최초 제대혈 줄기세포 이용 ‘1종 재생의료 제공계획’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7

●대웅제약·디엔씨, ‘딥 심포지엄’서 ‘2030 맞춤형’ 미용성형 복합 시술법 제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6

●오스템임플란트, 교정 기공 콘테스트 개최…"전국 치과 기공사 참여 가능"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0

●바이오스타 기술연구원 줄기세포 치료제, 日 고관절질환 재생의료 치료 승인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8

●JW중외제약, ‘세계 빈혈 인식의 날’ 맞아 캠페인 진행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2

●일양약품, '6년근 발효홍삼정' 등 겨울철 면역력 위한 홍삼 건기식 4종 추천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96

●[시가총액 모니터] 바이오 특례상장 기업 '톱 50'(2월 10일)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2

●릴리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옴보', 크론병 3상 장기 효능·안전성 입증"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79

●[인사] 식약처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0

●Korean scientist inspired by the ‘Genentech story’ brings technology to Genentech, making a dream come true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75

●HLB NeuroTobe to submit domestic phase 1 IND for dystonia treatment substance 'NT-1' this year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70

●PharmAbcine and Arontier Partnership for AI-Driven Antibody-Based Drug Development Platform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54
10.02.202523:37
진단키트 전문기업인 젠바디는 병무청에 '마약류 6종'을 동시에 진단할 수 있는 진단키트 15만개를 올해 말까지 공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공급되는 진단키트는 사람의 소변에서 △필로폰(MET) △대마초(THC) △코카인(COC) △모르핀(OPI) △케타민(KET) △엑스터시(MDMA) 등 6종의 마약류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젠바디 독자 기술로 개발된 '컨피스코프(Confiscope) G20'이라는 분석장비를 이용하게 되면 기존의 육안 분석에서의 단점(데이터 저장, 휴먼 에러, 결과 인쇄 등)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게 젠바디의 설명입니다. 또 신속성과 정확성을 갖춘 제품이라고 젠바디는 덧붙였습니다.

젠바디에 따르면 회사의 마약류 동시 진단키트는 검사 결과를 '10분 이내'에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법이 간단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소형 제품으로 현장진단(Point Of Care)에 최적화돼 별도의 장비나 추가 조작 없이도 신뢰도 높은 검사가 가능합니다.

한편, 젠바디는 작년 하반기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으며, 올해 1분기 중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한국거래소에 제출해 상장 절차를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입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1
10.02.202522:41
[NH/한승연] 셀트리온

[셀트리온(TP 250,000원 하향, Buy 유지)] 밸류는 역사적 하단, 반등의 Key는 미국 성과

■요약

4분기 원가 및 판관비 증가하며 컨센서스 영업이익 하회 전망. 현재 밸류 역사적인 하단 수준, 주가 박스권 반등의 단초는 미국 성과(짐펜트라 혹은 Tier2 시밀러)에 주목

▶ 4Q24 Pre: 비용 증가 탓 아쉬운 실적 예상

4분기 연결 매출액 1조959억원(+186% y-y) 및 영업이익 2,017억원(OPM 18.4%)으로 컨센서스 영업이익 하회 예상

[매출] 1)바이오시밀러 매출 8,895억원(+10% q-q) 및 2)Non-바이오시밀러 2,064억원(+187% q-q) 추정. 시밀러는 안정적인 Tier1 제품(램시마IV, 트룩시마, 허쥬마) 매출(+6% q-q)에 더해 Tier2 제품(램시마SC/짐펜트라 및 신규) 고성장(+15% q-q) 추가. 짐펜트라 271억원 및 유럽 스테키마 175억원 예상

[OP] 4분기 OPM 18.4%(-5.1%p q-q) 추정, 이는 높아진 매출원가율(+1%p q-q) 및 판관비율(+4.1%p q-q) 탓. 원가율은 4Q 테바 CMO 매출 반영(약 970억원)되며 믹스 악화, 추가로 테바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아쉬운 판관비율은 1)인건비(성과급 및 3공장 인력 채용), 2)광고선전비(짐펜트라) 확대 탓

▶ 2025년 유럽은 밸류 지지, 미국은 +α로 주목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25만원으로 12% 하향. 1)’26년 EBITDA 하향 (2.3조원 → 2.1조원), 2)EV/EBITDA 멀티플 소폭 상향(28배 → 29배) 반영

’25년 매출 4조4,351억원(+24% y-y) 및 영업이익 1조1,839억원(OPM 27%) 예상. 올해 핵심은 1)유럽 지속 성장 및 2)미국 신규 성과(짐펜트라 ’25년 2,790억원 + Tier2 시밀러 매출 확대). 컨센 12MF EV/EBITDA 21배로 역사적 하단 수준. 유럽은 밸류 지지, 주가 박스권 반등의 Key로 미국 성과 주목

▶ 보고서 링크 : https://m.nhqv.com/c/hbclv

■ [NH/한승연, CFA(제약/바이오), 02-768-7802]

위 내용은 당사 컴플라이언스 결재를 받아 발송되었으며, 당사의 동의 없이 복제, 배포, 전송, 변형, 대여할 수 없습니다.

무료수신거부 080-990-6200
10.02.202522:40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10, MON) #전체기사

▶ 릴리, '인크레틴' 신경·면역 "베팅 시작"..R&D 4건 중단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33

▶ 일본신약, AB2와 허가앞둔 ‘IL-18 저해제’ 6.86억弗 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32

▶ 유한양행, 리센스메디컬과 반료동물 의료기기 MOU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53

▶ AZ, “기대” 경구 보체D ‘중단’..‘225Ac RPT’도 “정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34

▶ 아델, 바디텍메드와 알츠하이머병 혈액진단 "공동연구"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56

▶ 베인캐피탈, 미쓰비시파마 33억弗 인수..“ALS 치료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48

▶ 대웅바이오, 뇌기능개선 '글리아타민' 작년 1293억 매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52

▶ 메드팩토, ‘ALK5 저해제’ 골육종 연구자2상 “연내 시작”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57

▶ 파이안, '미토콘드리아 이식' 근염 1/2a상 "논문"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23

▶ 휴온스그룹, 벤처∙스타트업 지원사업 "2기 모집"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58

▶ 동아쏘시오홀딩스, 작년 매출 1.33조 “전년比 17.8%↑”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60

▶ 동아ST, 작년 매출 6407억..“전년比 5.9%↑”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61

▶ GC녹십자, ‘LSD 파이프라인’ 비임상 “美학회 발표”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62

▶ 쿄와기린, 3.3억弗 베팅 '메닌저해제' AML 2상 "긍정적"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37

▶ 한미약품, ‘로수젯’ 당뇨동반 뇌졸중서 “효과적 치료옵션”
https://www.biospectator.com/news/view/24259

#바이오스펙테이터 #전일(2/10, MON) #전체기사
10.02.202521:53
*특징 종목: 엔비디아, 팔란티어, , 로켓랩, 아이온큐 상승 Vs. 테슬라 하락

엔비디아(+2.87%)는 OpenAI가 자체 칩을 TSMC를 통해 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상승. AI 서버 중심으로 폭스콘의 1월 매출(yoy +3.16%) 개선과 1분기 강한 성장 전망을 언급한 점, TSMC(+0.89%)가 1월 매출(+yoy +35.9%) 급증 소식도 영향. 여기에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고 있는 AI 서밋에서 마크롱이 1천억 유로 투자 언급도 긍정적. 이에 브로드컴(+4.52%), AMD(+2.71%), 마이크론(+3.93%), 인텔(+3.51%) 등도 강세. 물론, TSMC는 1분기 매출은 전망 밴드 하단을 기록 전망에 제한적인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1.46% 상승

슈퍼마이크로 컴퓨터(+17.64%)는 11일(화) 실적 발표를 앞두고 큰 폭으로 상승. AI 서버 매출이 크게 증가한 폭스콘 발표가 긍정적인 요인. 여기에 옵션 내재변동성이 상승/하락 변동성을 20%로 삼고 있어 수급적인 요인도 영향. 델(+5.58%), HP(+1.70%), 웨스턴디지털(+7.11%), 아리스타 네트웍(+1.49%) 등 관련 종목군도 대부분 상승. 유아이패스(+1.93%), C3AI(+4.81%), 세렌스(+13.95%)등 AI 관련 종목군도 상승이 확대. 온세미컨덕터(-8.21%)는 부진한 실적에 하락. NXP세미(-1.35%) 등 자동차 반도체 칩 관련주는 부진

팔란티어(+5.23%), 오라클(+2.56%), 세일즈포스(+0.42%), 서비스나우(+1.34%) 등 소프트웨어 업종도 상승. 어도비(+4.16%)는 실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언급한 보고서 결과로 상승. 시장은 AI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의 투자 전환을 기대. MS(+0.60%), 애플(+0.12%), 알파벳(+0.57%), 메타(+0.40%) 등은 견고한 가운데 아마존(+1.74%)은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소비에 적극적이며 이에 온라인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 월마트(+1.75%), 코스트코(+1.73%), 달러 트리(+1.65%) 등도 상승.

테슬라(-3.01%)는 유럽 각국에서의 판매 급감 소식이 진행되고 있는데 오늘도 영국에서의 판매량 급감 소식에 하락. 더불어 리프트의 로보택시 진출과 중국의 비야디가 자체 자율주행시스템 ‘天神之眼(천신의 눈)’을 발표한 점도 하락 요인. 리비안(+4.09%)은 아마존에 납품하던 벤을 자체 판매할 것이라는 발표에 힘입어 상승. 중국 전기차 업체인 니오(+2.12%), 리 오토(+1.35%)는 상승한 반면 샤오펑(-1.65%)은 하락하는 차별화. 그 외 GM(-1.73%)는 멕시코의 1월 자동차 수출이 급감했다는 소식에 하락하고 포드는 보합. 리프트(+6.70%)는 내년 모빌아이(+11.82%) 기술을 탑재한 완전 자율 주행 로보택시를 도입할 계획이라는 소식에 상승. 우버(+5.40%)도 강세.

엑손모빌(+1.91%), 셰브론(+2.06%) 등 에너지 업종은 국제유가 상승에 기대 상승. 스틸 다이나믹(+4.87%), 클리블랜드 클리프(+17.93%), US 스틸(+4.79%) 등 철강 업종과 알코아(+2.21%) 등 알루미늄 관련주, 누코어(+5.58%) 등 철광석 광산 업종 등은 트럼프의 철강, 알루미늄 관세 부과 발표로 큰 폭 상승. 알리바바(+7.55%), 바이두(+5.07%), 핀둬둬(+1.81%) 등 중국 기업들은 재평가 기대 속 상승 지속. 특히 알리바바는 비야디가 딥시크와 연동한다는 소식에 관련 기대도 긍정적

JP모건(-1.73%), 씨티그룹(-1.21%), BOA(-1.54%)는 소비자 보호청 중단에도 불구하고 하락. 2023년 이후 동물성 단백질 및 사료 생산자에게 최소 1,340억 달러의 대출 등을 제공했는데 기후 변화로 인한 혼란으로 최대 93억 달러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소식이 부담. 또한 워런버핏이 BOA를 지속적으로 매도하고 있다는 소식도 부담. 웰스파고(-1.95%)를 비롯해 모건스탠리(-1.91%), 골드만삭스(-0.82%) 등 많은 금융주도 하락. 찰스스왑(-2.42%)은 TD뱅크(+3.59%)가 지분을 매각해 자사의 자사주 매입을 발표하자 하락한 반면 TD뱅크는 상승

씰스큐(+7.44%)는 11일 양자의 날을 나스닥에서 개최한다는 점에서 관련 기대로 상승. 아이온큐(+1.23%)는 지난 주 양자컴퓨터가 5년내 상용화될 것이라는 구글 관련 책임자의 발언에 견조한 흐름을 이어간 가운데 오늘은 하락 출발 후 반등에 성공. 수급의 쏠림이 유입된 점이 영향. 다만, 디웨이브 퀀텀(+0.34%)은 상승한 반면 리게티 컴퓨팅(-3.89%)은 하락하는 차별화가 진행. 로켓랩(+11.64%)은 일본 iQPS와 SAR 위성 4기 발사 계약 체결 소식에 상승. 인튜이티브 머신(+8.32%), 레드와이어(+13.00%), 스텔로직(+22.22%), 플래닛랩(+8.17%), AST스페이스 모바일(+17.47%) 등도 강세. 최근 미국 정부를 비롯해 각국 주요 기관들과의 계약 소식이 지속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显示 1 - 24 789
登录以解锁更多功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