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Мир сегодня с "Юрий Подоляка"
Труха⚡️Україна
Труха⚡️Україна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Николаевский Ванёк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avatar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크립토 관련 정보를 올립니다. 채널 운영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반영될 수 있습니다.
공지방: https://t.me/minebuu_cryptoball
채팅방: https://t.me/chat_cryptoball
관리자: @minebuu @lookseedo @xxxkkaz
TGlist 评分
0
0
类型公开
验证
未验证
可信度
不可靠
位置
语言其他
频道创建日期Aug 16, 2021
添加到 TGlist 的日期
Apr 12, 2024
关联群组

마인부우의 크립토볼 热门帖子

02.04.202501:11
Abstract DYLI Dabble

앱스 양말을 판매했던 DYLI에서 Dabble 오픈했습니다.
스핀을 돌려 다양한 상품들을 뽑아 실수령 or 거래 가능하지만
Abstract XP파밍을 목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Spotlight에 올라옴
- Dabble 퀘스트 완료시 DYLI다이아 획득 가능
- 다이아 리더보드 존재
- 다이아는 생태계 핵심이 될 것이며, 공급이 점점 줄어들 예정 - 관련 트윗


퀘스트 간단 가이드
- 퀘스트 완료시 필요한 스티커는 $5 머신에서 획득 가능
- 2차구매 스티커도 인정
- 중복 스티커는 2차거래하거나 다이아로 변환가능


매주 달라지는 xp 매커니즘때문에 퀘스트정도만 접근해보기 좋을거같습니다.
🤑 비용이 발생하는 작업입니다.
바이낸스 알파, 포인트 제도 도입

https://x.com/WuBlockchain/status/1915579971323781562

최근 15일간의 알파 토큰 구매 볼륨 및 Spot/Alpha 토큰 홀딩량을 기반으로 포인트가 계산되며, 포인트를 기반으로 Alpha 토큰 에어드랍 적격 여부가 결정될 예정

바이낸스 앱의 "Alpha Points" 서비스를 검색하여 본인의 점수를 확인 가능. 일간 포인트 적립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홀딩량 포인트는 Alpha 토큰 외에 다른 토큰도 적용되며, 구매량 점수는 Alpha 토큰에만 적용

높은 점수를 위해선 매일매일 Alpha 토큰을 거래하는게 중요할듯
앱스트랙트, 곧 완전한 EVM 동등성을 구축할 예정

https://x.com/abruzuc/status/1915464131550884047

앱스트랙트는 ZkSync의 ZK stack을 통해 구축되었기 때문에 그동안 EVM과 100% 호환되지 않았습니다 (ZkSync의 "Differences from L1" 문서 참고). 따라서 이더리움에 배포한 컨트랙트를 앱스트랙트에 배포하려면 약간의 코드 수정이 필요했고, 컴파일 시에도 foundry-zksync 같은 별도의 zksync 전용 툴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곧 패치될 EVM 바이트코드 에뮬레이터 도입으로 인해 기본 이더리움 개발 툴 (Foundry, Hardhat)을 통해 이더리움 메인넷 컨트랙트 코드의 수정 없이 컨트랙트 배포가 가능해집니다. 이를 통해 기존 이더리움 Dapp들이 쉽게 앱스트랙트로 통합될 수 있습니다.

해당 기술 자체는 ZkSync가 개발중인 기술이긴 하지만, Abstract 측에서 발빠르게 적용하고 체인 스택을 잘 활용하고 있지 않나라는 생각이 드네요

#Abstract
Sign

바이낸스 에어드랍
🟠알파포인트 65점 이상
* 1500개 에어드랍 예정

🐦 관련 트윗
05.04.202510:43
[과거엔 지금보다 돈 벌기가 쉬웠을까?]

요즘 재밌게 듣는 프로. 나 혼자 코인 산다.

별 내용은 없는데 뭔가 재밌다. 가끔 본방에서 못들은 내용은 유튜브 채널에도 올라오니 보충해서 듣는 편. 보통 이동하거나 운동하면서 듣기 좋다.

몇번 들으니 진행자들의 연륜과 내공같은게 느껴진다. 과거 강호의 이야기를 듣는 것 같기도 하고. 그러고보니 코인에서도 세대가 한두번은 바뀐 것 같다는 느낌도 든다.

어제 방송에선 과거에 돈을 버는 이야기가 나왔다. 나도 가끔 생각하는 주제-과거엔 지금보다 돈 벌기가 쉬웠을까? 아니면 지금이 돈 벌기 쉽나? 과거와 현재의 누가 더 돈을 잘 버는가?

이런 의문은 항상 있기 마련이다. 예를들면 축구에서도 차범근,박지성,손흥민 중 누가 더 잘하는지를 끊임없이 비교하지 않는가. 물론 시대별로 환경이 다르기에 이들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과거와 현재의 비교에 대해서는... 나는 과거가 돈을 벌기는 더 쉬웠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최근 코인은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갔다고 본다. 그러기에 지금 잘하는 플레이어들은 상당한 능력자라고 본다. 그래서 돈 버는 기술면에 있어서도 지금의 플레이어들이 우위에 있다고도 생각한다.

이건 코인 뿐 아니라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렇다고 본다. 예를들어 올림픽에서의 육상, 수영 등 기록은 계속해서 단축되고 있고, 체조 기술도 갈수록 화려해진다. 이는 훈련법,장비,영양등이 발전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전신 수영복이라던지, 또 체계적인 훈련이라던지, 아니면 엘리트 체육 코스 시스템이라던지.

그러면 과거 플레이어들은 원래 퇴물인데 시대를 잘 타고 운이 좋았던 것일까? 나는 그것도 아니라고 본다. 그 시대는 그때의 환경이 있다. 적어도 과거에 코인을 했던 사람들은 불확실성에 대한 베팅을 많이 해야 했다. 비트코인을 사면서 조차 이 코인이 없어지는것이 아닐까 하는 존재에 대한 위험을 견뎌야 했고, 새로운 코인이나 프로토콜이 나올때는 그 개념에 대해 피실험자가 되어야만 했다. 지금은 안전장치가 된 많은 것이 그때는 안전장치조차 없었다. 마치 맨몸으로 빌딩을 건설하는 사람들 처럼. 어쨌건 코인에서 살아남은 자들은 나름 생존자라는 훈장이 있다.

다만 코인 수익의 상방만큼은 과거 같지 않다고 본다. 현재엔 과거의 몇백배 수익률 만큼은 기대하기가 어렵다. 물론 작년에 수많은 밈코들이 100x도 가긴 했어서, 코인엔 한계가 없는건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일부 케이스를 전체적인 가능성으로 치환하기는 어렵다. 확률적으로 얼마나 많은 투자자가 10x를 달성했나를 따져본다면, 현재보다는 과거에 그 달성한 이들이 많았다는 것. 지금의 화석코인이라 불리우는 코인들이 몇십 몇백배가 되는 경우도 흔했기에.

이렇게 상방이 약해진 것은 그만큼 코인시장이 안정되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물론 전통시장에 비해선 아직도 불안정하고 틈새가 많은 시장이긴 하다. 그러니까 코인 세계 사이클에서 innovator와 early adopter 단계 정도를 지난게 아닐까?

다시 플레이어들 이야기로 돌아와서.
차범근,박지성,손흥민을 비교하는 것은 너무나 재미있는 이야기거리다. 하지만 명확한 사실은 그들 모두가 그 시대 최고의 플레이어라는 것.
제일 중요한 것은 이것과 상관없이 나 스스로가 이 시대 환경속에서 원하는 바를 잘 성취해 나갈 수 있냐 하는 것이겠다.
Lighter의 503 서비스 에러

최근 perp dex 사이에서 유망주로 떠오르고 있는 Lighter

아직 베타 기간임을 감안해도 서비스 에러가 잦네요. 거래소에서 거래를 못한다는 것은 너무 치명적인 문제인데 (선물 포지션 종료를 못하니) 앞으로 이런 문제가 없도록 어떻게 업데이트할지 궁금하네요

우리가 탈중앙화 거래소에 기대하는 바는 명확합니다. 중앙화 거래소에 비해 높은 탈중앙성/검열저항성/가용성을 원합니다. 유니스왑처럼 컨트랙트 레벨로 동작하고, 적당한 인터페이스만 붙여도 동작하는 것까지는 perp dex에게는 힘들지라도, 중앙화 거래소와 대비되는 블록체인의 장점들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위에 말한 문제점이 아직 충분히 개선가능하다고 생각되며, 현재 저는 10만불 예치해서 Lighter에 LP만 공급하고 있습니다.

#Lighter
31.03.202515:12
Giggle Academy 에어드랍 작업 해보기

https://www.giggleacademy.com/

- 장펑자오가 빌딩 중인 교육 플랫폼
- Giggle Creator라는 기능이 있는데, 스토리북을 만들고 플랫폼에 등록 할 수 있음
- 대략적인 아이디어를 AI를 통해 긴 스토리를 만들거나, 스토리에 맞춰 AI를 통해 이미지와 성우의 목소리가 담긴 스토리북을 만들 수 있음
- 스토리북을 만들었다면 Public으로 출판할 수 있으며, 심사가 통과될 경우에만 Public으로 전환됨
- 심사 조건이 까다로워서 퍼블릭이 되기는 쉽지 않음. 금도끼 은도끼 고전동화 그대로 배꼇다가 거절당함..
- 할거 없을 때 에드작 한다고 생각하고 몇가지 스토리 창작해보면 좋을지도? 물론 코인 발행/에어드랍 준다는 보장은 없음

#GiggleAcademy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일상과 산업 전반에서 AI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필수 연산 자원인 GPU 수요도 폭증하고 있지만, 현재 시장은 소수의 빅테크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어 높은 비용과 낮은 접근성 문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 세계에 분산된 유휴 GPU 자원을 통합하여 기존 중앙화 인프라의 비효율을 해소하고 AI 생태계의 확장성과 효율성을 높이려는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인프라 프로젝트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현재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는 여섯 개의 주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각 프로젝트의 등장 배경, 주요 서비스, 투자 연혁, 팀 백그라운드, 그리고 향후 TGE 대비 전략까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 “블록체인 X AI, 반드시 알아야 할 6가지 인프라 프로젝트” 리포트 보러가기
앱스트랙트 9주차 XP 분배

저번주 3만점에서 이번주 51300점으로 많이 올랐네요. 플레 가보자가보자

현재 하는 것들
- 77-bit (저번주 많이함)
- Myriad Market
- Gacha
- Gigaberse
- Multiplier
- Roach Racing Club
- 밈코 거래 약간/LP 공급
- 앱스 생태계 NFT들 홀딩

앱스트랙트 Dapp들을 다양하게/날마다 꾸준히 하는게 XP 획득에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하나의 Dapp에 너무 몰입하지 마시고 꾸준히 하루에 1-2시간씩 투자하면 좋을 것 같네요

#Abstract
🏜 Sahara AI 한국 커뮤니티 입장 이벤트

예전부터 꾸준히 AI 파밍 작업하던 사하라가 드디어 한국에 공식 커뮤니티를 오픈했네요
💛 Sahara AI?

사하라는 AI 주권, 데이터 투명성, 그리고 개방형 기술을 통해 공정하고 윤리적이며 접근 가능한 AI 세상을 구축

Backers: Binance Labs, Pantera Capital, Polychain, Sequoia Capital, Samsung Next 등


이벤트 일정
- 일정 : 4월 23일 ~ 4월 30일
- 당첨자 발표 및 상품 전송 : 5월 1일

🎁 선물
- Sahara AI Data Service White List 50자리
- 커피쿠폰 200개
- 5만원 상당의 사하라 AI 굿즈 20개

🦊참여방법
1) 사하라 한국 커뮤니티 공지방 입장 (link)
2) 사하라 한국 커뮤니티 채팅방 입장 후 자유롭게 인사나누기 (link)
3) 구글폼 작성 (link)

#SaharaAI #KOL
03.04.202516:25
Succinct 리서치

(영문) https://x.com/minebuu_/status/1907831408267293009

Succinct는 기본적으로 ZK proof 생성을 중계하는 인프라입니다.


Succinct는 Prover가 "어떻게" ZK proof 증명을 생성할지에 대해 직접 관여하지는 않습니다. 증명 방식은 자유이며 어떤 최적화를 쓰든, 어떤 하드웨어를 쓰든 자유입니다 (무엇을 증명해야 하는지와 어떤 형식으로 증명해야 하는지는 SP1 기반을 사용하도록 지정하긴합니다). Succinct는 ZK proof 생성 성능 최적화는 시장에 맡기고, Zk proving을 위한 자유 시장 환경을 조성하여 경쟁하도록 유도합니다.

구조는 간단합니다.
1) 증명을 요청하는 사용자가 보상을 걸고 특정 동작에 대한 증명을 생성해줄 것을 네트워크에 요청합니다.
2) 누구나 Prover로서 경매에 참여합니다. 경매에 참여하기 위해서 Prover들은 자기만의 입찰액을 적어서 지불합니다.
3) 오직 하나의 Prover만 선택됩니다. 입찰액이 높을수록 당첨 확률이 증가합니다. 선택되지 않은 Prover들이 지불한 돈은 돌려받지 못하고 네트워크가 가져갑니다.
4) 선택된 Prover는 제한된 시간안에 ZK proof를 생성하고 이를 요청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보상을 받아 갑니다.

위에서 몇가지 경제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선택받지 못한 Prover가 지불한 돈은 돌려받지 못합니다. 이를 통해 스팸 참여/Sybil attack을 방지합니다. 또한 ZK Proof를 적은 비용으로 경제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Prover일수록 마진이 더 크기 때문에 입찰액을 더 크게 쓸 수 있고 당첨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경제 효율성이 높은 Prover가 경매에서 승리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이기지 못하면 비용만 내는데… 그럼 나중엔 적은 돈으로 Proof를 생성할 수 있는 강한 Prover 몇 명만 남는 거 아니야?”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Succinct는 α라는 파라미터로 탈중앙화의 정도를 조절합니다. α가 0에 가까우면 입찰액이 무시되고 랜덤으로 선택되며, α가 1일때는 입찰액에 비례한 확률을 갖습니다. α가 무한이면 가장 많이 낸 Prover가 무조건 당첨됩니다. 따라서 α값을 낮게 조절한다면 입찰액의 중요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입찰액을 작게 쓴 (ZK proof 생성 비용이 높은) Prover도 선택받을 수 있습니다. 이 α 값을 조절함으로써 Prover 탈중앙화와 효율성 두가지 측면의 Trade-off를 조절합니다.

이에 대한 복잡한 공식이 논문에 나와있지만 이를 전부 이해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Proof Contest가 소수의 강력한 Prover가 zk proof 생성을 독점하지 않도록 경쟁 구조를 유지하며, 그와 동시에 저렴하고 빠르게 Proof를 생성하는 Prover가 유리하도록 경제학적으로 설계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제 기술적인 걸 떠나서 왜 Succinct가 화제가 되고 있는지를 알아봅시다. 최근들어 OP 계열의 L2 체인들(Mantle, Kroma 등)이 Succinct를 채택한다는 기사를 접해봤을 것입니다. 왜 그들은 succinct를 채택했을까요? 근본적인 이유는 ZK 방식이 OP 방식보다 빠른 완결성 (Finalization)을 갖기 때문입니다. OP방식은 7일간의 분쟁 기간을 갖으며 그 기간 동안 이의제기가 없을 경우에만 L1에 업로드한 L2의 상태(체크포인트)가 확정됩니다. 반면 ZK Rollup 방식은 실행을 Zk proof로 수학적으로 증명하기 때문에 이더리움에서 즉각적인 완결성을 갖습니다. 즉각적인 완결성을 갖는다는 것은 빠른 L2->L1 출금, 체인간 메시지 전송 시 빠른 신뢰 확보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OP 계열의 체인들은 ZK의 빠른 완결성을 원하며 ZK로 전환하고 싶어합니다.

문제는 ZK가 너무도 어려운 기술이며 직접 인프라를 만드는 것이 힘들다는 점입니다. Mantle과 같은 Roullup 프로젝트들은 Succint에게 이러한 ZK 작업들을 외주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채택하였습니다. 즉 ZK circut 최적화/ Prover 비용 관리/ 증명 파이프라인 등에 대한 복잡한 작업들을 Succinct 네트워크에 위임하고 ZK proof의 빠른 finality를 확보할 수 있는 아주 큰 장점이 있습니다. 앞으로도 OP Layer들의 Succinct 채택은 가속화 될 것입니다.

그래서 코같투님 트위터의 2,3번 질문에 대한 답이 바로 나옵니다. 모든 OP 롤업은 이제 Succint 같은 ZK infra를 통해 쉽게 ZK 롤업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즉각적인 finality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Op Rollup의 ZK rollup으로의 전환은 머지않은 미래입니다.

#Succint #ZKproof
앱스트랙트 Myriad 꿀통 예측 주제

"Pectra가 4월 말까지 Ethereum 메인넷에 출시될까요?"

https://myriad.markets/markets/will-pectra-hit-ethereum-mainnet-by-the-end-of-april

오후 11시 20분에 나온 코인데스크 기사에 따르면 이더리움 Pectra 메인넷 업그레이드가 기존 4월 30일에서 5월 7일로 밀렸다고 합니다. 이에 Myriad 예측 마켓에서 저도 Yes에서 No로 방금 갈아탔습니다.

실제 돈으로 배팅하는건 아니고 포인트로 하는거니 부담없이 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Myriad는 앱스트랙트 예측 마켓 앱으로 괜찮은 프로덕트니 꾸준히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Myriad #Abstract
너 잘해
재능있어
이대로만해
22.04.202503:43
이제 SMOL AI가 Abstract의 Gigaverse를 자동으로 플레이합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Profile -> Inventory에 들어가 자신의 SMOL을 클릭하고 Play Gigaverse 탭을 누르시면 됩니다. 밑에 Battle log를 보면 AI가 왜 그런 판단을 하면서 게임을 플레이했는지 로그도 나오니 확인해보시면 좋을듯. gigaverse 하루 에너지 다 쓰는데 2분컷이네요

https://marketplace.treasure.lol/

앞으로 더 많은 게임들이 추가된다고 하네요. 이제 귀찮은 web3 게임들 대신 다 '해줘'

#MAGIC #TreasureDAO
a16z crypto CSX 04에는 어떤 프로젝트가 나왔을까 🤩

요약

- CSX는 a16z crypto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 선발된 팀은 약 10주간 a16z crypto의 지원을 받으며 '제품/시장 적합성(PMF)'과 '고투마켓 전략(GTM)'을 최적화
- 마지막 주에는 VC들 앞에서 데모 데이 진행

이번에 CSX에서 투자한 뉴스가 줄줄이 나오길래 한 번 정리해보았습니다. CSX는 최소 $50만 불 투자를 진행하는데, 아마 고정된 할당 7% 지분을 가져가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시죵.

- a16z crypto CSX 04 프로젝트 확인하기 (흑막 블로그)
登录以解锁更多功能。